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467319><colcolor=#ffffff> 은밀하게 위대하게 (2013) Secretly Greatly | |
| |
언어별 제목 |
|
장르 | 액션, 드라마, 코미디, 느와르, 첩보 |
감독 | 장철수 |
각본 | 김방현, 윤홍기 |
각색 | 오태경, 김미현, 장철수, 조석현 |
원작 | HUN 웹툰 《은밀하게 위대하게》 |
제작 | 김방현, 김영민, 홍재준 |
촬영 | 최상호 |
조명 | 이강빈 |
편집 | 김선민 |
음악 | 장영규, 달파란 |
미술 | 김종우, 유청 |
의상 | 이혜영 |
분장 | 박지순 |
특수분장 | 윤황직 |
동시녹음 | 이태규 |
음향 | 이성진, 한명환 |
특수효과 | 윤대원 |
시각효과 | 박민용 |
무술감독 | 박정률 |
조감독 | 조석현 |
출연 | 김수현, 박기웅, 이현우, 손현주 外 |
제작사 | 엠씨엠씨, 키이스트 |
배급사 | 쇼박스 |
촬영 기간 | 2012년 10월 19일 ~ 2013년 3월 8일 |
개봉일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2013년 6월 5일 [[싱가포르| ]][[틀:국기| ]][[틀:국기| ]]2013년 7월 18일 [[미국| ]][[틀:국기| ]][[틀:국기| ]]2013년 7월 19일 [[홍콩| ]][[틀:국기| ]][[틀:국기| ]]2013년 7월 25일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대만| ]][[틀:국기| ]][[틀:국기| ]]2013년 7월 26일 [[일본| ]][[틀:국기| ]][[틀:국기| ]]2014년 10월 11일 |
상영 시간 | 123분 (2시간 3분) 일반판 133분 (2시간 13분) 확장판 |
제작비 | 70억 원[1] |
월드 박스오피스 | $43,447,199 (최종)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6,963,821명[2] (최종) |
스트리밍 | [[Wavve| Wavve ]] ▶ ▶ ▶ ▶ |
상영 등급 |
[clearfix]
1. 개요
2013년 6월 5일 개봉한 한국 영화. 동명의 웹툰이 원작이다.2. 포스터
| | | |
티저 포스터 | 캐릭터 포스터 | ||
| | | |
스페셜 캐릭터 포스터 |
3. 예고편
4. 프로모션
<rowcolor=#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방송·라디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날짜 | 매체 | 제목 | 출연 | 링크 |
5월 4일 | | 접속! 무비월드 | 김수현, 박기웅, 이현우 | ||
5월 5일 | | 섹션TV 연예통신 | |||
5월 25일 | | 연예가중계 | |||
5월 26일 | | 런닝맨 | | ||
6월 6일 | 한밤의 TV연예 | ||||
6월 11일 | | 두시탈출 컬투쇼 | 박기웅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보·인터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날짜 | 매체 | 제목 | 출연 | 링크 |
NO.907 | | [김수현] 위대한 비행 | 김수현, 박기웅, 이현우 | ||
[박기웅] 늘 처음처럼 | |||||
[이현우] 소년에서 성인으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날짜 | 매체 | 제목 | 링크 |
4월 30일 | - | 〈은밀하게 위대하게〉 제작보고회 및 쇼케이스 | ||
5월 27일 | - | 〈은밀하게 위대하게〉 언론 시사회 | ||
- | 〈은밀하게 위대하게〉 VIP 시사회 | |||
5월 31일 | - | 〈은밀하게 위대하게〉 평화의 전당 시사회 | [3] |
5. 시놉시스
공화국에선 혁명전사,이 곳에선 간첩. 들개로 태어나 괴물로 길러진 내 남파임무는 어이없지만 동네 바보입니다.
북한의 남파특수공작 5446 부대. 20000:1의 경쟁률을 뚫은 최고 엘리트 요원 원류환, 공화국 최고위층 간부의 아들이자 류환 못지 않은 실력자 리해랑, 공화국 사상 최연소 남파간첩 리해진.
세 사람은 5446부대의 전설 같은 존재이다. 하지만 조국통일이라는 원대한 사명을 안고 남파된 그들이 맡은 임무는 어처구니 없게도 달동네 바보, 가수지망생, 고등학생이다.
전달되는 명령도 없이 시간은 흘러만 가고 남한 최하층 달동네 사람들과 부대끼며 살아가는 일상에 익숙해져 간다. 그러던 어느 날 그들에게 전혀 뜻밖의 은밀하고 위대한 임무가 내려진다. 전설이 되어야만 돌아갈 수 있는 그들의 이야기가 지금 시작됩니다.
북한의 남파특수공작 5446 부대. 20000:1의 경쟁률을 뚫은 최고 엘리트 요원 원류환, 공화국 최고위층 간부의 아들이자 류환 못지 않은 실력자 리해랑, 공화국 사상 최연소 남파간첩 리해진.
세 사람은 5446부대의 전설 같은 존재이다. 하지만 조국통일이라는 원대한 사명을 안고 남파된 그들이 맡은 임무는 어처구니 없게도 달동네 바보, 가수지망생, 고등학생이다.
전달되는 명령도 없이 시간은 흘러만 가고 남한 최하층 달동네 사람들과 부대끼며 살아가는 일상에 익숙해져 간다. 그러던 어느 날 그들에게 전혀 뜻밖의 은밀하고 위대한 임무가 내려진다. 전설이 되어야만 돌아갈 수 있는 그들의 이야기가 지금 시작됩니다.
6. 등장인물
7. 줄거리
북한 최고 특수부대인 5446 부대에 오성조 3대 조장인 원류환, 그에게 주어진 임무는 남한에 잠입해 그들의 군사정보를 빼오는 것. 그렇게 남한으로 온 지 2년, 방동구라는 이름으로 서울 달동네에서 바보 행세를 하며 살고 있다. 슈퍼 잡일을 도와 주는 조건으로 숙식 제공에 월급 20만원에 좋아하고 원래는 엘리트 요원이지만 지금은 바보기 때문에 동네 꼬마들에게 짱돌을 맞거나 고등학생에게 뒤통수를 맞아도 당해도 그냥 맞고만 살아야 한다. 심지어 '월 1회 이상 길거리에서 1인 이상이 보는 상황에서 대변을 봐라.' 하는 지령까지 철저히 시행한다.
그러다 다른 남파 간첩을 만나게 되는데. 바로 리해랑. 리해랑은 5446부대 흑룡도 3대 조장으로 남한에서 오디션을 보러 다니는 기타리스트로 위장해 대형 기획사 오디션에 붙어서 락커로 활동하라는 명령을 받지만 보는 족족 떨어진다. 한편 5446부대 오성조 4대 조장으로 원류환을 우상으로 여기며 훈련을 하다 최연소 조장에 오르게 된 리해진이 류환과 해랑을 감시하기 위해 남한으로 온다. 시작은 감시였지만 결국 결국 존경하는 조장동무를 지키는 관계가 된다.
3명의 남파 간첩들이 점차 원래의 임무와는 달리 남한에서의 평화로운 삶에 익숙해지던 중 드디어 북으로부터 임무가 떨어진다. '자결하라'는 명령이었다. 남한과 북한의 사이가 좋아지면서 간첩이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 외교에 차질이 생길까봐 5446부대를 없애라 한 것. 하지만 그들을 훈련시킨 김태원은 그들의 명예를 위해서 자결 명령을 내려달라 했다. 하지만 북으로 돌아가서 평범한 삶을 꿈꿨던 원류환, 리해랑, 리해진은 자결 대신 다른 방법을 찾기로 한다.
명령을 따르지 않은 셋을 처리하기 위해 교관인 김태원이 그들을 사살하러 남한으로 오게 되고, 몸에 심어진 생체 감지 GPS로 그들의 위치를 추적한다. 한편 5446부대 백두조 3대 조장으로 위장한 남한 국정원 요원인 이중간첩인 서수혁은 이 사실을 알고 이 셋을 남한의 병력으로 회유하지만 가족을 지키기 위해 그들은 거절한다.
그렇게 셋은 김태원과 싸우고 폭탄으로 자폭하려는 김태원을 리해랑이 껴안고 건물 아래로 떨어지면서 수류탄이 터져 둘다 죽게 된다. 남은 리해진은 서수혁의 회유에 반항하다 결국 총에 맞고 그런 리해진을 보호하려고 원류환은 리해진과 같이 공사장 아래로 떨어진다. 그렇게 동네 사람들은 원류환의 진짜 정체를 알게 되지만 그를 그리워 하고 그를 거둬준 슈퍼 할매 역시 살아있다면 소식이라도 알려달라고 글을 써놓는데. 얼마 뒤 사진 뒤엔 원류환의 글이 쓰여있어 살아남았다는 열린 결말로 끝난다.
7.1. 원작과의 차이점
- 영화의 러닝타임 특정상 원작의 세세한 부분을 모두 넣을 수는 없기 때문에 몇가지는 생략되거나 변형된 것이 있다. 또 일부는 아예 캐릭터 자체가 바뀌기도 했다. 자세한 건 아래 후술.
- 원류환이 없어진 황치웅을 찾기 위해 우스꽝스러운 변장을 하는 건 원작과 영화 모두 동일하다. 하지만 원작에서는 일이 마무리되고 잠시 한눈을 판 사이 동네 사람들에게 걸려서 흉흉한 소문의 주인공이 됐고, 이후 류환은 어느 괴한이 자신에게 우스꽝스럽게 입으라고 했다는 자신의 거짓말을 어필시키기 위해 유준을 못살게 구는 불량 학생들을 꼬드겨 자신과 똑같은 옷을 입고 춤을 추게 하지만 영화에서는 아무에게도 안 들키고 무사히 넘어간다.
- 서수혁의 설정이 전면적으로 바뀌어 아예 이름만 같은 다른 인물이 되었다. 원작에서는 김태원에게 국정원 소속의 아버지를 잃고 북한에 위장진입하여 백두조 조장이 된 다음, 다시 남한으로 내려오는 이중간첩으로 그려졌지만 영화판에서는 과거 5446부대 출신이었으나 탈출 도중 동생을 잃고 남한으로 전향한 특수요원으로 나온다. 다만 원작과 달리 영화에서는 이런 설정이 후반부 서수혁의 짤막한 대사로만 설명이 되기 때문에 관객들 입장에서는 상부의 지시를 무시하고 원류환 일행들을 설득하려는 서수혁이 이해가 안 될 수도 있으나, 영화 설정을 따르면 자신이 5446부대에 있을 때 공화국 체제와 부대의 앞날에 대해 회의를 느꼈고, 이에 탈출을 감행하다 북한에 의해 동생을 잃은 경험이 있기 때문에 같은 부대 출신의 동생뻘인 원류환 일행들을 구해주려 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덤으로 서수혁과 함께 국정원도 약간 너프를 받아 국정원 요원이라는 인간들이 최후반 전투에서 무대뽀로 진입해 김태원의 부하 저격수들에게 엄청나게 손실을 본다.
- 고구영은 영화에서 고이순으로 개명당했다. 그리고 박기봉이 고구영의 아들이라고 나온다.[4]
- 초반 전개가 원작에서는 리해랑 조우>황성민 찾기>서상구 자결 요청>리해랑 오디션 순이었으나 영화에서는 리해랑 조우>리해랑 오디션>황성민 찾기>서상구 자결 요청 순으로 바뀌었다.
- 리해랑이 오디션 일화를 말하는 장면이 다르다. 원작에서는 그냥 놀이터에서 결과만 듣고 끝이었지만 영화에서는 오디션을 보러가는 리해랑을 미행했고 그가 오디션에서 연주를 하는 것까지 직접 확인한다. 이 장면에서 서상구와 옷을 바꿔입어 우체부 차림으로 리해랑의 뒤를 쫓는데, 그 때문에 놀이터에서 원류환의 녹색 츄리닝을 입고 있던 서상구를 원류환으로 알고 돌을 던졌다 도망치는 꼬마 형제와 그날 밤 늘어난 바지 고무줄을 꿰매는 원류환이 압권이었다.
- 황치웅과 황성민의 어머니에게 고백하려는 남자가 원작에서는 목공소 아저씨이지만 여기서는 이발소 주인이며 후반부에 원류환의 이발을 해주었다.
- 부대원 숙청 과정이 약간 다르다. 웹툰이 연재될 무렵에는 대청해전과 천안함 피격 사건, 연평도 포격전이 연이어 터진 시점이었기 때문에 서해상의 교전 때문에 국제 여론에 난처하게 된 북한이 스파이들을 숙청하기로 된 반면 영화판이 나온 시점에서는 리무혁의 쉴드를 쳐주던 김정일[5]이 사망하고 김정은이 남한과의 관계 개선 및 리무혁이 정적들의 공격거리 없애기 위한 계획[6][7]으로 부대원들이 숙청된다.
- 조두석은 원작에서는 27살 경찰 순경이었지만 영화에서는 30살 경찰지망생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허이란을 짝사랑한다는 설정이 추가됐지만 허이란은 그를 전혀 이성으로 여기지 않는다.
- 각 조 조장들이 가진 자신에게 특화된 근접 무기인 '가오리'가 삭제되었다. 다만 가오리라는 이름이 직접 등장하지 않았으나 서수혁의 가오리가 황재오의 무기로 등장했고 최완우의 가오리도 그가 사용한 무기로 나왔다.
- 황재오의 설정들 역시 영화에서는 사실상 대폭 삭제됨에 따라 백두조장이라는 설명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3류 악당의 면모는 영화에서도 어느 정도 나타나며, 원작에서는 독단 행동으로 인해 김태원에게 죽지만 영화에서는 원류환에 의해 발린 뒤 리해랑이 자신을 죽이려 하자 가오리로 해랑을 찌르지만 얼마 못 가 해랑에게 역관광당해 죽는다.
- 최완우의 경우 원작에서는 말을 더듬지만 영화에서는 더듬지 않는다.
- 서상구가 데리고 온 북한 요원들과의 싸움에서 원작에서는 리해랑 혼자서
무쌍북한 요원들을 거의 괴멸시키지만 영화에서는 원류환과 해랑이 같이 북한 요원들을 상대로 싸우며, 원작에서는 황재오가 저격수들에게 명령을 하지만 여기서는 서상구가 저격수들에게 명령을 해 원류환과 리해랑, 최완우에게 상처를 입힌다.
- 원작에서는 원류환의 어머니가 수용소에 끌려갔다는 것을 알려주는 사람이 리해랑이지만 영화판에서는 서상구가 원류환을 멘탈붕괴시킬 목적으로 일부러 누설한다.
- 리해진과 원류환이 아파트에서 떨어지는 장면이 다르다. 원작의 마지막은 리해진이 원류환을 감싸지만 영화에서는 원류환이 리해진을 감싼 상태에서 떨어진다.
- 마지막 에필로그에서 류환의 생사를 확인하는 사진 속 인물들이 변경됐다. 원작에 나오는 액자에는 그냥 류환, 순임, 두석과 셋만 있지만 영화판에선 모든 동네 사람들이 다함께 찍혀있는 것으로 나온다. 또 원작이 완결되고 공개된 비하인드격인 슬럼버편에선 국정원 요원들이 류환의 2층방에 들이닥쳐 그의 방 구석구석을 뒤지다가 방바닥속에 숨겨져 있는 마을 사람들 사진을 발견하는 장면이 나오지만 슬럼버편은 영화가 개봉하기 3개월전에 나왔으며 이 시점에서 영화는 어느 정도 촬영을 끝마친 상태였기 때문에 영화판에도 이 같은 장면을 넣는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8. 사운드트랙
음악감독 장영규의 인터뷰에 따르면 원래 콘셉이 앞 부분은 코미디니까 아예 음악을 안 쓰고, 자신이 간첩임을 고백하는 순간부터 정색하고 음악을 쓰고 싶었다고 한다. 하지만 웃겨야 한다는, 뒤는 흥으로 밀어붙여야 한다는 의견이 들어와서 처음 의도와는 다른 오리지널 스코어가 나오게 되었다.아쉽게도 사운드트랙이 발매되지 않았지만 6월 21일 '리해진' 역의 이현우가 참여한 OST '청춘예찬'이 깜짝 공개 되었다. 영화 속에서 치열하게 살아가는 청춘들을 예찬하는 포크락이다.
<nopad> | |||||
<rowcolor=#ffffff> 파트 | 표지 | 발매일 | 곡명 | 아티스트 | 링크 |
Part 1 | 2013. 06. 21. | <colbgcolor=#f5f5f5,#2d2f34> 청춘예찬 | 이현우 | |
9.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IMDb=tt2967578, IMDb_user=6.8,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secretly_greatly,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72,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secretly-greatly, 레터박스_user=3.3,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Filmarks=58837, Filmarks_user=3.7,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6057942, 도우반_user=7.9, ## 도우반_highlight=display,
무비스=fskr58913472, 무비스_user=9.5, ## 무비스_highlight=display,
왓챠=mdjlyzW, 왓챠_user=3.4,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8604, 키노라이츠_light=53.61, 키노라이츠_star=2.4,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은밀하게 위대하게, 네이버영화_audience=7.13,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도우반=6057942, 도우반_user=7.9, ## 도우반_highlight=display,
무비스=fskr58913472, 무비스_user=9.5, ## 무비스_highlight=display,
왓챠=mdjlyzW, 왓챠_user=3.4,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8604, 키노라이츠_light=53.61, 키노라이츠_star=2.4,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은밀하게 위대하게, 네이버영화_audience=7.13,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CGV=76945, CGV_egg=84, ## CGV_highlight=display,
TMDB=199584, TMDB_user=70, ## TMDB_highlight=display,
MyDramaList=5947-secretly-greatly, MyDramaList_user=8.3,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GooglePlay무비=1abng3SPdqg, GooglePlay무비_user=4.3, ## GooglePlay무비_highlight=display,
맥스무비=M000080674, 맥스무비_user=72,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씨네21=38030, 씨네21_expert=4.8, 씨네21_user=5.8, ## 씨네21_highlight=display,
씨네21=38030, 씨네21_expert=4.8, 씨네21_user=5.8, ## 씨네21_highlight=display,
영화 자체의 짜임새와 작품성은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럼에도 695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 성공을 하였다. 이에 칼럼리스트 김태훈은 영화는 수다다에서 "우리까지 이 이상한 열풍에 낄 필요는 없다."며 돌직구를 날렸다.
딱히 경쟁 영화가 없고 또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영화들 대부분이 은위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평이 안 좋은 점 또한 흥행에 큰 도움을 준 요인으로 꼽힌다.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백악관 최후의 날의 경우 은위와 비슷할 정도로 평이 안 좋았고, 은위 개봉 일주일 전에 나온 애프터 어스의 경우 은위보다도 평이 훨씬 더 안 좋았다. 다만 스타 트렉 다크니스의 경우 상당히 좋은 평가를 얻었고 고정 팬층도 있는 작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은위의 상영관 잠식에 의해 스타트랙 다크니스의 상영관이 전멸해버려 은밀하게 위대하게의 독과점 논란이 생기는데 영향을 미쳤다. 결국 6월 13일에 개봉하는 맨 오브 스틸 정도를 제외하면 경쟁 영화가 아예 없는 상황이었다.
거기다 맨 오브 스틸 이후에는 여성 관람객에게 어필을 할 수 있는 헐리우드 기대작도 없는데다[8], 한국 영화도 7월 4일에 개봉하는 정우성 주연의 감시자들이 개봉 대기 중이지만, 이 영화에 같이 출연하는 설경구가 여성들에게 비호감 배우로 낙인 찍힌지라 같은 달 17일에 개봉하는 미스터 고 이외에는 기대작이 없다. 봉준호의 설국열차도 언제 개봉될지 모르고 국내 흥행에 성공하기 힘들다는 평이 많았기에 이 영화가 더더욱 흥행이 유리했다.
사실 개봉 날짜 또한 굉장히 기가 막히게 잘 잡았다. 6월 5일이 전국연합학력평가일이였기에 시험이 끝난 학생들의 러시로 개봉 첫 날을 시작해서 6월 6일은 휴일인 현충일, 이어서 8, 9일 또한 휴일이었기에 상당한 휴일 버프를 받으며 상영을 시작했다. 더군다나 흥행이 좀 시들해질 6월 후반으로 가면 대학교들의 방학이 시작할 시기였다.
흥행에 걸림돌인 경쟁작도 없고 김수현의 엄청난 인기 덕분에 흥행 한 거지 장철수 감독의 연출력이나 작품이 좋아서 성공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 중론이다.
9.1. 평론가 평
그 배우가 아깝다
이지혜(영화 저널리스트) (★★☆☆)
이지혜(영화 저널리스트) (★★☆☆)
위대하지 않다
이화정(씨네21) (★★☆☆)
이화정(씨네21) (★★☆☆)
코믹한 전반+비장한 후반=?
이은선(매거진 M) (★★★☆☆)
이은선(매거진 M) (★★★☆☆)
드러나게 미숙하게
백은하 (★★☆☆)
백은하 (★★☆☆)
즐길 만한 전반, 원작의 약점을 확장한 후반
김혜리 (★★☆☆)
김혜리 (★★☆☆)
경쾌한 초·중반, 과부하 걸린 후반
박평식 (★★★☆☆)
박평식 (★★★☆☆)
스토리의 큰 흐름과 디테일이 거의 조응하지 않는다
이동진 (★★☆☆☆)
이동진 (★★☆☆☆)
대체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할지?
황진미 (★★☆☆☆)
황진미 (★★☆☆☆)
코믹하게 즐겁게 넘기기엔 감상-액션 과잉
유지나 (★★☆☆)
유지나 (★★☆☆)
은밀하게 후진 영화
김종철 (★☆☆)
김종철 (★☆☆)
10.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전 세계 | $43,447,199 |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2013년 6월 5일 | $43,186,902 | |
[[싱가포르| ]][[틀:국기| ]][[틀:국기| ]] | 2013년 7월 18일 | $49,791 | |
[[홍콩| ]][[틀:국기| ]][[틀:국기| ]] | 2013년 8월 1일 | $210,506 |
10.1. 대한민국
2013년 한국 개봉 영화 박스오피스 Top 1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000> 순위 | 제목 | 감독 | 국가 | 장르 | 누적 관객 수 |
1위 | 7번방의 선물 | 이환경 | [[대한민국| | 코미디, 드라마, 법정, 시대극, 휴먼, 사회고발 | 12,811,206명 | |
2위 | 설국열차 | 봉준호 | [[대한민국| | SF, 액션, 드라마, 스릴러, 정치, 재난, 포스트 아포칼립스 | 9,349,993명 | |
3위 | 관상 | 한재림 | [[대한민국| | 사극, 정치, 스릴러, 블랙 코미디, 드라마 | 9,134,238명 | |
4위 | 아이언맨 3 | 셰인 블랙 | [[미국| | 슈퍼히어로, SF, 액션, 어드벤처, 테크노 스릴러, 드라마 | 9,001,331명 | |
5위 | 베를린 | 류승완 | [[대한민국| | 액션, 첩보, 스릴러, 느와르, 드라마 | 7,166,290명 | |
6위 | 은밀하게 위대하게 | 장철수 | [[대한민국| | 액션, 드라마, 코미디, 느와르, 첩보 | 6,959,083명 | |
7위 | 변호인 | 양우석 | [[대한민국| | 드라마, 법정, 시대극, 휴먼 | 5,687,047명 | |
8위 | 숨바꼭질 | 허정 | [[대한민국| | 공포, 스릴러, 추리, 범죄, 미스터리, 서스펜스 | 5,604,103명 | |
9위 | 더 테러 라이브 | 김병우 | [[대한민국| | 스릴러, 서스펜스, 재난, 피카레스크 | 5,584,139명 | |
10위 | 감시자들 | 조의석 | [[대한민국| | 범죄, 액션, 스릴러, 느와르 | 5,508,017명 |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2013년 박스오피스 (2012년 개봉작 제외) 기준일: 2025년 2월 3일 | }}}}}}}}} |
<rowcolor=#fff>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2013년 22주차 | → | 2013년 23~24주차 | → | 2013년 25주차 |
스타트렉 다크니스 | 은밀하게 위대하게 | 월드 워 Z | ||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누적관객수 6,959,083명, 누적매출액 48,700,887,413원[9]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467319><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개봉 전 | 9,628명 | 미집계 | 71,783,000원 | ||||
1주차 | 2013-06-05. 1일차(수) | 498,158명 | 3,874,357명 | 1위 | 3,323,467,500원 | 27,207,734,683원 | |
2013-06-06. 2일차(목) | 919,010명 | 1위 | 6,508,363,000원 | ||||
2013-06-07. 3일차(금) | 528,107명 | 1위 | 3,721,579,596원 | ||||
2013-06-08. 4일차(토) | 820,469명 | 1위 | 5,912,040,087원 | ||||
2013-06-09. 5일차(일) | 715,908명 | 1위 | 5,104,866,000원 | ||||
2013-06-10. 6일차(월) | 204,674명 | 1위 | 1,377,879,500원 | ||||
2013-06-11. 7일차(화) | 178,403명 | 1위 | 1,187,756,000원 | ||||
2주차 | 2013-06-12. 8일차(수) | 188,287명 | 1,599,881명 | 1위 | 1,252,616,000원 | 11,170,573,089원 | |
2013-06-13. 9일차(목) | 151,216명 | 1위 | 1,011,005,000원 | ||||
2013-06-14. 10일차(금) | 221,473명 | 2위 | 1,575,854,047원 | ||||
2013-06-15. 11일차(토) | 459,524명 | 1위 | 3,300,640,042원 | ||||
2013-06-16. 12일차(일) | 372,936명 | 1위 | 2,656,629,000원 | ||||
2013-06-17. 13일차(월) | 101,517명 | 1위 | 681,228,000원 | ||||
2013-06-18. 14일차(화) | 104,928명 | 1위 | 692,601,000원 | ||||
3주차 | 2013-06-19. 15일차(수) | 110,406명 | 830,074명 | 1위 | 730,746,500원 | 5,819,117,641원 | |
2013-06-20. 16일차(목) | 86,481명 | 2위 | 575,872,500원 | ||||
2013-06-21. 17일차(금) | 107,800명 | 2위 | 773,122,077원 | ||||
2013-06-22. 18일차(토) | 210,625명 | 2위 | 1,538,120,564원 | ||||
2013-06-23. 19일차(일) | 186,425명 | 2위 | 1,354,044,000원 | ||||
2013-06-24. 20일차(월) | 66,734명 | 2위 | 443,334,500원 | ||||
2013-06-25. 21일차(화) | 61,603명 | 2위 | 403,877,500원 | ||||
4주차 | 2013-06-26. 22일차(수) | 60,386명 | 397,815명 | 2위 | 398,512,500원 | 2,769,448,500원 | |
2013-06-27. 23일차(목) | 43,903명 | 4위 | 286,218,000원 | ||||
2013-06-28. 24일차(금) | 51,285명 | 4위 | 358,026,000원 | ||||
2013-06-29. 25일차(토) | 95,462명 | 4위 | 694,392,000원 | ||||
2013-06-30. 26일차(일) | 85,017명 | 4위 | 614,726,500원 | ||||
2013-07-01. 27일차(월) | 30,326명 | 4위 | 205,095,000원 | ||||
2013-07-02. 28일차(화) | 31,436명 | 4위 | 212,478,500원 | ||||
5주차 | 2013-07-03. 29일차(수) | 23,861명 | 178,219명 | 4위 | 158,695,500원 | 1,207,263,500원 | |
2013-07-04. 30일차(목) | 18,140명 | 5위 | 119,367,000원 | ||||
2013-07-05. 31일차(금) | 22,805명 | 5위 | 159,180,500원 | ||||
2013-07-06. 32일차(토) | 47,682명 | 5위 | 326,329,500원 | ||||
2013-07-07. 33일차(일) | 41,170명 | 5위 | 281,988,500원 | ||||
2013-07-08. 34일차(월) | 11,113명 | 5위 | 73,838,000원 | ||||
2013-07-09. 35일차(화) | 13,448명 | 5위 | 87,855,000원 | ||||
6주차 | 2013-07-10. 36일차(수) | 12,896명 | 62,655명 | 5위 | 85,178,500원 | 421,171,500원 | |
2013-07-11. 37일차(목) | 5,365명 | 6위 | 34,877,500원 | ||||
2013-07-12. 38일차(금) | 5,902명 | 6위 | 40,808,000원 | ||||
2013-07-13. 39일차(토) | 13,561명 | 5위 | 93,560,000원 | ||||
2013-07-14. 40일차(일) | 14,852명 | 5위 | 102,845,500원 | ||||
2013-07-15. 41일차(월) | 4,823명 | 7위 | 30,808,500원 | ||||
2013-07-16. 42일차(화) | 5,256명 | 6위 | 33,093,500원 | ||||
7주차 | 2013-07-17. 43일차(수) | 2,822명 | 9,726명 | 6위 | 18,282,500원 | 64,516,500원 | |
2013-07-18. 44일차(목) | 782명 | 11위 | 4,954,500원 | ||||
2013-07-19. 45일차(금) | 973명 | 10위 | 6,718,500원 | ||||
2013-07-20. 46일차(토) | 1,522명 | 10위 | 10,864,500원 | ||||
2013-07-21. 47일차(일) | 1,640명 | 10위 | 11,304,500원 | ||||
2013-07-22. 48일차(월) | 937명 | 9위 | 5,790,500원 | ||||
2013-07-23. 49일차(화) | 1,050명 | 11위 | 6,601,500원 | ||||
8주차 | 2013-07-24. 50일차(수) | 887명 | 3,907명 | 11위 | 5,699,500원 | 26,213,000원 | |
2013-07-25. 51일차(목) | 213명 | 22위 | 1,367,000원 | ||||
2013-07-26. 52일차(금) | 263명 | 20위 | 1,974,000원 | ||||
2013-07-27. 53일차(토) | 270명 | 22위 | 1,991,000원 | ||||
2013-07-28. 54일차(일) | 420명 | 22위 | 3,241,500원 | ||||
2013-07-29. 55일차(월) | 606명 | 18위 | 4,201,000원 | ||||
2013-07-30. 56일차(화) | 1,428명 | 11위 | 7,739,000원 | ||||
9주차 | 2013-07-31. 57일차(수) | 779명 | 2,098명 | 18위 | 4,360,000원 | 13,673,500원 | |
2013-08-01. 58일차(목) | 279명 | 20위 | 1,849,500원 | ||||
2013-08-02. 59일차(금) | 269명 | 22위 | 1,931,000원 | ||||
2013-08-03. 60일차(토) | 289명 | 20위 | 2,138,000원 | ||||
2013-08-04. 61일차(일) | 300명 | 20위 | 2,134,000원 | ||||
2013-08-05. 62일차(월) | 99명 | 35위 | 644,000원 | ||||
2013-08-06. 63일차(화) | 83명 | 37위 | 617,000원 | ||||
10주차 | 2013-08-07. 64일차(수) | 101명 | 166명 | 40위 | 729,000원 | 1,185,000원 | |
2013-08-08. 65일차(목) | 11명 | 76위 | 78,000원 | ||||
2013-08-09. 66일차(금) | 14명 | 71위 | 98,000원 | ||||
2013-08-10. 67일차(토) | 4명 | 86위 | 28,000원 | ||||
2013-08-11. 68일차(일) | 18명 | 64위 | 129,000원 | ||||
2013-08-12. 69일차(월) | 12명 | 67위 | 78,000원 | ||||
2013-08-13. 70일차(화) | 6명 | 88위 | 45,000원 |
원작 만화의 인기와 김수현, 이현우 등 등장 배우들의 덕으로 개봉 첫날 평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50만이라는 엄청난 성적을 얻으며 흥행몰이를 했다. 7일까지 사흘동안 전국 195만 관객이라는 압도적인 흥행을 거두면서 모처럼 한국 영화 대박을 보여주었다. 2013년 2분기에 가장 괜찮은 성적을 거둔 한국 영화 중 하나인 몽타주가 4주가 넘는 기간동안 가까스로 전국 202만 관객을 동원했던 것을 생각하면 이 영화의 흥행이 얼마나 엄청난 것인지 알 수 있다. 6월 8일, 9일 이틀동안 160만이 넘는 폭발적 흥행을 거두면서 닷새만에 전국 350만 관객, 6월 16일에는 전국 500만, 23일에 전국 600만 관객을 넘어섰다. 다만 월드워Z가 개봉하면서 2위로 밀려났고 차츰 흥행세가 하락세이기에 천만 관객은 힘들어보인다는 분석도 있었다.
개봉전 예매율의 80% 가까이가 여성이었고 또 mbc 기사에 의하면 영화를 본 30대 이상 가운데 48%가 자녀와 함께 보았고, 이 48% 가운데 95%가 딸과 함께 보았다니 흥행의 1등공신은 김수현의 소녀팬들로 보인다.[10] 실제로 연령별 평점을 보면 여성의 평점이 남성보다 3점 가량[11] 높고 그중에서도 10대 여성과 40대 이상 여성의 평점이 특히 높다.
11. 수상
<rowcolor=#fff>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 |
2013년 | 제17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 같이의 가치 NH농협관객상 | 장철수 |
제50회 대종상 영화제 | 신인남자배우상 | 김수현 | |
2014년 | 제50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 남자신인연기상 | |
영화 남자인기상 |
12. 기타
- 김수현, 박기웅, 이현우를 주연으로 2012년 10월부터 영화화 작업에 들어갔으며 2013년 6월 5일에 개봉이 확정되었다. 김수현이 주인공 원류환 역을 맡았고 박기웅이 리해랑, 이현우가 리해진 역을 맡았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박기웅은 이 당시 인기리에 방영중이던 각시탈에서 기무라 슌지 역으로 출연중이었고 배역 특정상 시니컬한 이미지가 강했던지라 쾌활한 이미지의 리해랑 역할이 안어울릴거란 평가가 지배적이었지만 영화속 박기웅은 리해랑에 걸맞은 락커로 변장한 연기 변신을 선보이며 예상을 뒤엎고 호평을 받았다.
- 감독은 김복남 살인 사건의 전말의 감독 장철수. 초기 감독은 <풍산개>의 감독 전재홍이었으나, 사실 2012년 10월의 크랭크인보다 전인 2012년 6월, 기획단계에서 감독이 교체된 것이라 영화 <은밀하게 위대하게>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게 감독 교체 탓이라는 점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밑에 소개한 이동진의 평론도 그렇고, 이 영화의 감독과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의 감독이 동일인이라는 게 서글프다는 의견이 참 많다. 전작이었던 김복남의 경우 관객수 16만 명으로 흥행은 재미를 못봤지만[12] 국내외에서 상당한 호평을 받았던 반면 이 영화의 경우 정반대라는 게 참 아이러니하다. 하지만 은밀하게 위대하게는 웹툰 영화화 작품이고 인기있는 김수현 덕분에 흥행 한 거지 장철수 감독의 연출력 때문에 성공한 것은 아니다.
- 일단 내용적으로 보면 각색하기 보다는 원작을 그대로 따라간다. 다만 러닝타임 제한 때문에 몇몇 주조연들의 과거사들이 영화에서는 표현되지는 않았다.
- 리해진(이현우 분)의 비중이 전반적으로 늘어났으며, 원작에서 원류환을 마음 깊이 동경하는 점까지 그대로 표현해서 원작을 모르는 사람이 보면 오해할 만한 씬이 많다. 오죽하면 평론가들이 BL이라는 장르를 대놓고 언급했다. 그래서 퀴어 영화같다는 사람도 많다. 이러한 요소 덕분에 동인녀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어낸 것을 보면 아마 의도적인 연출이었던 게 아닌가 싶다.
- 감독이 감독인지라 제17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공식 경쟁 부문 출품. 그리고 모두들 예상했듯이 인기상 수상.
- 8월엔 짧은 러닝타임으로 인해 삭제됐던 몇 장면을 다시 추가한 확장판이 메가박스 일부 극장에서 상영됐다. 추가된 장면은 총 10분 가량. 영화만 봐서는 이해할 수 없었던 중요 장면들도 포함되어 있어서 네티즌들은 "처음부터 이렇게 상영하지 그랬나", "그 전에 본 사람들은 뭐가 되냐"같은 반응이 대부분이다.
- 2014년 1월 30일 설날특선으로 SBS에서 오후 8시 40분에 방영했다.
- 몇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OCN과 같은 영화 채널에 자주 방영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3. 둘러보기
장철수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1] 손익분기점은 220만 명이다.[2] 일반판 6,959,083명 + 확장판 4,738명[3] 3000명의 관객들과 함께 했다.[4] 영화에선 이름이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다.[5] 웹툰 연재 시점은 김정일이 죽기 전이었다.[6] 김정일 사후 5446부대를 개인부대라고 정적들이 떠들어 리무혁이 난처하다는 말이 나온다.[7] 공교롭게도 2012년 말에서 2013년 상반기까지 핵실험, 미사일 발사, 강경발언 등으로 강경책을 이어가던 북한이 이 영화의 개봉 시점에서 대화 제의를 사실상 받아들여 남북 대화 재개에 진전이 있었다.[8] 월드워 Z나 퍼시픽림, 울버린 등은 여성 관람객에게 어필하기에는 약간 무리수가 있다고 볼 수 있다.[9] ~ 2013/08/13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10] 일부 여성 관객들의 태도 때문에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11] 여성 평점 8.45점 참여율 61%, 남성 평점 5.21점 참여율 39%이다.[12] 그래도 저예산으로 제작되어 다양성 영화로 개봉했기에 그쪽 기준으로 보자면 상당히 흥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