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3:53:00

활집

활집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의 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 백병 <colbgcolor=#4a2d5b> 도검 환두대도, 장도
장창, 기창, 요구창
둔기 철퇴
발사
무기
궁(弓) 각궁
노(弩) 쇠뇌(천보노)
방어구 갑(甲)/군복 판갑(종장판갑, 방형판갑, 장방판갑, 삼각판갑, 횡장판갑), 찰갑(괘갑)
주(冑) 종장판투구, 비늘투구, 차양투구, 충각부주, 이형주, 금동장투구
부속 갑옷 어깨가리개, 치마갑옷, 목가리개, 팔보호대, 허벅지보호대, 정강이보호대
방패 신라 방패
군마 마갑
군장 동개, 활집
육상병기 마름쇠
전선(戰船) 교관선, 신라선 }}}}}}}}}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의 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 백병 <colbgcolor=#FEDC89> 도검 장검, 장도, 철검, 환도, 환두대도
, , 장창, , 기창
둔기 도끼(부월), 철퇴
발사
무기
궁(弓)시(矢) 국궁, 각궁, 목궁, 죽궁, 쇠뇌 편전(애기살)
화기 <colbgcolor=#FEDC89> 화포/폭•포탄 주화, 구포
화전/로켓 다발화전, 화차
방어구 갑(甲)/군복 철찰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철릭
주(胄) 원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방패 수패
군장 동개, 활집
전차/육상병기 검차, 포차, 화차, 다발화전 마름쇠
전선(戰船) 초마선, 과선, 누전선 }}}}}}}}}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의 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사인검 · 월도 · 왜검 · 장검 · 창포검 · 환도 · 협도 · 쌍수도
당파 · 장창 · 낭선 · 기창 · 죽장창 · 요구창 · 겸창 · 이두표 · 표창
둔기 도끼(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발사
무기
궁(弓)시(矢)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장전, 편전(애기살)
화기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지뢰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개인화기 조총, 천보총, 대조총, 일총통, 이총통, 승자총통, 사전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레밍턴 롤링블럭, 스나이더-엔필드
화전・로켓 신기전 · 화차
방어구 갑(甲)군복 두정갑, 유엽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납의 · 철릭 · 구군복 · 포졸복
주(冑) · 군모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전립 · 주립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군장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전차・육상병기 화차 · 비거 마름쇠
전선(戰船)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1 {{{#fff · 화살 {{{#fff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888> 형상별 분류 <colcolor=#000,#fff>장궁 · 리커브 보우 · 컴파운드 보우 · 석궁(쇠뇌, 연노, 발리스타) · 새총
소재별 분류 단궁(單弓)(목궁, 죽궁) · 복합궁 · 합성궁(각궁, 골궁)
국적별 분류 국궁(각궁, 개량궁) · 양궁(영국 장궁) · 화궁/대궁
화살 신기전 · 장전 · 애기살 · 화전 · 효시
사법 로빈애로우 · 파르티안 사법 · 온깍지
기타 활고자 · 광다회 · 동개 · 전대 · 통아 · 활집 }}}}}}}}}

파일:각궁.jpg
고려동개 대표 윤여창 씨가 만든 조선식 활집.

1. 개요2. 상세3. 역사
3.1. 고려시대3.2. 조선시대

1. 개요

활을 보관하는 주머니. 주로 가죽으로 만들어졌다. 한국의 각궁은 실용성을 중시했기 때문에 중국식에 비해 디자인을 완전히 화려하게 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서 비교적 심플하게 만드는 데서 그치지만 활집은 실용성 관련해서 별 지장이 없기 때문인지 장인들의 예술정신이 유감없이 발휘되어 화려하게 디자인되는 것이 특징이다.

2. 상세

왠진 모르겠지만 한국에서 나오는 사극들을 보면 죄다 환도를 패용할 때 칼집이 앞을 보게 패용하는데, 실제로는 활집이 앞을 본다. 그리고 활집이 앞을 보게 하기 위해 칼집은 뒤로 보게 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주무기가 활이었으니까. 애초에 어지간히 무예 좀 뛰어나다 하는 옛 한국인들은 바로 앞에 있는 적도 그냥 활로 쏴서 처리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한국의 무협물을 찍고 싶으면 적을 만났을 때 칼집에서 칼부터 뽑는 게 아니라 활집에서 활을 일단 뽑고 대응하는 게 정확하다. 이 움짤에 나온 것처럼 그냥 활집에서 활을 뽑고 시위가 몸쪽을 향하도록 뒤집으면 끝이다.

파일:1629020200.jpg
화살집인 동개와 함께 묶은 세트는 동개일습[1]이라고 한다. 동개일습과 환도는 조선군의 기본 무장이었다.

파일:청궁대.jpg
청나라의 궁대는 위 사진과 같이 활집의 길이가 첩개만하고 밑이 터져 있어 활의 밑부분이 삐져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에 조선의 궁대는 무조건 각궁의 아랫부분은 전부 감싸게 두루 막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이 블로그에도 나와있듯 조선도 청나라의 영향을 받아 비록 길이는 길지만 아랫쪽이 터진 궁대가 존재하긴 했는 듯하다.

3. 역사

3.1. 고려시대

파일:image_4833585511504177927637.jpg
위 사진(몽고습래회사 중 일부분)에서 활을 쏘고 있는 고려군(봉황날개 투구)들의 무장을 보면 전형적인 고려활[2]이나 으로 무장했고 허리띠에는 활집과 동개를 차고 있는데, 이 활집과 동개가 조선시대와는 달리 긴 원통형에 가까우며 재질도 표범같이 이색적인 짐승의 가죽이 사용되는 등 조선시대에 비해 다양한 것을 볼 수 있다.
파일:활집2.jpg 파일:활집1.jpg
지금은 행방이 묘연한 이성계의 활집. 외계인님이 현대식으로 재해석한 모습
여말선초의 최고의 무사였던 이성계의 활집을 보면 역시 조선 후기의 양식인 버선형보다는.전기의 양식인 원통형에 가까운 것을 볼 수 있다. 전체적인 형태는 멧돼지 가죽으로 만든 바탕에다가, 누가 꽃무늬덕후 고려 아니랄까봐 모란꽃의 단면을 양각했다.[3]

3.2. 조선시대

파일:조선활집.jpg
맨 위에 나오는 이미지나 바로 위 이미지에 나오는 것처럼 가오리나 소같은 짐승의 가죽이 많이 사용되었다. 특이하게 가오리가 사용된 이유는 원래는 상어를 사용하여야 맞지만 상어가 너무 귀해서 비교적 흔한 가오리로 대체한 것. 이는 칼집과 손잡이를 어피로 감아야 하는 환도도 마찬가지.

조선 초까지만 해도 고려시대와 흡사한 활집이 많이 이용되었지만 후기로 가면서 모양도 버선형에 가까워지고 여러 장식도 많아지는 등 화려함의 극치를 달리게 된다.
[1] 정확히는 활과 화살 전부 패용한 상태[2] 각궁 문서 참고.[3] 600년전 태조 어궁구를 오늘에 되살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