{{{#!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공자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생애 및 사상 | 생애 및 사상 | |
평가 | 평가 | ||
관련작위 | 문선제 · 연성공 · 기타 작위 | ||
가족 | 공자 가문 군주 | ||
저서 | 논어 · 춘추 | ||
현대 | 대중매체 | ||
기타 | 기타 · 공자식인설 · 공자평화상 · 공부가주 · 안연이 공자에게 인을 물었다 · 공자학원 |
1. 역대 왕조에서 내린 작위
취푸(曲阜)의 공부(孔府) 대성전(大成殿) |
공부 전경 |
유네스코 세계유산 | ||
이름 | 한글 | 곡부의 공자 유적 |
영어 | [1] | |
프랑스 어 | [2] | |
국가·위치 | 중국 취푸 | |
등재유형 | 문화유산 | |
등재연도 | 1994년 | |
등재기준 | (ⅰ)[3], (ⅳ)[4], (ⅵ)[5] | |
지정번호 | 704 |
한무제가 유학을 본격적으로 진흥하기 시작한 이래 공자는 중국의 역대 왕조들이 만세의 스승으로 하늘같이 떠받들었으며, 공자의 종손들에게는 공(公)·후(侯)의 작위를 내리고 대대로 공자의 제사를 모시도록 했다. 자연스럽게 공자의 종가는 중국 최고의 명문가로 자리매김했다. 곡부에 있는 공자의 종갓집인 공부(孔府)를 가리켜 대놓고 성부(聖府)라 할 정도였다. 명나라는 공부 대성전에 자금성 지붕에나 올렸던 황금빛 기와에다가 자금성에도 안 쓴(!) 용을 아로새긴 대리석 기둥을 쓰게 했으며, 청나라는 만주족과 한족 간의 결혼을 금지하는 관례를 편법을 써서 회피하는 식으로 종손을 부마로 삼기도 했다. 왕조가 바뀌어도 예우는 유지되었기 때문에 종손의 지위를 차지하려고 서로 드잡이를 했다는 기록까지 있다.
면적만으로도 공자 이하 유교 성현들의 사당인 공묘(孔廟)는 13만㎡에 건물 466칸, 공부는 16만㎡에 건물 480칸, 공자 일족의 묘역인 공림(孔林)은 200만㎡라는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1.1. 공자 조상들의 작위
공자 덕분에 사후에 작위를 얻는 영광을 누린 사람 중에는 공자의 조상도 예외가 될 수 없어서, 공자의 아버지부터 5대조까지가 왕(王)으로 추봉되었다.<rowcolor=#373a3c,#212121> 대수 | 이름 | 작위 | 국가 | 연도 | 비고 |
<colbgcolor=#ffffc2,#3c3d00>현조 | 목금보(木金父) | 조성왕(肇聖王) | <colbgcolor=#ffffe6,#323300> 청 | <colbgcolor=#ffffe6,#323300> 세종 옹정 01(1724) | 추봉 |
고조 | 역이기보(睪夷祁父) | 유성왕(裕聖王) | 추봉 | ||
증조 | 방숙(防叔) | 이성왕(詒聖王) | 추봉 | ||
조부 | 백하(伯夏) | 창성왕(昌聖王) | 추봉 | ||
부 | 숙량흘(叔梁紇) | 제국공(齊國公) | 북송 | 진종 대중상부 01(1008) | 추봉 |
계성왕(啓聖王) | 원 | 문종 지순 01(1330) | 가봉 | ||
계성공(啓聖公) | 명 | 세종 가정 09(1530) | 개봉 | ||
계성왕(啓聖王) | 청 | 세종 옹정 01(1724) | 추봉 |
1.2. 공자의 작위
夏 서하 비황족 추존 황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帝) | |||
문선제 | ||||
서하 황제 | }}}}}}}}}}}} |
공자 본인에게 추봉된 작위도 어마어마해서 후, 공, 왕을 거친 뒤 급기야 (서하의 경우지만) 황제로까지 격상되기에 이른다.[6] 최종적으로는 대성지성선사. 나중에 '선사'로 올린 이유는 이전까지 군주로 봉했던 게 성인에 대한 예의가 아니었다는 지적이 나와 그냥 군주가 아닌 옛날의 큰 스승으로서 존숭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rowcolor=#373a3c,#212121> 대수 | 이름 | 작위 | 국가 | 연도 | 비고 |
본인 | 공구(孔丘) | <colbgcolor=#fffffb,#323300>니부(尼父) | 노 | 주경왕 41(BC479) | |
포성선니공(褒成宣尼公) | 전한 | 평제 원시 01(1) | |||
포존후(褒尊侯) | 후한 | 화제 영원 04(92) | |||
문성니부(文聖尼父) | 북위 | 고조 태화 16(492) | '문성(文聖)'은 시호 | ||
추국공(鄒國公) | 북주 | 정제 대상 02(580) | |||
선사니부(先師尼父) | 수 | 문제 개황 01(581) | |||
선사(先師) | 당 | 고조 무덕 07(624) | |||
선성(先聖) | 태종 정관 02(628) | ||||
선부(宣父) | 태종 정관 11(637) | ||||
태사(太師) | 고종 건봉 01(666) | ||||
융도공(隆道公) | 무주 | 무후 천수 01(690) | |||
문선왕(文宣王) 문선황(文宣皇)[설명][8][9] | 당 | 현종 개원 27(739) | '문선(文宣)'은 시호 | ||
지성문선왕(至聖文宣王) | 북송 | 진종 대중상부 05(1012) | |||
문선제(文宣帝) | 서하 | 인종 인경 03(1146) | |||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 | 원 | 성종 대덕 11(1307) | |||
지성선사(至聖先師) | 명 | 세종 가정 09(1530) | |||
대성지성문선선사(大成至聖文宣先師) | 청 | 세조 순치 02(1645) | |||
지성선사(至聖先師) | 세조 순치 14(1657) | ||||
대성지성선사(大成至聖先師) | 중화 민국 | 민국 24(1935) |
1.3. 공자 후손의 작위
쿵더청[10], 쿵추이창[11], 쿵유런[12] | 2010년 석전대제에 참석한 장이화 행정원장, 쿵추이창 총통국책고문, 마잉주 총통 |
중간에 계승자가 남종과 북종으로 나뉘어 양쪽 모두가 연성공 작위를 가진 것을 볼 수 있는데, 남송이 중화로서의 정통성을 이민족에게 빼앗기지 않기 위해 연성공 공단우를 데려가 저장성 취저우에 새로운 공묘를 세우자 금나라도 곡부에 남아 있던 공단우의 동생 공단조를 연성공으로 봉해 맞섰던 것. 결국 남송과 금나라를 전부 때려잡은 쿠빌라이 칸이 남종의 종손인 공수에게 곡부로 돌아가도록 명하면서 종가의 분열이 일어나는 줄 알았으나, 공수가 '이미 구주에도 5대째 선영을 모신 상태라서 이제 와서 곡부에 돌아가기 어렵다'는 이유로 북종의 공치에게 작위를 양도하면서 불발. 이를 공수가 작위를 양보했다는 뜻의 '공수양작(孔洙讓爵)'이라고 부른다. 현실적으로도 그 난리통에 공단조와 그 후예들이 목숨을 걸고 곡부에 남아서 공자 사당과 묘지를 지킨 공로는 결코 무시할 수 없었던 것이다.
남종은 연성공 작위를 양보한 이후 일개 민간 가문이 되어서 공자에 대한 제사와 유교 교육에 힘썼다. 이 때문에 취저우에도 공묘가 남아 있으며, 남종 역시 공자의 직계라는 사실은 공인되어 있었기 때문에 명나라 정덕제 때부터 남종의 직계 후손에게 정8품에 해당하는 한림원 오경박사(翰林院五經博士)를 세습하도록 해 명청 대까지 나름대로 대우를 받았다. 중화민국이 들어선 이후에는 한림원 오경박사를 대성지성선사남종봉사관(大成至聖先師南宗奉祀官)으로 바꾸고 그 지위는 간임관(차관급)에 준하도록 했다. 75대손 공상해(孔祥楷)가 1947년 대성지성선사남종봉사관을 세습했지만 국부천대 때 타이완으로 따라가지 않아 1949년 세습이 중단되었다. 장제스가 남종 후손까지 챙겨가지는 못했기 때문에 지금도 남종의 후손은 대륙에 거주하고 있다. 대륙의 공묘도 현재 남종에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태는 훗날 국공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에 패배해 타이완으로 옮겨간 중화민국과 장제스가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쿵더청을 같이 데려가 또다시 재현될 뻔 했으나, 대륙을 지배한 공산당이 새로 대성지성선사봉사관을 임명하지 않아 분단은 일어나지 않았다. 설령 임명하고 싶어도 쿵더청이 외아들이라 본토에는 누나 공덕무밖에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공자 가문의 직계 남성을 세울 수도 없었다.
이 때문에 쿵더청은 생전에 단 한 번도 곡부를 방문하지 않아 누나 공덕무와도 도쿄에서나 겨우 만났고, 대륙에서 공부의 대표들이 공부가주를 전하면서 '꼭 한번 와주셨으면 합니다'라고 청할 때에도 우리 가문에는 이런 술이 없다고 내쳐버렸다. 공부의 적통이 정말로 공부가주를 몰라봐서 그런 게 아니라, '조상님들의 사당과 묘들이 그런 만행을 당했는데 내가 어찌 이 술을 인정하고 곡부에 다녀올 수 있겠냐'는 항의에 가깝다. 쿵더청의 묘마저도 곡부가 아닌 타이완에 남아 있다. 공자 제사인 석전대제 역시 타이베이 공묘에서 계속 행하고 있다.
1998년 대성지성선사봉사관부가 폐지되고 2008년에는 공자 가문의 동의를 얻어 대성지성선사봉사관이 무보수직으로 바뀌었다. 최근에는 여성도 대성지성선사봉사관이 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다만 여계 승계는 불가능하다.
만약 어떠한 방식이든 양안통일이 이루어진다면 향후 이 지위의 귀추가 주목된다. 과거 공수양작처럼 이번엔 오히려 대륙에 남은 남종이 정통이 될 수도 있지만 그 때와 달리 공묘가 문화대혁명때 파괴된 적도 있어 여전히 북종을 정통으로 취급할 수도 있다.
2. 공자 가문 계보도
연성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1F3F5,#475561> 문신군 文信君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8세손 | |||
}}}}}} | ||||||
노국문통군 魯國文通君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9세손 | ||||
}}}}}} | ||||||
봉사군 奉祀君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9세손 | ||||
}}}}}} | ||||||
포성군 褒成君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13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14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15세손 | |||||
}}}}}} | ||||||
포성후 褒成侯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16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17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18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19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20세손 | |||||
}}}}}} | ||||||
종성후 宗聖侯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21세손 | ||||
}}}}}} | ||||||
봉성정후 奉聖亭侯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22세손 | ||||
}}}}}} | ||||||
공씨 가보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23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24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25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26세손 | |||||
}}}}}} | <colbgcolor=#F1F3F5,#475561> 정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2세손 | |||||
}}}}}} | ||||||
숭성대부 崇聖大夫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27세손 | ||||
}}}}}} | ||||||
숭성후 崇聖侯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28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29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0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1세손 | |||||
}}}}}} | ||||||
공성후 恭聖侯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1세손 | ||||
}}}}}} | ||||||
추국공 鄒國公 | ||||||
소성후 紹聖侯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2세손 | ||||
}}}}}} | ||||||
포성후 褒聖侯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3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4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5세손 | |||||
}}}}}} | ||||||
문선공 文宣公 | <colbgcolor=#F1F3F5,#475561>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5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6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7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8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39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0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1세손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1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3세손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4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5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6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6세손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6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7세손 | |||||
}}}}}} | 봉성공 奉聖公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6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7세손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8세손 | |||||
}}}}}} | ||||||
공씨북종 孔氏北宗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8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9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0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0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1세손 | |||||
}}}}}} | 공씨남종 孔氏南宗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8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49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0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1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2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3세손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1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2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1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3세손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3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4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4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5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6세손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6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7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8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59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0세손 | |||||
공승경†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1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1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2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3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4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5세손 | |||||
공윤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5세손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5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6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7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8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69세손 | |||||
공계호†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70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71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72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73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74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75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76세손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76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77세손 | |||||
}}}}}} |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大成至聖先師奉祀官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77세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70px; padding: 4px" | 79세손 | |||||
}}}}}} | ||||||
†: 추증 | }}}}}}}}} |
<rowcolor=#373a3c,#212121> 대수 | 이름 | 출생 | 사망 | 작위 | 국가 | 연도 | 관계 | 비고 |
<colbgcolor=#ffffc2,#3c3d00>아들 | <colbgcolor=#ffffe6,#323300>공리(孔鯉) | BC532 | BC483 | <colbgcolor=#fffffb,#323300>사수후(泗水侯) | 북송 | 휘종 숭녕 01(1102) | <colbgcolor=#ffffff,#191919>공자의 아들 | 추봉 |
손자 | 공급(孔伋) | BC483 | BC402 | 기수후(沂水侯) | 공리의 아들 | 추봉 | ||
기국술성공(沂國述聖公) | 원 | 문종 지순 01(1330) | 추봉 | |||||
증손 | 공백(孔白) | 공급의 아들 | ||||||
현손 | 공구(孔求) | 공백의 아들 | ||||||
내손 | 공기(孔箕) | 공백의 아들 | ||||||
곤손 | 공천(孔穿) | 공기의 아들 | ||||||
잉손 | 공겸(孔謙) | 공천의 아들 | ||||||
운손 | 공부(孔鮒) | 노국문통군(魯國文通君) | 진 | 시황제 연간 | 공겸의 아들 | |||
공등(孔騰) | 봉사군(奉祀君) | 전한 | 태조 12(BC195) | 공부의 동생 | ||||
10세손 | 공충(孔忠) | 박사(博士) | 태종 연간 | 공등의 아들 | ||||
11세손 | 공무(孔武) | 박사 | 경제 연간 | 공충의 아들 | ||||
12세손 | 공연년(孔延年) | 박사 | 세종 연간 | 공무의 아들 | ||||
13세손 | 공패(孔霸) | 포성군(褒成君) | 원제 연간 | 공연년의 아들 | ||||
14세손 | 공길(孔吉) | 은소가후(殷紹嘉侯) | 성제 수화 01(BC8) | 공부의 아들인 공수의 현손 | ||||
공복(孔福) | 포성군 | 성제 연간 | 공패의 1남 | |||||
15세손 | 공방(孔房) | 포성군 | 애제 건평 02(BC5) | 공복의 아들 | ||||
16세손 | 공균(孔均) | 포성후(褒成侯) | 평제 원시 01(1) | 공방의 아들 | ||||
17세손 | 공지(孔志) | 포성후 | 후한 | 세조 건무 14(38) | 공균의 아들 | |||
18세손 | 공손(孔損) | 포성후 | 화제 영원 04(92) | 공지의 아들 | ||||
19세손 | 공요(孔曜) | 봉성정후(奉聖亭侯) | 안제 연광 03(124) | 공손의 아들 | ||||
20세손 | 공완(孔完) | 포성후 | 영제 건녕 02(169) | 공요의 아들 | ||||
21세손 | 공선(孔羨) | 종성후(宗聖侯) | 조위 | 문제 황초 02(221) | 공완의 동생인 공찬의 아들 | |||
22세손 | 공진(孔震) | 봉성정후 | 서진 | 무제 태시 03(267) | 공선의 아들 | |||
23세손 | 공억(孔嶷) | 봉성정후 | 동진 | 명제 태녕 03(325) | 공진의 아들 | |||
24세손 | 공무(孔撫) | 봉성정후 | 공억의 아들 | |||||
25세손 | 공의(孔懿) | 봉성정후 | 공무의 아들 | |||||
26세손 | 공선(孔鮮) | 봉성정후 | 유송 | 문제 원가 19(442) | 공의의 아들 | |||
숭성후(崇聖侯) | ||||||||
27세손 | 공승(孔乘) | 숭성대부(崇聖大夫) | 북위 | 고조 연흥 03(473) | 공선의 아들 | |||
28세손 | 공영진(孔靈珍) | 숭성후 | 고조 태화 19(495) | 공승의 아들 | ||||
29세손 | 공문태(孔文泰) | 숭성후 | 공영진의 아들 | |||||
30세손 | 공거(孔渠) | 숭성후 | 공문태의 아들 | |||||
31세손 | 공장손(孔長孫) | 공성후(恭聖侯) | 북제 | 현조 천보 01(550) | 공거의 아들 | |||
추국공(鄒國公) | 북주 | 정제 대상 02(580) | ||||||
32세손 | 공영철(孔英悊) | 봉성후(奉聖侯) | 진 | 폐제 광대 01(567) | 공장손의 아들 | |||
공사철(孔嗣悊) | 소성후(紹聖侯) | 수 | 양제 대업 04(608) | 공영철의 동생 | ||||
33세손 | 공덕륜(孔德倫) | 포성후 | 당 | 고조 무덕 09(626) | 공사철의 아들 | |||
34세손 | 공숭기(孔崇基) | 포성후 | 무주 | 무후 증성 01(695) | 공덕륜의 아들 | |||
35세손 | 공수지(孔璲之) | 포성후 | 당 | 현종 개원 05(717) | 공숭기의 아들 | |||
1대 문선공(文宣公) | 현종 개원 17(739) | |||||||
36세손 | 공훤(孔萱) | 2대 문선공 | 공수지의 아들 | |||||
37세손 | 공제경(孔齊卿) | 3대 문선공 | 덕종 건중 03(782) | 공훤의 아들 | ||||
38세손 | 공유질(孔惟晊) | 4대 문선공 | 헌종 원화 13(818) | 공제경의 아들 | ||||
39세손 | 공책(孔策) | 5대 문선공 | 무종 회창 02(842) | 공유질의 아들 | ||||
40세손 | 공진(孔振) | 6대 문선공 | 의종 함통 04(853) | 공책의 아들 | ||||
41세손 | 공소검(孔昭儉) | 7대 문선공 | 공진의 아들 | |||||
42세손 | 공광사(孔光嗣) | 9세기 | 913 | 공소검의 아들 | ||||
43세손 | 공인옥(孔仁玉) | 912 | 956 | 8대 문선공 | 후당 | 명종 장흥 03(932) | 공광사의 아들 | 중흥조(中興祖)[13] |
44세손 | 공의(孔宜) | 941 | 986 | 9대 문선공 | 북송 | 태종 태평흥국 03(978) | 공인옥의 아들 | |
45세손 | 공연세(孔延世) | 969 | 1006 | 10대 문선공 | 태종 지도 03(997) | 공의의 아들 | ||
46세손 | 공성우(孔聖佑) | 998 | 1032 | 11대 문선공 | 진종 천희 05(1021) | 공연세의 아들 | ||
공종원(孔宗願) | 1003 | 1068 | 12대 문선공 | 인종 경우 02(1035) | 공의의 2남인 공연택의 아들 | |||
1대 연성공(衍聖公) | 인종 지화 02(1055) | |||||||
47세손 | 공약몽(孔若蒙) | 2대 연성공 | 신종 희녕 01(1068) | 공종원의 아들 | ||||
봉성공(奉聖公) | 철종 원우 01(1086) | |||||||
공약허(孔若虛) | 봉성공 | 철종 원부 01(1098) | 공약몽의 동생 | |||||
남종(南宗) | ||||||||
48세손 | 공단우(孔端友) | 1078 | 1132 | 3대 연성공 | 북송 | 휘종 숭녕 03(1104) | 공약몽의 아들 | [14] |
49세손 | 공개(孔玠) | 1122 | 1154 | 4대 연성공 | 남송 | 고종 소흥 02(1132) | 공단조의 4남 | |
50세손 | 공진(孔搢) | 1145 | 1193 | 5대 연성공 | 고종 소흥 24(1154) | 공개의 아들 | ||
51세손 | 공문원(孔文遠) | 1185 | 1226 | 6대 연성공 | 광종 소희 04(1193) | 공진의 아들 | ||
52세손 | 공만춘(孔萬春) | 1241 | 7대 연성공 | 이종 보경 02(1226) | 공문원의 아들 | |||
53세손 | 공수(孔洙) | 1229 | 1287 | 8대 연성공 | 이종 소정 04(1231) | 공만춘의 아들 | [15] | |
북종(北宗) | ||||||||
48세손 | 공단조(孔端操) | 1133 | 3대 연성공 | 유제 | 유예 부창 02(1132) | 공약몽의 아들, 공단우의 동생 | [16] | |
49세손 | 공번(孔璠) | 1106 | 1143 | 4대 연성공 | 금 | 희종 천권 03(1140) | 공단조의 2남 | |
50세손 | 공증(孔拯) | 1136 | 1161 | 5대 연성공 | 희종 황통 02(1142) | 공번의 아들 | ||
공총(孔摠) | 1138 | 1191 | 세종 대정 03(1163) | 공증의 동생 | ||||
51세손 | 공원조(孔元措) | 1182 | 1251 | 6대 연성공 | 장종 명창 02(1192) | 공총의 아들 | ||
공원용(孔元用) | 1227 | 남송 | 이종 보경 01(1225) | 공불의 아들, 공호의 손자, 공단립의 증손, 공약우[17]의 현손 | ||||
52세손 | 공지전(孔之全) | 7대 연성공 | 공원용의 아들 | |||||
53세손 | 공정(孔湞) | 8대 연성공 | 원 | 헌종 01(1251) | 공원조의 동생인 공원굉의 손자, 공지고의 아들 | |||
공치(孔治) | 1307 | 성종 원정 01(1295) | 공지전의 아들 | |||||
54세손 | 공사성(孔思誠) | 9대 연성공 | 공치의 아들 | |||||
공사회(孔思晦) | 1267 | 1333 | 인종 연우 03(1316) | 공완의 아들, 공지후의 손자, 공원효의 증손, 공불의 현손 | ||||
55세손 | 공극견(孔克堅) | 1316 | 1370 | 10대 연성공 | 혜종 지정 06(1346) | 공사회의 아들 | ||
56세손 | 공희학(孔希學) | 1335 | 1381 | 11대 연성공 | 혜종 지정 15(1355) | 공극견의 아들 | ||
57세손 | 공눌(孔訥) | 1356 | 1400 | 12대 연성공 | 명 | 태조 홍무 17(1384) | 공희학의 아들 | |
58세손 | 공공감(孔公鑑) | 1380 | 1402 | 13대 연성공 | 혜종 건문 02(1400) | 공눌의 아들 | ||
59세손 | 공언진(孔彥縉) | 1401 | 1455 | 14대 연성공 | 성조 영락 08(1410) | 공공감의 아들 | ||
60세손 | 공승경(孔承慶) | 1420 | 1450 | 15대 연성공 | - | 공언진의 아들 | 추봉 | |
61세손 | 공굉서(孔宏緒) | 1448 | 1504 | 16대 연성공 | 대종 경태 01(1450) | 공승경의 아들 | ||
공굉태(孔宏泰) | 1450 | 1503 | 헌종 성화 05(1469) | 공승경의 아들, 공굉서의 동생 | [18] | |||
62세손 | 공문소(孔聞韶) | 1482 | 1546 | 17대 연성공 | 효종 홍치 16(1503) | 공굉서의 아들 | ||
63세손 | 공정간(孔貞幹) | 1522 | 1559 | 18대 연성공 | 세종 가정 15(1546) | 공문소의 아들 | ||
64세손 | 공상현(孔尙賢) | 1542 | 1620 | 19대 연성공 | 세종 가정 35(1556) | 공정간의 아들 | ||
65세손 | 공윤식(孔胤植) | 1592 | 1647 | 20대 연성공 | 희종 천계 01(1621) | 공문소의 2남인 공정녕의 손자, 공상탄의 아들 | ||
66세손 | 공흥섭(孔興燮) | 1636 | 1667 | 21대 연성공 | 청 | 세조 순치 05(1648) | 공윤식의 아들 | |
67세손 | 공육기(孔毓圻) | 1657 | 1723 | 22대 연성공 | 성조 강희 06(1667) | 공흥섭의 아들 | ||
68세손 | 공전탁(孔傳鐸) | 1673 | 1732 | 23대 연성공 | 세종 옹정 01(1723) | 공육기의 아들 | ||
69세손 | 공계호(孔繼濩) | 1687 | 1719 | 24대 연성공 | 세종 옹정 13(1735) | 공전탁의 아들 | 추증 | |
70세손 | 공광계(孔廣棨) | 1713 | 1743 | 25대 연성공 | 세종 옹정 09(1731) | 공계호의 아들 | ||
71세손 | 공소환(孔昭煥) | 1735 | 1782 | 26대 연성공 | 고종 건륭 09(1744) | 공광계의 아들 | ||
72세손 | 공헌배(孔憲培) | 1756 | 1793 | 27대 연성공 | 고종 건륭 48(1783) | 공소환의 아들 | [19] | |
73세손 | 공경용(孔慶鎔) | 1787 | 1841 | 28대 연성공 | 고종 건륭 59(1794) | 공헌배의 동생인 공헌증의 아들 | ||
74세손 | 공번호(孔繁灝) | 1804 | 1860 | 29대 연성공 | 선종 도광 21(1841) | 공경용의 아들 | ||
75세손 | 공상가(孔祥珂) | 1848 | 1876 | 30대 연성공 | 목종 동치 02(1863) | 공번호의 아들 | ||
76세손 | 공령이(孔令貽) | 1872 | 1919 | 31대 연성공 | 덕종 광서 03(1877) | 공상가의 아들 | ||
77세손 | 공덕성(孔德成) | 1920 | 2008 | 32대 연성공 | 중화 민국 | 민국 09(1920) | 공령이의 아들 | [20] |
1대 대성지성선사봉사관 (大成至聖先師奉祀官) | 민국 24(1935) | |||||||
78세손 | 공유익(孔維益) | 1939 | 1989 | 미세습[21] | - | 공덕성의 아들 | [22] | |
공유녕(孔維寧) | 1947 | 2010 | 1대 술성봉사관 | 민국 98(2009) | 공유익의 동생 | |||
79세손 | 공수장(孔垂長) | 1975 | (현재) | 2대 대성지성선사봉사관 | 민국 98(2009) | 공유익의 아들 | [23] | |
80세손 | 공우인(孔祐仁) | 2006 | (현재) | (세습 예정) | (세습 예정) | 공수장의 아들 | [24] |
[1] Temple and Cemetery of Confucius and the Kong Family Mansion in Qufu[2] Temple et cimetière de Confucius et résidence de la famille Kong à Qufu[3]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4]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5]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6] 보통 추존은 군주가 자신의 직계 조상에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가문이 왕성이 아님에도 이렇게 후대에 격상된 경우는 굉장히 예외적인데, 비슷한 케이스로 관성대제로 추존된 관우나, 한국사에서는 후대에 흥무대왕으로 추존된 김유신이 있었다.[설명] 당나라의 현종은 공자를 왕으로 봉했으나 천자(天子)의 예로 제사지냈다.[8] <<明史/卷50>> 自唐尊孔子為文宣王,已用天子禮樂。[9] 공자(孔子)를 문선왕(文宣王)으로 높이어 천자(天子)의 예악(禮樂)으로 제사를 하였으되 (중략).[10] 77대손, 의자에 앉은 사람. 마지막 연성공이자 초대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쿵추이창의 조부.[11] 79대손, 아기를 안고 서 있는 사람. 현직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아버지인 쿵웨이이(78대손)는 일찍 죽어 봉사관을 맡지 못 했다.[12] 80대손, 쿵추이창의 품에 안긴 아기. 차기 대성지성선사봉사관.[13] 공부에서 일하던 하인이 주인의 성을 따라 성을 공으로 고쳤는데 난세를 틈타 공광사를 살해하고 문선공을 참칭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뒷날 성장한 공광사의 외아들인 공인옥이 황제에게 이 사건을 고하면서 역관광이 이루어진다. 공자 가문의 최대 위기 중 하나.[14] 고종을 따라 남천. 남종(南宗)의 시조[15] 세조 지원 19년(1282), 북종에게 연성공 양보.[16] 북종(北宗)의 시조[17] 공종원의 아들 중 하나.[18] 공굉서 사후 연성공 작위가 공굉서의 아들 공문소에게 환원[19] 건륭제의 공주와 혼인[20] 공림에 묻히지 않은 두 번째 연성공. 1920년 2월 23일 유복자로 태어나 생후 100일만에 연성공 작위를 승계했다. 중화민국이 타이완으로 쫓겨날 때 같이 건너가 대만 고시원 원장, 총통부자정 등 고위직을 역임했다. 국공내전과 문화대혁명의 와중에서 대륙에 대한 감정의 골이 깊어져서 생전은 물론이고 사후에도 곡부에 돌아가지 않았다. 국공내전이야 그렇다쳐도 위에 나온 것처럼 문화대혁명은 빼도박도 못하는 병크. 2008년 10월 28일, 88세를 일기로 타계.[21] 세습하기 전에 조서(早逝)했다.[22] 1939년 출생. 1989년 2월 26일 50세를 일기로 타계.[23] 1975년 7월 1일 출생. 공유익의 장남이자 쿵더청의 장손. 현 대만 총통국책고문. 30대라는 너무 젊은 나이에 중책을 맡아서 처음에는 탈모(…)가 생길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지금은 나아졌다고 한다. 2012년 3월 7일 맹자의 76세손 맹영계와 함께 방한해 안동 도산서원을 찾았는데, 퇴계 이황을 기리는 향사례에서 초헌관 역할을 사양해 도산서원 관계자들을 당황시켰다. 곡부의 공부에 아직 가보지도 못한 상태에서 공자의 후학인 이황에게 먼저 술을 따르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는 뜻이었다고.[24] 2006년 1월 1일 출생. 공수장의 장남. 증조부 쿵더청이 이름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