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colbgcolor=#0047a0> | |
출생 | 1907년 6월 1일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 |
사망 | 1991년 2월 1일 (향년 83세)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 |
이명 | 구양군(歐陽軍), 이수현(李守鉉, 李壽鉉) |
학력 | 요쓰야소학교 (졸업) 가이세이 중학교 (졸업) |
서훈 |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 |
[clearfix]
1. 개요
한국광복군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군인.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2. 생애
2.1. 해방 이전 생애
1907년 6월 1일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서 박문용과 연철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려서 외가가 있는 증평군도안면 화성리로 이사했고, 아버지께 천자문을 배우고 15세 까지 서당을 다니며 한학을 익혔다. 1919년 3.1 운동이 확산되며 4월 10일 도안면에서 발생한 만세운동에 참여했다. 천안 고모댁에 방문 중 천안소학교를 구경한 것을 계기로 신학문을 익히기로 결심하여 도안면 강습소에 등록하고 2년 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해 1924년 셋째 외삼촌인 연동희에게 여비 40원을 얻어 일본 유학을 떠났다.일본 유학 전 일본에서 중학교에 다니는 친구로 부터 동경유학생들이 압박을 많이 받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내 힘으로 나라를 구해야겠다는 결심을 한 그는 일본의 요쓰야소학교 야간부 속성과(소학교 5, 6학년 과정)를 1년 만에 졸업하였다. 당시 나월환이 소학교 동기로 함께 학교에 다녔다. 소학교 졸업 후 가이세이 중학교 야간부를 다녔고, 1926년 6.10 만세 운동 이후 항일투쟁에 나서기로 결심하고 원심창, 한하연 등과 교류했다.
1927년 도쿄 요요기 광장에서 예정된 3.1절 기념행사에 참가하려다 일본 경찰에 연행되 불령선인으로 낙인찍히고, 1928년 정찬진, 홍영유 등과 도쿄에서 한인 아나키스트 단체인 '자유청년연맹'을 조직했다. 당시 제일 친일단체인 '상애회'의 박춘금을 습격하고자 했으나 사전에 누설되어 실패하였다.
1929년 귀국해 일제의 감시 속에서 귀향하였고, 2개월 간 종로경찰서에 구금되기도 하였다. 이후 나월환의 누나의 도움으로 중국 망명 준비를 하였다. 이후 집에서 땅문서를 훔쳐 100원의 여비를 마련하고 인천경찰서에서 도선증명서를 받아 1931년 중국 청도로 망명했다. 이후 친척의 도움을 받아 6월에 남경으로 이동했고, 원심창, 류자명, 정화암, 백정기 등과 지내며 이회영 등과 함께 남화한인청년연맹을 재정비하였다.
1933년 육삼정 사건 이후 난징으로 가서 중국포병학교를 졸업하고 국민혁명군에 입대했으며, 류자명의 도움으로 천광궈의 보증을 받아 1934년 중국중앙군관학교 11기로 입학해 1937년에 졸업했다. 1939년 국민혁명군 대위로 진급해 중경 훈련총감부 통신감실 참모로 근무하며 류자명, 나월환 등과 교류하였고, 나월환과 함께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창설했다.
1940년 5월 서안에 이동해 후종난 부대와 연계하고, 한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초모활동을 전개하였다. 한국청년전지공작대는 이후 대원 수 100여 명에 이르렀고, 1940년 9월 17일 광복군 창설 후 1941년 1월 1일 광복군 제5지대로 편제되었다. 하지만 나월환이 이하유, 김동수 등과 충돌하다가 암살당하고 제5지대가 제2지대에 편입되자 중경의 광복군 총사령부로 이동해 정보참모부장으로 근무하다가 광복을 맞이하였다.
2.2. 광복 이후 생애
광복 후 이강과 함께 한인 동포들의 귀국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타이완에 다녀왔고, 1945년 12월 28일 귀국하였다. 1946년 박시창, 최덕신과 함께 육군사관학교 3기로 임관하였고, 이후 대위로 진급해 1947년 제5연대 대대장으로 건군 후 최초로 진행된 추기대연습을 주도하였다.#. 이후 제2보병사단 제5연대 연대장, 대구 제1훈련소 부소장을 역임하였고 고등군사반 7기 훈련을 마친 후 1952년 101노무사단장을 역임하고 1960년까지 대령으로 복무하다가 준장으로 진급 후 전역하였다.예편 후 대한중석 고문 등 기업체 고문, 자문역으로 활동하며 1969년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에 참여하였고, 1985년 한국광복군동지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63년 독립운동 경력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고, 1984년 독립운동 회고록인 나의 조국을 집필하였다. 1991년 2월 1일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서 노환으로 사망하였다.
3. 여담
- 차일혁, 박정희 등과 친분이 있었다. 박정희가 육군대학에 진학 후 진해에서 차일혁, 이종찬 등의 도움으로 겨우 전세집을 얻는 등 어려운 생활을 이어가자 차일혁이 평소 박정희와 친분이 있던 박기성에게 요청해 여러모로 박정희에게 도움을 주었다.#
- 국민혁명군 경력에 비해서 예편과 동시에 예비역장성으로 진급하는 등 진급속도가 느렸다. 6.25 전쟁 당시 미군들과 호흡이 맞는 편인 1910, 20년 대 생의 젊은 군인들이 빠른 진급속도의 혜택을 받은 반면 고령의 군인들은 출신과 관계없이 진급의 혜택을 받기 어려웠다. 육사 동기이자 광복군 출신인 최덕신이 1950년 준장에 진급했고, 채원개가 1949년 제3보병사단 사단장을 역임한 것에 비해서도 진급속도가 느렸다. 아나키스트 경력도 있고, 이종찬, 박정희 등 이승만 계열과 거리가 있던 군인들과 친분이 있었던 것도 한몫 하였다.
- 가훈을 "인자(仁者)는 수(壽)"라고 할 만큼 평소 장수의 비결을 자신보다 남을 위해 살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평소 물욕과 출세욕이 없었으며 6.25 전쟁 중 울산 방어진에서 방위군 연대장을 지냈을 때 보초를 선 장병의 피복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아 떠는 모습을 보고 당번병을 시켜 자신의 옷을 가져다 입혔다고 한다. 평소 고집이 센 성격이나 정이 많고 눈물이 많은 편이었다고 한다.
- 해방 후 귀국했을 때 아버지는 이미 세상을 떠났고, 어머니는 조카와 중국 흑룡강성으로 이주했다가 1953년에 세상을 떠났다. 외아들이면서 부모의 임종을 지키지 못하고 효도하지 못해 평생 가슴아파했다.
[1] 해당 영상 12분 10초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