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9:38:27

욱일기/창작물에서 쓰인 사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욱일기
1. 들어가기 앞서2. 용례

1. 들어가기 앞서

2. 용례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재현을 한 경우:○
부정적으로 등장한 경우, 희화화한 경우:□
이 도안은 욱일기 논란이 불거진 2000년대 이후에도 수정되지 않다가 2010년대 후반에서야 수정되기 시작해, 2018년 출시된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2에서는 스테이지 벽에 있는 욱일 문양을 삭제하여 출시되었다. 캡콤 아케이드 스타디움에도 욱일 문양을 아에 삭제시켰다.

* 디지몬 테이머즈: 13화 후반부에 등장
파일:디지몬 테이머즈 13화 욱일 문양.jpg파일:7b5f6c20180a6c21ba90f8fe99aef7e6--rising-sun-the-sun.jpg
에도 시대 우키요에에 묘사된 태양.
파일:미즈키 시게루 욱일기 느낌 그림.jpg
미즈키 시게루의 욱일 문양 그림.
파일:Surreal Art.jpg
이쪽은 위와 달리 단순 문양이 아닌 명백한 욱일기(旗)의 형태다.

[1] 남이 쓰는건 몰라도 굳이 내가 써서 우익 단체처럼 튈 필요는 없다.[2] 중국의 항일 드라마를 보면 욱일기가 자주 나오며 딱히 지우지 않는다.[3] 다른 나라 전차들도 배경에 제작국가의 깃발이 떴다. 하켄크로이츠 대신 철십자가 나온 독일 전차들 제외.[4] 같은 이유로 독일의 경우 하켄크로이츠가 나오지 않고 철십자검열되어 불만이 있었다.[5] 사실 이 게임은 재현이 그다지 좋은 편은 아니다.[6] 하지만 욱일기는 사령실 정도에 잠시 나오고 작중에서 그게 언급되기는커녕 클로즈업되지도 않는다.[7] 엄밀히 말하면 반발이 있었던 일부 아시아 국가들의 출시제품만 인솔의 욱일 문양을 빼서 판매했으며, 해외판매본은 그대로 욱일 문양이 드러난 인솔을 장착하여 판매하였다. 실제로 이베이와 같은 해외중개판매 사이트에서만 봐도 욱일 문양 인솔을 비싼 가격이지만 구할수 있(었)다.[8] 바다의 유령들은 국자로 바닷물을 퍼다 배에 부어서 가라앉히는데 양아치들이 버린 쓰레기들 중 빈 맥주캔이나 술병 등이 있어 유령들이 이것들로 바닷물을 퍼다 양아치들의 배에 부어버린다. 즉 자기가 버린 쓰레기들에 자신들이 죽을 뻔 한 자업자득인 셈이었다.[9] 다만 시르콘도 나왔지만 그런 욱일기 등장은 많이 나오지 않는다.[10] 단순히 몰랐다고 칠 수도 있지만, 만화에 그려져 있는 선의 수가 정확히 16줄로 맞아떨어져서 더욱 미심쩍다.[11] 이 욱일 문양이 들어간 바지를 입고 나온 미노코알라는 직후 루피에게 줘 터져 날아간다.[12] 이유는 배틀테크라는 프렌차이즈 자차가 발생한지 꽤나 오래된 것이었는데, 당시 일본 문화가 많이 퍼질때라서 배틀테크 내에서 일본계 인구들이 지배하는 국가도 따로 있고, 일색 짙은 멕들도 많이 있었다. 또한 배틀멕의 디자인을 배틀테크 시리즈 자체적으로 만들어낸 것도 있지만 마크로스나 다그람 등 일본의 만화 디자인의 판권을 구매해서 내놓은 것도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 디자인 판권 문제 때문에 하모니 게임즈의 로보텍과 미국 내에서 소송전이 벌어지기도 하였다.[13] 게임 자체는 캐나다의 피라냐 게임즈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배틀테크 자체가 북미 쪽에서 발생한 작품이다.[14] 특히 란마1/2 같은 경우는 중국 무술과 관련된 소재에 핵심 소재들이 중국과 얽혀있고 중국 국적 인물들까지 상당수 등장하는데 이들에 대해 부정적으로 그리거나 그러지 않는다. 만약 작가가 정치적인 의도로 욱일기를 사용할 정도의 사람이라면 만화 자체가 성립하기 힘들다.[15] 비슷한 이유로 공식 국기가 없던 조선은 왕실어기를 사용하는 등 컨트리볼 작품은 사용 깃발이 국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애초에 국제연합처럼 비국가 캐릭터가 등장하기도 하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5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