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02:58:44

층 피라미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A0522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역사 <colbgcolor=#FFF,#1F2023>선왕조 (상이집트 · 하이집트) · 이집트 초기 왕조 (제1왕조 · 제2왕조) · 이집트 고왕국 (제3왕조 · 제4왕조 · 제5왕조 · 제6왕조) · 이집트 제1중간기 (제7왕조 · 제8왕조 · 제9왕조 · 제10왕조 · 제11왕조) · 이집트 중왕국 (제11왕조 · 제12왕조) · 이집트 제2중간기 (제13왕조 · 제14왕조 · 제15왕조 · 제16왕조 · 아비도스 왕조 · 제17왕조) · 이집트 신왕국 (제18왕조 · 제19왕조 · 제20왕조) · 이집트 제3중간기 (제21왕조 · 제22왕조 · 제23왕조 · 제24왕조 · 제25왕조) · 이집트 말기 왕조 (제26왕조 · 제27왕조 · 제28왕조 · 제29왕조 · 제30왕조 · 제31왕조)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문화 고대 이집트 · 이집트 문명 · 나일강 · 이집트 미술 · 이집트 상형 문자 · 고전 이집트어 · 콥트 문자 · 콥트어 · 세네트 · 네메스 · 스핑크스 · 메자이 · 카노푸스 · 샤브티 · 포티 · 앙크 · 호루스의 눈 · 파라오 · 파라오/미라 · 이집트/미라 · 사자의 서 · 어떤 남자와 그의 영혼의 대화 · 스캐럽 · 파피루스 · 코피스 · 이집토마니아 · 고대 이집트/성문화
도시 기르가 · 기제 · 다만후르 · 다클라 · 데숙 · 룩소르 · 메르사마트루 · 멤피스 · 미냐 · 바하리야 · 반하 · 베니수에프 · 빌베이스 · 사이스 · 사파가 · 소하그 · 수에즈 · 시와 · 아마르나 · 아비도스 · 아스완 · 아시유트 · 아크밈 · 알렉산드리아 · 에드푸 · 에스나 · 엘아리쉬 · 자가지그 · 카르가 · 콤옴보 · 쿠세이르 · 쿠스 · 퀴나 · 키프트 · 타니스 · 탄타 · 파이윰 · 헬리오폴리스
종교 이집트 신화 · · · 테프누트 · 게브 · 누트 · 오시리스 · 이시스 · 세트 · 네프티스 · 호루스 · 아누비스 · 하토르 · 토트 · 프타 · 세베크 · 아포피스 · 아톤 · 엔네아드
유물 나르메르 팔레트 · 투탕카멘의 가면 · 투탕카멘의 단검 · 네페르티티 흉상 · 로제타 석 · 팔레르모 석
건축 아부심벨 대신전 · 카르나크 신전 · 룩소르 신전 · 에드푸 신전 · 덴데라 신전 · 콤 옴보 신전 · 에스나 신전 · 필라에 신전 · 기자의 대스핑크스 · 데이르 엘 바하리 · 하트셉수트의 장제전 · 라메세움 · 오벨리스크 ·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무덤 피라미드/이집트 · 기자의 대피라미드 · 카프레의 피라미드 · 멘카우레의 피라미드 · 조세르의 피라미드 · 붉은 피라미드 · 왕가의 계곡 · 투탕카멘의 무덤 · 람세스 2세의 무덤 · 세티 1세의 무덤 · 프수센네스 1세의 무덤 · 유야와 투야의 무덤 · 카와 메리트의 무덤
인물 나르메르 · 조세르 · 임호텝 · 쿠푸 · 카프레 · 멘카우레 · 투트모세 3세 · 하트셉수트 · 아멘호테프 3세 · 아케나톤 · 네페르티티 · 투탕카멘 · 람세스 2세 · 네페르타리 · 람세스 3세 · 넥타네보 2세 · 알렉산드로스 3세 · 프톨레마이오스 1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역대 이집트 파라오
낭설 고대 이집트인 흑인설 · 덴데라 신전의 전구 · 아비도스 사원의 헬리콥터 · 초고대문명설 · 투탕카멘의 저주
}}}}}}}}}}}}}}}

파일:Layer_Pyramid_North_East.png
이름불명
불명
높이계획: 42 ~ 45m
현재: 17m
경사68°

1. 개요2. 발견3. 묘역4. 건축 연대

[clearfix]

1. 개요

층 피라미드는 이집트 제3왕조피라미드로, 자우예트 엘 아리안(Zawyet El Aryan)에 위치해 있다. 이 피라미드는 파라오 카바와 관련될 가능성이 있으나 명확하지 않다. 건축 양식은 세켐케트묻힌 피라미드와 유사하여 제3왕조 시기로 확실히 연대가 지정된다. 20세기 초 두 차례에 걸친 발굴이 있었으나 크기와 지하 공간에 대한 보고가 엇갈렸으며, 유물이나 매장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피라미드가 실제로 사용되었는지는 불명확하다. 건설 당시 피라미드는 고위 관료들의 마스타바들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동쪽에 장제전과 수백 미터 떨어진 곳에 하안 사원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군사 통제 구역 내에 있어 추가적인 발굴이 불가능하다.

2. 발견

층 피라미드는 1839년 존 셰 페링이 처음으로 발견하였고, 1848년 리하르트 렙시우스가 피라미드로 식별하였다. 1886년 가스통 마스페로는 지하 통로 입구를 찾을려고 했으나 실패하였고, 1896년 자크 드 모르간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후 알레산드로 바르산티가 1900년 발굴을 진행하여 수직 통로를 발견했으나, 유물이나 매장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1910~1911년 조지 라이즈너와 클라렌스 S. 피셔가 피라미드 외곽과 주변 묘지를 발굴하였으나, 각자 추정한 피라미드의 크기와 지하 공간의 수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1970년 이후 해당 지역이 군사 통제 구역에 포함되면서 추가적인 발굴이 불가능해졌다.

3. 묘역

층 피라미드에는 보통 피라미드에 존재하는 외벽의 흔적이 없으며, 이는 시간이 지나며 도난당했거나 아예 건설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피라미드의 동쪽에는 장례 사원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고고학적 흔적이 미미하여 명확한 분석이 어렵다. 피라미드에서 몇백 미터 떨어진 곳에는 하안 사원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이마저 명확히 증명되지 않았다. 피라미드 주변에는 1왕조, 2왕조, 후기 제3왕조, 18왕조, 로마 시기에 지어진 총 다섯 개의 묘지가 있으며, 후기 3왕조 묘지에는 왕가와 고위 관리들의 큰 마스타바가 포함되어 있다. 북쪽으로 약 200m 지점에 위치한 마스타바 Z500에서는 카바의 세레크[1]가 새겨진 대리석 그릇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이집트학자들은 층 피라미드를 카바의 피라미드로 추정하고 있다.

4. 건축 연대

층 피라미드의 건축 양식은 세켐케트스네프루 시대 사이인 3왕조 말기로 연대가 확정된다. 라우어, 스타델만, 베르너 등 이집트학자들은 피라미드가 원래 5단 구조로 계획되었으며, 세켐케트의 매장된 피라미드보다 발전된 형태라고 평가한다. 피라미드의 주인은 카바로 추정되며, 이는 피라미드 북쪽 마스타바 Z500에서 그의 세레크가 새겨진 석기들이 발견된 것에 근거한다. 한편, 스타델만은 카바와 후니가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하며, 후니의 24년 통치 기간이 피라미드 완공에 충분했을 것이라 본다. 그러나 다수의 학자들은 후니가 층 피라미드가 아닌 메이둠 피라미드[2]를 건설했으며, 카바는 토리노 파피루스에 등장하는 후제파 2세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1] 파라오의 이름을 표기하는 타원형 테두리[2] 메이둠 피라미드는 후니 생전에 완공되지 못했으며, 스네프루가 마저 건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