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31 22:06:07

Roblox Studio/유료 모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Roblox Studio
파일:Roblox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35fff><colcolor=#fff> 게임 시스템 · 게임 목록 · 이벤트 · 유료 서비스
Studio Roblox Studio · 스크립트 · 스크립트 목록 · 무료 모델 · 유료 모델
기타 평가 (긍정적) · 문제점 및 비판 · 논란 및 사건 사고 · Roblox Corporation · 중국 전용 플랫폼(罗布乐思) · 2차 창작 · Myth · Roblox 프로젝트
}}}}}}}}} ||
1. 개요2. 종류
2.1. 모델
2.1.1. 차량2.1.2. 건물
2.2. 시스템
2.2.1. 스크립트 / UI
2.3. 맵
3. 장점4. 단점5. 문제점
5.1. Roblox 규정 위반과 저작권 위반5.2. 비정상적인 가격과 판권팔이5.3. 전자상거래 법 위반5.4. 소비자 기만행위
6. 팁7. 기타

1. 개요

Roblox Studio에서 사용되는 유료 모델, 혹은 유료 에셋에 대하여 서술하는 문서.

Roblox Studio에서 거래되는 유료 모델은 디지털 자산으로, 주로 디스코드의 "로샵(RoShop)"[어원]이라 불리는 거래 서버들에서 이루어진다. 서버는 100명 이하의 소규모부터 수천 명 규모까지 다양하며, 거래되는 모델은 주로 기초지방자치단체 게임이나, RP 게임, 아포칼립스 생존 게임, 밀리터리 시뮬레이터 같은 양산형 게임에서 많이 쓰인다. 특히 차량 모델은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롯 카[2]시스템을 사용하는 게임이 많아서 수요가 많은 편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료 모델 거래는 로블록스 정책상 금지된 행위로, 상술할 문제점을 불러일으킨다. 그럼에도 공식 제재 사례가 없어 아직까지 멀쩡히 거래되고 있다.[3]

2. 종류

2.1. 모델

2.1.1. 차량

차량 모델은 현실에 있는 차를 따온 모델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대부분 외국의 모델링 사이트에서 모델링을 구매 후 컨버팅 작업 및 섀시 작업 등을 거쳐서 만들어진데.[4]

2.1.2. 건물

건물 모델은 주로 현실에 있는 건축물의 느낌을 재현하거나 아예 따라 만든다. 단독 건물은 잘 안 팔리고, 맵에 넣은 형태로 나오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2.2. 시스템

2.2.1. 스크립트 / UI

대부분 RP 게임에 사용되는 시스템이 대다수이며, 5천 원에서 3만 원 사이로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다. 공지 시스템, 인트로 시스템과 같은 간단한 시스템부터, 과속 단속 시스템이나 아르바이트 시스템과 같은 특정 장르의 게임에 필요한 시스템도 팔리는 반면, 일부는 저작권 위반 요소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

부대, 도시 맵이 주로 팔린다.
부대 게임의 경우, 현실 부대를 모티브[5]로 하는 부대 맵이 팔린다.
도시 맵의 경우, 광주광역시나 인천광역시 등 실제 한국의 도시를 기반으로 한 맵이 많다.

3. 장점

4. 단점

5. 문제점

5.1. Roblox 규정 위반과 저작권 위반

5.2. 비정상적인 가격과 판권팔이

5.3. 전자상거래 법 위반

대부분의 판매자들이 사업자나 통신판매업 신고를 하지 않는다. 다만 유저 장터에서 판매하는 소규모 거래 행위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적게는 수백 명 많게는 수천 명의 고객을 보유하는 대형 판매자들 또한 위와 같은 행위를 하니 문제가 된다.

그러한 이유는 대형 판매점들의 평균 수익은 월 수십만 원에서 높으면 백만 원 이상의 수익을 올리는데 반면 이러한 행위에 대한 세금 납부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에는 몇 없으나 일부 온라인 판매점에서 사업자등록 및 통신판매업 신고를 해 판매하는 합법적인 온라인 판매점이 있다. 그러나 보통 이동 수단은 몇 없거나, 판매하지 않으며 주로 건물 및 모델[14] 위주로 판매한다. 또한 원천징수 형식으로 직원[개발자]을 고용해 세금을 납부한다.

5.4. 소비자 기만행위

대부분의 판매자들이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17조 2항 1호에 따라, 전자상거래로 구매한 제품은 수령 1주일 이내 환불이 가능하다는 것을 무시하고 무조건 환불 불가라는 배짱을 부린다. 이러한 경우 환불 문서의 3번 문단을 참고 바란다.
이뿐만 아니라 모델을 구입한 이후 판매자의 일방적인 협조 요청(특정 서버 탈퇴)을 따르지 않을 경우 환불 없는 모델 사용 권한을 박탈한다. 이러한 행위는 명백한 소비자 기만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판매자가 유료 모델들을 보호 및 관리한다는 목적으로 특정 게임에서 모델들이 동작할 경우 바이러스[16]가 실행되도록 하는 악질 판매자 또한 존재한다.

6.

7. 기타

2024년 이후 무료 배포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면서 유료 모델에 대한 수요가 다소 줄어들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oblox Studio/무료 모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 Studio/무료 모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oblox Studio/무료 모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어원] 사실 '로샵'이란 단어는 보통명사가 아니라 상표의 보통명사화이다. 201n년도 후반부터 2022년까지 국내에 존재하던 디스코드 서버 로샵 (이하 빨간로샵) 이라는곳이 있었으나 어느순간부터 사라지게 되었고, 이를 틈타 여러 사람들이 자신만의 샵을 차리며 이를 로샵이라고 퉁치게 되었다. 그렇기에 어원은 빨간로샵이라고 볼수있다. 현재는 당시 빨간로샵의 관리자들이 Studio JMT란곳을 차려 모델을 무료배포 하고있다.[2] Toolbox에 업로드한 모델에 생기는 고유한 ID를 이용해 스튜디오로 만든 자신만의 차량을 타 게임에 불러올 수 있는 시스템과 연계하는 방식이다.[3] 다만 본사 측에선 이미 이러한 에셋 거래 행위를 인지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모니터링 중이라고 한다.[4] 다만 일부 부도덕한 업자들은 무료 모델링이나 혹은 CSR 등 게임 추출 모델링을 사용하곤 한다.[5] 물론 맵 자체는 픽션이다.[6] 이는 로블록스에서 언제든지 계정 거래와 마찬가지로 제제를 하기 시작할 수 있다는 의미이므로, 개발자와 단기 계약을 해서 모델을 얻는 것이 낫다.[7] 다만 공식적으로 제재를 한 기록은 없다.[8] 사실상 부르는 게 값이다.[9] 3D 모델 원작자가 아닌, 모델 반출+쉐시를 넣은 최초 판매자를 뜻한다[10] 그냥 모델만 사는 경우, 그 모델을 '소장권'이라고 부른다.[11] 즉, '판권'과 '소유권'을 팔 수 있는 '소유권 판매 권한'이라는 권한을 따로 판다는 것이다.[12] 지방자치단체 게임에서 개인차량을 스폰 하는 것을 말한다.[13] 심하면 동일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해외 서버보다 2~3배 높은 가격으로 파는 경우도 있다.[14] 프롭[개발자] [16] 게임 내 모든 에셋 삭제, 무한 재설정 유발, 게임 패스 구매 무한 팝업 등 툴 박스에서 구할 수 있는 위험한 모델들과 사실상 같은 부류이다.[17] 만일 문제가 있는 모델일 경우, 환불을 요청하거나, 환불을 거절할 경우 다른 서버에 도움을 청하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