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8:28

경희궁 금천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무덕문
계상당 춘화각영취정
서암 덕유당 상휘당 광명전 어조당 용비루 장락전 봉상루
영렬천 자정전 집경당 회상전 융복전 융무당 집희당 경선당
위선당 태령전 자정문 영선당 사현합
태령문 향실숭정전 정시합 흥정당 청한정 지효합 상의원
내삼청 숭양문
숭정문 승휘전 흥원문
직조청 내각(규장각) 예문관 서방색 궁방 사옹원 사은원 양덕당
일영대 금루 호위청 선부관청 경현당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무겸청 연화문 광달문 화경문 경헌문 승화문
숭의문 서울특별시교육청 금상문 서울역사박물관 건명문 금천교 흥화문
남소 옥당(홍문관) 약방(내의원) 약원 도감군사대직청 빈청 전설사
오위도총부 정원(승정원) 덕응방 내구 마구
개양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복궁 영제교
景福宮 永濟橋
창덕궁 금천교
昌德宮 錦川橋
창경궁 옥천교
昌慶宮 玉川橋
덕수궁 금천교
德壽宮 禁川橋
경희궁 금천교
慶熙宮 禁川橋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271호 경희궁
<colbgcolor=#bf1400> 경희궁 금천교
慶熙宮 禁川橋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건축시기 1620년 (창건) / 2001년 (복원)
파일:경희궁 금천교.png
<colbgcolor=#bf1400> 금천교
1. 개요2. 역사3. 금천4. 구조5. 여담

[clearfix]

1. 개요

경희궁금천교이다.

금천교는 이름대로 금천을 건너기 위해 세운 돌 다리이다. 금천은 풍수지리적인 이유[1]외부와의 경계[2]를 나타내기 위해 궁궐정문중문 사이에 둔 인공 개천이다. 그래서 경희궁정문 흥화문 터인 구세군 회관 건물중문 건명문 터인 서울역사박물관 앞 마당 사이에 있다.

2. 역사

파일:서궐도 금천교.png
<colbgcolor=#bf1400> 〈서궐도안〉을 채색한 〈서궐도〉에서 묘사한 금천교. 홍예가 2개가 아닌 1개이다.
1618년(광해군 10년)에 지어졌으며 경희궁에 몇 번의 화재가 일어났을 때도 로 지었기에 큰 피해 없이 처음 모습을 그대로 간직했다. 1860년대 고종 시기 경복궁을 재건할 때 대부분의 경희궁 건물들의 90%를 헐어다 경복궁 중건의 자재로 쓸 때에도 살아남았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후 경희궁 터에 경성중학교[3]가 들어서면서 파묻혔다가 2001년 발굴 복원하여 현재에 이른다.

3. 금천

금천교 밑을 흐르는 경희궁의 금천은 경희궁 안에서 발원해 흐르는 물이다. 그래서 하천 이름이 따로 없고 통칭 ‘경희궁내수(慶熙宮內水)’로 부른다. 이는 외부 하천을 끌어다 금천으로 이용하는 다른 궁궐과 다른 점이다.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흐르다 경희궁을 빠져나오고 새문안로를 가로지르자마자 동쪽 정방향으로 틀어 지금의 광화문 사거리 앞에서 청계천과 합류했다.[4]

현재는 금천교 양 옆에다 아주 좁은 구간을 재현한 걸 빼고는 전부 복개되었다.

4. 구조

파일:경희궁 금천교 난간.jpg}}} ||
<colbgcolor=#bf1400> 금천교 난간
다리 윗 부분의 동, 서 가장자리엔 각각 6개의 기둥을 설치한 뒤 그 사이마다 난간을 설치했다. 돌 기둥 중 엄지기둥[5]의 머리 부분엔 서수를, 조각하여 올렸고 나머지 기둥엔 연꽃봉오리를 장식했다. 그리고 기둥 사이마다 판석을 세웠는데, 판석은 하엽동자기둥[6] 모양의 부조를 중심으로 구멍을 2개 뚫어놓았다.

5. 여담


[1] 궁궐의 앞쪽에 물을 흐르게 하여 풍수에서 가장 좋다는 배산임수를 구현했다.[2] 물론 실제 궁궐외부의 경계는 이지만, 잡귀를 쫓아내고 또 외부인이 에 들어갈 때 마음을 경건하게 한다는 의미로 금천을 상징적인 경계로 두었다.[3] 현재 마포구 연남동에 있는 경성중학교와는 전혀 다르다. 그 곳은 1967년 개교했으며 한자'景'城으로 다르다.[4] 정확히는 백운동천으로 합류하나 백운동천이 청계천의 본류로 간주되어 그냥 청계천으로 흘러든다 해도 무방하다.[5] 계단의 맨 밑이나 계단참 또는 꼭대기에 수직으로 서 있는 기둥.[6] 荷葉童子. 연꽃 모양으로 조각하여, 계단의 옆 난간에 세워 댄 낮고 짧은 기둥.[7] 전통 건축에선 홍예라고 표현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 (이전 역사)
문서의 r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