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00:32:00

카게야마 카즈오

카게야마 카즈오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35년~
초대
타카스 카즈오
(1938~1940)
2대
미타니 하치로
(1941~1942)
3대
카토 키사쿠
(1942)
4대
타카다 카츠오
(1943)
5대
카토 키사쿠
(1943~1944)
6대
츠루오카 카즈토
(1946~1965)

7대
카게야마 카즈오
(1965)
8대
츠루오카 카즈토
(1966~1968)
9대
이이다 토쿠지
(1969)
10대
노무라 카츠야
(1970~1977)
11대
히로세 요시노리
(1978~1980)
12대
돈 블레이싱게임
(1981~1982)
13대
아나부키 요시오
(1983~1985)
14대
스기우라 타다시
(1986~1989)
15대
타부치 코이치
(1990~1992)
16대
네모토 리쿠오
(1993~1994)
17대
오 사다하루
(1995~2008)
18대
아키야마 코지
(2009~2014)
19대
쿠도 키미야스
(2015~2021)
20대
후지모토 히로시
(2022~2023)
21대
코쿠보 히로키
(2024~)
: 단일리그 우승 / :일본시리즈 우승 / : 퍼시픽리그 우승
7대 감독인 카게야마 카즈오는 취임 4일 후 급사하여 정식 감독으로써 지휘한 적은 없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fb1e5>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퍼시픽 리그
역대 최우수신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투수
카케야마 카즈오
난카이 / 내야수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내야수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투수
<rowcolor=#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에노모토 키하치
마이니치 / 내야수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키무라 타모츠
난카이 / 투수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장훈
토에이 / 외야수
<rowcolor=#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수상자 없음 토쿠히사 토시아키
킨테츠 / 투수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투수
수상자 없음 수상자 없음
<rowcolor=#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이케나카 마사아키
니시테츠 / 투수
수상자 없음 타카하시 요시마사
토에이 / 투수
수상자 없음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외야수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사토 미치오
난카이 / 투수
미나가와 야스오
토에이 / 투수
카토 하지메
니시테츠 / 투수
니이미 사토시
닛타쿠홈 / 투수
미츠이 마사하루
롯데 / 투수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구치 타카시
한큐 / 투수
후지타 마나부
난카이 / 투수
사토 요시노리
한큐 / 투수
무라카미 유키히로
난카이 / 투수
마츠누마 히로히사
세이부 / 투수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내야수
후타무라 타다미
닛폰햄 / 외야수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포수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마노 테루미츠
한큐 / 외야수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내야수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투수
모리야마 료지
세이부 / 투수
사카이 츠토무
오릭스 / 투수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하세가와 시게토시
오릭스 / 투수
타카무라 히로시
킨테츠 / 투수
스기야마 켄토
세이부 / 투수
와타나베 히데카즈
다이에 / 투수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히라이 마사후미
오릭스 / 투수
카네코 마코토
닛폰햄 / 내야수
코사카 마코토
롯데 / 투수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 외야수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투수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수상자 없음 오쿠보 마사노부
오릭스 / 투수
쇼다 이츠키
닛폰햄 / 투수
와다 츠요시
다이에 / 투수
미세 코지
다이에 / 투수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쿠보 야스토모
롯데 / 투수
야기 토모야
닛폰햄 / 투수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코마츠 사토시
오릭스 / 투수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투수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사카키바라 료
닛폰햄 / 투수
마키타 카즈히사
세이부 / 투수
마스다 나오야
롯데 / 투수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투수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투수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투수
타카나시 히로토시
닛폰햄 / 투수
겐다 소스케
세이부 / 내야수
타나카 카즈키
라쿠텐 / 외야수
타카하시 레이
소프트뱅크 / 투수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타이라 카이마
세이부 / 투수
미야기 히로야
오릭스 / 투수
미즈카미 요시노부
세이부 / 투수
야마시타 슌페이타
오릭스 / 투수
타케우치 나츠키
세이부 / 투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3루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미즈하라 시게루
도쿄쿄진군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요기 신지오
오사카
우노 미츠오
코쿠테츠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코다마 리이치
주니치
코다마 리이치
주니치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레온 리
야쿠르트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반스 로우
주니치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잭 하웰
야쿠르트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레오 고메스
주니치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레오 고메스
주니치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에토 아키라
요미우리
에토 아키라
요미우리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스즈키 켄
야쿠르트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모리노 마사히코
주니치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엑토르 루나
주니치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미야자키 토시로
DeNA
미야자키 토시로
DeNA
타카하시 슈헤이
주니치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미야자키 토시로
DeNA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나카타니 쥰지
한큐
카게야마 카즈오
난카이
카게야마 카즈오
난카이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토니 로이(1)
니시테츠
모리모토 키요시
오릭스
쿠니사다 야스히로
난카이
아리토 미치요
롯데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아리토 미치요
롯데
후지와라 미츠루
난카이
아리토 미치요
롯데
시마타니 킨지
한큐
시마타니 킨지
한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마츠나가 히로미
한큐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마츠나가 히로미
다이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하츠시바 키요시
롯데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스즈키 켄
세이부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호세 페르난데스
라쿠텐
그렉 라로카
오릭스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케이시 맥기
라쿠텐
긴지
라쿠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젤러스 휠러
라쿠텐
마츠다 노부히로
소프트뱅크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스즈키 다이치
라쿠텐
무네 유마
오릭스
무네 유마
오릭스
무네 유마
오릭스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1) 당해 득표수 1위는 난카이 호크스의 쿠니사다 야스히로였으나, 이때 쿠니사다가 2루수 부문에서도 득표수 1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당시 복수 포지션에서의 수상을 금지한 규정상 쿠니사다는 득표수가 더 많은 2루수 부문만 수상하고 대신 득표수 2위였던 토니 로이가 3루수 부문을 수상했다.
}}}}}}}}}}}}}}} ||
}}}}}}}}}}}} ||


파일:카게야마 카즈오.png
카게야마 카즈오
蔭山和夫
출생 1927년 1월 16일
일본 제국 오사카부 오사카시
사망일 1965년 11월 17일 (향년 38세)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신체 166cm, 64kg
포지션 3루수
출신학교 구제 오사카부립 이치오카중학교 - 와세다대학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50년
소속팀 난카이 호크스(1950~1959)
지도자 경력 난카이 호크스 수석코치(1960~1965[1])
난카이 호크스 감독(1965)[2]

1. 개요2. 선수, 코치 시절3. 감독 취임, 4일 만의 급사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선수, 지도자.

2. 선수, 코치 시절

오사카 출신으로 구제 이치오카 중학교 및 와세다대학을 졸업했으며 와세다대학 재학 시절엔 야구부의 3회 리그 우승을 이끌며 전경기 출장 및 당시 통산 득점 1위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대학 졸업 후 1950년 고향 오사카의 난카이 호크스에 입단해 곧바로 주전 3루수 자리를 꿰찼고, 이듬해인 1951년엔 타율 .315 42도루, 2년 연속 3루타 1위(13개)로 맹활약하며 퍼시픽리그 신인왕을 수상하였다.[3] 3루수로서 나무랄 데 없는 출중한 수비[4]를 보여주었고, 슬러거 유형의 타자는 아니어서 두 자릿 수 홈런을 넘긴 적은 없지만 3년 연속(1950~1952)을 포함한 4번의 3루타 1위와 2번의 3할 타율을 기록하는 등 빠른 발과 날카로운 타격을 자랑했다.

난카이가 처음으로 일본시리즈를 제패한 1959년을 끝으로 881안타, 53홈런, 302타점, 214도루, 타율 .264라는 통산 성적을 남기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현역에서 은퇴한 이듬해인 1960년 시즌부터 난카이의 수석 코치로 츠루오카 카즈토 감독을 보좌하였고, 1962년 성적 부진으로 중도 퇴진을 선언한 츠루오카 감독을 대신해 감독대행으로써 츠루오카가 퇴진을 철회하고 복귀할 때까지 팀을 이끌며 그 해 난카이가 시즌 2위를 마크하는 데 공을 세우는 등 야구계에서 카게야마를 뛰어난 이론가로 추켜세울 정도로 지도자로써도 검증된 인물이었다.

그렇게 지도자로써의 능력을 인정받아 1965년 시즌 종료 후 퇴임을 선언한 츠루오카의 후임으로 드디어 정식 감독으로 취임하게 됐으나, 여기서 얼마 못 가 예상하지 못한 비극이 찾아오고 말았다.

3. 감독 취임, 4일 만의 급사

파일:카게야마 카즈오 취임회견.jpg
1965년 11월 13일, 감독 취임회견장에서 전임 츠루오카와 악수하는 카게야마

수석 코치로의 능력을 이미 충분히 검증받으며 모두의 기대와 함께 난카이의 감독에 취임한 카게야마였지만, 막상 카게야마 본인은 전임 츠루오카의 업적이 워낙 대단했던 데다 츠루오카가 난카이에서 수십 년을 선수와 감독으로써 이뤄낸 업적들을 수성해야 한다는 중압감 때문에 말로 표현 못할 스트레스로 고생하고 있었고 이 때문에 노이로제로 인한 불면증에 시달려 매일 밤 브랜디수면제에 의지하여 억지로 잠을 청할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감독 취임 발표 후 불과 4일 만인 1965년 11월 17일[5], 감독으로써의 중압감으로 인해 쇠약해질 대로 쇠약해져버린 카게야마는 자택 응접실에서 쓰러진 채 가족들에게 발견되어 황급히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심장정지 상태에 빠져 끝내 소생하지 못한 채 급성 피신기능부전으로 사망했다. 향년 38세. 병원으로 이송될 때 카게야마는 어머니에게 "노무라에게 할 말이 있다"라고 말했고 이것이 유언이 되고 말았다.

츠루오카 시대를 마감하고 카게야마를 감독으로 세워 새롭게 출발하려던 난카이는 카게야마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큰 슬픔에 빠짐과 동시에 구단 내부에서 "츠루오카를 다시 감독으로 부르자"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처음엔 "자신은 이제 난카이를 떠난 사람이다"라며 복귀 요청을 거절한 채 도쿄 오리온즈, 산케이 아톰즈와 이적 협상을 진행하던 츠루오카도 결국 비극을 맞이한 난카이의 사정을 차마 외면하지 못하고[6] 카게야마가 죽은 후 3일 만인 11월 20일에 "카게야마의 유지를 잇겠다"는 선언과 함께 다시 난카이의 감독으로 복귀해달라는 요청을 승낙하며 1968년까지 3년 동안 난카이의 감독직을 한 번 더 수행한 후 현장에서 완전히 은퇴했다.[7]

그렇게 난카이의 새 얼굴로 기대받던 카게야마 카즈오의 신임 감독 취임은 그 결실을 볼 준비를 하기도 전에 카게야마 본인의 4일 만의 급사라는 슬픔으로 끝나고 말았다.


[1] 1962년 시즌 도중 감독대행을 맡기도 했다.[2] 후술하겠지만 갑작스런 사망으로 정식으로 임기를 치르진 못했다.[3] 일본프로야구 신인왕은 1950년 신설되었는데, 1951년 신인왕은 1950년에 입단한 선수까지 포함하여 선정하였다. 1951년 센트럴리그 신인왕도 카게야마와 같은 2년차였던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마츠다 키요시였다.[4] 1루수 이이다 토쿠지, 유격수 키즈카 타다스케, 3루수 카게야마 카즈오의 내야진은 모두 빼어난 수비력을 보여 당시 난카이의 내야진은 '100만 달러의 내야진'이라는 별명이 붙었다.[5] 이날은 일본프로야구 초대 드래프트가 개최되는 날이었다.[6] 카게야마가 급사한 직후, 아침이 채 되기도 전에 카게야마의 부고를 전해들은 츠루오카는 차기 감독 협상을 위해 당일 예정되어 있었던 도쿄 상경을 연기한 채 카게야마의 빈소를 찾아가 "내가 카게야마를 죽게 한 것 같다"라고 통곡했다고 한다.[7] 당시 츠루오카는 난카이로 돌아오기 전 도쿄와 산케이 중 어느 팀으로 가려 했는지 침묵을 지켰지만, 도쿄 오리온즈의 구단주였던 나가타 마사이치가 1985년 별세했을 때 기자들에게 "그 분(나가타)에게 신세를 지려 했다"고 이야기하며 도쿄와의 계약 의사가 있었음을 넌지시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