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18:49:53

FG42

FG-42에서 넘어옴
FG 42
Fallschirmjägergewehr 42
42년식 공수부대용 소총
파일:FG_42_Automatic_Rifle.jpg
전기형 / Ausf. E
파일:FG_42_Ausf_G.jpg
후기형 / Ausf. 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자동소총
원산지
[[나치 독일|]][[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43년~1970년대
개발 루이스 슈탕게
개발년도 1941년~1942년
생산 라인메탈
하인리히-크리그호프
L. O. 디트리히
생산년도 1943년~1945년
생산수 약 7,000정
사용국
[[나치 독일|]][[틀:국기|]][[틀:국기|]]
[1]
사용된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베트남 전쟁
기종
파생형 FG 42 Ausf. F
FG 42 Ausf. G
제원
탄약 7.92×57mm 마우저
급탄 20발들이 박스탄창
작동방식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회전 노리쇠 방식
총열길이 500mm
전장 945mm (Ausf. E)
975mm (Ausf. G)
중량 4.2kg (Ausf. E)
4.95kg (Ausf. G)
발사속도 최대 900RPM (Ausf. E)
750RPM (Ausf. G)
탄속 740m/s
유효사거리 600m }}}}}}}}}
1. 개요2. 개발3. 특징
3.1. 장점3.2. 단점3.3. 결론
4. 파생형5. 미디어
5.1. 게임5.2. 만화 및 애니메이션
6. 에어소프트건
6.1. 모델건6.2. 가스건
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Ausf. E 리뷰(좌상)/Ausf. G 리뷰(우상)/Aust. E 및 Aust. G 비교(좌하)/Ausf. G 사격(우하) 영상
Fallschirmjägergewehr 42[2]

독일 공군공수부대인 팔쉬름예거를 위해 1942년에 개발된 자동소총.

2. 개발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당시 독일은 공수부대를 위한 장비를 따로 만들지 않고 독일군의 제식 장비인 루거 P08 권총, MP40 기관단총, Kar98k 소총, M24 수류탄만을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1941년, 크레타 전투에서 독일 공수부대가 75mm 무반동포까지 투입하면서 대규모로 공수낙하작전을 펼쳤는데, 크레타 공수작전 자체는 독일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그 과정에서 공수부대는 엄청난 손실을 입게 되었다.

이 엄청난 손실의 원인은 생각 외로 크레타 섬의 연합군 세력이 많았다는 점이 핵심이었다. 당시 크레타 섬에는 약 40,000 명의 그리스군과 영국군이 주둔하고 있었으므로 중과부적인 상황. 하지만 이런 전력 배치 문제뿐만 아니라, 당시 공수부대의 운용 방안에도 상당부분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상기한대로 무기도 일반 보병과 별로 차이도 나지도 않는데, 일반 보병과 좀 다른 특수 환경에서 특별한 작전을 치러야 하는 공수부대의 특성상 이것은 영 좋지 못한 선택이었다. 적진 한 가운데에 딱 소수만 들어있는데 일반 보병 무기를 가지고 있다면 결국 좋든싫든 일반 보병과 비슷한 전술로 싸워나가야 하는데, 앞서 말했다시피 이들은 적진 한 가운데에 딱 소수만 있는 상황이라서 일반 보병처럼 싸웠다간 쉽게 개판 5분 전으로 가게 된다.

게다가 당시 독일군이 사용했던 낙하산은 미국, 영국과 달리 줄 하나에 대롱대롱 매달리는 저질 방식으로서, 낙하 중에는 방향전환도 불가능하고 착지시에도 팔다리로 땅을 다 짚으며 구르다시피 착륙하는 방식을 써야 했다. 그래서 부상을 막고자 공수부대원들에게 무릎보호대를 지급했을 정도인데, 문제는 가운데 붙은 낙하산 줄 때문에 총이나 각종 장비를 등에 지는 것도 매우 어려웠다는 것. 그래서 낙하 직후에는 차고 있던 권총 정도의 무기밖에 쓸 수 없었다. 미 공수부대와 달리 무기를 직접 가지고 뛰어내릴 수 없는 만큼 독일군 공수부대원들의 무장은 상자에 넣어 낙하산으로 별도 투하했는데, 실전에서는 바람 등의 영향으로 다른 데로 날아가버리거나 추락해 박살나는 등의 사태가 빈발했고 그렇게 되면 낙하 직후 병력은 루거 P08, 발터 P38 권총만 가지고 싸워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쉬웠고 제대로 전투도 못하는 상태가 되어 적의 반격에 반 무방비로 노출되는 꼴이 되었다.

때문에 휴대가 쉬운 공수부대용 소총의 필요성을 느낀 독일 군부의 요청으로 라인메탈(Rheinmetall)社의 루이스 슈탕게가 개발했으며, 생산은 라인메탈, 하인리히 크리그호프(Heinrich Krieghoff), L. O. 디트리히(Dietrich)로 3개 기업에서 나누어 담당하였다. 그 중 하인리히 크리그호프가 가장 많이 생산했다.

개발 당시 이 총의 요구 조건은 이러했다.

쉽게 풀이하자면 대용량 탄창을 사용하고 작동 방식 두 개가 한 총안에 들어있으면서 무게는 Kar98k 한자루와 비슷하여야 하고 전체 길이가 1m를 넘지 말아야 한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위에 언급되지 않았지만 당연히 쓸만한 내구도를 가지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었다.
Forgotten Weapons의 Ausf. C 리뷰 영상
이에 따라 구스틀로프, 마우저, 헤넬, 그로스푸스, 라인메탈, 하인리히 크리그호프 총 6곳에서 개발하기로 했으나, 시제품을 내놓은 곳은 마우저, 라인메탈, 구스틀로프 사뿐이었다. 그리고 마우저 사가 제시한 MG81, 크리그호프 사의 시제형을 제치고 라인메탈 사의 시제형이 FG42라는 제식명으로 채용되었다.

하지만 독일의 총기생산 문제로 인해 히틀러가 생산중단을 결정함으로써 StG44의 시제형인 Mkb42와 같이 중단되고 보급과 생산 문제가 겹치게 된다.[3]

3. 특징[4][5]

3.1. 장점

초기형 4.2kg, 후기형 4.9kg으로 5kg가 되지 않는 가벼운 총기의 무게를 가졌으면서도 7.92×57mm 마우저 탄을 빠른 속도로 사격하면서도 반동 제어가 쉬웠고, 반자동 사격시엔 볼트액션 소총인 Kar98k 수준의 높은 정확도[6]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자동사격시엔 개방형 노리쇠로 작동하기에 연사시 과열 걱정도 덜한 편.

또 현대의 AR-15 계열 소총 마냥 반동의 방향이 변하지 않고 사수의 어깨로 똑바로 전해지도록 만들어졌고[7], 개머리판부에 반동 절감을 위한 장치가 되어 있어 반동도 적었기에, 연사시에도 상당히 높은 수준의 명중율을 확보할 수 있었다.

거기에 후기형인 Ausf. G형은 연사속도가 줄고(750RPM) 반동 제어 기능을 갖춘 컴펜세이터가 장착되어 미군의 노획 테스트에서 연발사격시 아주 우수(Very Good)한 명중률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8]

결과적으로 FG42는 발사 도중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으며 자동발사 중에 목표물을 유지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았기 때문에 높은 명중률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FG42 디자인의 최고의 마스터스트로크는 발사시 의도적인 '더블 숄더 이펙트(Double Shoulder Effect)'를 발생시키는 것이었다. 위 동영상에서 실사격을 해본 Forgotten Weapons의 운영자인 이안 맥컬럼도 7.62×51mm NATO 탄을 쓰는 현대의 전투소총[9]보다도 반동이 적고 부드러워 자동사격이 용이하다는 호평을 했다. 더군다나 전기형은 탄피가 총구와 90도로 배출되는데 비해, 후기형은 1시 방향으로 발사되기 때문에 왼손잡이도 사용할 수 있다.

거기다 관리도 용이하고 조작도 쉬운 설계라서 경기관총으로서의 성능은 거의 MG42와 맞먹는 수준이었다. 독일군 교범에 따르면 FG42의 실사격률(Practical rate of fire - 실용 발사 속도)는 분당 200~250발로서 MG42와 동등 이상이었는데[10] 이는 크레타의 전훈으로 등장한 총기이니만큼 강하 초기단계에서의 생존력 확보를 위한 성능으로서 전장에서 이를 경험한 미군은 '소총의 정확성과 기동력으로 경기관총의 화력까지 지니고 있다'고 높이 평가[11]하며 두려워했다.

전용 스코프[12]와 총류탄 발사기도 있었기 때문에 이 무기 저 무기 잡다하게 섞을 필요 없이, 하나의 무기로 완벽하지는 않아도 어느 정도는 자동소총, 분대지원화기, 저격소총의 3가지 역할을 맡을 수도 있었고, 이는 모든 면에서 열세에 놓일 수 밖에 없는 공수부대의 특성상 조금이라도 더 유리한 상황이 나올 가능성이 높았다.

크기가 동급의 소총이나 자동화기에 비해 굉장히 작고 가벼운 축에 속하기 때문에 낙하할 때 크게 걸리적거릴 일도 없었다. 애당초 낙하하면서 들고 사용할 것을 목적에 두고 만든 총기이니 당연하다면 당연한 셈.

결과적으로 스펙만으로 보면 소총탄을 고속으로 연사하면서 가볍고 짧은데다 명중률도 좋고 반동도 적고 양각대 사용으로 자동사격시의 높은 연사력을 살린 화력지원이 가능하고 스코프를 사용하면 저격소총으로 전용도 가능한 공수부대용 "고성능 만능총"이라고 볼 수 있다.

3.2. 단점

그러나 FG42는 시대를 너무 앞서나가려다 여러가지 문제점을 낳고 말았다. 일단 자동소총, 분대지원화기, 저격소총의 3가지로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반대로 뒤집어보면, 이도저도 아닌 애매한 위치의 무기라는 것이 문제였다.[13] 분대지원화기라고 하기엔 지속사격 능력이 떨어지고, 반자동 사격시에는 기존에 쓰던 소총들에 비해 큰 메리트가 없으면서 가격이 훨씬 비쌌다. 즉, 총기계의 유틸리티 플레이어.

아무리 설계가 좋아서 반동이 적고 명중율이 좋다해도 1m도 안되는 짧은 길이를 지닌 주제에 소총탄을 초당 최대 15발씩 뿜어낼 수 있는 연사력을 가진 바람에 연발사격을 주로 쓰기는 무리였기 때문에 결국 기본적으로는 주로 반자동 화기로 운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근거리 교전 상황 또는 위급 상황 및 분대 지원 상황에서만 자동 사격으로 운용하는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물론 후기형인 Ausf. G에서는 권총 손잡이를 채택하고 중량이 늘어났으며 반동제어용 컴펜세이터와 함께 연사속도를 750RPM으로 줄이는 등의 개량을 했지만 그런 후기형의 자동사격 명중률도 전투소총 중에서는 뛰어난 수준이었지만 본격적인 돌격소총에 비하면 아무래도 손색이 있었다.

게다가 격발시 총구 화염과 소음도 심각했다. 이는 Ausf. G에서 컴펜세이터를 달아서 총구화염은 어느 정도 해결했지만 소음은 전혀 해결되지 않았다.

자동사격을 고려해 양각대를 기본 장착한 것은 좋지만 위치와 기능에 문제가 있었다. 우선 힌지가 총열덮개 쪽에 붙어 있어서 뒤로 열리고 앞으로 접히는 구조였는데, 전개시 고정 기능이 없어서(!) 지면에 정확히 밀착하고 쏘지 않으면 반동으로 총이 뒤로 밀릴 때 양각대가 접혀버리기 일쑤였다는 것. 후기형은 양각대가 재설계되면서 힌지가 총구 가까이로 옮겨가 전개 방향이 반대가 되었고, 좌우 전개 폭도 넓어졌지만, 이 시점에선 StG44가 나오면서 강점을 거의 상실했다.

그리고 급탄을 총기의 상부도 아니고 하부도 아닌 측면(왼쪽)에서 하다 보니 총의 무게가 자연스레 쏠릴 수 밖에 없었다. 파지 자세도 툭 튀어나온 탄창 때문에 다소 어정쩡했다.

그래도 총기 자체의 신뢰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고 열, 냉기, 비, 흙이나 먼지 등에 강했으나, 진흙에는 취약하고 탄창의 내구도가 좋지 않다는 단점도 있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큰 문제점은 "고급 재료"를 사용한다는 점이었다. FG 42의 생산성 문제는 구조적 문제보다는 재료 탓이 컸다. 오픈 볼트와 클로즈드 볼트를 혼용한 방식은 구조적으로 가스 피스톤에 방아쇠의 시어가 걸리는 위치를 다르게 하는 방식(참고)으로 구현하였기 때문에 악랄한 수준은 아니었다. 문제는 이 총에 니켈-크롬 합금강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었다. 독일의 입장에서 니켈-크롬 합금강은 전차를 비롯한 고급 무기를 만드는 데 사용하기에도 벅찬 것이었다. 그래서 공군은 초도생산형을 사용한 일선의 반응을 바탕으로 개량할 것(양각대 위치 변경, 권총손잡이의 각도 변경, 개머리판의 소재 변경-철제에서 목제로- 등)을 요구하면서 이에 덧붙여서 총의 재료를 니켈-크롬 합금강에서 생산성이 훨씬 나은 망간강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했는데, 망간강은 내마모 특성에서는 대체는 가능하지만 내식성과 경도 때문에 니켈-크롬을 완전히 대체하는건 불가능했다. 그러나 생산성의 향상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었고 사실상 더 이상의 공수작전이 시행되지 않는 상황등을 고려한 설계변경을 거쳐 약 210정 가량의 중기형이 제조되어 주로 후기형을 위한 테스트배드로 사용되었다. 개량의 결과 후기형인 Ausf.G는 초기형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무겁고 견고해졌으며 생산성도 향상되어 하인리히-크리그호프사는 12만정의 생산주문을 받았으나 후속 생산능력의 문제로 다른 두 제조사에도 의뢰가 이루어졌다. 후기형인 Ausf.G는 1944년 11월에 첫 생산분이 나왔으나 이는 현장테스트를 위한 소수 양산에 그쳤고 본격적인 생산은 1945년 3월로 예정되었다. 그러나 독일의 몰락으로 인한 조악한 환경, 소련군의 진출에 의해 디에트리히사의 생산분이 500정으로 그치는등 우여곡절 끝에 후기형의 생산분은 6224정에 그쳤다.[14]

3.3. 결론

개념상 진보된 면이 있고 세련된 설계와 화려한 스펙을 가진 막강한 고성능 자동소총이었다. 성능과 설계 자체는 최초의 돌격소총인 StG44보다도 앞서는 면이 있었지만 그쪽은 아예 돌격소총이라 무기체계로서의 가치는 비교가 되지 않았다.

성능만 보면 전후의 전투소총들과 비교해도 상당한 수준이었고, 여러 개념들은 다른 전후 총기에도 유용되었으며, 사실상 길이 늘리고 탄띠로 송탄하고 총열교환이 가능한 FG42인 M60 기관총이라는 걸출한 물건을 후세에 남겼다.

다만 그 뛰어난 성능을 제대로 살릴 수는 없었는데 이것이 완성되었을 때 쯤엔 팔쉬름예거가 강하작전을 사실상 중지하고 보병으로 운용됨으로서 사용처를 잃고 실험적으로 소수의 생산만이 이루어진 총기였기 때문이다.

결국 성능은 상당했으나 이런저런 단점이 존재하긴 했고, 무엇보다 생산량이 너무 적어서 큰 활약은 못했다. 그러나 그 설계는 미국, 영국, 스위스 등의 연합군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고 미국에서는 이 총을 직접적인 기반으로 해서 M60 기관총이 나오게 된다.[15]

4. 파생형

파일:1012903.jpg
1946년 브릿지 툴 & 다이(Bridge Tool & Die) 사에서 이 총기는 MG42의 탄띠 급탄 메커니즘을 도입한 T44라는 바리에이션도 제작했지만 급탄부가 측면이었기 때문에 장전 과정이 불편해져 결국 별다른 개선 작업 없이 사장되고 말았다.
파일:KorsakEM1.png
Forgotten Weapons의 EM-1 리뷰 영상
영국에서 RSAF 엔필드의 총기 설계자인 로만 코르사크가 FG42를 기반으로 시제형 불펍 자동소총인 EM-1을 제작했다.[16]
Forgotten Weapons의 WF-51 리뷰 영상
스위스에서 7.5×38mm 탄을 사용하는 FG42의 돌격소총형 시제품을 제작했다. ###
파일:fg42SAM_0521-495x660.jpg
현대화된 파생형 참조.
비교적 유명한 총이다보니 이 총을 다시 생산해서 파는 업체도 존재한다. 총기 규제상의 이유로 반자동 사격만 가능하도록 판매된다는 듯.
파일:lgs-had-these-available-are-they-any-good-any-info-v0-eyo4qr604l4a1.jpg
9mm를 사용하는 FG9 기관단총. 조정간이 AR 타입이다.

5. 미디어


7000정 남짓이라는 너무 적은 생산량 때문에 실전에서는 거의 활약하지 못한 총이지만 독특한 생김새 덕에 게임, 영화 등에는 실제 사용 비율에 비해 굉장히 많이 등장한다. 실전에서 사실상 주력 소총급으로 많이 쓰였음에도 인기가 없어서 매체에 거의 등장하지 않는 M1917 엔필드같은 경우와 대조적.

5.1. 게임

5.2. 만화 및 애니메이션

6. 에어소프트건

6.1. 모델건

그나마 에어소프트건이 좀 있는 StG 44와는 달리 일본의 쇼에이에서 더미 모델건으로 출시된 것 외에는 BB탄을 발사하는 에어소프트건으로 나온 적은 없고, 있어도 전동이나 가스 유닛을 활용한 자작품이 전부다. 참조.

6.2. 가스건

S&T에서 에프게-42 E형 모델 GBBR로 제작 발표만하고 7년째 소식이 없다 사실상 취소로 보는 중.

7.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나치 독일군의 보병장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Gew71V, Gew88/05V, Gew98, Kar98b, Kar98k, VG1V, VG2V, VG3V, VG4V, VG5V
반자동소총 Gew41, Gew43, MP507V
자동소총 FG42, MKb42, MP43, StG44
컴비네이션 건 M30
기관단총 MP18, MP28, M712, MP35, EMP35, MP38, MP40, MP41, EMP44V, MP3008V
권총 자동권총 C96, M1907V, P08, M1915, PPK, M1934, 38H, P38, HSc, VPV, Astra 400, Astra 600/43
리볼버 M1883
조명탄 권총 M1894, LP34, LP4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G08/15, MG15nAV, MG13, VMG27, MG30, MG35/36
중기관총 MG08, MG15, MG34, MG42, MG81
대전차화기 대전차 소총 M1918V, PzB 38/39, PzB M.SS.41, S-18
대전차 로켓 FPatr 30, PzF 30/60/100/150, RPzB 43, 54, 54/1
기타 Gebalte Ladung, StP, H3, H3.5
화염방사기 FmW 35, FmW 41/42
박격포 8cm GrW 34/42, 5cm GrW 36, 12cm GrW 42, 10cm NbW 35/40
맨패즈 Fliegerfaust
유탄 M24, N39, M43, M39, GrB 39, Schießbecher
지뢰 S Mine
노획무기 오스트리아 P12(ö), G29/40(ö), Gew95(ö), MP34(ö), MG07/12(ö), 8.14cm GrW33(ö)
헝가리 Gew98/40(u), P37(u)
체코슬로바키아 Gew95(t) Gew24(t), Gew33(t), Gew33/40(t),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ZH-29, ZK-383, P24(t), P27(t), P39(t), MG26(t) ,MG30(t), MG37(t), 8cm GrW36(t), 8.14cm GrW278(t)
폴란드 Gew29(p), Gew298(p), Gew98(p), Gew299(p), Kar493(p), Kar497(p), Wz.38M, R612(p), P35(p), P645(p), MG28(p), MG154/1(p), MG154/2(p), MG30(p), MG249(p), MG238(p), MG257(p), MG248(p), PzB770(p), 4.6cm GrW36(p), 8.14cm GrW31(p)
노르웨이 Gew211(n), Gew213(n), Kar411(n), Kar412(n), Kar413(n), Kar414(n), R610(n), P657(n), MG102(n), MG103(n), MG201(n), MG240(n), MG245/1(n), MG245/2(n)
덴마크 Gew311(d), Kar506(d),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6(d), P644(d), MP741(d), MP746(d), MG158(d), MG159(d), MG258(d), 8.14cm GrW275(d)
벨기에 Gew220(b), Kar420(b),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0(b), P621(b), P622(b), P626(b), P641(b), P640(b), MP740(b), MG125(b), MG126(b), MG127(b), MG220(b), MG221(b), MG222(b), 5cm GrW201(b)
네덜란드 Gew211(h), Gew212(h), Kar411(h), Kar412(h), Kar413(h), Kar414(h), P626(h), P641(h), MG100(h), MG241(h), MG242(h), MG243(h), MG244(h), MG231(h), PzB785(h), 8.14cm GrW278(h), 8.14cm GrW279(h), 8.14cm GrW286(h)
프랑스 Gew361(f), Kar561(f), Gew301(f), Gew303(f), Gew241(f), Gew302(f), Gew304(f), Gew305(f), Kar551(f), Kar552(f), Kar553(f), Gew242(f), Gew310(f), P623(f), P624(f), P625(f), MAB D, P647(f), P642(f), R654(f), R637(f), R634(f), R635(f), MP722(f), MP740(f), MP761(f), MG105(f), MG106(f), MG115(f), MG116(f), MG331(f), MG331(f), MG156(f), MG157(f), MG256(f), MG257(f), MG271(f), 5cm GrW203(f), 6cm GrW225(f), 8.14cm GrW278(f)
영국 Gew248(e), Gew280(e), Gew281(e), Gew281/2(e), Gew283(e), Gew283/2(e), Gew282(e), Gew282/3(e), R646(e), R655(e), MP748(e), MP749(e), MP750(e), MP751(e), MP752(e), MP760(e), MP760/2(e), MP761(e), MG135(e), MG136(e), MG137(e), MG138(e), MG230(e), MG341(e), PzB782(e), PzB789(e), 5cm GrW202(e)
유고슬라비아 Gew223(j), Gew361(j), Gew293(j), Gew291/3(j), Kar492(j), Gew214(j), Kar416(j), Gew252(j), Gew309(j), Gew288(j), Gew295(j), Gew307(j), Gew298(j), Gew290(j), Gew291(j), Gew291/2(j), Kar491(j), Kar491/2(j), Kar491/3(j), Kar491/4(j), Gew308(j), Kar561(j), Gew301(j), Gew292(j), Gew294(j), Gew306(j), Kar505(j), Gew302(j), Gew304(j), Kar502(j), Kar503(j), Gew301(j), P641(j), MP760(j), MG145(j), MG147(j) MG156(j), MG146/1(j), MG148(j), MG246(j), MG200(j), MG247(j), MG248(j), MG256(j), MG257(j), 7.58cm GrW229(j), 8.14cm GrW270(j)
그리스 Gew307(g), Kar561(g), Gew215(g), Kar417(g), Kar417/2(g), Gew301(g), Gew305(g), Gew502(g), Gew306(g), Kar505(g), Gew302(g), Gew285(g), R612(g), R613(g), MG136(g), MG104(g), MG152(g), MG202(g), MG156(g), MG256(g)
소련 Gew252(r), Gew253(r), Gew254(r), Gew256(r), Kar453(r), Kar454(r), Gew255(r), Gew257(r), Gew258(r), Gew259(r), Gew259/2(r), Gew260(r), R612(r), P615(r), MP715(r), MP716(r), MP717(r), MP41(r), MP718(r), MP719(r), MG120(r), MG121(r), MG320(r), MG216(r), MG218(r), MG268(r), PzB783(r), PzB784(r), HG336(r), 3,7cm SpGrW161(r), 5cm GrW200(r), 5cm GrW205(r), 8.2cm GrW274(r), 12cm GrW378(r), 12cm GrW379(r)
미국 Gew249(a), Gew250(a), Gew251(a), Gew455(a), P660(a), R661(a), R662(a), MP760(a), MP760/2(a), MP761(a), MP762(a), MP763(a), MG123(a), MG124(a), MG219(a), MG321(a), MG269(a), PzB788(a), 6cm MW219(a) NbW263(a)
이탈리아 Gew208(i), Gew209(i), Gew210(i), Gew214(i), Gew231(i), Gew240(i), Kar408(i), Kar409(i), Kar410(i), Kar416(i), Kar430(i), Gew306(i), Kar505(i), P670(i), P671(i), R680(i), MP738(i), MP739(i), MG099(i), MG200(i), MG255(i), MG259(i), MG261(i), MG350(i), PzB785(i), PzB770(i), 4.5cm GrW176(i), 8.1cm GrW276(i)
※ 윗첨자V : 국민돌격대가 사용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무기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파일:베트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6e8b3d> 베트남 전쟁
베트남 인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6e8b3d> 소총 <colbgcolor=#6e8b3d> 볼트액션 소총 M1886F, M1902F, MAS-36F,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Kar98kF, 88식 소총
반자동소총 SKS, SVT-40, SVD, Vz.52, MAS-49F
자동소총 AK-47, 58식 보총, K-56, K-63L, AKM, Vz.58, StG44L, FG42L
기관단총 K-50M, PPSh-41,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M1928A1, M1A1, 마드센 M/50, M56,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권총 K-54, K-59, CZ52, C96, APSL,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B 모델 DF, MAC M1950F, P-64, 67식 권총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22F, 11년식 경기관총J, 96/99식 경기관총J, DP-28, RP-46, Vz.26/30, FM 24/29F, 브렌 경기관총, RPD, Vz.59, 67식 기관총, RPKL, PK, PKML
중기관총 호치키스 M1914F, 24식 중기관총, DTM, M1910/30, MG34, MG42,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KPV
대전차화기 PIATF, B-40/50, B-41, B-10, B-11, SPG-9, 54식 무반동포, 자돌폭뢰J
화염방사기 LPO-50
박격포 10식 척탄통J, 89식 척탄통J. 50-PM-40,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55식 박격포
유탄 10식 수류탄J, 91식 수류탄J, 97식 수류탄J, 1식 수류탄, RGD-33, RG-42, RPG-43, RGD-5
지뢰 POMZ-1, POMZ-2
※ 윗첨자J/F: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윗첨자L: 제한적 사용
※ ''기울임체'':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베트남 전쟁 당시 북베트남군에서 소련군이 노획 후 공여한 FG42를 사용했다.[2] 독일어 발음을 그대로 읽는다면 팔쉬름예거게베어 42이며 FG 42는 "에프게 42"로 읽으며, 직역하자면 '강하엽병소총 42년형'이고 해석하자면 '42년식 공수부대소총'(Fallschirm : 낙하산 / Jäger : 사냥꾼, 경보병, 엽병 / Fallschirmjäger : 강하엽병, 공수부대 / Gewehr : 소총 / Fallschirmjägergewehr : 강하엽병소총, 공수부대소총)이다.[3] 이후 Mkb42는 전장에서 돌격소총의 유용성이 증명되어 1944년에 StG44라는 제식명으로 채용된다.[4] Death From Above The German FG42 Paratroop Rifle by Thomas B Dugelby and R Blake Stevens.[5] GERMAN AUTOMATIC RIFLES 1941–45 by CHRIS McNAB.[6] Report No E6/17776/43 Secret Test Number 31/43.[7] 통칭 인라인 디자인.[8] 1946 APG(Aberdeen Proving Ground) Standard Automatic Rifle Test.[9] M14는 물론이고 G3, FAL보다도 반동이 적다고 한다.[10] 물론 MG 42의 진가는 우수한 삼각대와 조합한 "중기관총"으로서 극대화되므로 본격적인 기관총으로서는 훨씬 우수하다.[11] 정확하고 높은 화력에 노출된 미국 공수부대는 처음에는 MG 34의 공격이라고 착각하였으나 곧 FG 42를 들고 공격하는 독일군을 목격했다. 제아무리 미군이라도 소총의 정확성과 기동력, 기관총의 화력을 지닌 FG 42를 든 독일군 병사들을 당해내지 못했던 것.[12] Ausf. E형까지는 가벼운 ZGF42 전용 스코프를 사용했으나 Ausf. F와 Ausf. G형은 게베어 43의 ZF4 스코프를 사용할 수 있었다.[13] 흔히 게임에서 올라운더의 단점이라 말하는 그것. 어느 역할이나 할 수 있기에 특출난 구석이 없다.[14] 그래도 적은 생산에도 불구하고 베를린 전투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심지어 베트남 전쟁북베트남에서 사용되기도 했다.[15] FG 42에 MG42의 급탄 매커니즘을 사용한 T44에서 시작해 기존의 지원화기들을 대체할 본격적인 차세대 기관총으로 개발된 T52 시리즈, 그리고 개발 프로그램을 가속화하고 만족스러운 무기가 개발 될 수 있도록하기 위해 T52를 모델로 해서 다른 개발서와의 새로운 계약으로 등장한 T161 시리즈를 거쳐 최종적으로 T52E5와의 비교에서 T161E3이 승리하여 M60이 된다. T52는 아예 FG 42가 직접적으로 기반이 된 총기이고 T161은 그 T52를 기반으로 탄생한 총기이기 때문에 FG 42의 많은 특징들을 M60에서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M60 볼트캐리어가 FG 42 볼트캐리어의 마이너 체인지 수준의 붕어빵이라거나 볼트 회전방식이 AR이나 AK처럼 메인볼트 안에 회전볼트가 있는 방식이 아니라 볼트 자체가 회전하는 방식으로 동일하다거나 M60의 트리거 그룹이 FG 42의 오픈볼트 구조와 거의 비슷하다거나 하는 등 공통점이 많다.[16] 같은 엔필드의 총기 설계자인 스탠리 T. 토프가 제작한 시제형 불펍 돌격소총인 EM-1과는 다르다.[17] 예를 들자면 - 원 ~ 중거리에 적들이 몰려있는데, 저격을 하기엔 적들이 너무 많고, 기관단총을 쓰기엔 거리가 좀 멀고, 폭파물을 쓰기엔 아까울 때 정도...?[18] 하지만 썩어넘치는 Kar98k와 같은 7.92×57mm를 사용하니 사실 탄 수급은 잘 되어야 정상이다. 옛날 게임의 한계 상 같은 탄을 사용하더라도 같은 총을 주워야만 탄 노획이 되기 때문에 Kar98k에서 탄을 수급할 수 없다.[19] 작중에서 2차대전 당시 사용된 총기들은 선생으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