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0 12:59:41

조지아계 러시아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0000><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역사 역사 전반 · 조지아 왕국 · 바그라티온 왕조 · 소련(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조지아 내전(조지아 쿠데타, 압하지야 전쟁, 남오세티야 전쟁) · 2003년 장미혁명 ·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안보협력기구 · 조지아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조지아 라리
교통 쇼타 루스타벨리 트빌리시 국제공항
국방 조지아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하차푸리 · 추르치헬라 · 압하스 요리) · 조지아/관광 · 조지아 신화 ·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 조지아어 · 조지아 정교회 · 세계유산 · 초하
지리 캅카스 산맥 · 므트크바리 강 · 쿠라강 · 흑해 · 오세티야
사회 조지아 마피아
민족 조지아인(러시아계 · 아르메니아계) · 라즈인 · 아자르인 · 조지아계 러시아인
}}}}}}}}} ||

{{{#!wiki style="color: #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러시아인 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 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 모르드바인 카자흐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다르긴인 우드무르트인 마리인 오세트인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쿠미크인 야쿠트인 레즈긴인
벱스인 독일계 러시아인 우즈벡 투바인 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 타지키스탄계 러시아인 부랴트인
칼미크인
,몽골계 러시아인,
라크인
조지아계 러시아인 아슈케나짐 몰도바인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한국계 러시아인
,고려인,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메스케티 튀르크,
노가이인 키르기스 코미인 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
,그리스계 러시아인,
하카스인 스페인계 러시아인
,바스크계 러시아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쿠르드계 러시아인
,야지디,
에벤키, 에벤족 투르크멘 사미족 루툴인
아굴인 리투아니아계 러시아인 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핀란드계 러시아인,
라트비아계 러시아인 세투인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축치인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 쇼르인 케레크 압하스인 나나이족
아시리아인 아랍계 러시아인 나가이바크 돌간인 러시아 흑인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니브흐 우디인 인도계 러시아인 샵수그인
위구르인 케트인 재러 베트남인 이텔멘족 쿠만딘인
헝가리계 러시아인 울치족 텔레우트인 타트인
탈리시인,
,이란계 러시아인
체코계 러시아인
유카기르 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
슬로바키아인 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
프랑스계 러시아인 소요트 일본계 러시아인 이탈리아계 러시아인 덴마크계 러시아인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 영국계 러시아인 스웨덴계 러시아인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네덜란드계 러시아인 스위스계 러시아인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미국계 러시아인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아이누
}}}}}}}}} ||


1. 개요2. 역사3. 유명 인물4. 관련 문서

1. 개요

조지아계 러시아인은 러시아에 거주하는 조지아인 또는 조지아인 후손이다. 조지아계 러시아인을 대표하는 인물로는 이오시프 스탈린이 꼽히지만, 표트르 바그라티온의 사례에서 보듯 이미 루스 차르국이나 러시아 제국 시대부터 조지아인들의 러시아 이주가 활발히 이루어졌던 바 있다.

2. 역사

조지아인들은 러시아인들과 마찬가지로 기독교 그 중에서도 정교회를 믿는다. 이러한 연유에서 러시아의 영토가 캅카스 방면으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조지아인들과 러시아인들 사이의 교류가 활발해지는 것이 당연했다.

17세기 조지아는 이란사파비 제국으로부터 극심한 침략과 인적자원 수탈을 겪었다. 이란 사파비 제국 측은 조지아인들은 대거 납치해서 노예군인(굴람)이나 하렘의 후궁으로 삼았는데, 조지아인들이 이란 사파비 제국에 투항하는 경우에도 시아파 이슬람으로 개종해야만 했다. 여기에 거부감을 느끼 같은 종교를 믿는 루스 차르국 측에 투항하는 조지아인들이 상당히 많았는데, 주로 토후들이 가신과 시종들을 이끌고 루스 차르국에 투항하는 식으로 귀화가 이루어졌다. 이렇게 투항하는 조지아인 토후들의 수가 적지는 않았기 때문에 1738년에는 러시아 제국에서 귀화한 조지아인들을 모아서 기병 중대를 편성할 수 있었을 정도였다. 이미 1685년에는 모스크바에 조지아인 구역이 들어섰으며, 바흐탄그 6세가 시종 1,200여 명을 이끌고 러시아 제국 측에 귀화하자 표트르 2세는 모스크바 내 조지아인 쿼터 확장을 위해 1만 루블을 하사한 기록도 남아있다.

19세기 초 러시아 제국이 사파비 제국을 격퇴하고 조지아를 정복하면서 조지아와 러시아 사이의 인적 교류는 더 활성화되었다. 오늘날 조지아의 수도에 해당하는 트빌리시는 19세기 초반 당시 도시 인구 중 조지아 정교회 신도는 드물었고, 주민 상당수가 유대인이나 아르메니아인 아니면 페르시아인이나 아제르바이잔인이었다. 트빌리시의 아르메니아인들 상당수는 러시아 제국의 아르메니아계 우대 정책에 힘입어 모스크바나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는데, 이러한 연유로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상당수는 조지아계 러시아인으로 이중 분류 되기도 한다.

한 편 조지아 온천 관광 및 조지아 요리가 러시아 상류층에게 소개된 것을 계기로, 조지아인들이 러시아 모스크바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조지아 음식점 등 사업을 하는 경우도 늘어났다. 한 편 러시아 혁명을 계기로 스탈린이나 베리야 같은 조지아 볼셰비키들이 대거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정착한 역사도 있다.

오늘날에는 조지아와 러시아 사이의 긴장 관계 때문에 조지아인들이 러시아로 이주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문 편이다.

3. 유명 인물

4. 관련 문서



[1] 재러 조지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