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2:05:41

호준포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의 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사인검 · 월도 · 왜검 · 장검 · 창포검 · 환도 · 협도 · 쌍수도
당파 · 장창 · 낭선 · 기창 · 죽장창 · 요구창 · 겸창 · 이두표 · 표창
둔기 도끼(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발사
무기
궁(弓)시(矢)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장전, 편전(애기살)
화기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지뢰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개인화기 조총, 천보총, 대조총, 일총통, 이총통, 승자총통, 사전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레밍턴 롤링블럭, 스나이더-엔필드
화전・로켓 신기전 · 화차
방어구 갑(甲)군복 두정갑, 유엽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납의 · 철릭 · 구군복 · 포졸복
주(冑) · 군모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전립 · 주립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군장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전차・육상병기 화차 · 비거 마름쇠
전선(戰船)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파일:external/pds19.egloos.com/f0070021_4c3dcd9c0d51b.jpg

1. 개요2. 설명

1. 개요

虎蹲炮

근세 중국과 조선에서 사용했던 화포.

2. 설명

명나라의 장군 척계광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개발한 철제 화포로, 내부에 대량의 총탄을 넣고 쏴서 인마 살상에 특화된 화포였다. 이름인 호준포는 앞에서 보면 호랑이가 웅크린 모습처럼 보인다고 붙여졌다.

크기는 길이 43~77cm, 무기 24~46kg, 구경은 11~12cm이다. 한 번 쏠 때마다 화약 6냥(225g)을 소모했고 연환 70발이나 철환 30발 또는 커다란 납 포탄 1발을 발사했다. 최대 사거리는 2km이고 앞에 철제 다리가 2개 있어 곡사 사격이 가능했다. 기존 총통보다 가벼워서 운반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기존 총통보다 위력이 약하고, 전장식이라서 후장식인 불랑기포보다 연사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었다.

조선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군에 의해 도입되었다. 명군은 4차 평양성 전투에서 호준포와 불랑기포 등을 이용하여 평양성을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 인해 조선은 호준포에 관심을 가졌고 1593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광해군 시대 이후로 호준포는 불랑기포와의 경쟁에서 밀렸고[1] 조선군의 주력 화포는 불랑기포가 된다. 이후 호준포는 조선과 중국 모두에서 신호용 화포로 전락하게 되었다.

[1] 여진족의 위험이 거세지자 조선은 화기도감(火器都監)을 설치하여 1614년부터 1615년까지 불랑기 모포 60좌에 자포 300문을 양산했지만 호준포는 만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