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공자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생애 및 사상 | 생애 및 사상 | |
평가 | 평가 | ||
관련작위 | 문선제 · 연성공 · 기타 작위 | ||
가족 | 공자 가문 군주 | ||
저서 | 논어 · 춘추 | ||
현대 | 대중매체 | ||
기타 | 기타 · 공자식인설 · 공자평화상 · 공부가주 · 안연이 공자에게 인을 물었다 · 공자학원 |
1. 논어 제12편인 안연편의 도입 부분
<원문> 顏淵問「仁」。 子曰:「克己復禮為仁。一日克己復禮,天下歸仁焉,為仁由己,而由人乎哉?」 顏淵曰:「請問其目。」 子曰:「非禮勿視,非禮勿聽,非禮勿言,非禮勿動。」 顏淵曰:「回雖不敏,請事斯語矣!」 <해석> 안연이 공자에게 인을 물었다. 공자가 답하였다. "사사로운 욕심을 버리고 예로 돌아가는 것이 인이다. 하루만이라도 사욕을 버리고 예로 돌아간다면 천하가 모두 인으로 돌아가게 된다. 인의 실천은 자기에게 달려 있는 것이지, 남에게 달려 있는 것이겠느냐?" 안연이 물었다. "상세하게 알려 주십시오." 공자가 답하였다. "예가 아니면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말하지도 말고, 움직이지도 말아라.[1]" 안연이 말했다. "제가 비록 불민하오나 말씀대로 따르겠습니다." |
충북 화양서원에 명나라 마지막 황제 숭정제의 친필로 된, 여기에 나온 공자의 네 지침이 새겨진 비석이 있다. 다만 세 번째 한자가 勿이 아닌 不로 되어 있다.
2. 1번 항목의 패러디 야설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AnAcidAndWidePocket|토론]]을 통해 해당 야설의 본문을 등재하지 않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bgcolor=#fff,#1c1d1f><(>'''[[https://namu.wiki/thread/AnAcidAndWidePocket|토론]] - 해당 야설의 본문을 등재하지 않기'''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2005년경 디시인사이드 판타지 갤러리에 처음 업로드 된 이후 작지 않은 파장을 일으키며 디시인사이드 역사 갤러리, 삼국지 갤러리 등을 휩쓴 게이·강간물 알페스 야설.[2] 고인드립이 포함되어 있다. 제대로 된 토론인 양 전개되다 뒤통수를 치는 반전이 특징.
요약하면 안회가 원본처럼 공자에게 질문을 하다가 위와 같은 인을 내건 답이 돌아오자 거기에 반론을 걸고, 공자가 이를 꾸짖자 자기가 인을 가르쳐주겠다며 뜬금없이 뿍짝뿍짝[3] 틴틴틴 소리를 내며 공자를 강간하며 결국 당신도 다른 사람과 다를 바 없는 음탕한 인간이었던 거라고 까고, 절정에 달한 직후 급사한다. 이후 계강자가 공자에게 제자 중 누가 학문을 제일 좋아했는지 묻자 공자가 "
이후로 비슷하게 흥한 야설로는 「전두환과 주임원사[4]」, 「히틀러... 그리고 나... 나의 독일 유학, 나의 투쟁[5]」, 「이홍장과 비스마르크[6]」 등이 있었다.
2020년대 들어 알페스가 논란이 되자 이 야설도 뒤늦게 엄밀히 보면 알페스라는 것을 알게 된 사람들이 있다.
2022년 기준으로는 "뿍짝뿍짝 틴틴틴"이라는 괴랄한 효과음을 제외하면 잊히다시피 한 글이지만, 평범하게 가다가 기습적으로 장르를 바꿔버리는 일명 '드리프트'가 해병문학에서 자주 사용된다. 일반인의 회상록처럼 써내려가다가 급작스럽게 해병문학이 되거나 아예 문체까지 강
흔한 역사만화에서 패러디되었다.
한국의 보컬로이드 유니를 이용한 팬음악(19금)이 있다.
만화로 배우는 곤충의 진화 15화에서 패러디되었다.
[1] 링크에서 빠져있기는 해도 해당 원숭이도 있다.[2] 검색 결과 가장 오래된 글이 2005년 11월 1일에 디시인사이드 종교 갤러리에 업로드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디시 판타지 갤러리에 업로드되었던 원글은 확인 불가. 해당 글에서는 효과음이 "뿍짝뿍짝 틴틴틴"이 아닌 "질척질척 팡팡팡"으로 나오는데, 2006년경 "뿍짝뿍짝 틴틴틴"으로 바뀌었고 그 버전이 더 유명해졌다.[3] 이 뿍짝뿍짝 틴틴틴이 명대사로 취급되다 보니 해당 단어만 봐도 경기를 일으키는 유저도 나타났다. 특히 뿍짝뿍짝은 한때 있었던 동물농장 게임에서 나쁜 구름과 마법배틀을 해서 이기면 사람이 되는 비밀스러운 마법 주문을 키보드로 쳐야 하는데 해당 주문 중 "샤르르 뿡뿡!! 뿍짝뿍짝 사람이 돼라~~ 얍!!"이라 중간에 '뿍짝뿍짝'이 들어가서 해당 게임을 하는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었다.[4] 2006~2007년경부터 디시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 돌던 야설. 이 이전에 스갤에서는 정수영 감독님예 지 다시 한빛으로 갈랍니더 등이 돌고 있었다. 전두환이 근무했던 사단의 행정병이 간부들에게 들었던 전두환의 일화를 늘어놓다가 마지막으로 한 에피소드를 소개하는데, 이 에피소드라는 게 12.12 사태 관련 판결을 읽으며 혀를 차던 주임원사와 했던(...) 에피소드. 제목과는 달리 전두환은 후반 급전개를 위한 장치에 지나지 않는다.[5] 독일 유학 가서 홈스테이하던 주인집 영감님(친위대 출신)과... 이하생략[6] 두 사람의 만남과 대화 부분은 자연스럽게 실제 역사 이야기처럼 서술하다가 후반에 야설로 급반전하는 구조가 똑같다. 효과음으로는 안연이 공자에게 인을 물었다가 개시 초창기때 썼던 "질척질척 팡팡팡"을 쓴다. 이 야설의 경우 실제 동아일보의 2003년 기사인 이홍장과 비스마르크의 만남 - 쓰러지는 청의 운명 어찌하오리까?가 원본 소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