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e61e2b><rowcolor=#fff> | 윤석열 관련 문서 |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61e2b> 일생 | <colbgcolor=#fff,#1c1d1f>일생 | |
다른 정치인과의 관계 | |||
가족 | 아버지 윤기중 · 어머니 최성자 · 배우자 김건희 | ||
20대 대선 | 제20대 대통령 선거 · 윤석열 정부 | ||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 대선 공약 · 장단점 · 대망론 · 국민이 키운 윤석열 내일을 바꾸는 대통령 · 선거 로고송 · AI 윤석열 · 석열이형네 밥집 · 윤석열-안철수 단일화 · 국민캠프 ·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 정권교체동행위원회 · 윤사모 (다함께자유당 · 공정과 상식 회복을 위한 국민연합) · 뮨파 · 똥파리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 발언 (2021 · 2022 · 2023 · 말바꾸기) · 본인과 가족 · 정계 입문 이전 (국정원 수사 · 서울중앙지검장 · 검찰총장) · 정계입문 선언 이후 (정책 및 공약 · 인사 · 기타) · 대통령 (인사·행사·안전 · 외교·안보·국방 · 순방) | ||
사건 사고 | 사건 사고 · 부산저축은행 대장동 불법대출 부실수사 · 김건희 팬카페의 자택 테러 협박글 · 고민정의 신천지 손가락 제스처 의혹제기 · 청담동 술자리 의혹 · 장경태의 화동 성적 학대 발언 · 입틀막 경호 · 명태균 게이트 · 대인 갈등 (이준석 · 한동훈 · 김옥균 프로젝트) ·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충암파) ·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 윤석열 특검법 · 석열산성 | ||
지지 세력 | 친윤 (윤핵관 · 주윤야한) · 사단 · 대깨윤 · 주학무 | ||
별명과 밈 | 별명 (부정적 별명) ·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 · 민지야 부탁해 · 제가 바보입니까 · 이 새끼가 술 맛 떨어지게 · 경제는 대통령이 살리는 게 아냐 · 좋아 빠르게 가 · 굥정 · 윤두창 | ||
기타 | 자택 · 지지율 · 여담 · 어록 · 출근길 문답 · 특별대담 대통령실을 가다 · 윤석열-이재명 영수회담 · 탄핵 관련 문서 (청원 · 퇴진 시위 · 특검청원) · 윤석열김건희 난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윤석열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윤석열 정부 참고 | }}}}}}}}} |
[clearfix]
1. 개요
2025년 2월 8일 디시인사이드 미국정치갤러리에서 헌법재판소에서 폭동을 일으키겠다는 정황이 포착된 사건.2. 근거 및 정황
"헌법재판소 주변을 탐색하고 왔다"며, 헌재 주변의 경찰 통제 상황과 우회 가능한 골목길을 자세히 설명한다.직접 찍은 사진도 여러 장 첨부했다.
이에 앞서 같은 게시판에는 헌재 건물 지하 1층부터 5층까지의 내부 구조가 담긴 평면도가 공유됐고, 차벽을 넘기 위한 철제 사다리, 알루미늄 야구방망이를 준비한다는 글도 올라왔다.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때와 같이 이번에는 헌법재판소를 노리는 폭동을 모의하는 정황이 포착됐다.
폭동 시행일은 2월 13일이며 척살의 날이라고 부른다. 왜냐면 영화 더 퍼지에 비유한 것이기 때문이다. 대놓고 퍼지 데이에 비유한다는 점에서 폭동을 넘어 살인까지 계획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다행히도 인근주민들의 신고를 접수한 경찰은 즉각 수사에 착수했다.
112 신고자
"미리 새벽에 순찰하고 왔다면서 사진을 하나하나 다 찍어서 이제 어떤 식으로 잠입을 해야 되는지…너무 폭력에 미쳐서 눈이 돌아가 있는 사람들 같은 거예요."
"미리 새벽에 순찰하고 왔다면서 사진을 하나하나 다 찍어서 이제 어떤 식으로 잠입을 해야 되는지…너무 폭력에 미쳐서 눈이 돌아가 있는 사람들 같은 거예요."
경찰은 이번 게시글 역시 실제 폭력 사태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게시글 분석과 작성자 추적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