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4:59:32

폐건물/목록/경기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폐건물/목록
대한민국 국내 폐건물의 위치 정보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과거 목록

1. 가평군
1.1. 가평읍1.2. 청평면1.3. 상면1.4. 북면1.5. 조종면1.6. 설악면
2. 고양시
2.1. 일산서구2.2. 일산동구2.3. 덕양구
3. 과천시4. 광명시5. 광주시6. 구리시7. 군포시8. 김포시9. 남양주시10. 동두천시11. 부천시12. 성남시
12.1. 분당구12.2. 수정구12.3. 중원구
13. 수원시
13.1. 권선구13.2. 영통구13.3. 장안구13.4. 팔달구
14. 시흥시15. 안산시
15.1. 상록구15.2. 단원구
16. 안성시17. 안양시18. 양주시19. 양평군20. 여주시21. 연천군22. 오산시23. 용인시
23.1. 기흥구23.2. 수지구23.3. 처인구
24. 의왕시25. 의정부시26. 이천시27. 파주시28. 평택시29. 포천시30. 하남시31. 화성시

1. 가평군

1.1. 가평읍

1.2. 청평면

1.3. 상면

1.4. 북면


1.5. 조종면

1.6. 설악면

2. 고양시

2.1. 일산서구

2.2. 일산동구

2.3. 덕양구

3. 과천시

4. 광명시

5. 광주시

6. 구리시

7. 군포시

8. 김포시

9. 남양주시


10. 동두천시

11. 부천시

12. 성남시

12.1. 분당구

12.2. 수정구

12.3. 중원구

13. 수원시

13.1. 권선구


13.2. 영통구

13.3. 장안구

13.4. 팔달구

14. 시흥시

15. 안산시

15.1. 상록구

15.2. 단원구

16. 안성시

17. 안양시

18. 양주시

19. 양평군

20. 여주시

21. 연천군

22. 오산시


23. 용인시

23.1. 기흥구

23.2. 수지구

23.3. 처인구

24. 의왕시

25. 의정부시

26. 이천시

27. 파주시

28. 평택시

29. 포천시

30. 하남시

31. 화성시


[1] 폐건물 2채가 1개 필지에 있으며 도로명주소는 아직 없다.[2] 차량이 접근할 수 없는 등산로 루트에 있어 로드뷰가 없다.[3] 다만 이 웨딩홀도 2020년경 폐업했으며 2023년엔 성내5구역 재개발 중이다.[4] 2023년 12월 3일 기준 식당건물이 없어졌다.[5] 하지만 주차장쪽에있는 간판은 제거하지 않았다.[6] 건축물대장 상 명칭은 '성우주택'이나 카카오·네이버·구글 지도에서 모두 '아파트'로 나오고 인터넷에도 '아파트'라 호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아파트라 기재함.[7] 단 건축물 대장에는 이 3개의 건물이 하나의 단일 건물로 등록되어 있다.[8] 시설 내 게시판에 붙여진 수주 문학상 포스터와, 코로나 방지 포스터를 근거로 할 때, 정확히는 2020년 무렵부터 완전히 방치된 것으로 보인다.[9] 바로 옆 야인시대 촬영장에도 폐건물이 존재한다. 학교 모습의 1채, 화장실 건물 1채, 관리실 1채[10] 분당선 죽전역의 길 건너편에, 수지 레스피아와 전망대로 위장된 거대한 굴뚝이 있는 바로 그 자리의 지하에 위치하고 있다.[11] 도로변에서 가장 가까운 건물은 아직까진 그나마 멀쩡하나 그 뒤에 있는 건물은 그야말로 뼈대만 남고 옥상에 물탱크를 그대로 둔채 방치 중.[12] 생소한 이름부터 알 수 있듯, 60~70년대 군사정권에서 만든 공공기관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현재 수정구 수진역 인근에 있는 성남 문화의 집으로 예술문화 기능이 이전되었다.[폐업] 현재 폐업[14] 하술할 동막골 인근에 위치해있다.[15] 가게의 문에 2002 월드컵 스티커가 붙혀있는 것을 보았을 때 이전한지 오래가 지난 것 같다. 간판에 있는 로고는 무려 1975년부터 1996년까지 쓴 마크(!)이며, 전화번호도 현재는 사라진 두 자리 수 국번으로 나와있다. 즉, 엄청나게 오래된 가게였다는 뜻이다.[16] 건물 소유권에 대한 유치권이 걸려 있는듯.[17] 특히 시계탑 외벽, 식품 매장이 1층이 아닌 다른 층에 있는 특이한 구조 등 홈플러스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요소들은 전부 이 점포에서 처음 적용되었다. 호텔신라 제휴 베이커리였던 '아티제 블랑제리' 역시 이 점포에서 최초로 도입되었다.[18] 이 때문에 주차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2003년과 2012년 두 번에 걸쳐 2개 층을 증축했음에도 주말이나 휴일이면 항상 주차장이 모자랐을 정도였다.[19] 건물에 승강기가 총 4대가 존재하며 전층 운행하는 2대와 1~6층만을 오가는 셔틀용 승강기 2대로 이루어져 있는데 후자의 셔틀용 승강기가 영화관 전용으로 추정된다.[20] 당시는 1층 출입구와 씨너스가 위치한 층만 개방하고 나머지 층은 사람들이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놨다.[21] 걸어서 올 수 있는 아파트 단지만 해도 4단지 이상인데다 바로 앞에 안산종합버스터미널홈플러스 안산고잔점이 있어서 영화관 장사가 잘 된다.[22] 실제로 기독교한국침례회 홈페이지에서 지역별 지방회 목록을 살펴보면 다른 지역은 인구 990만명인 서울만 31개일 뿐 도단위의 경우 잘해야 도시별로 1개, 대도시의 경우는 많아야 4~5개 수준인데 비해 인구 154만명에 불과한 대전에는 무려 15개의 지방회가 있다. 비슷한 인구수를 가진(151만명) 강원도만 해도 지방회는 6개에 불과하며, 인접 지역인 충북(159만명)은 7개, 충남(211만명)은 12개다. 이를 지역별 인구수 대비로 환산해 보면 서울이 지방회당 31만 9천명, 강원도는 지방회당 25만 1천명, 충북은 22만 7천명, 그나마 밀도가 높은 편인 충남도 17만 6천명 정도의 인구를 커버하는데 비해 대전은 지방회당 10만 3천명 정도 밖에 커버하지 않아 그만큼 인구 대비 침례교회의 비중이 높다는 결과가 나와 침례회의 지역 편중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국내에서 침례교인 비중이 대전보다 높은 지역은 경상북도 울릉군 정도. 침례교회가 극소수인 광주광역시호남 지방이나 강원도, 제주도 등지에서는 침례교를 이단으로 오해하는 사례도 적지 않음을 감안하면 이는 심각한 수준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흠좀무[23] 일각에서는 과거 해당 부지에 체육회관을 건립하는 방안이 활발히 논의됐던 만큼 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앞서 안양시는 지난 2012년 해당 부지에 사업비 128억 원을 투입해 연면적 6천500㎡ 규모의 체육회관을 건립, 지하 2층 주차장, 지하 1층 헬스장 및 식당, 지상 1층 사무실, 지상 2ㆍ3층 선수 합숙소 등으로 활용하기로 하고 타당성 조사용역과 체육회관 기본 및 실시설계까지 완료한 바 있으나 같은 해 10월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중단했던 바가 있다.[24] 하이라이트 부분에 리무진이 터지는데 리무진이 터지는 그 장소가 용두휴게소이다[25] 무비에서는 외국의 건물처럼 나왔는데, 뮤직비디오를 찍고도 그대로 있는 걸을 보아 용두휴게소에 CG를 입힌것으로 추정된다[26] 주유소 부분이 GS칼텍스 주유소다. 무료세차가 적혀있었던곳에 뮤비에서는 ring ring이라 적혀있다 그래서 무료세차 간판이 철거됐다[27] 현 용문로. 6번 국도는 2000년대 초반 확장되면서 산 중턱으로 이설 되었다.[28] 정확한 위치는 구 용문역 진입 전의 구간. 이 콘도가 차창 밖에 보일 무렵에 열차 정차 안내방송이 송출되곤 하였으며 2008년 10월 이후로 중앙선이 개량된 복선 전철 구간으로 이설 되면서 현재는 양평 레일바이크로 운영 중이다.[29] 그 무렵에 6번 국도의 개통으로 수요가 점차 줄어든 것도 하나의 요인인 것으로 보인다. 또, 각 방을 개인에게 분양했었고 이런 이유로 철거도 못하게 된 상태라고 한다.[30] 카카오맵 스카이뷰를 2015년으로 돌려보면 북쪽의 가장 큰 건물이 전소된 것을 볼 수 있다. 이후 전소된 건물은 철거되고 기단부만 남아 있다.[31] 현재는 폐업하였다.[32] 일제강점기의 이상재와는 동명이인으로, 병자호란 당시 인조가 피란 중이던 남한산성으로 진군하다가 전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3] 이후 여기도 문을 닫고 기흥역금융센터로 이전했다.[34] 여기는 코로나로 문을 닫은 것으로 보인다.[35] 본격적으로 플랫폼시티가 개발되기 시작하면 철거될 것으로 보인다.[36] 여담이지만 치킨팝이 한 동안 시장에 안보였던 이유가 이 화재사고 때문이다.[37] 참고로 롯데월드가 약 12만 제곱미터 정도다.[38] 레스토랑 건물이다.[39] 037버스가 다녔었다.[40] 여담으로 유튜브 크리에이터 허팝이 컨텐츠를 위해 이 폐교를 소유주한테서 며칠간 빌린 적이 있다.[41] 방송장비는 마을회관이 옮겨놓은 듯 하다.[42] 복원을 하려면 DMZ 평화 박물관 형태로도 가능하지만 이득이 별로 없다.[43] 현재 롯데마트 맥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2 (이전 역사)
문서의 r38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