劉 죽일/묘금도 류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刀, 13획 | 총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リュウ | ||||||
일본어 훈독 | ころ-す, つら-ねる | ||||||
刘 | |||||||
표준 중국어 | liú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劉는 '죽일 류'라는 한자로, '죽이다, 베풀다, 이기다' 등의 의미를 갖는 한자이다. 하지만 이 한자가 원래 뜻으로 사용되는 용례는 거의 없고, 대부분 성씨의 의미로 사용된다.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되는 자이다. 그런데 훈에서 보다시피 이 성을 가진 사람들이 타인에게 한자 성명을 댈 때 성의 훈을 그대로 대답하지 않고 글자 뜻과 상관없는 파자(卯묘+金금+刀도=劉)인 '묘금도'를 훈처럼 쓰기도 한다.
2. 자원
뜻을 나타내는 金(쇠 금)과 刀(칼 도), 소리를 나타내는 卯(넷째 지지 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3. 출전
출전 | 원문 |
설문해자 | - |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 - |
강희자전 | 〔古文〕鎦《唐韻》《集韻》《韻會》《正韻》力求切,音留。《說文》殺也。《書·盤庚》重我民,無盡劉。《詩·周頌》勝殷遏劉。《左傳·成十三年》劉我邊陲。 又《爾雅·釋詁》劉,也。《疏》謂敷也。 又《爾雅·釋詁》劉,樂也。《疏》木枝葉稀疎不均爲樂。《詩·大雅》捋采其劉。《毛傳》劉,爆爍而希也。 又《爾雅·釋木》劉,劉杙。《註》劉子生山中。《疏》劉一名劉杙,其子可食。 又姓。《韻會》凡二十五望,自陶唐氏劉累之後。 又《集韻》力九切,留上聲。好也。 又《集韻》龍珠切,音鏤。殺也。漢禮,立秋有貙劉。 又《同文備考》作鐂 |
4. 용례
4.1.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302,511명, 전체 36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강릉(江陵/한양)이 있다. 그리고 원래 발음은 柳와 같은 류이지만 이 한자를 쓰는 사람들은 전부 유로 발음한다. 자세한 사항은 유(성씨) 문서 참조.
4.2. 기타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釗(쇠 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