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5 04:42:26

현대 벨로스터

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파일:현대자동차 심볼 화이트.svg
파일:2018 현대 벨로스터.jpg
파일:veloster_logo.png

1. 개요2. 모델별 설명3. 문제점 및 기타4. 기타5. 미디어
5.1. 게임5.2. 기타
6. 둘러보기

1. 개요

현대자동차에서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생산했던 2+1도어 전륜구동 준중형 해치백 모델이다. 현대자동차의 새로운 브랜드인 PYL의 첫 사용차종이며, 투스카니의 빈 자리를 어느 정도 메우기 위해 출시되었다. 단, 기존 스쿠프부터 티뷰론 - 투스카니의 전륜구동 스포츠 루킹[1] 쿠페의 직접적인 후속 차종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데, 쿠페 라인을 그리지만 기본적으로 쿠페가 아닌 해치백으로 분류되며, 성능면에서도 1/2세대 1.6T 모델은 웜해치로, 2세대 N은 핫해치로 분류되는 스포츠 모델이라 단순한 스포츠 루킹 카의 범주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

2. 모델별 설명

2.1. 1세대 (FS, 2011~2018)

파일:qcLQtc4.jpg 파일:Qhj4De6.jpg
파일:acrWbGN.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 벨로스터/1세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벨로스터/1세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벨로스터/1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2세대 (JS, 2018~2020/2022)[2]

파일:2018 현대 벨로스터 1.4T.jpg 파일:2018 현대 벨로스터 1.6T.jpg
<rowcolor=#ffffff> 1.4T 1.6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 벨로스터/2세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벨로스터/2세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벨로스터/2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문제점 및 기타

1~2세대 모두 공통적으로 머플러가 정중앙에 있기 때문에 겨울에 후방카메라 작동 시 머플러에서 나오는 증기 때문에 후방카메라가 잘 보이지 않는다. 구조적으로 어쩔 수 없는 탓인지 현대자동차 측에서 딱히 대응은 없는 상태.

4. 기타

파일:365PU3k.jpg
파일:t3q6v0s.jpg
파일:external/3.bp.blogspot.com/USA_sports-car-sales-chart-2014.png

5. 미디어

5.1. 게임

5.2. 기타

파일:antman_veloster.jpg

6. 둘러보기

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흰색).svg
현대자동차
차량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회색 글씨: 단종 차량
<colbgcolor=#002c5f><colcolor=#fff><rowcolor=#fff> 분류 승용 · SUV · RV · 승합버스트럭
19​60​년대
코티나 · 포드 20MR버스포드 D 시리즈
19​70​년대
포니 · 그라나다 · HD1000승합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HD버스 · RB버스 · D버스 · DK버스HD1000트럭 · 바이슨 · 대형트럭
19​80​년대
프레스토 · 포니엑셀 · 엑셀 · 스텔라 · 쏘나타 · 그랜저 · 그레이스 · 미쓰비시 프레시스코러스 · FB버스 · 에어로버스포터 · 마이티
19​90​년대
아토스/쌍트로(1세대) · 아토스 프라임 · 엑센트/베르나 · 엘란트라/아반떼(1세대) · 마르샤 · 다이너스티 · 에쿠스 · 스쿠프 · 티뷰론 · 갤로퍼 · 싼타모 · 트라제 XG · 스타렉스카운티 · 에어로타운 · 에어로시티중형트럭 · 슈퍼트럭
20​00​년대
i10 · 클릭 · i20 · i30 · 쏘나타 NFC · 투스카니 · 제네시스 · 제네시스 쿠페 · 라비타 · 투싼(ix35) · 싼타페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앙트라지 · 닷지 브리사 · 기아 천리마슈퍼 에어로시티 · 그린시티(구 글로벌900) · 카운티 Ⅲ · 유니버스리베로 · 메가트럭 · 뉴파워트럭 · 트라고
20​10​년대
이온 · 블루온 · HB20 · XCENT · 위에둥 · 아이오닉 · i40 · 미스트라 · 아슬란 · 벨로스터 · 아반떼 쿠페 · ix20 · 크레타 · 맥스크루즈 · 쏠라티 · 코나 · 레이나 · 넥쏘 · 라페스타 · 팰리세이드 · 베뉴블루시티 · 유니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엑시언트 · H350 · 루이웨/홍투 · 파비스
20​20​년대
아우라 · 포레스트 · 쿠스토 · 베이온 · 아이오닉 5 · 스타리아 · 알카자르 · 싼타크루즈 · 캐스퍼/인스터 · 스타게이저 · 아이오닉 6 · 무파사 · 엑스터 · 아이오닉 9 · 일렉시오예정 · 아이오닉 2예정 · EA1C예정모던 PUV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타운ST1}}}}}}}}}{{{#!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colbgcolor=#002c5f><rowcolor=#fff><colcolor=#fff>차급생산 차량단종 차량
승용​차
경차i10 · 아우라아토스 · 블루온 · 이온 · 쌍트로 · XCENT
소형​차엑센트 · i20 · HB20포니 · 엑셀 · 프레스토 · 클릭 · 베르나 · 닷지 브리사/기아 천리마 · 미쓰비시 프레시스 · 레이나 · 닷지 애티튜드
준중형​차아반떼 · i30포드 코티나 · 엘란트라 · 아반떼 쿠페 · 벨로스터 · 위에둥/셀레스타 · 라페스타
중형​차쏘나타 · 아이오닉 6코티나 · 스텔라 · 마르샤 · i40 · 쏘나타 NFC · 모인카 · 미스트라
준대형​차그랜저포드 20M · 그라나다 · 아슬란 · 다이너스티 · 제네시스
대형​차-에쿠스
스포츠​카-스쿠프 · 티뷰론 · 투스카니 · 제네시스 쿠페
SUV
경형 SUV캐스퍼 · 엑스터-
소형 SUV베뉴 · 코나 · 크레타 · 알카자르 · 베이온 · 인스터 · 아이오닉 2예정-
준중형 SUV투싼 · 아이오닉 5 · 무파사 · 일렉시오예정-
중형 SUV싼타페 · 넥쏘갤로퍼
준대형 SUV팰리세이드 · 아이오닉 9테라칸 · 베라크루즈 · 맥스크루즈
픽업​트럭
소형 픽업​트럭싼타크루즈픽업 · 포드 코티나 픽업
MP​V
소형 MPV-라비타 · ix20
준중형 MPV스타게이저싼타모
중형 MPV쿠스토트라제 XG
준대형 MPV-앙트라지
대형 MPV스타리아스타렉스
캠핑카-포레스트
상용​차
소형버스쏠라티그레이스 · HD1000
준중형버스카운티 · 모던 PUVD버스 · 코러스 · 카운티 Ⅲ
중형버스일렉시티 타운에어로타운 · 그린시티
준대형버스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R버스 · DK버스 · RB버스 · HD버스 · FB버스 · 에어로시티 · 블루시티 · 유니시티
대형버스유니버스 · 유니버스 FCEV​ ·일렉시티 이층버스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에어로버스
소형트럭포터 · H350 · ST1HD1000 · 리베로
준중형트럭마이티-
중형트럭루이웨/홍투 · 파비스바이슨 · 대형트럭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메가트럭
준대형트럭뉴파워트럭-
대형트럭엑시언트마루 · 트라고}}}}}}}}}
}}}
파일:현대 N 로고.svg · 파일:아이오닉 로고.svg · 콘셉트 카



[1] 성능이 일반적인 스포츠카들보다 낮기에 스포츠 루킹 카라고 불렸다.[2] 일반 사양은 2020년 12월에 먼저 단종되었다.[3] 사실 특이하기 보다는 한국과 상황이 달라서 그런 것으로 쏘울은 북미에서 박스카로 취급하는데 경쟁 박스카 중 가장 크고 가격도 합리적이어서 보통 인생 첫 차로 자주 추천되는 스테디셀러이다. 또한 벨로스터는 저가이면서 성능도 괜찮아 스팅어와 함께 가성비 좋은 스포츠카로 인식돼서 잘 나가는 것이다. 반대로 한국에선 여전히 스포티한 성능을 지닌 자동차 수요가 낮고 게다가 거의 안 팔리는 해치백이라 그런 것이다. 똑같이 대호평을 받은 K3 GT도 비슷한 이유로 안 팔리는 상황이다.[4] 호주,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 남아공, 레소토, 세이셸[5] 업데이트를 안해서 iOS 10까지 설치 할 수 있다.[6] 1세대 터보 모델[7] 처음부터 모두가 운전한것은 아니고, 한체급 아래인 챌린지급 차량을 타고 기록한 랩타임을 바탕으로 상위 2명만 맛보기 운전을 허락 받았다. 랩타임에선 유재석 1위, 정형돈 2위를 했는데 정형돈은 수동운전을 할 수 없어서 3위겸 수동운전이 가능한 정준하가 대신 탑승. 이후에도 KSF 출전할 때 유재석 정준하가 이 차량을 타고 출전하였다.[8] 사고로 엔진룸이 크게 손상되어서 그렇다. 정비사들이 내내 수리에 메달렸지만 그게 그렇게 쉽게 고쳐지지 않았다.[9] 참고로 2015년 시점에서는 오토뷰 기사 말고 다른 실험글이나 기사들이 전부 삭제된 상태이며, 이 항목 또한 이미 리그베다 위키 시절에 현기빠들의 손을 거쳐 관련 내용들이 삭제된 전적이 있다.[10] 한국에서 방송될 때 광고 끝부분은 국제판을 따라갔는데, 미국판처럼 현대차 로고가 줌인으로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페이드인으로 등장했지만, 대신 잘 어레인지된 현대차 징글이 흘러나왔다. 미국판 광고에서는 현대차 징글 없이 광고가 끝났다. 미국 광고, 국제판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