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64년 | 김준연 의원 체포동의안 |
1969년 | 국민투표법 | |
2016년 | 테러방지법 (주요 발언 / 진행 상황) | |
|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장관 해임건의안 | |
2019년 | 연동형 비례대표제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진행 상황) | |
2020년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법 개정안 · 국정원법 개정안 · 대북전단 금지법 (진행 상황) | |
2022년 |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검찰청법 개정안 · 형사소송법 개정안) | |
2024년 | 순직 해병 특검법 · 방송4법(방송통신위원회법 개정안 · 방송법 개정안 · 방송문화진흥회법 개정안 · 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 · 민생회복지원금 특별법 · 노란봉투법 | |
2025년 | 방송3법(방송법 개정안 · 방송문화진흥회법 개정안 · 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 · 노란봉투법 · 상법 · 정부조직법 개정안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법 · 국회법 개정안 · 국회증언감정법 개정안 |
1. 개요
2025년 국회 회기 간 신청된 필리버스터에 대해 정리한 문서.2. 2025년 8월
2.1. 2025년 방송3법 개정안 반대 필리버스터
국민의힘이 방송3법(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 일부개정법률안) 상법 개정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를 막기 위해 2025년 8월 4일 16시부터 8월 22일 10시 58분까지 국회 회기 간 신청한 무제한 토론이다.2.1.1. 방송법 개정안 반대 필리버스터
||<-9><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 이름 | 소속 정당 | 법률 입장 | 시작 시각 | 종료 시각 | 발언 시간 | 누적 시간 | 비고 |
1 | 신동욱 | | 반대 | 8월 4일 16:02 | 8월 4일 23:32 | 7시간 30분 | 7시간 30분 | [토론종결안제출][2] |
2 | 김현 | | 찬성 | 8월 4일 23:33 | 8월 5일 02:38 | 3시간 4분 | 10시간 36분 | |
3 | 이상휘 | | 반대 | 8월 5일 02:38 | 8월 5일 07:06 | 4시간 28분 | 15시간 5분 | |
4 | 노종면 | | 찬성 | 8월 5일 07:08 | 8월 5일 16:13 | 9시간 3분 | 24시간 11분 | 토론 종결 [3][4] |
2.1.2. 방송문화진흥회법 개정안 반대 필리버스터
||<-9><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방송문화진흥회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 이름 | 소속 정당 | 법률 입장 | 시작 시각 | 종료 시각 | 발언 시간 | 누적 시간 | 비고 |
1 | 김장겸 | | 반대 | 8월 5일 16:51 | 8월 5일 23:59 | 7시간 8분 | 7시간 8분 | 토론 종결 [5][6] |
2.1.3. 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 반대 필리버스터
||<-9><tablewidth=100%><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한국교육방송공사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 이름 | 소속 정당 | 법률 입장 | 시작 시각 | 종료 시각 | 발언 시간 | 누적 시간 | 비고 |
1 | 최형두 | | 반대 | 8월 21일 10:42 | 8월 22일 00:09 | 13시간 27분 | 13시간 27분 | [토론종결안제출][8] |
2 | 이정헌 | | 찬성 | 8월 22일 00:11 | 8월 22일 10:58 | 10시간 47분 | 24시간 14분 | 토론 종결 [9][10] |
2.2. 2025년 노란봉투법 반대 필리버스터
국민의힘이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를 막기 위해 2025년 8월 23일 9시 9분부터 8월 24일 9시 11분까지 국회 회기 간 신청한 무제한 토론이다.||<-9><tablewidth=100%><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 이름 | 소속 정당 | 법률 입장 | 시작 시각 | 종료 시각 | 발언 시간 | 누적 시간 | 비고 |
1 | 김형동 | | 반대 | 8월 23일 09:09 | 8월 23일 14:05 | 4시간 56분 | 4시간 56분 | [토론종결안제출][12] |
2 | 김주영 | | 찬성 | 8월 23일 14:07 | 8월 23일 17:55 | 3시간 48분 | 8시간 45분 | |
3 | 우재준 | | 반대 | 8월 23일 17:57 | 8월 23일 21:58 | 4시간 0분 | 12시간 47분 | |
4 | 신장식 | | 찬성 | 8월 23일 21:59 | 8월 24일 00:27 | 2시간 28분 | 15시간 17분 | |
5 | 김위상 | | 반대 | 8월 24일 00:28 | 8월 24일 03:06 | 2시간 34분 | 17시간 53분 | |
6 | 박해철 | | 찬성 | 8월 24일 03:07 | 8월 23일 07:15 | 4시간 8분 | 22시간 3분 | |
7 | 김소희 | | 반대 | 8월 24일 07:16 | 8월 24일 09:11 | 1시간 56분 | 24시간 2분 | 토론 종결 [13][14] |
2.3. 2025년 상법 개정안 반대 필리버스터
국민의힘이 상법 개정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를 막기 위해 2025년 8월 24일 9시 41분부터 8월 25일 9시 43분까지 국회 회기 간 신청한 무제한 토론이다.||<-9><tablewidth=100%><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상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 이름 | 소속 정당 | 법률 입장 | 시작 시각 | 종료 시각 | 발언 시간 | 누적 시간 | 비고 |
1 | 곽규택 | | 반대 | 8월 24일 09:41 | 8월 24일 12:19 | 2시간 36분 | 2시간 36분 | [토론종결안제출][16] |
2 | 오기형 | | 찬성 | 8월 24일 12:24 | 8월 24일 14:27 | 2시간 3분 | 4시간 46분 | |
3 | 조배숙 | | 반대 | 8월 24일 14:29 | 8월 24일 17:43 | 3시간 13분 | 8시간 0분 | |
4 | 김남근 | | 찬성 | 8월 24일 17:44 | 8월 24일 20:32 | 2시간 48분 | 10시간 50분 | |
5 | 송석준 | | 반대 | 8월 24일 20:33 | 8월 25일 01:33 | 4시간 58분 | 15시간 51분 | |
6 | 김현정 | | 찬성 | 8월 25일 01:34 | 8월 25일 03:48 | 2시간 13분 | 18시간 5분 | |
7 | 주진우 | | 반대 | 8월 25일 03:49 | 8월 25일 09:43 | 5시간 54분 | 24시간 1분 | 토론 종결[17][18] |
3. 2025년 9월
2025년 9월 23일, 국민의힘 원내지도부는 본회의 전체 상정법안을 대상으로 필리버스터를 진행하기로 했다.# 9월 25일, 국민의힘은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 국회법 일부개정법률안,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등 4개 쟁점법안에 대한 무제한토론만 진행하기로 했다.의사일정무제한 토론 개시 24시간후 부터 토론 종결 의사 표결이 가능하고 범여당이 이 정족수를 충족하기에 국민의힘 측은 법안 하나당 최대 24시간씩 시간 지연이 가능하다. 때문에 정부조직법,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법, 국회법 필리버스터는 토론종결을 막기 위한 한 세트로 봐야한다는 게 세간의 평가다.[19]
현재 국힘은 4박 5일 필리버스터를 진행했으나 69개 모든 법안에 필리버스터를 진행하는 안을 고려중이라고한다.
9월 25일 열린 본회의는 9월 29일 오후 9시 경에야 종료되었다. 헌정 사상 역대 본회의 중 가장 길었던 본회의중 하나다.
3.1. 2025년 정부조직법 개정안 반대 필리버스터
민주당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검찰청 폐지 및 공소청, 중수청 신설, 기획재정부의 재정경제부, 기획예산처 분리, 환경에너지부, 성평등가족부 확대 개편,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설치를 핵심으로 하고 있다.||<-9><tablewidth=100%><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 이름 | 소속 정당 | 법률 입장 | 시작 시각 | 종료 시각 | 발언 시간 | 누적 시간 | 비고 |
1 | 박수민 | | 반대 | 9월 25일 18:30 | 9월 26일 11:42 | 17시간 12분 | 17시간 12분 | 현재 국내 최장 기록[20] [토론종결안제출][22] |
2 | 서영교 | | 찬성 | 9월 26일 11:47 | 9월 26일 18:31 | 6시간 44분 | 24시간 1분 | 토론 종결 [23][24] |
3.2. 2025년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신설되는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의 설치 법률이다. 주요 내용은 방통위가 과기정통부의 방송진흥정책 기능을 이관받으며, 위원 정수를 현행 5인(상임 5)에서 7인(상임 3, 비상임 4)으로 개편한다.||<-9><tablewidth=100%><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 이름 | 소속 정당 | 법률 입장 | 시작 시각 | 종료 시각 | 발언 시간 | 누적 시간 | 비고 |
1 | 최형두 | | 반대 | 9월 26일 19:03 | 9월 27일 5:26 | 10시간 23분 | 10시간 23분 | [토론종결안제출][26] |
2 | 이주희 | | 찬성 | 9월 27일 5:29 | 9월 27일 11:32 | 6시간 3분 | 16시간 29분 | |
3 | 김장겸 | | 반대 | 9월 27일 11:34 | 9월 27일 18:41 | 7시간 6분 | 23시간 38분 | |
4 | 황정아 | | 찬성 | 9월 27일 18:42 | 9월 27일 19:10 | 28분 | 24시간 7분 | 토론 종결 [27][28] |
3.3. 2025년 국회법 개정안 반대 필리버스터
민주당이 발의한 개정안으로 국회도서관 산하의 국회기록보존소를 독립된 국회기록원으로 승격시키는 내용과 정부조직법 개정에 맞춰 상임위원회 명칭을 개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중에서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른 상임위원회 관련 내용이 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과 정부 간 협의로 금융감독위원회 개편이 철회되면서 해당 기관 명칭을 변경하지 않도록 하는 수정안이 의결되었다.||<-9><tablewidth=100%><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국회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 이름 | 소속 정당 | 법률 입장 | 시작 시각 | 종료 시각 | 발언 시간 | 누적 시간 | 비고 |
1 | 유상범 | | 반대 | 9월 27일 19:37 | 9월 28일 0:56 | 5시간 19분 | 5시간 19분 | [토론종결안제출][30] |
2 | 채현일 | | 찬성 | 9월 28일 0:58 | 9월 28일 2:43 | 1시간 44분 | 7시간 6분 | |
3 | 강선영 | | 반대 | 9월 28일 2:44 | 9월 28일 6:22 | 3시간 38분 | 10시간 44분 | |
4 | 김준혁 | | 찬성 | 9월 28일 6:23 | 9월 28일 9:52 | 3시간 29분 | 14시간 13분 | |
5 | 박충권 | | 반대 | 9월 28일 9:53 | 9월 28일 13:42 | 3시간 47분 | 18시간 5분 | |
6 | 김남근 | | 찬성 | 9월 28일 13:42 | 9월 28일 16:05 | 2시간 22분 | 20시간 28분 | |
7 | 이종욱 | | 반대 | 9월 28일 16:06 | 9월 28일 18:01 | 1시간 54분 | 22시간 24분 | |
8 | 안태준 | | 찬성 | 9월 28일 18:02 | 9월 28일 19:41 | 1시간 39분 | 24시간 2분 | 토론 종결 [31][32] |
3.4. 2025년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 반대 필리버스터
민주당이 주도하는 2차 개정안으로, 소관 위원회 활동 종료 이후에도 증인의 위증에 대해 국회 본회의 의결로 고발할 수 있게 하는 법안이다.||<-9><tablewidth=100%><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 이름 | 소속 정당 | 법률 입장 | 시작 시각 | 종료 시각 | 발언 시간 | 누적 시간 | 비고 |
1 | 김은혜 | | 반대 | 9월 28일 20:18 | 9월 29일 10:08 | 13시간 49분 | 13시간 49분 | [토론종결안제출][34] |
2 | 문금주 | | 찬성 | 9월 29일 10:10 | 9월 29일 12:36 | 2시간 25분 | 16시간 17분 | |
3 | 박성훈 | | 반대 | 9월 29일 12:37 | 9월 29일 15:49 | 3시간 12분 | 19시간 31분 | |
4 | 박홍배 | | 찬성 | 9월 29일 15:50 | 9월 29일 17:43 | 1시간 52분 | 21시간 23분 | |
5 | 곽규택 | | 반대 | 9월 29일 17:44 | 9월 29일 19:41 | 1시간 57분 | 23시간 23분 | |
6 | 전진숙 | | 찬성 | 9월 29일 19:42 | 9월 29일 20:22 | 39분 | 24시간 3분 | 토론 종결 [35][36] |
4. 여담
- 우원식 의장과 이학영 부의장이 돌아가며 사회를 보고 있다. 주호영 부의장은 "저는 오랫동안 판사로 일해온 법조인으로서, 20여년간 국회를 지켜온 의회인으로서, 이 사법 파괴의 현장에서 본회의 사회를 보지 않겠다"며 "곧 있을 국회 본회의와 국민의힘 필리버스터가 대한민국 법치의 파괴를 알리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 밝히면서 사회 보는 것을 거부했다. 이에 우원식 의장은 "주 부의장의 선택은 매우 아쉽고 유감"이라고 했다.
- 이진숙 위원장은 방송3법 개정안 필리버스터 당시 밤새 국회 본회의장을 지켜 화제가 되었다.
[토론종결안제출] [2] 무제한토론 개시 1분 후 8월 4일 16시 3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 외 166인이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8월 5일 16시 3분 이후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의장은 상정하여 표결하여야 한다. 국회법 제106조의2제6항에 따라 필리버스터 시작 24시간 경과 후 무제한 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표결하여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인 179명의 찬성이 있으면 무제한 토론을 종료할 수 있다.[3]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무제한토론 종결동의의 건: 총 투표수 188표, 가 187표, 부 1표[4]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총 투표수 180표, 찬성 178표, 반대 2표[5] 이 법안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방송사인 MBC의 사장을 역임한 바 있는 국회의원이다.[6] 국회법 제106조의2제8항에 따라 회기가 종료되어 무제한토론이 종료되었다.[토론종결안제출] [8] 무제한토론 개시 1분 후 8월 21일 10시 43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 외 165인이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8월 22일 10시 43분 이후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의장은 상정하여 표결하여야 한다. 국회법 제106조의2제6항에 따라 필리버스터 시작 24시간 경과 후 무제한 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표결하여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인 179명의 찬성이 있으면 무제한 토론을 종료할 수 있다.[9] 한국교육방송공사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무제한토론 종결동의의 건: 총 투표수 185표, 가 184표, 부 1표[10] 한국교육방송공사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총 투표수 180표, 찬성 179표, 반대 1표[토론종결안제출] [12] 무제한토론 개시 1분 후 8월 23일 9시 10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 외 165인이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8월 24일 9시 10분 이후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의장은 상정하여 표결하여야 한다. 국회법 제106조의2제6항에 따라 필리버스터 시작 24시간 경과 후 무제한 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표결하여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인 179명의 찬성이 있으면 무제한 토론을 종료할 수 있다.[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무제한토론 종결동의의 건: 총 투표수 186표, 가 183표, 부 3표[14]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총 투표수 186표, 찬성 183표, 반대 3표[토론종결안제출] [16] 무제한토론 개시 1분 후 8월 24일 9시 42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 외 165인이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8월 25일 9시 42분 이후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의장은 상정하여 표결하여야 한다. 국회법 제106조의2제6항에 따라 필리버스터 시작 24시간 경과 후 무제한 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표결하여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인 179명의 찬성이 있으면 무제한 토론을 종료할 수 있다.[17] 상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무제한토론 종결동의의 건: 총 투표수 184표, 가 184표[18] 상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총 투표수 182표, 찬성 180표, 기권 2표[19] 실제로 세 필리버스터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의 반대 논지가 거의 동일하다.[20] 박수민 의원 본인의 15시간 50분 기록을 넘었다.[토론종결안제출] [22] 무제한토론 개시 직후 9월 25일 18시 30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 외 166인이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9월 26일 18시 30분 이후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의장은 상정하여 표결하여야 한다. 국회법 제106조의2제6항에 따라 필리버스터 시작 24시간 경과 후 무제한 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표결하여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인 179명의 찬성이 있으면 무제한 토론을 종료할 수 있다.[23]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무제한토론 종결동의의 건: 총 투표수 184표, 가 184표[24]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수정안: 총 투표수 180표, 가 174표, 부 1표, 기권 5표[토론종결안제출] [26] 무제한토론 개시 1분 후 9월 26일 19시 4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 외 166인이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9월 27일 19시 4분 이후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의장은 상정하여 표결하여야 한다. 국회법 제106조의2제6항에 따라 필리버스터 시작 24시간 경과 후 무제한 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표결하여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인 179명의 찬성이 있으면 무제한 토론을 종료할 수 있다.[27]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대안)에 대한 무제한토론 종결동의의 건: 총 투표수 184표, 가 184표[28]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대안): 총 투표수 177표, 찬성 176표, 반대 1표[토론종결안제출] [30] 무제한토론 개시 1분 후 9월 27일 19시 38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 외 166인이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9월 28일 19시 38분 이후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의장은 상정하여 표결하여야 한다. 국회법 제106조의2제6항에 따라 필리버스터 시작 24시간 경과 후 무제한 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표결하여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인 179명의 찬성이 있으면 무제한 토론을 종료할 수 있다.[31] 국회법 일부개정법률안(위원회안)에 대한 무제한토론 종결동의의 건: 총 투표수 182표, 가 180표, 무효 2표[32] 국회법 일부개정법률안(위원회안)에 대한 수정안: 총 투표수 180표, 찬성 180표[토론종결안제출] [34] 무제한토론 개시 1분 후 9월 28일 20시 19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 외 166인이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9월 29일 20시 19분 이후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의장은 상정하여 표결하여야 한다. 국회법 제106조의2제6항에 따라 필리버스터 시작 24시간 경과 후 무제한 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표결하여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인 179명의 찬성이 있으면 무제한 토론을 종료할 수 있다.[35]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무제한토론 종결동의의 건: 총 투표수 182표, 가 182표[36]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수정안: 총 투표수 176표, 찬성 175표, 기권 1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