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8:27:26

칼앤서니 타운스

타운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c2340><tablebgcolor=#0c2340> 파일:Timberwolves.png미네소타 팀버울브스
2023-24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c2340,#ddd
<colbgcolor=#0c2340><colcolor=#fff> 감독 크리스 핀치
코치 마이커 노리 · 파블로 프리히오니 · 케빈 벌리슨 · 케빈 헨슨 · 엘스턴 터너
가드 0 제일런 클락TW 파일:부상 아이콘.svg · 6 조던 맥러플린 · 9 니킬 알렉산더워커 · 10 마이크 콘리 · 12 다이센 닉스TW · 23 몬테 모리스
가드-포워드 5 앤서니 에드워즈
포워드 1 카일 앤더슨 · 3 제이든 맥대니얼스 · 7 웬델 무어 Jr. · 20 조시 마이낫 · 24 T.J. 워렌 · 33 레너드 밀러
포워드-센터 11 나즈 리드 · 32 칼앤서니 타운스
센터 27 루디 고베어 · 55 루카 가자
* TW : 투웨이 계약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
칼앤서니 타운스 관련 틀
{{{#!folding ▼
칼앤서니 타운스의 수상 이력
{{{#!foldi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47 1948 1949 1950 1951
클리프턴 맥넬리 앤디 톰코비치 하위 새넌 찰리 쉐어 진 멜치오레
1952 1953 1954 1955 1956
마크 워크맨 레이 펠릭스 프랭크 셀비 딕 리켓츠 쉬고 그린
1957 1958 1959 1960 1961
로드 헌들리 엘진 베일러 밥 부저 오스카 로버트슨 월트 벨라미
1962 1963 1964 1965 1966
빌 맥길 아트 헤이맨 짐 반스 프레드 헤츨 카지 러셀
1967 1968 1969 1970 1971
지미 워커 엘빈 헤이스 루 앨신더 밥 레이니어 오스틴 카
1972 1973 1974 1975 1976
라루 마틴 더그 콜린스 빌 월튼 데이비드 톰슨 존 루카스
1977 1978 1979 1980 1981
켄트 벤슨 마이칼 탐슨 매직 존슨 조 베리 캐롤 마크 어과이어
1982 1983 1984 1985 1986
제임스 워디 랄프 샘슨 하킴 올라주원 패트릭 유잉 브래드 도허티
1987 1988 1989 1990 1991
데이비드 로빈슨 대니 매닝 퍼비스 엘리슨 데릭 콜먼 래리 존슨
1992 1993 1994 1995 1996
샤킬 오닐 크리스 웨버 글렌 로빈슨 조 스미스 앨런 아이버슨
1997 1998 1999 2000 2001
팀 던컨 마이클 올로워칸디 엘튼 브랜드 케년 마틴 콰미 브라운
2002 2003 2004 2005 2006
야오밍 르브론 제임스 드와이트 하워드 앤드류 보것 안드레아 바르냐니
2007 2008 2009 2010 2011
그렉 오든 데릭 로즈 블레이크 그리핀 존 월 카이리 어빙
2012 2013 2014 2015 2016
앤서니 데이비스 앤서니 베넷 앤드류 위긴스 칼앤서니 타운스 벤 시몬스
2017 2018 2019 2020 2021
마켈 펄츠 디안드레 에이튼 자이언 윌리엄슨 앤서니 에드워즈 케이드 커닝햄
2022 2023 2024 2025 2026
파올로 반케로 빅터 웸반야마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52-53 1953-54 1954-55 1955-56 1956-57
돈 메이네케 레이 펠릭스 밥 페팃 모리스 스톡스 톰 하인슨
1957-58 1958-59 1959-60 1960-61 1961-62
우디 솔즈베리 엘진 베일러 윌트 체임벌린 오스카 로버트슨 월트 벨라미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6-67
테리 디싱거 제리 루카스 윌리스 리드 릭 배리 데이브 빙
1967-68 1968-69 1969-70 1970-71 1971-72
얼 먼로 웨스 언셀드 루 앨신더 데이브 코웬스
제프 페트리
시드니 윅스
1972-73 1973-74 1974-75 1975-76 1976-77
밥 맥아두 어니 디그레고리오 자말 윌키스 앨번 애덤스 애드리언 댄틀리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월터 데이비스 필 포드 래리 버드 대럴 그리핀 벅 윌리엄스
1982-83 1983-84 1984-85 1985-86 1986-87
테리 커밍스 랄프 샘슨 마이클 조던 패트릭 유잉 척 퍼슨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1-92
마크 잭슨 미치 리치몬드 데이비드 로빈슨 데릭 콜먼 래리 존슨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샤킬 오닐 크리스 웨버 그랜트 힐
제이슨 키드
데이먼 스타더마이어 앨런 아이버슨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1-02
팀 던컨 빈스 카터 엘튼 브랜드
스티브 프랜시스
마이크 밀러 파우 가솔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아마레 스타더마이어 르브론 제임스 에메카 오카포 크리스 폴 브랜든 로이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케빈 듀란트 데릭 로즈 타이릭 에반스 블레이크 그리핀 카이리 어빙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데미안 릴라드 마이클 카터윌리엄스 앤드류 위긴스 칼앤서니 타운스 말콤 브록던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벤 시몬스 루카 돈치치 자 모란트 라멜로 볼 스코티 반스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파올로 반케로 빅터 웸반야마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85-86 1986-87 1987-88 1988-89 1989-90
래리 버드 래리 버드 래리 버드 데일 엘리스 크레이그 호지스
1990-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크레이그 호지스 크레이그 호지스 마크 프라이스 마크 프라이스 글렌 라이스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팀 레글러 스티브 커 제프 호나섹 (NBA 파업) 제프 호나섹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레이 앨런 페자 스토야코비치 페자 스토야코비치 보숀 레너드 퀸튼 리차드슨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디르크 노비츠키 제이슨 카포노 제이슨 카포노 대쿠안 쿡 폴 피어스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제임스 존스 케빈 러브 카이리 어빙 마르코 벨리넬리 스테판 커리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클레이 톰슨 에릭 고든 데빈 부커 조 해리스 버디 힐드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스테판 커리 칼앤서니 타운스 데미안 릴라드 데미안 릴라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제이슨 키드 배런 데이비스 스티브 내시 드웨인 웨이드 드웨인 웨이드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데런 윌리엄스 데릭 로즈 스티브 내시 스테판 커리 토니 파커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데미안 릴라드 데미안 릴라드
트레이 버크
패트릭 베벌리 칼앤서니 타운스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스펜서 딘위디 제이슨 테이텀 뱀 아데바요 도만타스 사보니스 재럿 앨런
에반 모블리
다리우스 갈랜드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워커 케슬러
콜린 섹스턴
조던 클락슨
마일스 터너
베네딕트 매서린
타이리스 할리버튼
- - - }}}}}}}}}}}}

베스트팀
파일:NBA 로고.svg
3rd : 2017-18 · 2021-22
파일:NBA 로고.svg
}}} ||
칼앤서니 타운스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등번호 32번
로니 투리아프
(2013~2014)
칼앤서니 타운스
(2015~)
현역
}}} ||
}}} ||
파일:칼타주1.png
<colbgcolor=#0c2340><colcolor=#fff>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No. 32
칼앤서니 타운스 주니어
Karl-Anthony Towns Jr.
출생 1995년 11월 15일 ([age(1995-11-15)]세)
뉴저지 주 에디슨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
[[미국|]][[틀:국기|]][[틀:국기|]]
출신학교 켄터키 대학교
신장 211cm (6' 11") [1]
체중 112kg (248 lbs)
윙스팬 222cm (7' 3.25")
포지션 센터 / 파워 포워드[2]
드래프트 2015 NBA 드래프트 1라운드 1순위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지명
소속 팀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2015~)
등번호 32번 - 미네소타
12번 - 도미니카 공화국 농구 국가대표팀
계약 2019-20 ~ 2023-24 / $158,253,000
2024-25 ~ 2027-28 / $234,572,800
연봉 2023-24 / $36,016,200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수상 내역4. NBA Career Statistics5. 국가대표6. 플레이 스타일7. 여담

[clearfix]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 국적의 NBA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소속 농구선수. 포지션은 센터, 포워드.

늑대군단의 레전드 케빈 가넷의 뒤를 잇는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의 프랜차이즈 스타이다.

2015년 드래프트 1라운드 1순위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에 지명되었다. 데뷔 이후 만 19세의 나이에 NBA 리그 역사상 최초로 데뷔 후 두 경기 연속으로 더블더블을 기록한 10대 선수가 되었다. 데뷔전 14점 12리바운드, 두 번째 경기 28점 14리바운드 그리고 4블록이다. 2015-16 시즌 82경기에 전부 출전해 평균 32분을 뛰면서 18.3득점(FG% .543) 10.5리바운드 1.7블락을 기록하며 역대 다섯 번째[3]로 만장일치 신인왕이 되었다.

2017년 11월 14일, 역대 두번째로 만 22세 생일 이전에 3000득점 2000리바운드를 기록한 선수가 되었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칼앤서니 타운스/선수 경력
파일:NBA 로고.svg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3.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NBA-Allstar2021.png NBA 올스타 4회 (2018-2019, 2022, 2024)
파일:NBA 로고.svg 올-NBA 서드 팀 2회 (2018, 2022)
파일:NBA 로고.svg NBA 신인왕 (2016)
파일:NBA 로고.svg NBA 올-루키 퍼스트 팀 (2016)
파일:NBA 로고.svg NBA 3점슛 콘테스트 챔피언 (2022)

4. NBA Career Statistics

[ 정규시즌/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 시즌 || 경기수 || 시간 || 필드골 || 3점슛 || 자유투 || 득점 || 리바운드 || 어시스트 || 스틸 || 블락 || 턴오버 || 트루슈팅 || PER ||
15-16 82 32.0 .542 .341 .811 18.3 10.5 2.0 0.7 1.7 2.2 .590 22.5
16-17 82 37.0 .542 .367 .832 25.1 12.3 2.7 0.7 1.3 2.6 .618 26.0
17-18 82 35.6 .545 .421 .858 21.3 12.3 2. | 0.8 1.4 1.9 .646 24.9
18-19 77 33.1 .518 .400 .836 24.4 12.4 3.4 0.9 1.6 3.1 .622 26.3


[ 플레이오프/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 시즌 || 경기수 || 시간 || 필드골 || 3점슛 || 자유투 || 득점 || 리바운드 || 어시스트 || 스틸 || 블락 || 턴오버 || 트루슈팅 || PER ||
17-18 5 34.0 .467 .273 .739 15.2 13.4 2.2 0.4 1.0 2.4 .542 16.9

5. 국가대표

파일:타운스DM.jpg
어머니의 모국인 도미니카 공화국에 합류한다.

6. 플레이 스타일

파일:towned.0.gif

지미 버틀러가 말했듯이 타운스는 NBA 전체를 놓고봐도 손꼽히는 재능이고, 미네소타가 품어온 선수들 중에서는 가넷을 제하면 그야말로 최고의 보석이다. 신장 211cm의 선수가 코트를 뛰어다니며 속공 전개가 가능하고, 포지션 대비 훌륭한 스킬셋과 핸들링을 가지고 있으며, 심지어 3점슛은 40% 가까이 쏘며 골밑, 미드레인지, 3점 라인 등 모든 구역에서 득점을 해낸다. 여기에 리바운드도 최상위권으로 가진 재능 자체는 탑티어인 선수였다. 이후 조엘 엠비드, 니콜라 요키치등 본인 공격재능을 아득히 상회하는 MVP급 빅맨들이 득세하며 애매해진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뛰어난 점은 슈팅. NBA 역대 빅맨을 통틀어서 역대급 슛터치를 갖고 있다. 80%를 넉넉히 넘기는 자유투 성공율을 자랑하며[4], 미드레인지 게임은 물론이고 3점 슛 40%[5]를 찍는 중이다. 현재 NBA에 있는 빅맨 중 가장 뛰어난 중장거리 슈팅을 지녔고, 7풋 슈터라고 표현해도 부족함이 없을 정도이다. 현 시점 KAT만큼 3점을 잘 쏘는 빅맨을 뽑으라 하면 없다. 그나마 딥쓰리를 자주 시도하는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가 사거리 면에서는 우위를 점하나 KAT가 성공률만 따지면 5% 가까이 더 높다. 그 외에도 좋은 성공률을 보여주는 빅맨은 있으나 KAT처럼 경기당 5개를 던지면서 40%의 높은 적중률을 기록하는 빅맨은 없다.[6]다른 대부분의 3점이 가능한 빅맨과는 달리, 드리블 후 풀업 3점까지 거리낌없이 쏘면서 여타 빅맨 슈터들과는 궤를 달리한다. 훅슛이나 포스트업 등 공격 기술은 고루고루 좋은 수준인데, 특히 가끔 페이스업 후 빅맨답지 않은 핸들링과 스피드로 골밑으로 닥돌하는 모습도 보여준다.[7]

좋은 사이즈와 윙스팬을 갖고 있으며, 민첩성과 힘 역시 좋은 편이다. 스피드도 괜찮아 역습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빅맨임에도 굉장히 좋은 핸들링과 저돌성을 갖고 있어서 탑에서 직접 돌파 시도를 하는 경우가 많다. 특유의 볼을 움켜쥔 채 파고드는 돌파는 시그니처 무브라고 할 수 있다. 돌파 후에는 긴 팔을 이용해 레이업을 올려 놓는 경우가 많다. BQ가 상당히 좋아 패스 게임에도 가능성을 보인다.

리바운드나 블록슛에도 재능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인사이드에서의 포스트업 스킬셋은 아직 투박한 면이 있어 좀 더 다듬을 필요가 있으며[8], 파울 관리 능력에서 약점을 보인다.[9]

수비에 대한 평은 좋은편은 아니었으나, 23-24시즌부터 그간 아쉬웠던 수비력도 많이 나아졌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대학시절에는 수비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던 빅맨이었고, 초창기 팀에서는 루디 고베어앤서니 데이비스와 같은 거점수비형 빅맨으로 성장을 기대하여 많은 역할과 책임을 부여하였으나, 골밑 수비, 2:2 수비, 스위치 상황에서의 앞선 수비 등 모든 면에서 처음의 기대치에 많이 미치지 못하는 편이었다. 7풋의 신장, 나쁘지 않은 윙스팬, 뛰어난 운동능력, 신장과 체중으로부터 나오는 힘과 근력 등 가지고 있는 수비툴 자체는 엄청나게 좋은 편이라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그가 수비를 못하진 않는다는 팬들의 주장도 있기는 하나[10], 수비를 못하는 (혹은 안하는) 공격형 센터의 이미지는 벗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했던 바와 같이 23-24시즌 들어 수비력이 개선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팀의 투빅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용되면서, 팀의 수비 핵심 거점으로서 많은 책임을 지우는 역할을 더 이상 타운스에게 요구하지 않게 되었다. 이에 따라 철저하게 팀의 수비시스템의 한 조각으로서 움직이면서, 빅맨에 대한 대인수비 및 고베어 혹은 리드가 외곽으로 끌려나갈 경우 골밑 수비에 집중하게 되었고, 자신의 수비툴을 잘 활용하여 좋은 대인수비로 팀 수비에 도움을 주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가장 인상적이었던건 덴버 너기츠와의 플레이오프 시리즈로, 요키치를 상대로 힘에서 전혀 밀리지 않으면서도 페이크를 섞은 다양한 무브를 스텝으로 전부 쫓아다니면서 슛 시도 자체를 어렵게 만들었고, 이로 인해 요키치가 외곽으로 밀려나가 3점슛을 많이 던지게 만들어 야투율을 43%대로 묶으면서, 팀이 컨퍼런스 파이널에 진출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어찌보면 미네소타에서 타운스 바로 윗세대의 에이스였던 케빈 러브와 완전히 대조되는 케이스이다. 러브의 경우 수비 자체는 열심히 하는 편이지만 낮은 신장, 짧은 팔, 리그 주전급 선수들 중 최하위를 다투는 운동능력이 시너지를 이루어 동급대비 강한 힘을 제하곤 4~5번 중 어느 포지션으로도 신체적 메리트가 없었기 때문. 타운스는 러브처럼 피지컬과 운동능력에 발목을 잡히는 타입은 전혀 아니고, 따라서 수비 잠재력의 측면에선 러브와는 비교할 수 없이 낫다. 실제로 드래프트 당시 뛰어난 수비 재능으로 많은 기대를 받았으나[11], 엉뚱하게도 공격에서 크게 폭발해버려 처음 예상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성으로 포텐이 터진 케이스이다.[12]

서드팀을 수상한 17-18시즌 이후 개인의 폼 자체는 올스타에 준하는 기량을 꾸준히 유지하는 중이지만 그렇다고 요키치, 엠비드의 MVP급 퍼포먼스에는 근접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전 앤드류 위긴스, 지미 버틀러와 함께 하던 시절을 지나 앤서니 에드워즈, 디안젤로 러셀, 루디 고베어 등 준수한 팀원들의 합류에도 팀을 반등시키지 못하며 플옵 턱걸이용 선수라는 오명을 벗어내질 못하고 있다. 타운스 나름대로는 루틴에 엄하고 성실하며, 워크에틱 자체는 좋다고 하는 평이 있으나, 주축 선수로서 팀을 하나로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으며, 플옵, 엘리미네이션 경기 등 중요한 경기 때엔 공수의 중심이 되어 활약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파울트러블에 빠져 벤치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매년 빅3급 구성이 이루어지는 상황에도 성적을 내지 못하는 이유야 한두번은 서로의 핏이 안맞는다는 핑계가 가능하겠지만 이제는 그런 변명도 어렵다. 오히려 앤트맨은 시리즈를 내주는 와중에도 번뜩이는 모습과 근성, 매년 개선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으니 더 이상은 미네소타의 1옵이라 보기 어려운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어쨌든 터줏대감인 타운스도 발맞춰 본인의 플레이를 더 가다듬어야 미네소타의 반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2024년에 들어 본인이 팀의 1옵션 자리에서는 내려왔지만, 앤서니 에드워즈, 루디 고베어의 영입에 발맞추어 변화된 롤을 받아들이고, 수비와 프런트코트 링커로서 발전된 모습을 보이며 팀을 컨퍼런스 파이널까지 진출시키는 데 성공시켰다. 이로 인해 그간 받았던 많은 비난과 비판들을 스스로의 능력과 활약으로 희석시켰다.

7. 여담



[1] 맨발 기준 211cm (6' 11") / 착화 신장 213cm (7' 0")[2] 언제나 센터로 뛰어왔지만 또다른 All-NBA 급 센터인 루디 고베어가 미네소타로 합류했기에 앞으로는 주 포지션을 파워 포워드로 가져가게 되었다. 둘이 동시에 나오지 않는다면 센터로 나온다.[3] 랄프 샘슨, 데이비드 로빈슨, 블레이크 그리핀, 데미안 릴라드에 이은 다섯번째 만장일치 신인왕이다.[4] 커리어 평균 83.2%.[5] 커리어 평균 4.1개 시도, 1.6개 성공으로 39.7%를 기록했고, 21-22시즌 평균 41%(2.0/4.9)라는 전문 슈터급 기록을 찍었다.[6] 2021-22 시즌 들어 요나스 발렌슈나스가 비슷한 성공률을 보여주고는 있으나 리딩 능력, 개인 공격력에선 타운스에 비해 상당히 차이가 난다. 타운스는 3점 라인 안쪽에서의 개인 공격력만으로도 어느 팀에서나 1옵션을 담당할 수준이 되기 때문이다.[7] 타운스는 빅맨 포지션으로 스킬 챌린지에서 우승하였으며, 3점 콘테스트 마저 우승했다.[8] 다만 투박함에 비해 골밑 야투율은 굉장히 높은 편이다.[9] 이 문제도 차차 개선되어 파울 아웃을 당하는 일은 거의 없다.[10] 샥틴 어 풀 등의 방송으로 과도하게 폄하받는다는 주장.[11] 사실 공격력보다 수비력에서 훨씬 높은 평가를 받았다. 수비력은 드래프트 당시에도 당장 즉전감으로 평가 받았을 정도였지만 공격에서는 성장에 시간이 다소 걸릴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의 상황이 되어버린 것[12] 농담으로 팀 레전드인 케빈 가넷을 기대하고 뽑아왔지만 디르크 노비츠키가 왔다고 말하기도 한다. 물론 어디까지나 농담성 발언이지 실제로 노비츠키와 KAT는 슛터치가 좋다는 공통점 외에는 플레이 스타일은 상당히 다르다.[13] 한국에서는 앤써니 운스 니어를 줄여 칼타주라고도 한다.[14] 저 정도 공격력이면 수비 좀 못해도 되지 않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수비력이 낮아도 다른 팀원들과 시스템으로 어느정도 가릴 수 있는 타 포지션과 달리, 센터의 수비력이 후달리면 그걸 커버해 주기란 굉장히 힘든 일이다. 당장 공격기량은 올스타 클래스인 에네스 칸터가 어중간한 출전시간만 받으며 벤치 에이스 롤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가 수비력 부족이다.[15] 오피셜 뮤직비디오 6분4초부터 보인다[16] 사실 "2010년대의 센터들이 90년대 센터들보다 떨어진다"는 소리는 "현재의 센터들이 과거의 센터들보다 떨어진다는 소리가 결코 아니다. 90년대 이전에도 MVP 상위 5명 중 4명이 센터로 채워지던 시대는 없었기 때문. 즉, "90년대에 비해 센터 뎁쓰가 떨어진단 소리는 단순히 팩트를 지적한 것이지 현재 센터들에 대한 폄훼라고 볼 순 없다.[17] 클로이 카다시안의 파트너 트리스탄 톰슨과 바람난 카일리 제너의 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