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8 03:07:38

Roblox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Roblox|{{{#!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로블'''{{{#!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소설 오버로드에 등장하는 국가}}}에 대한 내용은 [[로블 성왕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로블 성왕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로블 성왕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소설 오버로드에 등장하는 국가: }}}[[로블 성왕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로블 성왕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로블 성왕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Roblox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35fff><colcolor=#fff> 게임 시스템 · 게임 목록 · 이벤트 · 유료 서비스
Studio Roblox Studio · 스크립트 · 스크립트 목록 · 무료 모델 · 유료 모델
기타 평가(긍정적) · 문제점 및 비판 · 논란 및 사건 사고 · Roblox Corporation · 중국 전용 플랫폼罗布乐思 · 2차 창작 · Myth · Roblox 프로젝트
}}}}}}}}} ||
{{{#!wiki style="margin: -10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Roblox 아이콘.svgRoblox
로블록스
}}}
<nopad> 파일:로블록스.jpg
<colbgcolor=#335fff,#335fff><colcolor=#fff,#fff> 개발·유통 Roblox Corporation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macOS | HTC VIVE[1] | Meta Quest
PlayStation 4 | PlayStation 5 | Xbox One
Android | iOS | iPad OS
ESD PC • Mac
공식 홈페이지 | App Store
콘솔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
모바일
Google Play | App Store
VR Store
Oculus Store
장르 오픈 월드, 샌드박스, 롤플레잉 게임, 액션 어드벤처
출시
[ 펼치기 · 접기 ]
Windows
2006년 9월 1일
macOS
2011년 3월 10일
iOS
2012년 12월 11일
Android
2014년 7월 16일
Amazon Appstore
2014년 10월 30일
Xbox One
2016년 1월 26일
Oculus Rift
2016년 4월 15일
Meta Quest
2023년 9월 27일
PS4 / PS5
2023년 10월 10일
엔진 자체 개발
한국어 지원 일부 지원
심의 등급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Google Play 만 12세 이상 아이콘.png 12세 이용가
파일:애플 앱스토어 이용 등급 만 12세 이상.jpg 12세 이용가
파일:Roblox 아이콘.svg[2] | 파일:Roblox 아이콘.svg[3]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4]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5]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6]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7] | 파일:FANDOM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1. 개요2. 로고3. 트레일러 및 일러스트4. 시스템 요구 사항5. 시스템6. 게임 목록
6.1. 게임 유형
7. Roblox Studio8. 밈 및 상징9. 이벤트10. 2차 창작11. 평가12. 논란 및 사건 사고13. OST14. 오프라인 상품
14.1. Robox14.2. 완구
14.2.1. 미스터리 피규어 시리즈14.2.2. 토이코드
14.2.2.1. 구매 시 주의할 점
14.3. 공식 서적
14.3.1. 목록
14.4. 게임 상품권
14.4.1. 로블록스 게임 카드14.4.2. 구입처
15. 중국 로블록스16. 기타17. 외부 링크

1. 개요

Powering Imagination
상상력 발휘하기
2006년 출시한 Roblox Corporation에서 제작한 게임 플랫폼이다.[8][9]

2. 로고

파일:DynaBlocks 로고.svg 파일:Roblox 로고(2004).svg
2003 ~ 2004 2004
파일:Roblox 로고(2004-2005).svg 파일:Roblox 로고(2005-2006).svg
2004 ~ 2005 2005 ~ 2006
파일:Roblox 로고(2006-2009).svg 파일:Roblox 로고(2009-2010).svg
2006 ~ 2009 2009 ~ 2010
파일:Roblox 로고(2010-2015).svg 파일:Roblox 로고(2015-2017).svg
2010 ~ 2015 2015 ~ 2017
파일:Roblox 로고(2017-2018).svg 파일:Roblox 로고(2018-2022).svg파일:Roblox 로고(2018-2022) 화이트.svg
2017 ~ 2018 2018 ~ 2022
파일:Roblox 로고.svg파일:Roblox 로고 화이트.svg
2022 ~
==# 역사 #==
||<nopad><tablewidth=50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72727><tablebgcolor=#272727><tablecolor=#FFFFFF> ||
로블록스 역사 소개 영상



1989년


2003년


2004년


2005년 ~ 2006년


2006년 ~ 2017년


2017년 ~ 2018년


2018년 ~ 2022년


그 이후

3. 트레일러 및 일러스트

파일:로블록스 배경.jpg
공식 일러스트


공식 트레일러

4.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운영체제 Windows 10, 11
macOS 10.13 High Sierra 이상
Android 8.0 이상
그래픽 카드 DirectX 10 및 Shader Model 2.0 지원
프로세서 1.6GHz 이상 최신 프로세서 (2005~)
메모리 1GB
저장 공간 20MB
API DirectX 10, 11[13], Vulkan[14], Metal[15]
인터넷 4-8 Mb/s
그 외 모바일 요구 사항 등 자세한 정보는 로블록스 지원: 컴퓨터 하드웨어 및 운영 체제 요구 사항을 참고하면 된다.

기본 이상의 사양만 되어도 잘 돌아가는 편이지만[16] 위 기준은 Roblox 자체를 구동하기 위한 최소 사항이며, 게임은 각자 규모가 다르고 그래픽이 다르게 작용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최저사양이 권장되는 편은 아니다.

한 가지 특징이라면 로블록스의 구동은 그래픽적으로 복잡한 것이 아니라 사실상 CPU의 몫이 크기 때문에 구동은 CPU에 달려있지, 그래픽카드에 달려있지 않다. 때문에 CPU 성능만 받쳐준다면 게이밍용으로 부적합하다는 취급을 받는 인텔의 내장그래픽이 달린 노트북에서도 멀쩡히 돌아간다.

하지만 각종 그래픽 효과가 많이 쓰이는 게임[17]이나 그래픽 모드, 특히 리셰이드를 설치하면 상황이 달라진다. 리셰이드 특성상 CPU와 GPU 둘 다 충분히 받쳐줘야 지연시간이나 프레임이 안정적이므로 적어도 RTX 2070이나 RTX 3060 같은 고성능 그래픽 카드에 인텔 Core i5 12세대나 AMD Ryzen 5 5600급의 CPU가 필요할 정도로 고사양의 시스템이 필요하며 현재 일부 고사양 게임은 RTX 3060 Ti를 장착해야 쾌적하며 CPU도 i5 12세대 또는 Ryzen 5000번대 이상을 요구한다.

Roblox 측도 최적화 개선을 위해 DirectX 11, Vulkan, macOSiOS, iPadOS 한정으로 Metal API를 도입해 CPU의 멀티스레딩 효율을 늘리고 GPU에서의 성능을 더 끌어내려고 개선 중이기는 하다. 다만 연식이 오래된 게임이다 보니 싱글스레드에만 최적화되어있는 구조로 인한 발적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목을 잡는 중이다.

콘솔의 경우 성능이 우월한 현세대(PS5, XSX|S) 콘솔을 권장한다. 왜냐하면 PS4, Xbox One은 낮은 프레임레이트와 느린 에셋 로딩 속도, 프레임 드랍으로 인해 정상적인 플레이가 힘든 게임들도 많아졌기 때문.

2025년 1월 16일부터 Windows 7, Windows 8, Windows 8.1의 지원이 종료되었다. 사실 별로 놀랍지는 않은 게, Roblox가 이례적으로 해당 버전들의 지원이 긴 편이었다. 구버전들의 지원이 길었던 만큼 그 사이에 Windows 10이 성공적으로 사람들이 많이들 사용하는 운영체제로 자리잡는 것에 성공하면서 사실상 세 운영체제의 지원 종료로 인한 Roblox 내에서의 파장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Windows 10의 지원 종료 시점이 다가오면서 이를 걱정하는 유저들도 있지만, 사실상 상술된 세 운영체제의 Roblox 지원 기간을 고려했을 때 Windows 10 또한 지원 종료 이후에도 몇 년간 Roblox가 추가적으로 지원을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시점에서 게임을 하는 용도랍시고 Windows 11을 지원하지 않는 성능의 PC를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며, 레지스트리를 만지거나 Rufus 로 iso 파일에서 TPM 2.0 확인 절차를 아예 지워버리는 등 미지원 대상 기기에서 Windows 11을 우회 설치 하는 방법도 꽤나 많기 때문에 사실상 이 또한 큰 파장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5. 시스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blox/시스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시스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시스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게임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blox/게임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게임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게임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 게임 유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blox/게임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게임 목록#s-2.1|2.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게임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blox의 게임들의 유형별 모습

7. Roblox Studio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blox Studio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 Studio#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 Studio#|]]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blox Studio/스크립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 Studio/스크립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 Studio/스크립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밈 및 상징

8.1. 괴담

인지도 있는 괴담들만 서술한다.[20]
모든 로블록스 유저중 여자들을 해킹한다는 루머를 가지고 떠돌았던 괴담.
2006년 로블록스에 가입한 미국의 멜빈이란 아이가 있었는데 이 아이가 로블록스에 처음 가입했을 때 '특별한 게임을 하시겠습니까?'라는 창이 등장했고 이 창이 튜토리얼창으로 생각한 멜빈은 확인을 눌렀다. 그러나 그 게임에 들어가자 검은 화면에 기괴한 음악이 흘러나오는 맵이 나왔고 겁에 질린 멜빈은 게임을 나가려 컴퓨터의 전원을 껐다 킨 다음 로블록스를 재실행했을 때 그의 아바타에는 '멜빈의 모자'라는 아이템이 있었고 멜빈은 자신의 친구들은 없고 자신만 가지고 있던 그 모자를 자신의 아바타에 착용시키고 다녔다. 그러나 멜빈은 얼마안가 2007년 암으로 사망했다는 괴담. 구글링을 해보면 이 멜빈의 모자는 암환자들의 모자와 비슷하게 생겼다는 걸 알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멜빈의 유령이 이후 아이들의 계정을 해킹하거나 아이들을 살해한다는 등의 설정이 추가된다. 현재는 다른 괴담에 묻힌 고전유저들만 알고있는 괴담이다.
로블록스의 공식적인 괴담
John Doe와 유사하게 해커라는 루머로 유명했던 계정. 마찬가지로 Roblox의 직원인 Shedletsky가 만들어낸 테스트용 계정이다. 현재는 계정이 삭제된 상태.

평범한 테스트용 계정이 어째서 해커라는 루머가 퍼졌는지는 로블록스의 전 직원인 MrDoomBringer가 밝힌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다.

과거에 Shedletsky가 로블록스의 스토리를 설명하면서 '사악한 1x1x1x1'을 언급하였고, 이후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 누군가가 게임에 스크립트를 적용시키면서 MrDoomBringer에게 보여줄 것이 있다며 메시지를 보낸다. 그가 게임에 접속하자 하늘에서 머리들이 비처럼 떨어지고 "He's coming back!(그가 돌아온다!)" "1x1x1x1 is coming for you!(1x1x1x1이 널 찾아간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났다. 이를 본 다른 유저들은 패닉에 빠져있었지만 정작 그는 이 광경이 웃겼다고. 즉, Shedletsky가 테스트용 계정에 설정을 부여하면서 누군가가 이를 이용해 장난을 쳤고, 이것이 퍼져 나가면서 루머가 생겨난 것이다.

유명했던 덕인지 이런 류의 괴담 캐릭터들 중에서는 최초이자 유일하게 공식 완구로도 제작되었으며, Ready Player Two Hub 이벤트에선 이를 패러디 한 듯한 "1x1x1x1의 주전자"라는 아이템을 출시했다. (Bad Business에서 획득 가능)

9. 이벤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blox/이벤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이벤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이벤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2차 창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blox/2차 창작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2차 창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2차 창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blox/평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 문제점 및 비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blox/문제점 및 비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문제점 및 비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문제점 및 비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blox/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OST

과거 Roblox 시절과 2017년 Xbox 이식판 홍보용으로 제작한 트레일러에 사용된 트레일러 음악, 구버전 Xbox 홈메뉴 테마 음악, 2023년 12월 12일 추가된 콘솔 홈메뉴 음악을 제외하면 현재까진 없다.
Trailer Music 예고편 음악

14. 오프라인 상품

Roblox는 게임뿐만 아니라 자사의 캐릭터를 이용한, 혹은 자사의 게임과 관련된 상품을 꾸준히 출시한다.

14.1. Robox

파일:로박스로블록스콘솔.jpg
2019년 로블록스에서 발표한 게임 콘솔로 무려 자체개발 CPU을 사용하고 8K UHD 120hz까지 지원하는 엄청난 콘솔이다.# 4월 1일 발표 예정이었다. 당연히 만우절 장난이다. #[21] 이 링크에 들어가 보면 속은 구슬로 가득 차있고, 아파트의 전기를 공급해준다고 하며, 무엇보다, 상상 속에서 찾길 바란다라는 문구가 쓰여 있다. 이외에도 만우절 장난이라는 걸 시인하는 말이 간간히 들어 있다. 대신, 4월 2일, 동일한 디자인의 무료 모자 아이템이 출시되었다.

이후에 실제로 출시된다고 해도 Robox 라는 Nintendo Switch 게임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명칭으로 출시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Roblox의 Robox는 2019년 4월 1일 공개되었고 닌텐도 Robox는 2019년 4월 22일# 발매된 게임이다.

14.2. 완구

14.2.1. 미스터리 피규어 시리즈

현재 시즌 12까지 나왔다.[22] 공식 캐릭터와 로블록스 게임들의 캐릭터, 유명인사들의 캐릭터가 등장했다.

다만 유명인사, 게임의 캐릭터의 경우 사전 허가를 맡고 제품으로 내는듯하다. 나오는 피규어마다 고유의 토이코드라는 게 등장한다. 그걸 입력하면 특수한 아이템을 준다. 또한 시즌의 반이 되면 특별한 경품을 넣는다. 리미티드로 가격이 비싼 발키리, 도미너스 시리즈가 레드 버전으로 각각 5, 10 시즌에 등장했다. 근데 확률이 극악이라 나올 확률은 적다.

14.2.2. 토이코드

유명한 게임의 장난감 피규어를 만들어서 출시한다. '토이코드'가 동봉되어 있으며, 입력하면 인게임 아이템을 받는다.[23]
14.2.2.1. 구매 시 주의할 점
토이코드가 있는 게 있고 없는 게 있다. 구별은 유튜브에 검색하면 나온다. 쿠팡에서 검색 시 바로 나오지만 주의해야하고 유튜브에서 보고 사는 게 나을 듯하다.

14.3. 공식 서적

로블록스에서 출간한 책들이다. 몇몇 도서의 국내 번역은 로블록스 코리아라는 국내 로블록스 커뮤니티의 유저들이 번역에 참여하였다.

14.3.1. 목록

한때 절판이 된줄 알았지만 쿠팡에 초고가로 나왔다.

14.4. 게임 상품권

14.4.1. 로블록스 게임 카드

편의점이나 여러 마켓에서 구글 플레이 기프트 카드와 유사하게 온/오프라인에서 로벅스 코드를 구입할 수 있다.
로벅스 키젠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제품이다.[25] 따라서 위 피해를 줄이려면 리딤을 할 때 꼭 영상 녹화를 해서 제품에 문제 발생 시 영상을 판매처나 Roblox 측에 전달해서 교환이나 환불을 받자.

즉석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보니 Google Play 기프트카드를 통해 홈페이지에서 구입하는 것 보다 훨씬 이익이 크다. 무엇보다 아이템을 랜덤으로 한 종류를 같이 세트로 주고 로벅스도 10% 할인해준다.

14.4.2. 구입처

아마존닷컴에서 구입이 가능하며, 미국 내에서는 TARGET이나 월마트 등등 기프트카드를 판매하는 곳이라면 쉽게 Google Play 기프트카드와 같이 볼 수 있다. 실물이 아닌 디지털 코드는 아마존닷컴이나 Roblox에서 직접 구매하자.

일본에서 공식적으로 판매가 시작된 이후, 국내에서도 구입처가 생겼다! 오프라인 구매의 경우, 가까운 GS25 편의점에서 1만원부터 20만원까지의 다양한 금액대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디지털의 경우 카카오톡 선물하기, G마켓, 11번가, 옥션 등 국내 주요 이커머스 사이트에서 8,000원부터 20만원까지의 금액 중 선택해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 사이트&게임 내 변경사항 #==
Update Log 2010년 12월 2일 ~

15. 중국 로블록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罗布乐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罗布乐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罗布乐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기타

17. 외부 링크


[1] 바이브(vive) 사용자 대부분 또는 일부는 VR 지원 게임에 들어가면 스카이박스만 보이는 스카이박스 버그에 걸린다 (NVR 모델 게임 제외) 웬만하면 고쳐지는 해결법이 있다 해결법은 여기를 보면 된다.[2] 홈페이지[3] 블로그[4] 로블록스 미국[5] 로블록스 미국[6] 로블록스 코리아[7] 로블록스 코리아[8] Roblox 자체는 게임이 아니고, 게임을 제작하고 플레이할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플랫폼이다. 유니티스팀이 합쳐졌다고 생각하면 쉽다.[9] 이전에는 일반적인 게임 플랫폼이었지만, 에픽게임즈의 반독점법 소송 사건 이후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이라고 주장했었다. 자세한 내용은 메타버스/비판 문서의 5.1번 문단을 참고하는 게 좋다. 다만 2023년 이후 메타버스가 몰락하면서 최근에는 메타버스임을 강조하지 않고 있다.[10] interactive physics의 구동모습. 당시 매킨토시에서 주로 쓰였던 System 6에서 구동되는 Interactive Physics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11] 이 소프트웨어는 바수츠키가 roblox 이전에 개발한 소프트웨어로, roblox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는 일반적인 커리어이다. Roblox의 실질적인 전신은 바로 아래 언급할 Dynablocks라고 보는게 좋다.[12] 2010년 11월 24일 업로드[13] 윈도우 전용. DirectX 9와 다르게 후술할 Vulkan 급은 아니지만 멀티스레딩 효율도 높은 편에, 특유의 안정성과 방대한 자료로 인한 쉬운 난이도 덕분에 아직도 많은 개발사들이 애용 중이다.[14] 윈도우와 안드로이드를 전부 지원하는 크로스 플랫폼 그래픽 API다. 윈도우의 DirectX 12와 같이 멀티스레딩에 최적화되어 있고 GPU와 API가 직접 통신하는 구조로 개발자들이 다루기는 굉장히 어렵지만 제대로 구현했을 시 높은 성능 효율로 인해 일부 AAA 게임에서 쓰이고 있다. Linux도 지원하지만 Roblox 자체가 리눅스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15] macOS, iOS, iPadOS 전용. 전술한 Vulkan API에 한 때 애플이 개발에 참여했다 보니 애플 사 제품 전용이라는 점만 빼면 Vulkan과 닮은 점이 많은 API다.[16] 무려 2008년에 나온 인텔 코어 2 듀오 E8400에서 렉이 꽤 걸리지만 FPS 게임이 게임이 실행이 되며, 2005년 이후의 최신 프로세서가 권장된다. 최소가 아니다.[17] 특히 3008.[18]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Lua의 파생형인 Luau를 사용한다.[19] 2025년 8월부터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20] 현재 4nn1 문서와 존도, 제인도우 문서는 복구가 된 상태이다.[21] 현재는 사전예약 링크에 들어가면 404 Not Found가 뜬다.[22] 그러나 시리즈 12는 거의 안보인다.[23] 문제는 이 코드를 파는 사람들이 정가로 사도 3만원이면 되는 걸 5만원에 판다. 이런 사람들은 조심해야 된다.[24] 정확히는 TBC 헬멧 대신 OBC 헬멧을 쓴거랑 복장이 검은색으로 바꾼거다.[25] 불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무작위로 코드를 만들어 구매하지 않고 리딤하는 악용이 있다. 통상적인 기프트카드와 달리 구매 전에 입력되어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26] 어린 유저가 자신의 비밀번호, 전화번호 등을 실수로 노출하는 걸 막기 위해서이다.[27] 가끔식 kkkkkk 조차 검열 될 때도 있다.[28] 글자 사이에 a a, s s 등을 입력하여 검열을 피할 수 있으나 꼭 전해야 할 의사표현이 있는데 검열이 될 때만 사용하자. 이를 악용하여 상대방에게 욕설을 하며 비난할 시 Roblox 측에서 경고를 준다. 최근 비속어 관련 검열이 강화되어 영구 정지를 받는 경우도 있다.[29] 2023년 7~8월 경에 잠깐 한글 지원이 되었다가 사라졌는데, 아마 또 다시 사라질 가능성도 있다.[30] 홈 메뉴 BGM의 경우 이후 나중에 홈 배경에 어울리는 공허속에서 부는 바람소리 같은 BGM이 추가됐긴 했다.[31] 지금은 개발을 중단하여 개발 중이던 버전을 내놓았다. 하는 방법은 영어로 되어 있으니 영어가 서툴다면 힘들 수도 있다, 그러니 친절히 따라오면 된다 1. 일단 다운로드 한 뒤에 압축을 해제 한 다음에 RBXLegacyLauncher를 실행한다(정식 버전이면 설치하고 시작에서 RBXLegacy으로 선택하자). 2. NAME 칸에 자신이 원하는 닉네임을 적고 ID 칸에는 그냥 숫자만 적으면 된다. 3. (만약 친구와 같이 하고 싶으면 3.1로 간다.) CLIENTS에서 자신이 바라는 버전을 선택한다, 그 다음에 HOST 칸에서 그냥 아무 맵이나 선택한다, 그리고 PLAY 칸으로 가서 PLAY SOLO를 누른다, 그러면 어떤 창이 뜨는데 거기서 플래이를 하면 된다. 3.1 이 경우엔 엄청나게 어렵다, LAN으로 하려면 Local Play Mode를 체크하는 게 좋다, 하지만 그러는 거 없이 하려면 포트포워딩을 해야 한다. 그러니 그냥 혼자서 플래이하거나 컴퓨터가 2개이면 그냥 Local Play Mode를 체크하고 해 보자. 그리고 2012년은 PLAY SOLO로 해야지 된다. 그럼 여기서 공략을 마치고 각각 버전은 2013년(베타, 플레이 할 때 플레이어가 옛날 뉴비 아바타로 보인다. 그리고 버블 채팅과 메뉴가 없다. 그리고 치명적인 버그가 있는데, 아이템이 안 써지는 버그가 있다. 이 경우엔 버그를 고칠 방법이 없는 듯하다.) 2012년(베타, 플레이 할 때 플레이어가 옛날 뉴비 아바타로 보인다, 로딩을 하다가 로딩이 멈추는 치명적인 버그가 아마도 있는듯 하다, 이 버그에 경우에는 Play Solo를 누르면 고처진다) 2011년 2010년 2009년 2008년 2007년(가짜) 2006년(가짜)가 있다, 베타 버전은 정식 버전에 있지 않으니 '1.18'이 써진 버전을 잘 찾아보자, 그리고 개발자는 RBXLegacy와 같은 기능이 있는 <Novetus>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니 기다려보자.[32] 대부분 아이디는 원인 불명의 이유로 찾을 수 없다고 뜬다.[33] 어드민, 테스트 계정 제외[34] https://www.roblox.com/users/23/profile[35] 본 계정은 23번째로 생성된 계정이나. 현재 하위 계정들은 Roblox, Johndoe 외 2개의 테스트 계정, 스태프나 어드민 혹은 계정이 삭제된 계정이다. 따라서 현존 하는 일반 계정 중 가장 오래된 계정은 Loduha가 유일하다.[36] 그러나 최근에 계정이 해킹된 듯하다.[37] 하지만 게임법 적용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38] 예를 들면 툴박스를 사용하면 게임이 인기를 끌기 어렵다는 것.[39] 17세 이용가 인증 방식이 플레이어의 셀카와 신분증 사진을 로블록스 본사에 보내서 인증하는 방식인데, 대한민국도 법적으로 성인 인증 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막아둔지는 의문이다.[40] 그래도 2023년 12월부터 한국도 플레이어 본인의 셀카와 신분증 사진을 로블록스 본사로 보내서 나이 인증을 하는 기능이 생겼다. 다만 현재 대한민국에서 게임 자율 심의는 청소년 이용불가 미만의 게임들만 이루어지고 있고, 청소년 이용불가 이상 게임들부터는 게임물관리위원회가 심의를 하기 때문에 안될 가능성도 높다.[41] 그런데 모든 도전 과제를 달성하면 받을 수 있는 플래티넘 트로피는 없다.[42] 한번 더 누르면 1인칭 시점이 된다.[43] 태블릿 컴퓨터 같은 대화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연결해서 플레이 하는 걸 권장한다.[44] 로블록스 프레임 언락커는 원래 로블록스처럼 정상적으로 작동하나 컨트롤러 진동을 지원하지 않는다.[45] 예를 들면 본계와 부계[46] 단, Xbox 기기에선 Xbox 게임의 장점인 임펄스 트리거를 지원하지 않는 게임들이 많다.[47] 피격 시에만 진동을 지원하는 문제점이 있다.[48] 버튼을 누를 때만 진동을 지원한다.[49] 컨트롤러, 모바일 진동 테스트 게임이다.[50] 드래곤으로 화염 공격 시 진동을 느낄 수 있다.[51] 상대가 던진 공을 잡았을 때 진동이 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