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9 13:11:50

제5보병여단

제5보병연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독수리)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독수리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군단 사단 예하 여단
직할사단 한미연합사단 제16기계화보병여단
36사단 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55사단 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colbgcolor=#009600> 수도 17사단 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포병여단
51사단 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제169보병여단
I 1사단 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포병여단
9사단 제28보병여단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포병여단
25사단 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제72보병여단 · 포병여단
II 7사단 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포병여단
15사단 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제50보병여단 · 포병여단
III 12사단 제17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포병여단
21사단 제31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포병여단
22사단 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제56보병여단 · 포병여단
V 3사단 제18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포병여단
5사단 제27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포병여단
6사단 제2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19보병여단 · 포병여단
28사단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포병여단
VII 수도사단 제1기계화보병여단 · 제16기계화보병여단 · 제26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8사단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 제60기계화보병여단 ·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11사단 제9기계화보병여단 · 제13기계화보병여단 · 제61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2사단 제201신속대응여단 · 제203신속대응여단
제2작전사령부
사단 예하 여단
직할사단 31사단 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제96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32사단 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35사단 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제106보병여단
37사단 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제112보병여단
39사단 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50사단 제120보병여단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501보병여단
53사단 제125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사령부 사단 예하 여단
수방사 52사단 제210보병여단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56사단 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제221보병여단
동전사 60사단 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포병여단
66사단 제187보병여단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포병여단
72사단 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포병여단
73사단 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제206보병여단 · 포병여단
75사단 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포병여단
■ 상비사단 ■ 기계화/기동사단 공중강습사단 ■ 지역방위사단(구 향토) ■ 동원사단 ■ 한미연합사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49 여단 ]
파일:6dv~2`reg_flag.png 파일:3연대.png 파일:5rgt.jpg 파일:7rgt.jpg 파일:8보병여단 마크.jpg
제2보병여단 제3보병여단 제5보병여단 제7보병여단 제8보병여단
파일:제11보병여단(육탄).svg 파일:12rgt.jpg 파일:제15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17보병연대 마크.jpg 파일:진백골마크.jpg
제11보병여단 제12보병여단 제15보병여단 제17보병여단 제18보병여단
파일:19rgt.jpg 파일:제22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23보병연대 마크.jpg 파일:27rgt.jpg 파일:28연대 마크.png
제19보병여단 제22보병여단 제23보병여단 제27보병여단 제28보병여단
파일:29연대 마크.png 파일:제30보병연대 마크.png 파일:31여단 로고.pn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9보병여단 제30보병여단 제31보병여단 제35보병여단 제36보병여단
파일:15사단 번개부대.png 파일:39rgt.jpg
제38보병여단 제3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99 여단 ]
파일:50보병여단 마크.jpg 파일:51여단.jpg 파일:1652597830073.jp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50보병여단 제51보병여단 제52보병여단 제53보병여단 제55보병여단
파일:금강산부대.jpg 파일:제65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천봉여단.png 파일:70여단.jpg 파일:71BDE.png
제56보병여단 제65보병여단 제66보병여단 제70보병여단 제71보병여단
파일:72연대.png 파일:81보병여단 마크.png 파일:82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3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95여단 로고.png
제72보병여단 제81보병여단 제82보병여단 제93보병여단 제95보병여단
파일:31 사자여단.jpg 파일:97여단 로고.png 파일:98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99여단.jpg
제96보병여단 제97보병여단 제98보병여단 제9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00~149 여단 ]
파일:100여단.jpg 파일:101보병여단.jpg 파일:102여단.jpg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00보병여단 제101보병여단 제102보병여단 제103보병여단 제105보병여단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06보병여단 제107보병여단 제108보병여단 제110보병여단 제111보병여단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낙동강여단.jpg
제112보병여단 제117보병여단 제118보병여단 제119보병여단 제120보병여단
파일:해룡여단 로고.png 파일:화랑여단 로고.png 파일:일격여단 로고.png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21보병여단 제122보병여단 제123보병여단 제126보병여단 제127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50~199 여단 ]
파일:160여단 로고.png 파일:이신의부대.jpg 파일:제6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167여단.jpg 파일:비봉여단.jpg
제160보병여단 제161보병여단 제162보병여단 제167보병여단 제168보병여단
파일:제5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170연대.png 파일:쌍마부대.jpg 파일:172보병여단.jpg 파일:제6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69보병여단 제170보병여단 제171보병여단 제172보병여단 제187보병여단
파일:66 땅벌부대 로고.png 파일:66 돌풍부대 로고.png
제188보병여단 제18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200~249 여단 ]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03여단.jpg 파일:73 사자여단.jpg
제200보병여단 제201보병여단 제202보병여단 제203보병여단 제205보병여단
파일:광명부대.png 파일:75횃불여단.png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06보병여단 제207보병여단 제208보병여단 제209보병여단 제210보병여단
파일:212여단 마크.pn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19여단.png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12보병여단 제213보병여단 제218보병여단 제219보병여단 제220보병여단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21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0~549 여단 ]
파일:501logo.png 파일:503여단 로고.png 파일:한밭부대.jpg 파일:507여단 마크.png
제501보병여단 제503보병여단 제505보병여단 제507보병여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파일:제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7보병사단 예하부대
제3보병여단 제5보병여단 제8보병여단
포병여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사단 직할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본부근무대 수색대대 공병대대 정비대대 보급수송대대
제1전차대대 정보통신대대 군사경찰대 의무근무대 화생방지원대
방공중대 보충중대 }}}}}}}}}
※ 사단 신병교육대는 제7보병사단/신병교육대 참고

제5보병여단
第五步兵旅團
The 5th Infantry Brigade
파일:5rgt.jpg
창설일 1946년 1월 29일(제5보병연대)
2020년 12월 1일(제5보병여단)
상징명칭 독수리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7보병사단
규모 여단
역할 중부전선 화천군 및 철원군(옛 김화군) 경계작전 담당
여단장 대령 56대 이동명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철원군

1. 개요2. 근무환경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3.2. 예하 대대
3.2.1. 군수지원대대 (舊 연대 수송대)3.2.2. 제1대대 진격3.2.3. 제2대대 북극성(GOP)3.2.4. 제3대대 백랑
4. 출신인물
4.1. 여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기타 영상5.2. 여단가
6. 사건 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7d_5r_2018.jpg

대한민국 육군 제2군단 제7보병사단 예하 제5보병여단. 별칭은 독수리부대.

남조선국방경비대 연대들이 창설될 당시 두번째로 창설된 연대[1]이며, 1948년 여수·순천 10.19 사건 당시 (안좋은 의미로 유명한) 4달라 김종원이 1대대를 이끌고 여수로 돌입해 졸전을 펼쳤다.
한국전쟁 발발 당시 제2보병사단 소속이었는데 채병덕의 삽질로 여러 부대들이 의정부, 포천 방면으로 축차투입돼 갈려나갈 때 5연대 역시 포천에서 갈리고 있는 3연대를 지원하러 갔다가 마찬가지로 전멸당하고 분산후퇴하게 되었다. 이후 한강 방어선 전투에선 우면산 방면을 맡았으나, 여기에서도 다수 사상당했고, 직후 ​2사단이 해체될 지경에 이르른 것으로 보아 5연대 역시 괴멸에 준하는 피해를 입은 듯 싶다.

그 뒤 낙동강 전선의 한 축인 영천·신녕전투가 벌어질 즈음 민기식 대령의 민 부대[2]를 기간으로 재편 후 재창설된 7사단에 예속 후 자양에 투입됐다 대대적으로 얻어맞은 뒤 26연대와 함께 경주로 향하는 길목을 지키던 와중 2대대가 일대를 수색하다 북한군 15사단 포병연대를 발견하고 포격지원 속에 괴멸시키기도 했다.

전후 7사단을 따라 강원도 이곳저곳을 옮겨다니다 현재는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철원군(옛 김화군) 전방을 담당하고 있다.

참고로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5보병연대 역시 2020년부로 5보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2. 근무환경

2.1. GOP

파일:external/media.moddb.com/5r_49225279jt11533_626332520_n.jpg
출처: #[3]

군견도 낙오하는 곳.[4] 소초를 중심으로 M, V, W형[5]으로 만든 돌계단을 오르락 내리락하는 GOP 지형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 비록 8여단보다는 낫다지만 이 동네도 전망대 소초를 제외하면 다들 한두곳 이상 크고 작은 급경사를 끼고 있다. 특히 칠성전망대 맞은 편 산 정상의 소초는 매일 꼭대기 소초에서 산 밑으로 내려간 뒤 다시 산꼭대기 소초로 걸어올라가는 경악할 섹터 동선을 자랑한다.

또한 금성 전투425고지-406고지 전투의 결과인지 GOP 부대 중 군사분계선에 가장 가까운 초소를 가지고 있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모 소초의 대공 초소에선 육안으로도 적 GP가 보이는 수준이다.

파일:119133990284518.jpg

또한 고지대 부대들이 그러하듯 이곳 GOP도 안개가 낄 무렵 구름이 낮게 끼기도 하는데, 비록 시야를 가리긴 하지만 나름대로의 절경을 구경할 수 있다. 물론 근무했던 병사들에게는 절경이 아니라 끔찍한 악몽으로 남는다.

2.2. FEBA

여단 명물로는 FEBA 장병이라면 이를 갈 정도로 악명높은 장고봉,[6] 주파리 사거리[7]에서 시작되어 수색대 앞을 거쳐 승하차 구간이 두번 이상 있는 경사로를 거쳐 백암 OP 및 뒷자리 소초들로 이어지는 단결로, 옛 연대 본부 부지였던 어두운골~백마령[8] 등이 있다.

게다가 짐승급 훈련량과 신조차 버릴 정도로 힘든 3, 8여단은 우선적으로 관심을 받아 후방까지 신막사로 교체된 반면, 이 여단은 별로 힘든 게 없다는 이미지가 박혔는지 GOP 쪽을 제외한 나머지는 그동안 8,90년대에 지어진 시설들을 (창고든, 휴게 시설이든) 계속 쓰고 있었다.

그 중 주파령 대대는 82년도 건물이라 2010년대 초 리모델링 계획이 있었는데 (현 13특임여단장인 오*석 대대장이 12년 시무식에서 말했었다), 이후 국방개혁으로 7사단 경계작전 구역을 15사단 또는 새로 창설될 경계작전 담당 부대에 넘겨주고 7사단이 군단 예비사단으로 물러난다는 소문이 돌았고 결국 사단본부 부관부 앞 (체육관 뒤) 공터에 건물을 신축하기로 결정되었다. GOP 좌선 보급로도 2010년대 초까지 비포장도로였다가 2013년 봄부터 2&3소초 병력의 지원으로 포장을 시작했다.

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

수색중대를 제외하고 군축에 의해 해체된 (구)4대대 부지인 덕비끼네에 있다. 하지만 산골짜기 깊숙히 외떨어져 있기에 도보로 수십분을 올라가야 하며[9] 후술할 주파령, 마현리 대대와 비슷한 시기에 지어져서 늘 유지보수할 일[10]이 많다.

게다가 부지 자체도 양지바른 산비탈을 깎아 각 중대 병영들을 만들었기에 각 연결로 경사가 3~40도로 가파르다.[11] 또한 그렇기에 최고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고지대 병영 두개는 연대 본부로 전환된 이후로는 치장창고로 쓰거나 버려진 상태다. 그 위로 알게 모르게 구축된 시설들은 말할것도 없고.

3.1.1. 본부중대 ~ 본청

파일:5brhq_`-ent.jpg[12]

명칭 그대로 5여단의 본부.

3.1.2. 수색중대(GP)

주파리 사거리의 독립중대 중 하나로, 주둔 위치부터 여러모로 8여단의 수상령과 유사하다.

그리고 군견도 낙오하는 땅에서 매복/정찰 등을 수행하느라 보다 강인한 체력이 요구되고, 전역 후 관절염이 발발할 수도 있다. 이러다 보니 적당히 근무하다 별 탈 없이 전역하려는 사람들에겐 기피 병종.

백암산 전투의 무대였던 백암산 진입로에 있기에 전역자나 산악회 모임 때 위병소랑 그 너머 병영까지 세트로 찍히기도 한다.[13] 게다가 부대 내 PX가 없고 인근 후방CP에 비상설로 하나가 있어 주전부리를 사려면 그곳으로 가야한다.

3.1.3. 통신중대

연대본부 위 보병중대 병영이었던 곳을 쓴다. 다만 통신중대는 그보다 인원이 작기에 생활관 상당수가 비었고 그것들은 기재창고나 PX로 전환되었다.

주로 신교대에서 동반입대병이 간다.

3.1.4. 의무중대

본부중대와 같은 막사를 쓰고 있으며, 상당수가 대대에 파견나가 있어 소수만 있다.
23.04 이후 현 의무중대는 1대대 의무소대와 함께 일하고 있으며 중대 인원도 10명이 넘어 의무대 규모가 상당히 커졌다.
모든 의무병력이 각종 계원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계원, 약제계원, 인사계원, 보급계원, 교육계원으로 나누어져 준간부급 대우를 받고 있다.(모든 근무, 불침번, 일반당직 모두 열외)

3.1.5. 제5포병대 (舊 전투지원중대)

파일:5r`supco.jpg

전투지원중대 시절에는 연대본부 울타리 중 구석탱이에 외떨어진 낙후된[14] 독립중대[15]였고, 이곳 역시 주간 경계근무와 작업에 종종 동원되었다.

GOP 후방 소초로 단결포가 있다. 일단 시설은 신막사라 비교적 깨끗한 편이나 막사 일대가 지뢰지대이고, 여기에 한국전 당시 쓰였거나 아니면 군사정권 시기 버려진 듯한 개런드 탄창이나 수류탄까지 나뒹구니 통행에 요주의.



22년 말 27사단 해체 후 병합 과정에서 5여단을 화력지원하던 제56(을지)포병대대가 해체 결정되었고, 그 후 부지와 병력 일부를 병합해 제5(을지)포병대로 재편되었다.

3.2. 예하 대대

2010년대 이전에는 예하 3개 대대가 1년 주기로 FEBA 막사와 GOP를 밀어내기 교대하였고, 2010년대 중반에는 4개월 주기로 교대하였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대대급의 인원, 물자들을 자주 교대하다 보니 이에 따른 불평불만들이 많았다. 그러다 2010년대 말부터 관리의 편의를 위해 후방 3여단처럼 각 대대 주둔지들을 고정시켰다.[16] 덕분에 전역이나 전출 때까지 계속 한곳에 있게 돼서 새로운 장단점도 생겨났다.

3.2.1. 군수지원대대 (舊 연대 수송대)

연대 수송대 시절에는 을지포병대대랑 '일정 간격을 두고' 붙어있는[17] 독립중대[18]였다.

게다가 을지포병대대가 2006년 사단 FEBA부대 중 최초로 신막사가 된 데 반해 수송대는 (여단급 개편에 맞춰) 대대급으로 격상되는 와중에도 지금까지 구식 일자형 생활관과 컨테이너 생활관으로 아둥바둥 쓰고있어 대비되기도 했다.

그러다 27사단 병합 과정에서 을지포병대대가 해체되자 신막사로 이사했다고 한다.

3.2.2. 제1대대 진격

1대대는 민통선 안의 주파령 일대를 담당하기에 주파령 대대로도 불린다.

2021년까진 주파령 인근에 대대와 독립중대가 있었는데, 민통선 안이라 면회도 불가능하고 주변에 이렇다 할 가게도 없어 사제음식을 쉽게 접하지 못했다. 게다가 FEBA 대대들이 그러하듯 도로와 오솔길을 따라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훈련이 연이어 있고 여전히 수십년 된 병영을 쓰기에 대대 장병들은 심신의 피로를 호소한다. 게다가 2022년에 3여단 1대대와 합병 "예정"이라는 풍문도 돌고,[19][20]간부들 사이에서 1대대는 "이미 죽은 부대"라는 멸칭이 있을 정도로 악명이 높은 듯 하다.

2022년 말 해체된 27사단 병합 과정에서 민통선 이남의 3여단 1대대 부지로 이전했다. 주파령 때보다 3배 이상 넓은 부지에, 침대형 막사로 재단장 했고 민통선 이남에 있기에 면회와 외출이 용이해졌다.

3.2.3. 제2대대 북극성(GOP)

2대대는 2019년부터 최전방 GOP를 전담한다. 평일과 주말 구분없이 경계근무와 노가다의 연속이기에 외출, 외박이 어렵고, 휴가나가는 것도 쉽지 않다. 복무 중 문제가 생기거나 상부에서 지침이 내려오지 않는 한 말년까지 실탄 탄창 & 수류탄을 받고 가파른 계단을 매일 힘겹게 오르내려야 한다. 그래도 매일 강제 헬스를 하는 거나 마찬가지라 체력과 지구력이 눈에 띄게 좋아지고, 격오지 수당, 휴가도 추가로 주어지며, 2004~2005년도에 만들어진 침대형 막사에서 쉴 수 있다는 게 몇 안되는 위안거리다.

3.2.4. 제3대대 백랑

3대대는 2019년 4월까지 GOP를 맡다 2대대와 교대한 이후 장고봉 일대를 담당하며 마현리 대대로도 불린다.

이 대대 건물도 주파령 대대와 엇비슷한 시기[21]에 건축되어 시설이 낙후되어 있다. 게다가 1대대와 마찬가지로 훈련이 연이어 있고, 그때마다 십중팔구 장고봉을 올라야 한다. 그나마 주파리 독립중대[22]를 제외한 전 중대가 민통선 이남에 있기에 면회도 가능하고 외출도 비교적 자유로워 사방거리와 화천 시내로 많이 나가 볼 수 있다는게 장점아닌 장점이다.[23] 그래서 간부들 사이에선 주파령 대대가 "이미 죽은 부대"라면 마현리 대대는 "죽어가는 부대"라고 우스갯소리로 말하곤 한다.

최근엔 막사 신축 계획이 있으나, 코로나 상황 때문인지 진행속도가 매우 더디다.최근에 신막사가 완공되었다.

4. 출신인물

4.1. 여단장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역대 제5보병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박병권 예) 중장 육사 00기 연대장 국방부 장관
00대 백선엽 예) 대장 군사영어 00기 합동참모의장, 육군참모총장, 제1야전군사령관 교통부장관
00대 박기성 예) 준장 육사3기 前 101노무사단장 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
00대 강홍모 예) 대령 육사4기 5군관구사령부 참모장 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김창룡 암살사건에 연루되어 예편
00대 김연각 예) 대장 육사 17기 前 2군사령관
00대 임재길 예) 준장 육사 18기 前 청와대 총무수석비서관 1985. 06. 18. - 1986. 11. 29.
00대 이호승 예) 중장 육사 22기 제8군단장
23대 김장수 예) 대장 육사 27기 육군참모총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국방부, 국회의원(한나라당),
국가안보실[24]
00대 노상원 예) 소장 육사 41기 육군정보학교장, 정보사령관 12.3 내란에 가담한 혐의로 구속되었고 연대장 재임시절 간부, 병사 할꺼 없이 윤의철 뺨치게 원성이 자자했다고 한다. 인근의 포병연대장으로 있던 육사동기 배종길 예비역 준장이 병사들에게 살아있는 부처님이라는 평판으로 덕장소리를 들은거 보면 완벽한 안티체제로 모든 장병들에게 씹창난 평판으로 악명높았다. 그야말로 항목을 보면 알지만 민트 혼종똥별정석을 매우 잘 보여주고 있다.[25]
00대 백상환 예) 준장 육사 42기 제60보병사단
00대 고창준 대장 3사 26기 제2작전사령관
00대 허태선 준장 학사 29기 제1군단 참모장
00대 박진성 대령 육사 53기 제5보병여단

4.2. 장교/부사관

4.3.

5. 기타



화천 버스 27번이 2011년부터 민통선 안 주파리 사거리까지 연장 운행하고 있다.[28] 또한 1991년 10월 18일 해당 연대 담당지에 조성된 칠성전망대가 2013년 4월에 새롭게 개장한 뒤# 출입 절차도 완화돼 상서면 산양리에 있는 안내소[29]에 출입자 정보를[30] 기제 후 군인 인솔자가 동승하면 민통선 위병소를 지나 전망대 밑까지 주행할 수 있다.[31] 하여간 통일전망대로 제한 개방한 탓에 민간인들과 높으신 분들이 더 자주 찾아오게 되었으나, 그렇다고 티오가 는 것도 아니라 병사들로선 자기네 작계지와 소초 및 그 위에 조성된 시설들[32]까지 깔끔하게 관리해야 하기에 그저 죽을 맛. 하지만 전망대 개장과 함께 PX도 생겨서[33] 이를 위안삼아 버티는 중이다.

그밖에도 가곡 <비목>의 작사가인 한명희 전 서울시립대 교수가 학군사관 임관 후 백암산 OP[34]에서 복무하다 양지쪽 산모퉁이에 한국전쟁(백암산 전투) 당시의 돌무덤과 녹슨 철모가 얹어진 썩은 비목(나무 비석)을 보고 '비목'의 가사를 작사하게 된 일화는 유명해 백암 OP 정상부 비석에도 가사와 함께 쓰여있을 정도.

참고로 8여단은 이 여단을 미지의 부대내지는 유령 부대로 취급한다. 3여단[35]은 대대 위치가 지리적으로 가깝고 화천읍에서 외출/외박할 때도 15, 27사 아저씨들과 마찬가지 빈도로 볼 수 있으나, 이 여단은 서쪽으로 외떨어진데다 (수십분 거리인 화천읍에 비하면) 작지만 있을 건 다 있는 사방거리라는 앞마당에서 휴가나 외출/외박을 상당 부분 해결해와[36] 분대장교육대 같은 일정이나 5, 8 여단끼리 작계지를 맞바꿔가며 공/방 혹은 사단급 이상 훈련이나 행사를 않는 한 서로 마주칠 일이 적었던 게 이유.

5.1. 기타 영상


박격포 훈련

5.2. 여단가

아시아의 동방에 삼천리 반도
태백산 뻗어내려 남산의 응도
낙동강 흘러내려 수로의 관문
굳세게 살아가는 대한의 남아
모여드는 상승된 5연대다

6. 사건 사고

7. 여담


[1] 1946년 1월 15월 1연대 태릉, 1월 29일 5연대 부산, 2월10일 7연대 충북, 2월 15일 4연대 전남, 2월 18일 6연대 대구, 2월 26일 3연대 전북 익산, 2월 28일 2연대 대전, 4월 1일 8연대 강원 춘천, 11월 16일 9연대 제주도.[2] 한강 방어선 이후 서해안을 통해 기적적으로 귀환한 보병학교 교도대대가 민 대령 휘하에서 '민 부대'로 재편된 곳이다.[3] 아쉽게도 이 사진은 승리전망대에서 촬영한 15사단 39여단 GOP 초소다.[4] 95년에 실제로 군견이 작전 중 죽었다고 한다 : 출처[5] 이와 같은 지형을 근무자들 은어죽음의 맥도날드(다만 이는 비슷한 섹터를 가진 옆동네 제15보병사단에서 자주 불린다.) 등으로도 부른다.[6] 마현리 대대 뒤편에 위치한 돌산인데, 대대의 중대장들이 심심하면 이곳으로 체력단련을 보낸다. 게다가 대대급 이상 훈련시 무조건 완전 군장으로 올라간다. 문제는 산 중턱부터 경사가 환장할 정도로 높아지며, 돌산답게 크고 작은 자갈들이 발에 채여 밑으로 굴러내리기에 오르면 오를수록 늘어나는 헛발질 만큼 돌아버릴 수준. 게다가 일부 구간은 상당히 가팔라 등산용 로프를 걸어놓았고, 특히 정상부는 정말 답이 없어 트럭 타이어와 벽돌 등을 포개듯 쌓아 8여단의 네발계단 같이(...) 만들어 놓았다. 물론 주파리나 주파령에서 산 능선에 난 오솔길(다만 표지판이 없고, 여름엔 수풀도 우거져 지도와 감에 의존해야 하는데다 사방이 지뢰 의심지역이다.)을 따라 남하하다 정상 타이어 계단 부근에서 마현리 등산길에 합류하는 방법도 있는데, 능선 정상까지 오르기까지 경사 뿐만 아니라 거리도 좀 되지만 자갈길 등산보단 한결 낫다.[7] 정확히는 삼거리 두개가 맞붙은 형태다. 참고로 지뢰 폭음이 뒷산에서 이따금 들릴 정도로 사방이 지뢰이나 민가가 없고 요충지이기에 인근 부대가 훈련을 위해 여기로 오기도 한다. 특히 인근에 포 사격 훈련장이 있어 포병들이 와서 저녁에도, 아침에도 포격을 해 막사가 울리는 진풍경이 펼쳐진다. 게다가 포사격 훈련장을 포함, 부지도 적당히 넓어서 이따금 별들이 여기다 본진을 차리기도 한다. 실제 2006년도에 양구의 제2보병사단이 그 먼 거리를 마다하고 (민통선 한복판인) 여기까지 와서 해당 지역을 담당하는 독립중대 연병장에 사단 본부를 설치하고' 여기에 K9 자주포까지 함께 와 7보다 2사단 간부들에게 경례를 더 많이 하는 불편한 동거가 며칠간 이어졌다. 것도 그럴것이 2사단 본부가 마련한 야전 화장실이나 세면 수단엔 한계가 있어 이따금 중대 화장실을 이용했기에 이용 횟수에 비례해 더 자주 마주칠 수밖에 없었다.[8] 주파령 우회로라 정비대대 1중대가 독립중대로 선점하기도 했으며, 이름만큼 음산하고 을씨년스럽다.[9] 그래서 제설작전 때 경비소대 2~6명이 오전 내내 쓸기도 하며, 2010년 초까지 콘크리트 포장길이었으나 노후화 때문인지 2017년 아스팔트로 재포장됐다.[10] 예를 들어 연병장 근처 배수로 옹벽이 무너졌다, 시멘트 포장길이 함몰됐다, 병사식당 뒤편 산비탈이 무너졌다, 병영 배관이 터졌다, 벙커가 너무 오래돼 페인트가 붕 떴다, 등등.[11] 본청에서 본부중대 구간이 심하고 그 위로는 완만해진다.[12] 참고로 현재는 한글로 '최초 창설' 문구로 바뀌었다. 게다가 여단으로 승격 전인 2017년 진입로 공사 때 부대번호 간판 밑에 최초 창설 보병연대 문구를 달아놨는데, 상술했듯 1연대 다음으로 창설되어 2위였으나, 1연대가 기계화 부대로 바뀌자 (현존하는) 보병부대 중 최초라고 홍보하는 듯 보인다.[13] 안보상 당연히 현장이나 검열단에서 제제해야 하겠지만 안보관광 활성화를 위해 백암산 전망대까지 케이블카를 건설한 상태라 부대를 이전하거나 민통선 이남 부대들처럼 철문을 설치하고 담을 높게 쌓는 것 말곤 답이 없는 상황.[14] 위 사진에 보이듯 시멘트 벽돌을 쌓았다.[15] 자체 탄약고병사식당, 연병장 등 독립중대의 여건을 갖췄다.[16] 물론 특정 부대에 문제가 생기거나 티스푼의 기적으로 새 병영이 완공돼서, 혹은 윗분이 결심을 해서 또 바뀔수도 있으니 유의.[17] 심지어 진입로도 일정 부분 공유하고 있다.[18] 그래서 자체 연병장과 식당, 비상설 PX가 있다.[19] 사실 예전 군축 때도 뒷번호인 4대대부터 없앴기에 1대대만 합병하는 건 가능성이 낮다. 다만 27사단이 해체 예정이기에 제2보병사단이 그랬듯 27사단 예하 부대들이 7사단과 15사단에 분산, 합병될 여지가 있었으나, 7사단의 3,5,8 여단 모두 27사단의 77, 78, 79여단들보다 앞번호이고 건군기 시절부터 존재해 온 유서깊은 부대들이기에 2사단 17여단처럼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뺄 가능성은 낮다. 당장 국방개혁 이후에도 존속할 예정이던 20기계화보병사단의 60, 61, 62기보여단은 11기계화보병사단의 9, 13, 20기보여단이 건군기 시절부터 존재하던 11보병사단 9, 13, 20(원래 4연대였으나 여순 반란사건 연루 이후 20연대로 개편)연대였다는 이유로 실질적으로 위치 및 시설이 기존 20사단의 것들로 바뀌었음에도 모두 각 여단의 단대호를 유지했다.(20기보여단은 20기갑여단으로 독립) 2사단 17연대는 건군기 시절부터 해주 반도를 단독 방어하던 독립 보병연대이자 인천 상륙작전에 참가한 유일한 육군부대라는 엄청난 전통을 가지고 있어서 오히려 전쟁 말미에 창설된 12사단의 부대를 밀어낸 것이다. 똑같이 건군기 시절 창설된 역사가 긴 부대임에도 죄다 해체당한 10, 21보병연대(해체 당시 기보여단)들은 그저 묵념. 그래도 16여단은 살아서 수도사단에 간 뒤 한미연합사단 소속 기보여단도 겸하는 중이다.[20] 2022년 11월 26일 기준 3여단 1대대와 합병된다는 소리는 사실이 아닌 것이 되었다.[21] 1984년 07월 23일 즈음 전군 최초로 스팀보일러로 데우는 대대급 통합막사로 건설되어 85년 01월 말쯤 주둔이 시작됐다.[22] 84년 이전엔 주파령 인근의 서막골에 소대별 막사들로 있었고 지금은 그 북쪽에 지은 것으로, 현 시점에선 천장에 쥐가 우글댈 정도로 낡았다.[23] 그래서 똑같이 낙후되었어도 산골짜기에 외떨어진 여단본부와 주파령 대대에 비하면 양호하다며 위안을 삼고 있다.[24] 대장까지 진급하여 한미연합사 부사령관과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한 후 예편[38], 국방부 장관까지 올랐다. 2013년 2월 신설된 국가안보실의 초대 실장에 임명되었다.[25] 쉽게 말하자면 전두환+송유진+윤의철+박찬주를 전부 합친거라 보면 된다.[26] 정확히는 연대장 부임 후 얼마안가 부상이나 전사, 책임을 지고 계속 떠난다는 징크스가 있었다.[27] 90년대 이후 군축에 의해 해체.[28] 다만 해당 방면 부대원이거나 사전 허락받은 게 아니라면 1차 민통선 검문소에서 하차해야 한다.[29] 월요일 휴무.[30] 단체시 대표자 서약서 추가.[31] 다만 전망대까지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기에 차량은 알아서 준비해야 한다. 게다가 소초 부지가 좁은 탓에 민간 차량은 진입로 중간 공터에 주차해야 한다.[32] 한 블로거가 탐방한 당시엔 1층은 병영, 2층은 겔러리카페, PX, 3층은 전망대 구성이다.[33] 사실 황금마차 항목에도 언급됐듯, GOP 전체를 통틀어 PX 있는 소초는 찾기 힘들다.[34] 이보다 전방인 GOPGP에 있었다고도 한다.[35] 5여단에 가까운 1대대는 제외.[36] 시간이 아쉬운 외박자 입장에선 화천까지 왕래하는데 드는 시간도 아깝고, 군기 위반 단속하는 헌병이 잘 돌아다니지 않는 장점이 있기 때문인데 문제는 인근 부대 간부들도 비슷한 심리라 일과 시간이 끝나면 사복 차림의 간부나 가족들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건 예사고, 심할 경우 짬밥 먹을 시간을 놓쳤거나 사제 중국 음식이나 치킨, 매운탕이 땡긴다고 운전, 당번병을 대동한 여단~대대장과도 마주칠 수 있다.[37]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