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게야마 카즈오의 관련 틀 | ||||||||||||||||||||||||||||||||||||||||||||||||||||||||||||||||||||||||||||||||||||||||||||||||||||||||||||||||||||||||||||||||||||||||||||||||||||||||||||||||||||||||||||||||||||||||||||||||||||||||||||||||||||||||||||||||||||||||||||||||||||||||||||||||||||||||||||||||||||||||||||||||||||||||||||||||||||||||||||||||||||||||||||||||||||||||||||||||||||||||||||||||||||||||||||||||||||||||||||||||||||||||||||||||||||||||||||||||||||||||||||||||||||||||||||||||||||||||||||||||||||||||||||||||||||||||||||||||||||||||||||||||||||||||||||||||||||||
|
| |
카게야마 카즈오 蔭山和夫 | |
출생 | 1927년 1월 16일 |
일본 제국 오사카부 오사카시 | |
사망일 | 1965년 11월 17일 (향년 38세)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166cm, 64kg |
포지션 | 3루수 |
출신학교 | 구제 오사카부립 이치오카중학교 - 와세다대학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입단 | 1950년 |
소속팀 | 난카이 호크스(1950~1959) |
지도자 경력 | 난카이 호크스 수석코치(1960~1965[1]) 난카이 호크스 감독(1965)[2] |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선수, 지도자.2. 선수, 코치 시절
오사카 출신으로 구제 이치오카 중학교 및 와세다대학을 졸업했으며 와세다대학 재학 시절엔 야구부의 3회 리그 우승을 이끌며 전경기 출장 및 당시 통산 득점 1위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대학 졸업 후 1950년 고향 오사카의 난카이 호크스에 입단해 곧바로 주전 3루수 자리를 꿰찼고, 이듬해인 1951년엔 타율 .315 42도루, 2년 연속 3루타 1위(13개)로 맹활약하며 퍼시픽리그 신인왕을 수상하였다.[3] 3루수로서 나무랄 데 없는 출중한 수비[4]를 보여주었고, 슬러거 유형의 타자는 아니어서 두 자릿 수 홈런을 넘긴 적은 없지만 3년 연속(1950~1952)을 포함한 4번의 3루타 1위와 2번의 3할 타율을 기록하는 등 빠른 발과 날카로운 타격을 자랑했다.
난카이가 처음으로 일본시리즈를 제패한 1959년을 끝으로 881안타, 53홈런, 302타점, 214도루, 타율 .264라는 통산 성적을 남기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현역에서 은퇴한 이듬해인 1960년 시즌부터 난카이의 수석 코치로 츠루오카 카즈토 감독을 보좌하였고, 1962년 성적 부진으로 중도 퇴진을 선언한 츠루오카 감독을 대신해 감독대행으로써 츠루오카가 퇴진을 철회하고 복귀할 때까지 팀을 이끌며 그 해 난카이가 시즌 2위를 마크하는 데 공을 세우는 등 야구계에서 카게야마를 뛰어난 이론가로 추켜세울 정도로 지도자로써도 검증된 인물이었다.
그렇게 지도자로써의 능력을 인정받아 1965년 시즌 종료 후 퇴임을 선언한 츠루오카의 후임으로 드디어 정식 감독으로 취임하게 됐으나, 여기서 얼마 못 가 예상하지 못한 비극이 찾아오고 말았다.
3. 감독 취임, 4일 만의 급사
|
1965년 11월 13일, 감독 취임회견장에서 전임 츠루오카와 악수하는 카게야마 |
수석 코치로의 능력을 이미 충분히 검증받으며 모두의 기대와 함께 난카이의 감독에 취임한 카게야마였지만, 막상 카게야마 본인은 전임 츠루오카의 업적이 워낙 대단했던 데다 츠루오카가 난카이에서 수십 년을 선수와 감독으로써 이뤄낸 업적들을 수성해야 한다는 중압감 때문에 말로 표현 못할 스트레스로 고생하고 있었고 이 때문에 노이로제로 인한 불면증에 시달려 매일 밤 브랜디와 수면제에 의지하여 억지로 잠을 청할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감독 취임 발표 후 불과 4일 만인 1965년 11월 17일[5], 감독으로써의 중압감으로 인해 쇠약해질 대로 쇠약해져버린 카게야마는 자택 응접실에서 쓰러진 채 가족들에게 발견되어 황급히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심장정지 상태에 빠져 끝내 소생하지 못한 채 급성 피신기능부전으로 사망했다. 향년 38세. 병원으로 이송될 때 카게야마는 어머니에게 "노무라에게 할 말이 있다"라고 말했고 이것이 유언이 되고 말았다.
츠루오카 시대를 마감하고 카게야마를 감독으로 세워 새롭게 출발하려던 난카이는 카게야마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큰 슬픔에 빠짐과 동시에 구단 내부에서 "츠루오카를 다시 감독으로 부르자"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처음엔 "자신은 이제 난카이를 떠난 사람이다"라며 복귀 요청을 거절한 채 도쿄 오리온즈, 산케이 아톰즈와 이적 협상을 진행하던 츠루오카도 결국 비극을 맞이한 난카이의 사정을 차마 외면하지 못하고[6] 카게야마가 죽은 후 3일 만인 11월 20일에 "카게야마의 유지를 잇겠다"는 선언과 함께 다시 난카이의 감독으로 복귀해달라는 요청을 승낙하며 1968년까지 3년 동안 난카이의 감독직을 한 번 더 수행한 후 현장에서 완전히 은퇴했다.[7]
그렇게 난카이의 새 얼굴로 기대받던 카게야마 카즈오의 신임 감독 취임은 그 결실을 볼 준비를 하기도 전에 카게야마 본인의 4일 만의 급사라는 슬픔으로 끝나고 말았다.
[1] 1962년 시즌 도중 감독대행을 맡기도 했다.[2] 후술하겠지만 갑작스런 사망으로 정식으로 임기를 치르진 못했다.[3] 일본프로야구 신인왕은 1950년 신설되었는데, 1951년 신인왕은 1950년에 입단한 선수까지 포함하여 선정하였다. 1951년 센트럴리그 신인왕도 카게야마와 같은 2년차였던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마츠다 키요시였다.[4] 1루수 이이다 토쿠지, 유격수 키즈카 타다스케, 3루수 카게야마 카즈오의 내야진은 모두 빼어난 수비력을 보여 당시 난카이의 내야진은 '100만 달러의 내야진'이라는 별명이 붙었다.[5] 이날은 일본프로야구 초대 드래프트가 개최되는 날이었다.[6] 카게야마가 급사한 직후, 아침이 채 되기도 전에 카게야마의 부고를 전해들은 츠루오카는 차기 감독 협상을 위해 당일 예정되어 있었던 도쿄 상경을 연기한 채 카게야마의 빈소를 찾아가 "내가 카게야마를 죽게 한 것 같다"라고 통곡했다고 한다.[7] 당시 츠루오카는 난카이로 돌아오기 전 도쿄와 산케이 중 어느 팀으로 가려 했는지 침묵을 지켰지만, 도쿄 오리온즈의 구단주였던 나가타 마사이치가 1985년 별세했을 때 기자들에게 "그 분(나가타)에게 신세를 지려 했다"고 이야기하며 도쿄와의 계약 의사가 있었음을 넌지시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