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17:03:27

고구려/사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구려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10100f><colcolor=#c5b356,#a99639> 역사 개관 고구려/역사 · /정치 · /왕조 · /연호 · /연표 · /역사귀속 및 계승인식
건국설화 · 졸본 · 고구려 오부 · 국내 천도 · 한사군 축출 · 중앙집권화 · 광개토대왕 시기 · 장수왕 시기 · 평양 천도 · 고구려-수 전쟁 · 고구려-당 전쟁 · 연씨 정권 · 고구려의 멸망 · 부흥운동
관련 틀 | 관직 · 대외관계 · 대외전쟁 · 고구려 오부 · 부흥운동
인물 고구려/인물
관련 틀 | 왕실 · 역대 국왕 · 추존왕 및 비정통 군주 · 대리청정 및 섭정 · 태자 및 왕자 · 역대 왕후 · 역대 고구려 좌우보 · 역대 국상 · 대막리지
사회문화 및 제도 고구려/사회 · /문화 · /경제 · /건축
고구려어 · 제가회의 · 진대법 · 동맹 · 형사취수제 · 서옥제 · 온돌 · 황조가
군사 고구려/성과 요새 (흘승골성 · 졸본성 · 국내성 · 평양성 · 장안성 · 신성 · 책성 · 남소성 · 안시성 · 박작성)
고구려군 · 개마무사 · 맥궁
관련 틀 | 무기 · 요동방어선
유적과 유물 오녀산성 · 국내성 · 환도산성 · 평양성 · 대성산성 · 안학궁성 | 고구려의 적석총(태왕릉 · 장군총) · 고구려의 봉토벽화묘(안악 3호분 · 무용총 · 각저총 · 전 동명왕릉 · 강서삼묘) · 고구려 왕릉 · 통구 고분군 ·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 고구려 고분군
고구려의 금관·금동관 · 고구려의 토기
관련 틀 | 도성 및 궁궐 ·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 고구려 고분군 · 남진과 관련된 성곽 유적
창작물 고구려/창작물
기타 패서 · 다물 · 맥적 · 삼족오
관련 틀 | 고구려/디자인 }}}}}}}}}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a91fd78bf775563cb31d61cc38d58aa4.jpg
1. 개요2. 민족3. 신분 제도4. 형법5. 언어6. 교육7. 경제8. 인구
8.1. 소수설8.2. 통설8.3. 대규모설


[clearfix]

1. 개요

고구려 사회 전반에 대해 서술한 문서.

2. 민족

"내가 몸소 다니며 약취(略取)해 온 한인(韓人)예인(穢人)들만을 데려다가 무덤을 수호·소제하게 하라"
광개토대왕릉비』 비문 중에서
"동쪽 오랑캐 신라 매금이 늦게 돌아와(東夷寐錦遝還來)"
충주 고구려비』 비문 중에서
주요 민족은 고구려인 뿐만 아니라 부여인도 해당하는 예맥인이었다. 예는 부여계, 맥은 고구려계라는 게 일단은 통론.

흥미로운 점은 『광개토대왕릉비』에서 을 굳이 따로 구분하여 언급하는 걸로 보아 아예 같은 계통인 예인 조차도 한반도 남부의 한(韓)인과 함께 이민족 처럼 여겼던 듯하다. 또는 지금의 남북한처럼 민족은 같더라도 국가는 다른 외국인 처럼 여겼거나.[1] 더 나아가 충주 고구려비에선 신라를 아예 동쪽 오랑캐라고 표현하기까지 했다.[2]

그러나 이와 동시에 '맥인'인 광개토대왕이 당시의 수많은 민족들 중에서 굳이 '한인'과 '예인'만을 따로 골라 언급한 점을 보았을 때, 그리고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무덤 관리는 대부분 가까운 사람에게 맡긴다는 점을 생각했을 때[3] "예, 맥, 한을 고구려 천하관으로 포함시키고 장차 포용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한 사례가 아니냐"고 해석하기도 한다. 진시황이 당시의 중원 천하관과 관련있는 나라들만 통일 대상으로 삼고 이와 관련 없는 이민족 나라인 고조선은 제외한 것 처럼 말이다. 일종의 삼한일통 프로토타입을 광개토대왕이 보여준 셈. 시대가 흐르면서 고구려인 스스로도 자기 묘비명에다 삼한인, 조선인이라고 자칭하는 기록을 남길 정도였던 것을 보면 점점 예맥한이 하나의 정체성으로 동화되어가고 있었던 듯 하다. 다만 광개토대왕은 처벌[4]로써 묘지기가 되게 하였으며 고구려인들이 묘지기처럼 천한 일[5]을 하는 당시 사회를 염려하여 한인과 예인에게 묘지기를 맡긴 것이다.

현대에 연구를 더 진행하여 알아낸 결과 이들의 실제 민족 기원을 따지면 고구려와 백제는 부여+고조선계 예맥, 신라는 고조선계 예맥에 해당한다. 결국 셋 다 예맥계인건 맞는 셈. 고조선이 강력한 충격을 받거나(ex: 고조선-연 전쟁) 멸망했을 때 유민들 다수가 부여로 유입되었으며, 나머지 다수 또한 한반도 남부로 남하하여 마한, 변한, 진한의 삼한을 형성하였다. 자세한 사항은 예맥, 삼한,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 항목을 같이 참고해 보길 추천한다.

고구려는 정복한 지역의 지역민들이나 이민족을 집단예민(集團隷民)이라고 불렀고, 이들의 위치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평민과 천민의 사이에 끼어있거나 천민 입장인 경우가 많았다. 《만주원류고》에서도 고구려에 대해서 조사하니 마음에 들지 않은 것들이 많았는지 만주족은 전과는 다르게 고조선과 고구려를 자신들의 조상 후보에서 제외해버렸다.[6] 그러니까 만선사관같은 유사역사학 들먹이지 마라

동시에 고구려는 이민족을 복속할 때의 말갈, 거란 등에 대한 고구려의 복속지배 형태가 사료로 남아있다. 이러한 지배형태는 피정복지의 반발을 줄이고, 복속지로부터 고구려에게 필요한 것은 취하되 복속지에 대한 지배력을 투사하는 과정에서 고구려의 국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막고 점진적으로 고구려로 흡수시키려는 의도였을 것이다. 예를 들면 6세기 중반경엔 이미 상당히 동화된 속말말갈의 경우 고구려가 망하자 고구려의 계승을 내세운 고구려 유민들과 함께 발해를 건국하는 데 기여했다.

여러 종족이 교차하는 만주지역의 특성상 거란, 선비, 말갈, 돌궐다양한 북방 민족들을 휘하로 복속시켰다. 특히 선비족 같은 경우 초기 유리명왕 대에 그 일부를 복속한 기록이 보이고 먼 훗날 5세기에도 선비계가 주류인 북연의 인구를 흡수했다. 또한 몽골유연족 역시 멸망 후 일부가 고구려로 망명했다. 거란의 경우 고구려에 복속하고 있었으나 6세기 말부터 7세기에 점차 중국이나 돌궐에게 붙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사실 거란은 완전한 동화를 하지는 못했으며 장기간의 복속으로 동화상태에 갔던 말갈족 등과는 다르나 거란족 일부는 고구려가 멸망할 때까지 함께 했다.[7] 말갈족의 경우 대부분 고구려에 복속하여 동화되어졌다 여겨진다. 다만 야인말갈이라고도 볼 수 있는 흑수말갈족의 경우 어느 정도 복속시켜 고구려 멸망 때까지 함께 하긴 했으나 고구려 때는 물론이고 말갈족을 더 광범위하게 지배한 발해 때도 이들은 동화되지 읺았고 결국 독자적인 여진족으로 거듭나 타 유목민족과 중원을 위협할 정도로 성장한다. 돌궐족 역시 유연과 마찬가지로 영양왕 때 일부 부족이 복속되었다.[8]

중국한족 인구도 상당수 있었다. 우선 한사군을 축출하고 그 영토를 편입하면서 한사군 일대에 대대로 살고 있던 중국계 및 한화된 고조선계 주민들이 대거 고구려에 유입됐다. 고구려도 이 사람들의 중국식 문화를 억지로 지우려고 하지 않았고 따라서 고구려 영토 안에서 중국식과 고구려식이 혼합된 무덤이 조성돼 지금도 많이 남아있다. 그 예시가 유주자사 진이나 동수다. 그리고 낙랑군 외에도 고구려 시기 상당기간 동안 중원이 혼란했던지라 중원에서도 상당한 인구의 한(漢)족을 비롯한 여러 민족이 고구려로 이주하거나 복속되었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 삼국지가 열렸을 때 고구려로 도망온 한인들이 있다.

전체적으로 고구려라는 나라는 이처럼 대륙에서 피난 온 여러 종족들을 흡수하며 국력을 키워 온 나라라고 할 수 있다.

3. 신분 제도

고구려의 사회 계급은 귀족·평민·노예로 구성되어 있었다(신분제 사회). 귀족층은 상호(上戶), 평민층은 하호(下戶)로 불렸다고도 한다. 상호는 일을 하지 않아서 앉아서 먹는 자라는 뜻인 '좌식자'로 불렸다. 좌식자들은 평소에도 칼을 차고 다녔다고 한다.

고구려의 정치를 주도적으로 관리하며 사회적으로도 높은 지위를 누린 계층은 태왕가 출신인 계루부 고씨, 절노부를 비롯한 5부 출신의 귀족들이였다. 고구려의 정치체제는 왕정(전제군주정)이었다. 주요 가문으로는 고구려 초중기 명림답부[9] 이후의 명림씨 가문, 을파소로 유명한 을씨 가문, 창조리[10] 가문, 그리고 마지막으로 고구려 말기에 등장하는 연씨 가문이다[11] 관직은 할아버지 연태조가 고구려 군사지휘권자인 막리지, 오늘날로 합동참모의장격의 관직이있고, 아버지 연태조는 오늘날 국방부 장관급[12] 관직인 대대로의 관직에 올랐다. 이후 연개소문은 자신의 아들들을 막리지의 자리에 올리고 스스로는 대막리지[13]에 올랐다. 이들은 그 지위를 세습하면서 높은 관직을 맡아 국정 운영에 참여했으며, 전쟁이 나면 스스로 무장하여 앞장서서 적과 싸웠다. 뭐 이건 딱히 고구려만 그랬던 건 아니고, 타국 지배층들도 전쟁에 지면 자신들의 재산과 지위가 모조리 사라질 확률이 높으니 여간해서는 무장하고 싸웠던 경우로 보면 된다. 이들은 각기 방대한 양의 토지를 소유했으며, 조의, 선인 등 관리를 거느리고 있었으나 귀족 휘하의 관리들은 왕이 거느리고 있는 관리들보다 급이 떨어져서 관직명이나 지위가 같아도 함께 서있거나 할 때에는 같은 줄에 있지 못했다고 한다.

당시 고구려는 국민[14]들을 조선시대의 호칭인 백성이 아닌 '백정'이라 불렀는데[15], 일반 국민들은 농경, 상업, 목축에 종사했고, 병역납세의 의무를 지며, 공사에도 동원되었다. 또 집단예민(集團隷民)이 존재했는데 평민과 천민 사이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바로 고구려의 영토나 영향력(간접지배 포함) 하에서 정복된 집단으로 점차적으로 고구려화를 진행하면서 평민으로 편입되는 과정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 집단예민(集團隷民) 때는 고구려가 요구하는 병력 차출에 동원되었을 뿐만 아니라 공납을 바쳤다.[16]

고구려의 천민 계층으로 노비(奴婢)가 있었다. 노비는 포로, 죄인, 채무자, 귀화인 또는 몰락한 평민 등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고구려에서는 신분 계급에 따라서 집과 의관(衣冠)에 차이가 있었던 편이다. 따라서 고구려 역시 골품제와 유사한 신분제도일 가능성도 있으나 고구려에서는 평민이 신분 상승 기회를 잡는 경우가 많았고[17] 그것이 정치 세력화되기도 하는 경우도 있었던 점을 볼 때 신분제의 유동성이 고대 삼국시대의 신라나 백제에 비하여 훨씬 동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구려의 신분에 따른 의관(衣冠) 문화는 바로 그들이 착용하던 모자가 대표적인 기록으로 남아있다.

백라관(白羅冠)-청라관(靑羅冠)-자라관(紫羅冠)- 조미관(鳥尾冠)-비라관(緋羅冠)-조우관(鳥羽冠) 등이 대표적이다.

흰색 비단의 백라관은 왕만이 쓸 수 있었고, 최고위 귀족들만이 쓴 청색 비단의 청라관(靑羅冠) 그 다음이 붉은 색 비단의 비라관(緋羅冠) 그리고 마지막이 자주색 비단의 자라관(紫羅冠)은 관등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신분의 입장을 보여준 대표적인 고구려의 관모이다. 물론 이것은 관등의 차이로 볼 수 있지만 동시에 신분의 차이를 분명하게 나타난 것이기도 하다.

관모 말고도 지배층의 다른 모자로는 새의 깃털을 세 개 또는 네 개 정도를 꽂은 조우관(鳥羽冠)이 존재하며 평민들은 새의 꼬리를 꽂은 조미관(鳥尾冠)을 쓰는 등 대표적으로 이런 차이들이 있었다. 언급된 의관 말고도 다른 중국 남북조 시기에 유행했던 위모관(委貌冠)이나 통천관(通天冠) 등도 나타나는 등 계급에 맞는 각각의 의관이나 헤어스타일을 통하여 계급을 알아볼 수 있었다. 헤어스타일이 짧을수록 신분이 낮은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또한 의관의 경우 갓(모자)을 착용하기도 했음이 약수리 고분 벽화 및 감신총 벽화에서 드러난다. 갓은 제작과 관리에 꽤나 수고가 들어가는 모자였기에 아마 주로 지배층에서 착용하였을 듯하다.

4. 형법

반란을 음모한 자가 있으면 많은 사람을 불러 모아 횃불을 들고 서로 다투어 지지게 하여, 온 몸이 진무른 뒤에 참수하고, 가족들(家屬)은 적몰(籍沒)한다.
성(城)을 지키다가 적에게 항복한 자, 전쟁에서 패배한 자, 사람을 죽이거나 겁탈한 자는 목을 벤다.
물건을 도둑질한 자는 (그 물건의) 12배를 물어 주게 한다. 소(牛)와 말(馬)을 죽인 자는 노비로 삼는다.
대체로 법을 준엄하게 적용하므로 범하는 자가 적으며, 심지어는 길가에 떨어진 물건도 줍지 않는다.
《구당서》(舊唐書) <동이 열전>(東夷列傳) - 고구려 -(高句麗)[18]
고구려는 원래 부여에서 기원을 둔 만큼 부여의 형법을 적용했다고 한다.

척박한 환경인 데다가 북방 국가와 자주 전투를 해야하다 보니 통치 질서와 사회 기강을 유지하기 위해 시행한 형법은 매우 엄격했다고 한다. 반역을 도모하거나 반란을 일으킨 자는 화형에 처한 뒤 다시 목을 베고 가족들은 노비로 삼았다고 하며, 살인을 저지른 경우에도 살인자를 죽이고 가족들을 노비로 삼았다고 전한다.

또한 굉장히 호전적이고 상무적인 면이 있어서 적에게 항복한 사람이나 전쟁에서 패한 사람 역시 사형에 처했다고 한다.[19]

절도죄를 저지른 도둑은 훔친 물건의 12배를 물게 하였다. 이는 일명 '1책 12법'으로 고조선시대에 만들어졌다는 팔조법이나 부여의 법에서도 비슷한 법이 있는 것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런데 고구려의 제도가 1책 12법인지는 명확하진 않다. 여러 기록들 중에서 《구당서》에서만 1책 12법을 언급할 뿐 다른 기록들에서는 오히려 10배의 배상을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북사》, 《수서》, 《신당서》) 그 외에 《주서》에서 10여 배로 갚는다는 내용이 있다. 종합하자면 고구려는 1책 10법이었다고 볼 수도 있지 않은가 한다.

또한 남의 가축을 죽인 사람을 노비로 삼거나, 남에게 진 빚을 갚지 못한 사람은 그 자식들을 노비로 만들어 변상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중대한 범죄자가 있을 경우는 제가들이 모여 논의하는 제가회의를 통해 처벌하였다. 이토록 고구려에서는 범죄자에 대해 엄격한 형법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고구려의 법률을 어기거나 사회 질서를 해치는 자가 드물었다고 전한다.

5. 언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구려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교육

사람들이 배우기를 좋아하여 가난한 마을이나 미천한 집안까지도 서로 힘써 배우므로, 길거리마다 큼지막한 집을 지어 '경당(扃堂)'이라 부른다. 결혼하지 않은 자제(子弟)들을 이곳에 보내어 글을 외고 활쏘기를 익히게 한다.
《신당서》(新唐書) <동이 열전>(東夷列傳) - 고구려 -(高句麗)[20]

장수왕 때 전국의 지방에 경당(扃堂)을 설치하여 평민층을 대상으로 경전, 기마, 궁술을 교육했고 현대의 국립대학쯤 되는 태학(太學)도 존재했다. 태학은 전진(前秦)의 사례를 참고하여 소수림왕 시기에 설립되어 기록상 한국 최초의 국립 교육기관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태학 외에도 국자학(國子學)이라는 학교도 존재했다. 이 곳의 교육자는 박사라 하여 태학박사, 국자박사라 불렀다. 태학과 국자학 모두 주 입학 대상이 귀족 자제였던 것을 보아 관료양성기관으로 여겨진다.

경당은 지방의 큰길에 세워져 있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일정 규모 이상의 지방에 설치된 사립 교육기관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기록에 따르면 미혼의 자제들이 교육받았다는 것을 통해 청소년 교육기관이라 여겨진다. 또한 가난하고 천한 사람이나 구석진 마을 출신도 교육받았다고 하고 그런 이들도 책을 읽기 좋아했다고 한다. 수도에 있는 태학 외에 귀족을 위한 교육기관이 없었던 것을 보아 신분에 관계없이 교육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7.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구려/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인구

사서에서 고구려의 인구에 대해 기재되어 있는 것을 추리면 아래와 같다.
《신·구당서》 및 《삼국사기》에는 멸망 당시 집계된 인구가 70만 호로 기재되고, 《구당서》의 가구수 기록은 《삼국사기》나 《조선왕조실록》에도 이를 인용한 것을 볼 수 있다.

가구당 인구 숫자를 계산할 때 표본을 (3,543명/763호)[21]로 잡으면 3~400만 명이고 (20여만 명/28,200호~20여만 명/38,200호)[22]를 기준으로 잡으면 600만 명 이상까지 가능하다. 중국 남조가 50~90만 호 사이이고, 위나라가 66만 호라는 것을 감안하면 많은 편이라 여겨질 수 있으나 사실 위진남북조의 호구수는 황건적의 난 이후 계속된 전란과 국경 후퇴로 5,000만 명이 넘는 인구를 자랑하던 후한 시절의 1/10 수준으로 감소한 것이다. 정부 호구에 집계되는 인구의 몇배가 유민과 도적으로 전락해 실제 인구와는 차이가 크다. 서기 140년 기준 후한의 일개 군(郡)인 남양군의 인구가 240만 명, 익주의 인구가 720만 명을 넘었으므로 고구려의 인구를 70만 호, 350만 명으로 계산해도 오히려 인구 밀도는 낮은 편에 해당한다. 실제 인구와 차이가 극심한 남북조의 호구수를 감안해 고구려의 인구를 내림잡으면 오류가 생길 수 밖에 없다.《한서》 <지리지>에 의하면 서기 2년 낙랑, 요동, 요서 3군의 인구만 더해도 100만 명이 넘는다.

한편 《삼국유사》에서는 고구려의 인구를 전성시에 21만 508호에 달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조선시대 야사인 《동사보유》에도 인용되어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구당서》의 70만 호 기록이 틀리고 《삼국유사》대로 고구려의 전체 인구일 가능성[23], 《삼국유사》나 《구당서》 둘 다 다른 특정 시기 고구려의 전체 인구일 가능성[24], 고구려 특정 지역의 인구일 가능성[25][26], 전체 70만 호 인구 가운데 순수 고구려인 인구일 가능성[27], 21만 호에서 미등록 호구 집계 및 호구 편제 변화로 70만 호가 되었을 가능성[28][29] 등이 제기되며 《한서》, 《후한서》 <지리지>와 《삼국지》 <동이전>에서 중국이 인식한 국가들의 인구 규모 등이 참고된다.

이에 따라 고구려 인구 추정치에는 중국 사학계 및 이옥, 윤종주 등이 제기한 100만 명 이하설, 《삼국유사》나 1~3세기 중국 기록을 참조하여 이를 비판 혹은 수정한 100만 명 설, 손영종, 채희국 등의 북한 사학자나 김용만 등의 일부 국내 학자들이 제기한 500만 명 이상 혹은 혹은 700만 명 이상설까지 최댓값과 최솟값의 간극이 큰 편이다.

다만 《구당서》 및 《삼국사기》에 기록된 70만 호에 가구당 인구수 4~6을 곱한 300~400만 명이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무난하게 보는 수치에 해당한다.[30] 서기 1세기 이 지역의 인구가 이미 100만 명을 훌쩍 넘었음을 감안하면 70만 호라는 기록을 그대로 받아들이는것이 가장 설득력이 있다.

역사인구학에서는 도시나 유적의 규모, 토지의 생산성, 경제활동 등을 단서로 접근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직은 매니아들 사이에서 정황증거 정도로나 활용될 뿐 아직 삼국시대에 대해 학술자료로서 엄밀한 검토를 통해 다뤄지지는 않고 있다. 훨씬 더 자료가 많은 조선조차도 추정할 단서는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에 학계에서도 한국 인구사 연구의 깊이 자체는 시론적인 수준 정도에서 머물고 있다.

8.1. 소수설

한 호가 보통 5인으로 구성된다고 할 때 위의 사료[31]에 따르면 고구려의 인구는 15만 명에서 300만 명 이상으로 증가한 것이 된다. 어떤 역사가는 백제에는 76만호, 즉 380만 명[32], 신라에는 수도인 경주에만 178,936호 즉 약 90만 명[33]이 살았다고들 한다. 이 숫자들은 명백히 과장된 것이며, 여기서 호는 명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한 문헌[34]에는 고구려에는 210,508호, 다시 말해서 약 100만 명 가량의 주민이, 그리고 백제에는 152,300호, 약 761,500명 정도가 살았다고 쓰여 있는데 바로 이 주민들의 수가 《구당서》에 나타난 호의 수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그렇게 믿는 또 하나의 이유는 11세기 중엽에 한반도에는 총 210만 명이 살고 있었으며, 17세기에도 500만 명이 약간 넘는 인구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삼국시대에 총 800만 명이 넘었던 인구수가 7세기에서 11세기에 약 500만 명이 되었다는 것은 수학적으로 불가능한 이야기다. 이 모든 점에 비추어 볼 때 고구려 말기에는 697,000호가 살았던 것이 아니라 697,000명이 살았음이 명백해진다.
<고구려 민족형성과 사회>, 이옥, 1984
한국의 고구려 인구 100만 명 이하설은 위와 같다. 대체적으로 중국 사학계에서 보고 있는 고구려 인구이기도 하며 한국에서는 이옥, 윤종주[35] 등이 내놓은 주장이다.

참고로 고구려 인구 70만 명 중에 30만 명이 중국에 끌려가고 10만 명씩 각각 신라와 발해로 들어갔으며 나머지는 전쟁이나 전염병 등으로 죽거나 이민족 지역으로 흘러들어 갔으니 한국사와 접점이 적다는 요지로 중국 사학계에서도 위와 비슷한 수치를 주장하고 있다.[36]

이옥이나 윤종주의 경우 후대의 고려와 조선 중기[37]의 추정 인구를 각각 200만 명, 500만 명으로 보기 때문에 고구려 인구 70만 호는 너무 많다 여겨 인구 증가율을 역산, 고구려의 인구를 70~100만 명 정도로 보고 있는 것이다. 이후 이옥은 한사군의 호적 조사, 《삼국지》 <동이전>에 기록된 수치 등을 합산한 수치가 대략 100만 명 가량이고 《삼국유사》의 '고구려 전성시 인구 21만 호'라는 기록을 감안하여 고구려 인구를 90~135만 명 가량에 휘하 말갈 인구가 더 붙을 수도 있다고 주장을 수정한다.[38]

해당 학설은 전반적으로 동양권의 숫자 집계 자체를 호왈이 많이 들어간 것으로 보는 수정주의적 시각에 입각하고 있기에, 고구려의 15만 대군이나 이를 공격하는 수나라나 당나라의 수십만 대군 또한 사실상 부정한다[39][40].

8.2. 통설

일반적으로는 70만 가구라는 기록을 별 다른 의심 없이 인정하고, 여기서 가구당 인구 숫자를 곱하는 것이 통설이다.[41]

한서》 등에 기록된 한사군의 인구 숫자, 3세기 한반도 북부와 만주 일대의 인구 등을 보면 이미 100만 명을 넘어가며 이마저도 완전한 전수조사로 보기 어렵다는 점, 삼국시대와 후대의 영토 크기가 확연히 다르기에 일률적으로 계산식을 집어넣을 수 없다는 점, 고려와 조선시대 인구 숫자 추정치도 확실하지 않다는 점, 고구려의 전쟁 동원능력 등을 고려하여 소수설을 비판하고 고구려의 인구를 추정하는 등의 고찰이 곁들여지기도 한다.[42]

조상현은 위와 같은 검토와 함께 고구려인의 25% 이상이 군인이고, 그 인원이 640년에서 670년까지 30년 동안 단 한 번의 교대도 없이 복무했으며, 당나라가 전사 및 포획시킨 인원이 고구려 군인 전체 숫자라고 가정을 해도 고구려의 인구는 160만 명을 넘어가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70만 호 이상의 인구는 조선시대에도 검토를 거친 수치인 만큼[43][44] 고구려 인구는 300만 명은 넘어야 한다는 주장을 한 바 있다.[45]

여기에 대해서도 세세한 구분이 있는데 70만 가구는 당나라가 집계한 인구가 아니라 고구려 - 수, 고구려 - 당 대전 이전의 멀쩡한 시절 내지는 전성기 고구려의 인구라는 견해,[46][47][48] 고구려인 70만 명 가량에 나머지는 이민족이라는 견해,[49] 멸망 당시 집계된 인구로 고구려 인구 전체가 아닌 일부의 집계라는 설 등이 있는데 일부는 다수설에서 후술한다.

어쨌든 대개 가구당 인구수 4~6을 곱하여 고구려 특정 시기 내지는 말기 인구를 300~400만 명 가량으로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8.3. 대규모설

고구려의 인구는 멸망시 67만 호라고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고구려를 점령한 당나라의 추산일 뿐 실제 고구려의 인구는 더 많았을 것이다...(중략)...다만 순수한 고구려인의 숫자는 500만 명을 넘기도 힘들었을 것이다.
김용만, 《고구려의 발견》 중
앞서 살핀 통설에서는 고구려의 병력 동원 능력을 고찰하여 인구 숫자 300만 명 이상 설을 소개했지만 350만 명의 인구 가운데 병력 자원을 100만 명 이상으로 상정하고[50] 군 병력의 교대 주기도 여전히 긴 등 계산은 소극적으로 소수론을 주장한 선학들의 눈치를 보고 매우 조심하는 티가 팍팍 난다(...).[51] 전통적으로 정주국가에서 병력 30만 명 정도를 동원하려면 병력 자원이 100만 명, 그리고 100만 가구 정도는 나와야 정상이다.[52]

일반적으로 군대의 실제 동원 비율이 인구의 5% 정도만 되어도 한계에 가깝다고 볼 수 있으며,[53] 백제사의 경우 병력 동원 능력을 5% 정도로 잡고, 전체 인구를 추정하기도 한다.[54] 또한 당시 당나라가 점령한 영토는 고구려의 서부 일부에 한정되며 여수, 여당 전쟁 정도면 인구수의 격감도 당연히 고려해야하는 상황이기에 오히려 70만 가구 집계는 고구려 인구의 하한선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야한다는 것이다.
고구려의 인구가 70만 호라는 것은 과호, 즉 국가의 조세, 군역 등의 부과단위로서의 호 수이고, 실지 자연호는 약 150만 호(인구 약 700~800만 명) 정도 되었겠다고 본다.
손영종, 《고구려사의 제문제》
대규모설 중에서도 인구수 100만 명설의 대척점에 해당하는 설이다.

실제로 조선시대에도 법정호 이외의 자연호는 상당한 비율을 차지했고, 또 정부에서도 이를 인식한 것이 사실이기에[55] 학자들이 간과하는 부분을 시사하는 면은 어느 정도 존재한다.

다만 여기에 대해서는 소개한 견해 둘 다 고구려 군사 동원 능력이 당나라군의 전공 포장을 위해 과장됐을 가능성, 과연 한반도 북부와 만주 일대의 고대국가가 이 정도의 인구를 가지는 것이 가능한가 하는 반론 등이 제기된다.[56]

특히 두 번째 견해의 경우, 수치가 다른 학설과 동떨어지고 북한의 연구라서 객관성을 의심받아 국내에서는 소개 이상의 인용은 드문 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7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7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한국 전쟁 당시 북한군이 한국군을 포로로 잡아다 이용했다고 민족이 달라지는건 아니듯이 말이다.[2] 삼국은 기본적으로 유사한 문화를 갖고 있었고 인적교류도 빈번하게 있었고 복식이나 언어의 유사성도 강했기 때문에 세 나라는 주변국들에게는 비슷한 집단들로 여겨졌다. 지금에서야 고고학과 역사학이 발달해 틀렸다는 게 증명되었지만 그 당시 세 나라는 각각 마한, 변한, 진한을 뿌리로 하여 발전했다고 여겨졌으며 당나라에서 죽은 고구려인의 묘비에서도 종족이 '삼한인', '조선인'이라고 적혀있다. 이 삼국의 삼한기원설은 조선시대에 실학자들에게 논파되기 전까진 쭉 정설로 여겨졌다. 물론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인 폴리스들이 올림픽도 같이 개최할 만큼 강한 동질성을 갖고 있었지만 결국 자기들끼리 싸우다 마케도니아에게 망했던 것처럼 동질성이 강하다고 해도 서로 죽일듯이 싸우는 데에 딱히 지장은 없다...[3] 만약 사이가 좋지 않은 사람에게 맡긴다면 무덤을 훼손하거나 최악의 경우 아예 불태워 시신까지 몽땅 없애버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경우는 그냥 무덤도 아니고 신성한 왕릉이다. 그래서 그런지 광개토대왕은 고구려인들이 묘지기를 하지 못 하게 하였으나 결국 고구려인 묘지기들도 일부만 대체된 채 계속 왕릉을 지켰다.[4] 又 制守墓人 自今以後 不得更相轉賣,雖有富足之者 亦不得檀買,其有違令賣者刑之買人,制令守墓之[5] 國岡上廣開土境好太王存時教言,祖王先王但教取遠近舊民 守墓洒掃,吾慮舊民轉當嬴劣。若吾萬年之後,安守墓者。但取吾躬率所略來韓穢,令備洒掃言教如此[6] 고구려군에서 말갈인들을 고기방패처럼 운용하기도 했고 당나라 역시 말갈인들만 골라내서 생매장시키기도 했다. 그리고 그랬음에도 고구려인들과의 협상에서는 아무 문제가 없었다. 즉 당시 유목민족들은 '문명세계'에서 일종의 야만인 취급을 받았던 셈. 말갈인들은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인들보다 탄압을 더 심하게 받았기에 적극적으로 발해를 세우는데 크게 기여하기도 했다.[7] 거란의 경우 친척인 해족과 더불어 굉장히 사납고 강성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그 돌궐을 처부순 당나라도 제대로 복속하지 못해 잠시 복속을 시켜도 늘상 반란이 일어나곤 했고, 결국 당나라가 몰락하자 아예 제국을 세우기에 이른다.[8] 물론 돌궐의 경우 주류는 북방초원에서 강성한 제국을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후기 기준 고구려와의 관계는 당나라에 함께 대항한 동맹관계에 가까웠다. 내분과 당나라에 의해 끝내 돌궐 제국이 붕괴되면서 고구려 또한 본격적으로 위기에 처하기 시작한다.[9] 67년 - 179년 음력 9월 112세로 굉장히 장수한 인물 중 하나, 고구려 최초의 국상이었으며 이는 고구려 초기 최고의 관직이었다[10] 294년 등용, 고구려 남부 출신으로 국상 상루가 사망하고 대사자 직위에서 국상에 등용되었다[11] 막리지 연자유 - 대대로 연태조 - 대막리지 연개소문 - 연남생, 남건, 남산대의 가문이다[12] 정치인 겸 군 최고지휘자[13] 고구려 말기 최고의 관직, 군사권의 경우 고구려 태왕보다 상위에 있으며, 행정 역시 총 책임자로서 태왕의 직속 하관이다.[14] 중국은 백성, 로마는 시민[15] 조선시대 천민 계급 중의 백정이 아니다. 고려까지도 쭉 이렇게 불린다.[16] 이런 삼국시대의 집단예민들이 고려시대의 향, 부곡, 소 주민들의 전신이 되었다.[17]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과거시험 합격을 통해서 신분 상승이 이루어졌다면, 고구려는 주로 전쟁을 통해서 신분 상승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이며 이를 반영한 것이 온달 설화다. 온달 설화에 나오는 온달의 출신 자체는 허구로 보이지만 어쨌거나 전쟁에서 공을 세우면 충분히 출세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기도 한다.[18] 출처[19] 이 점은 백제도 똑같다. 그러나 백제의 진무는 고구려군에게 패했어도 또 내보냈던 걸 보면 어느 정도 융통성은 있었던 걸로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전쟁에서 패했다고 다 죽이면 지휘권 맡는 걸 꺼리는 현상이 벌어져 군대를 지휘할 인물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이 점은 고구려도 크게 다르진 않았을 것이다.[20] 출처[21] 666년, 연정토가 신라에 투항할 때 인구[22] 668년, 당나라가 압송한 고구려 유민 숫자[23] 이옥, 소수설에서 후술.[24] 조상현, <고구려 인구에 관한 시론>, 1997[25]동사강목[26] 손영종, 《고구려사(2)》, 1997 / 채희국, <고구려 역사 연구- 평양 천도와 고구려의 강성>[27] 경철화, 손진기, 마대정, 양보륭 등의 중국 사학자[28] 간과되는 부분인데 실제로 <신라장적>, 《삼국유사》 <가락국기>, 당평백제비 등 호당 인구수 10명 이상의 케이스가 꽤나 많이 등장한다.[29] 《고구려 중ㆍ후기 지배체제 연구》(이동훈 著, 서경, 2019)[30] 조상현, <《삼국유사》의 삼국 ‘全盛時期 戶口’ 기사 검토>[31]구당서[32]구당서[33]삼국유사》의 기록.[34]삼국유사》를 말한다.[35] <우리나라 고대 인구에 관한 소고>, 1985[36] 자오푸시앙(趙福香), <고구려 멸족 후 민족 유향>, 2000년.[37] 조선 숙종 시대 조선 인구를 578만 명으로 잡았다.[38] 이옥, <고구려의 인구 - 하나의 제안>, 1997[39] 특히 21세기 들어 비판론적인 중국 사학계에서는 동북공정의 영향이 없다고 말하기는 어려우나 고구려를 정복하기 위해 당 태종이 일으킨 병력을 7만 명 내외로 본다. 이들은 수나라의 113만 대군 역시 장부상의 병력일 뿐이라고 보고 실제로 일으킨 병력은 20여만 내외였을 거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아케미네스 페르시아나 중세 영국의 군세 기록이 수십만, 수백만에 이르지만 실제 병력은 기껏해야 수천에서 십여만 정도였다는 점에 기반해 그 수효에 대한 수정주의적 시각을 제시하는 것이다.[40] 이와 같은 시각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일례로, 한국사에서는 40만 대군이라고 언급하는 거란의 2차 침공 당시 군세는 무비판적으로 국내에서 인용되는 감이 강하지만, 중국 사학계에서는 이 시점 거란이 파병한 병력은 4~6만 정도인 것으로 굳어지는 추세인데, 이것은 실제 송나라가 맞닥뜨린 역대 최대 규모 요나라의 병력(12만 명)의 기록에 부합하는 수치이다.[41] 《당서》에는 백제 76만 호도 기록되어 있는데 이 경우 고구려의 경우에 비해서는 갑론을박이 있는 편이다. 삼국시대 내내 고구려와 백제가 보여준 동원력의 격차가 크기 때문이다. 참고로 당나라가 양국을 멸망시킨 후 백제에는 5도독부 설치를 시도하다가 중랑장급 선에서 관할하는 1도독부를, 고구려에는 대장군급 이상이 관할하는 1도호부 9도독부를 설치했다.[42] 간단하게 말해 소수설대로라면, 중국의 큰 국가들이 100만 명의 소국가 하나 잡자고 수십 수백만 명에 달하는 군대를 보내서 70년 동안 싸운 건 어떻게 설명할 거냐는 말이다.[43] 《조선왕조실록》 세종 32년 1월 15일[44] 여기서 '조선 정도 크기면 장정만 210만 명 이상 나와야 정상'이라는 명태조 주원장의 발언도 함께 인용된다.[45] 조상현, <고구려 인구에 관한 시론>, 1997[46] 신형식, 《고구려사》, 2003[47] 전성기에 350만 명, 멸망 당시 200만 명, 순수 고구려인 130만 명이라는 주장이다.[48] 이동훈, 위의 책[49] 경철화, 손진기, 마대정 등의 중국 사학자들[50] 심광주, 2005, <남한지역 고구려 성곽연구>[51] 《송서》 <일본전>에 나온 12세기 일본 병력 자원의 인구는 88만 명, 조선의 경우에도 비슷한 수준으로 통설의 고구려 병력 자원 추정보다 적지만 전체 인구에서는 둘 다 더 후하게(600~700만 명 이상) 추정한다.[52] 《조선왕조실록》 세종 32년 1월 15일, 세조 11년 11월 15일[53] 현재 병력 자원을 쥐어짜내고 있는 대한민국의 인구 대비 군인 비율이 1.1~1.15%이다. 5%면 북한 수준.[54] 김기섭, <4세기경 百濟의 人口와 住民構成>, 《京畿 史論》, 경기대학교사학회, 1997, 17p[55] 법정호만이 의미가 있고, 자연호는 의미가 없다고 간주하기도 하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 조선 초기의 인구 집계는 100만 명 안쪽이었지만 이를 상회하는 수준의 국력이었음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고 병자호란 직후, 1639년의 인구 통계도 152만 명으로 영의정 이원익의 발언에 의하면 전체의 1/6 수준이었는데 1626년에는 필요에 따라서 226만 명의 장정을 따로 조사하여 관리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이들의 존재는 법정호에서 병역 자원들이 차출된 이후에도 국가의 생산력과 경제가 어느정도 돌아가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56] 현대처럼 화학비료가 없던 때라 무엇보다 이때는 아직 '인구 부양력의 왕'인 논농사가 안 된다. 하지만 아애 논농사가 불가능한건 아니었고 만주의 한민족들은 꾸준히 논농사를 했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