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20:35:04

장수 이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230><tablebordercolor=#fafafa>
長水 李氏 (長川 李氏)
장수 이씨 (장천 이씨)
}}}
<colbgcolor=#505050> 관향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1]
비조 이알평(李謁平)
시조 이임간(李林幹)[2]
중시조 이을진(李乙珍)
집성촌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경상남도 함안군
경상남도 하동군
경상남도 남해군
황해북도 금천군
황해북도 수안군
평안남도 평원군
인구 16,940명(2015년)

1. 개요2. 역사3. 분파4. 항렬자5. 인물
5.1. 고려5.2. 조선5.3. 일제강점기5.4. 대한민국
6. 기타

[clearfix]

1. 개요

장수 이씨(長水 李氏)는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2. 역사

파일:20231008_195750.jpg
장수이씨 시조 이임간 상상화

장수 이씨의 시조 이임간(李林幹)[3]은 원종 3년(1262)에 경주 이씨 이편(李翩)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경술년(1310)[4]에는 충선왕을 따라 원나라에 갔는데 원에 공경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천조(天朝)의 많은 군소제후(群小諸候)들이 엄하게 꾸짖자 상소로 음양(陰陽)과 화이(華夷)를 나누어 소통하여 다스리기를 진론(陳論)하였다. 또 말하기를 "황명을 비롯한 일을 제가 먼저 응보하겠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황제가 이를 가상히 여겼고 만조(滿朝)[5]의 모든 현군(賢群)들이 아첨하지 않는 자들이 없었으며 놀라거나 두려워하지 않는 자 또한 없었다고 한다. 후에 귀국하여 장수현에서 한 눈에 볼 수 있는 전결 800묘를 하사 받았다. 충선왕 때 평장사(平章事) 정승(政丞)[A]을 역임하였으며 장천부원군(長川府院君)에 봉해졌고 관향을 장천 이씨[7]라고 하였다.

2세 이원만(李元萬)은 이임간의 장남으로 충혜왕 때 소부(小府) 사복정(司僕正) 정승이었고, 평생토록 군신의 득실과 사람의 장단점 및 평치를 말하지 않으니 이름이 온세상에 알려졌고 늙어서는 두발이 희지 않았다고 전한다.

3세 이길상(李吉祥)은 이원만의 장남으로 군기시윤(軍器寺尹)을 역임하였고 공민왕 때는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였다.

4세 이을진(李乙珍)은 이길상의 장남으로 고려 우왕 때 장수로 활동했다. 일찍이 통산군(通山君)에 봉해졌으며, 시조 이임간의 장천부원군을 습봉하였다. 공민왕 때에는 문하시중을 역임했다고 전하며, 우왕 5년(1379)에 충주단양도병마사(忠州丹陽道兵馬使)를 거쳐 전라도도순문사(全羅道都巡問使) 및 지문하사(知門下事)[B]를 지낸 뒤 우왕 11년(1385)에는 강릉도원수(江陵道元帥)를 역임하였다.

이렇게 4대가 정승을 역임하면서 집안은 한순간에 명문가가 되었는데 그러던 중에 우왕 14년(1388)에 팔도도통사(八道都統使) 최영요동정벌을 할 때 우군도통사(右軍都統使) 이성계 휘하로 들어가 참전하였고 그후 이성계가 우왕을 폐위시키자 우왕을 복위시키려던 김저의 옥사에 연루되어 여러 차례 유배가거나 곤장을 맞았고 조선 건국 이후에는 직첩이 회수되어 또 유배를 가게 되면서 연달아 정승을 역임하던 것은 이때 끝나게 된다.

5세 이종화(李從華)[9]이종무(李從茂)는 각각 이을진의 장남과 차남으로 이 두 사람 때부터 본격적으로 조선시대에 활동한다. 이종화는 식년시 합격 후 사간원에서 정언(正言)을 지냈으며, 말년에는 지군사(知郡事)[10]를 지냈다. 이종무는 고려말부터 아버지 이을진을 따라 군인 활동을 이어왔으며 2차 왕자의 난에 가담하여 4등구충대좌명공신(四等救忠戴佐命功臣)호를 받았고 아버지 이을진의 장천부원군을 습봉하였으며, 대마도 정벌을 하는 등의 공적을 세웠고 세종 때 여러 관직을 거쳤다. 더구나 정종(조선)의 부마가 되면서 집안은 점점 커져갔다.

이종화의 손자 이임(李任)과 이종무의 장남 이승평(李昇平), 차남 이사평(李士平)은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원종공신이 되었고, 임진왜란 때는 이희급(李希伋)이, 병자호란 때는 이희계(李希啓)가 활약했다.

3. 분파

장수이씨의 파는 이을진의 장남 이종화를 파조로 하는 정언공파(正言公派)와 이을진의 차남 이종무를 파조로 하는 양후공파(襄厚公派)로 나뉜다. 정언공파의 정언은 이종화가 역임한 정6품 사간원 정언에서 따온 것이며, 양후공파의 양후는 이종무가 사망한 후 세종이 내려준 시호에서 따온 것이다. 이종화의 장남인 이봉춘(李逢春)이 대마도 정벌을 끝낸 후 경상남도 남해군으로 들어와 살기 시작하여 정언공파의 대부분이 남해군 또는 그 근처 함안, 하동, 사천 등에 분포하고, 대마도 정벌 이후 남해군에 정착하지 않고 육지로 올라간 이종무는 그 후손들이 경기도 용인시 혹은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에 분포하며, 이북에 있는 장수이씨 또한 대부분 양후공파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남해군이나 장수군 같이 향촌 인구가 빠져나가고 서울에 인구가 밀집하면서 정언공파와 양후공파 두 파 모두 가리지 않고 서울에 많이 분포한다.

4. 항렬자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재(在)○ ○호(鎬) 홍(洪)○ ○근(根) 용(容)○ ○기(基)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진(鎭)○ ○한(漢) 주(柱)○ ○희(熙) 지(址)○ ○종(鍾)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순(淳) 상(相)○ ○열(烈) 원(遠)○ ○상(相) 우(雨)○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집(集) 섭(燮)○ ○교(敎) 정(鼎)○ ○낙(洛) 주(柱)○
○칠(七)

5. 인물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는 인물, 과거 급제한 인물, 사원(祠院)[11]에 위패가 모셔진 인물, 공신, 독립운동가, 판서 이상의 직위에 있는 인물, 파시조(派始祖) 등을 기재한다.

5.1. 고려

* 1세 이임간(李林幹) - 충선왕 때의 평장사 정승[A]이자 장수 이씨의 시조
* 2세 이원만(李元萬) - 충혜왕 때의 소부 사복정 정승
* 3세 이길상(李吉祥) - 문하시중 군기시윤
* 4세 이을진(李乙珍)''' - 우왕 때 지문하사[B], 제2차 요동정벌 등에 참여한 우왕의 장수. 장수 이씨 중시조.

5.2. 조선

* 5세 이종화(李從華) - 태조 5년(1396) 문과 급제(을과 2위)[14], 사간원 정언, 정언공파 파조.
* 5세 이종무(李從茂) - 조선 세종 때의 장수. 대마도 정벌 참전, 양후공파 파조.
* 6세 이봉춘(李逢春) - [정언공파2세손] 대마도 정벌 참전, 경상남도 남해군의 입향조.
* 6세 이승평(李昇平) - [양후공파2세손] 대마도 정벌 참전, 세조 1년에 원종2등공신에 녹훈 및 영조 때 이조판서로 증직.[C]
* 6세 이사평(李士平) - [양후공파2세손] 세조 1년(1455년)에 원종2등공신에 녹훈, 성종 13년(1482년)에 이조판서로 증직.[C]
* 6세 이후평(李厚平) - [양후공파2세손] 단종 때 분충장의공신(奮忠杖義功臣) 가정대부에 봉해지고 영조 26년에 이조판서로 증직.[C]
* 6세 고택군부인 장수 이씨 - [양후공파2세손] 정종의 10남 덕천군 이후생의 부인이자 정종의 며느리, 전주 이씨 덕천군파의 파조모.
* 7세 이임(李林) - [정언공파3세손] 세조 6년(1460년)에 원종3등공신에 녹훈.
* 8세 이수림(李壽林) - [정언공파4세손] 세조 11년(1465년) 진사 급제(3등 51위)[25], 통정대부 의주교수(義州敎授).
* 9세 이상경(李商卿) - [정언공파5세손] 성종 17년(1486년) 생원 급제(3등 10위).
* 9세 이세걸(李世傑)[27] - [정언공파5세손] 성종 17년(1486년) 문과 급제(병과 10위), 연산군승정원 좌승지,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등을 역임.
* 9세 이계안(李繼安) - [양후공파5세손] 호조판서.
* 10세 이원근(李元根) - [양후공파6세손] 이조판서.
* 11세 이희급(李希伋) - [정언공파7세손] 선조 9년(1576년) 생원 급제(3등 21위), 선조 15년(1582년) 문과 급제(병과 23위), 함양현감(咸陽縣監)을 재직 중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끝까지 싸우던 중 순절, 선무원종2등공신[32]에 책록 및 경상남도 남해군 난곡사(蘭谷祠)에 고려의 대유학자 이제현, 백이정과 함께 배향
* 이시분(李時馩) - [정언공파7세손] 광해군 때《운창선생문집(雲牕先生文集)》 등의 저서를 남겼고 청계서원(淸溪書院)에 배향되었다.
* 11세 이희계(李希啓) - [정언공파7세손] 병자호란쌍령 전투에서 청나라 군대와 싸우다가 순절하였다.
* 11세 이희춘(李希春) - [정언공파7세손]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 11세 이세건(李世建) - [양후공파7세손] 병조판서.
* 12세 이구령(李龜齡) - [양후공파8세손] 이조판서.
* 12세 이방윤(李邦胤) - [양후공파8세손] 병조판서.
* 12세 이삼로(李三老) - [정언공파] 선조 때의 의병장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이끌었으며 후에 의병장 곽재우의 의군에 합류하여 화왕산성에서 큰 공을 세웠다. 사후 이시분과 함께 청계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는《고산실기(孤山實記)》가 있다.
* 14세 이열주(李悅周) - [정언공파10세손] 숙종 1년(1675년) 진사 급제(3등 24위).
* 16세 이시재(李時栽) - [양후공파12세손] 가선대부 호조판서.
* 17세 이천배(李天培) - [양후공파13세손] 영조 3년(1727년) 진사 급제(3등).
* 19세 이정삼(李廷三) - 호조판서.
* 25세 이연기(李淵起) - [양후공파21세손] 영조 3년(1727년) 문과 급제(병과 31위).
* 27세 이송심(李松心) - [양후공파23세손] 영조 41년(1765년) 문과 급제(병과 15위).

세대미상
* 이무림(李茂林) - 명종 10년(1555년) 생원 급제(3등 43위)
* 이철(李哲) - 인조 2년(1624년) 생원 급제(3등 49위)
* 이기일(李起逸) - 현종 3년(1662년) 무과 급제(병과 12위)
* 이진방李震芳) - 숙종 1년(1675년) 생원 급제(3등 24위)
* 이두진(李斗進) - 숙종 37년(1711년) 무과 급제(병과 3위)
* 이익하(李翊夏) - 숙종 43년(1717년) 무과 급제(병과 16위)
* 이세정(李世挺) - 영조 1년(1725년) 무과 급제(병과 371위)
* 이종언(李宗彦) - 영조 39년(1763년) 생원 급제(3등 14위)
* 이일덕(李日德) - 영조 47년(1771년) 진사 급제(1등 5위)
* 이광신(李光紳) - 정조 10년(1786년) 진사 급제(3등 36위)
* 이정묵(李鼎默) - 순조 3년(1803년) 진사 급제(3등 54위)
* 이찬필(李燦弼) - 헌종 9년(1843년) 생원 급제(3등 66위)

5.3. 일제강점기

* 19세 이예모(李禮模) - [정언공파15세손] 독립운동가. 대통령 표창(1980년), 건국훈장 애족장(1990년) 추서
* 21세 이찬덕(李燦德) - 독립운동가. 이예모와 함께 남해읍 장터에서 시위를 했음

5.4. 대한민국

* 21세 이자익(李自益) - [정언공파17세손] 대전성경대학교 설립자,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장[47]
* 22세 이상민 - [정언공파18세손] 국회의원[49]
* 22세 이봉조 - [정언공파18세손] 색소폰 연주자, 작사가 및 작곡가
* 22세 이만근(李萬根) - 공군사관학교 28기 중령
* 23세 고니[51] - [정언공파19세손] 이봉조의 아들, 가수, 방송인, 부동산 컨설턴트
* 24세 이효원(李孝源) - 제9대 고성군수, 제4대 거제시장, 제12대 하동군수, 제10대 창녕군수, 사천군수
* 33세 이중섭 : [양후공파29세손] 한국 최고의 근대화가. 자유미술협회전 태양8상 수상(1937년), 은관문화훈장(1978년), 대표작은 〈황소〉〈흰 소

세대미상
* 이정수 - 前 축구선수
* 이수영[54] - 가수
* 이석준 - 농협금융지주 회장
* 이규삼 - 제12대 강원도지사출처
* 이천근 - 예) 육군준장, 제8보병사단 포병연대장, 제6포병여단, 제3야전군사령부 동원처장, 제61보병사단장 역임.
* 이용표 - 35대 서울특별시경찰청장
* 이성용 - 前 경상남도의원

6. 기타

1964년 이전《장수이씨세보》혹은 이삼로가 작성한 《고산실기》등에서는 3세 이길상과 4세 이을진의 항렬이 바뀌어져 있었다. 그래서 《국조방목》같은 기록을 보면 5세 이종화의 아버지가 3세 이길상으로 나오는 등의 오류가 있었지만 1998년 《장수이씨대동보》 기준으로 이것이 수정되었다.

1902년 장수이씨세보 이임간에 관한 기록을 보면 영천 이씨 이영간과 행적이 유사한 기록이 보이는데 이는 이임간이 이영간(李靈幹)으로 이름을 바꾸어서 생긴 오류로 현재는 고쳐져 있다.

[1] 장천(長川)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장수군의 옛 이름이다.[2] 개휘(改諱)하여 이영간(李靈幹)이 되었으나 여러 문헌에서는 옛 휘를 쓴다.[3] 개휘해서 이영간(李靈幹)이지만 보통 초휘였던 이임간을 쓴다. 경주 이씨 족보에서는 이직간(李直幹)이라고도 하는데 이직간은 이임간의 첫째 형이다.[4] 1998년에 편찬된 장수 이씨 족보에서는 병술년(1286)이라고 나오고 이임간유허비 등에서는 경술년(1310)이라고 나오는데 충선왕을 따라 원나라에 갔다는 기록을 보면 경술년이 맞다. 왜냐하면 1310년 음력 1월 1일에 충선왕이 원에 머물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5] 온 조정(朝政)[A] 고려사에는 기록이 없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정승으로 기록되어 있다.[7] 장천(長川)은 지금의 장수군으로 후에 장수 이씨라고 이름이 바뀌었다. 하지만 묘비에서는 장천이라고 많이 쓴다.[B] 문하부의 종2품 관직.[9] 《태종실록》 및 《세종실록》그리고 《국조방목》등에서는 이종화(李種華)라고 나온다.[10] 지금의 군수와 같은 관직.[11] 사당(祠堂)과 서원(書院)[A] [B] [14] 1998년 족보에서는 우왕 병진년(1376)에 급제하여 태조 병자년(1396)에 사망했다고 나오지만 국조방목의 기록을 보면 1396년이 맞다.[정언공파2세손] [양후공파2세손] [C] 족보의 기록으로 조선왕조실록 등에서는 증직된 기록이 없다.[양후공파2세손] [C] [양후공파2세손] [C] [양후공파2세손] [정언공파3세손] [정언공파4세손] [25] 성화1년을유1월 일생원진사시방목에 의하면 아버지의 前 관직과 이름이 사직(司直) 이 임(李 任)인데 족보에서 이임의 관직이 사직이라고 나오며 거주지가 남해, 즉 장수 이씨 정언공파의 집성촌으로 나온다. 해당 방목에서는 본관이 미표기 되어 있지만 거주지와 아버지의 성함 및 직책을 미루어 보아 이수림이 맞다고 볼 수 있다.[정언공파5세손] [27] 초명은 이세걸이지만 연산군 때 이세걸과 한자까지 같은 동명이인이 있다고 하여 연산군이 직접 이충걸(李忠傑)로 개명시켜 주었지만 후에 이충순(李忠純)으로 강제 개명시켰다.[정언공파5세손] [양후공파5세손] [양후공파6세손] [정언공파7세손] [32] 그때 받은 공신녹권은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다.[정언공파7세손] [정언공파7세손] [정언공파7세손] [양후공파7세손] [양후공파8세손] [양후공파8세손] [정언공파] 8세손[정언공파10세손] [양후공파12세손] [양후공파13세손] [양후공파21세손] [양후공파23세손] [정언공파15세손] [정언공파17세손] [47] 13회, 33회, 34회 역임[정언공파18세손] [49] 10대, 12대[정언공파18세손] [51] 본명 이영곤[정언공파19세손] [양후공파29세손] [54] 본명 이지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