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4 04:15:07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알렌 M. 섬너급에서 넘어옴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미군해군 군함
구잠함(PC) <colbgcolor=white,#191919>PC급 구잠함
초계함(PG) 더뷰크급, 이리급
호위함(FF)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호위구축함(DE)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구축함(DD)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계획 1919 향도, 패러것급, 포터급, 머핸급, 그리들리급, 배글리급, 소머즈급, 벤험급, 심즈급, 벤슨급, 글리브스급, 플레처급, 알렌 M. 섬너급, 기어링급
잠수함(SS)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경순양함(CL)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프로젝트 A, 프로젝트 CL-154급, 우스터급A
중순양함(CA)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프로젝트 CA-B, 오리건시티급A, 디모인급A
대형순양함(CB) 알래스카급, 프로젝트 CA2-D, 프로젝트 CA2-F
순양전함(CC) 렉싱턴급
전함(BB)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최대 전함, 펜실베이니아급, 뉴멕시코급, 테네시급, 콜로라도급, 사우스다코타급(1920), 노스캐롤라이나급, 프로젝트 1058, 사우스다코타급(1939), 아이오와급, 몬태나급
호위항공모함(CVE)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경항공모함(CVL)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정규항공모함(CV)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수상기모함(AV)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병원선(AH)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군수지원함 키어사지AB, 베스탈AR
잠수함모함(AS) 풀턴급
구축함모함(AD) 딕시급
소해함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어뢰정 PT 보트
공격수송함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리버티급, 빅토리급
연습항공모함 울버린급, 세이블급
지휘함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기타 함선 USS QUARTZ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A: 전후 완공, 윗첨자UK: 영국으로부터 대여, 윗첨자AB:구난/공작함, 윗첨자AR:공작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external/www.patriotspoint.org/090819_Laffey_019.jpg

1. 개요2. 제원3. 동형함 목록4. 기타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USS Blue DD-744 1969 - 1970
미합중국 해군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찍어낸 구축함 2호. 플레처급 구축함기어링급 구축함의 중간에 속하는 함선이다. 함명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 벨로숲에서 독일군의 포격에 전사한 알렌 M. 섬너 주니어 해병대 대위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1] 모두 70척이 계획되었고 58척이 건조되었다. 승조원은 336명에서 368명 사이. 무장으로는 5인치 Mk12 2연장포 3기 6문, 40mm 보포스 기관포 12정(4연장 2기, 2연장 2기), 20mm 오리콘 기관포 11정, 2문의 폭뢰투하레일, 21인치 어뢰발사관 10문을 보유했다. 현대화 개수 후에는 하푼 미사일 8발을 운용했다.

섬너급이 플래쳐급과 다른 점 중 하나는 Mk12양용포를 2연장 포탑에 탑재한 것이다. 이 포는 자동으로 탄을 공급하는 양탄기와 함께 포탄을 쉽게 넣을 수 있는 유압식 포탄밀대를 채용해서 발사속도가 분당 15 ~ 22발에 달했다. 덕분에 대공사격과 장거리 포격시 고각 유지를 쉽게 할 수 있어서[2], 대공 화망 형성과 대함 포격전 모두 우수한 능력을 보였다. 이것을 2연장 포탑에 올려놓은 섬너급의 전투력은 플래쳐급보다 크게 향상되고 후속함인 기어링급과 함께 2차 대전 최고의 구축함으로 불리게 된 1등공신이나 마찬가지다.

대전기 미 해군 구축함의 완성형이라 할 수 있었지만 짧은 항속거리가 문제로 지적되었고, 이 문제를 개량하여 건조한 것이 바로 기어링급 구축함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Laffey_DD-724_2007.jpg

이 중 DD-724 래피[3]는 1945년 4월 15일, 일본 근해에서 50기 이상으로 추정되는 카미카제의 집중공격을 받고도 살아남아서[4] 한국 전쟁에도 제77기동부대 소속으로 참전했다. 한편 DD-724는 취역 직후 뉴욕급 전함 USS텍사스와 함께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도 참가했으며, 독일군 해안포대에 명중탄 한 발을 맞았지만 이 포탄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강제징용된 체코 공장에서 만들어진 불량품이었기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DD-724의 함장인 줄리안 벡톤은 DD-459가 격침당할 당시 함께 작전하다가 그 뒤를 이어 격침당한 USS 애론 워드의 함장이기도 했다. 퇴역한 뒤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박물관함으로 전시된다. 히스토리 채널의 <영웅이 된 전함> 4화 USS 래피 편 및 <실전최강 전투기대전>(원제:DOGFIGHT) 시즌2 1화 <가미카제>에 DD-724 래피가 당한 카미카제 공격이 소개되었다.

2차 대전 종전 후 대부분은 해외로 매각되거나 원조 형식으로 제공되었으며, 그 중에는 한국도 대구급 구축함으로 2척가량 도입했다. 한국 해군은 FRAM II 개수된 DD-703 WALLACE L. LIND를 대구함, DD-727 De Haven을 인천함으로 도입하여 마르고 닳도록 굴리다 90년대 중반에 퇴역시킨다.[5] 이중 인천함인 De Haven 은 1950년 9월 1일 포항에서 난민캠프에 발포하여 100~200여명을 죽인 아픈 과거가 있다.

튀르키예 해군도 섬너급을 개량하여 기뢰부설함으로 개조한 로버트 H. 스미스급 기뢰부설 구축함 USS 그윈(DM-33)을 1971년에 인수받아서 무아베네트로 명명해 운용하다가, 1992년 미군과 합동 훈련에서 포레스탈급 항공모함 USS 사라토가에서 실수로 미사일을 발사해 무아베네트의 함교를 날려버려 함장 및 튀르키예군 9명이 죽는 사고도 벌어졌다. 미국은 사망 및 중상자 금전 보상을 개별적으로 하고 스미스급보다 훨씬 새것인 녹스급 호위함튀르키예 측에 보상으로 내줘 이 함이 이 사고로 반파된 무아베네트의 이름을 이어받았다.

2. 제원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Allen M. Sumner-class destroyer
이전 함급 플레처급
다음 함급 기어링급, 광개토대왕급[대한민국]
계획 70척
건조 58척
표준배수량 2,200t
만재배수량 3,515t
전장 114.8m
전폭 12.2m
홀수 4.8m
승조원 최대 363명
추진 장치 보일러 밥콕 & 윌콕스 및 포스터 휠러제 4기
증기 터빈 제너럴 일렉트릭 및 웨스팅하우스제 2기
프로펠러 2축
최고 속력 36.5kn (약 67.5km/h)[7]
항속 거리 15kn (27.7km/h) 순항 시 6,000km 정도
무장 주포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6문
부포 보포스 40mm 포 12문 (4연장형 2문 + 2연장형 2문)
오리콘 20mm 기관포 11문
이후 모두 철거
폭뢰 거치대 2문
발사대 6문
이후 모두 철거
어뢰 발사관 ?연장 21인치 어뢰 발사관 10문 → 3연장식 2문 + 단열식 2문

3. 동형함 목록

원 함급
함번 함명 함명 유래 취역일자 퇴역일자 최후
DD-692 USS 알렌 M. 섬너
(USS Allen M. Sumner)
알렌 M. 섬너 주니어 1944/1/26 1973/8/15 1974년 매각 및 스크랩
DD-693 USS 모에일
(USS Moale)
에드워드 모에일 주니어 1944/2/28 ? 1974년 매각 및 스크랩
DD-694 USS 잉그레이엄
(USS Ingraham)
던컨 N. 잉그레이엄 1944/3/10 1971/7/16 1971년 그리스에 양도되어 미아울리스(Μιαούλης)로 활동
2001년 표적함으로 소모
DD-695 USS 쿠퍼
(USS Cooper)
엘머 G. 쿠퍼[8] 1944/3/27 1944년 오르모크 만 전투에서 타케의 뇌격으로 격침
DD-696 USS 잉글리시
(USS English)
로버트 H. 잉글리시[9] 1944/5/4 1970/5/15 1970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후이양(惠陽)으로 활동
2003년 표적함으로 소모
DD-697 USS 찰스 S. 스페리
(USS Charles S. Sperry)
찰스 S. 스페리 1944/4/17 1973/12/15 1974년 칠레에 양도되어 미니스트로 젠테노(Ministro Zenteno)로 활동
1990년 스크랩
DD-698 USS 얼트
(USS Ault)
윌리엄 B. 얼트[10] 1944/4/31 1973/7/16 1973년 매각 및 스크랩
DD-699 USS 월드론
(USS Waldron)
존 C. 월드론[11] 1944/6/7
1950/11/20
1950/5/17
1973/10/30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재취역
1973년 콜롬비아에 양도되어 산탄데르(Santander)로 활동
1986년 스크랩
DD-700 USS 헤인즈워스
(USS Haynsworth)
윌리엄 M. 헤인즈워스 주니어[12] 1944/6/22
1950/9/22
1950/5/19
1970/1/30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재취역
1970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웨양(岳陽)으로 활동
2001년 표적함으로 소모
DD-701 USS 존 W. 윅스
(USS John W. Weeks)
존 W. 윅스 1944/7/21
1950/10/24
1950/5/31
1970/8/12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재취역
1970년 표적함으로 소모
DD-702 USS 행크
(USS Hank)
윌리엄 E. 행크[13] 1944/8/28 1972/7/1 1972년 아르헨티나에 양도되어 세구이(Segui)로 활동
1983년 스크랩
DD-703 USS 월레스 L. 린드
(USS Wallace L. Lind)
월레스 L. 린드 1944/9/8 1973/12/4 1973년 대한민국에 양도되어 DD-917 대구로 활동
1994년 스크랩
DD-704 USS 보리(USS Borie) 아돌프 E. 보리[14] 1944/9/21 1972/7/1 1972년 아르헨티나에 양도되어 히폴리토 부샤르(Hipolito Bouchard)로 활동
1984년 스크랩
DD-705 USS 콤튼
(USS Compton)
루이스 콤튼[15] 1944/11/4 1972/9/17 1972년 브라질에 양도되어 마투그로수(Mato Grosso)로 활동
1990년 스크랩
DD-706 USS 게이나드
(USS Gainard)
조셉 A. 게이나드 1944/11/23 1971/2/26 1974년 매각 및 해체
DD-707 USS 솔리
(USS Soley)
제임스 R. 솔리 1944/12/7 1970/2/13 1970년 표적함으로 소모
DD-708 USS 할란 R. 딕슨
(USS Harlan R. Dickson)
할란 R. 딕슨[16] 1945/2/17 ? 1973년 매각 및 스크랩
DD-709 USS 휴 퍼비스
(USS Hugh Purvis)
휴 퍼비스[17] 1945/3/1 1972/6/15 1972년 터키에 양도되어 자페르(Zafer)로 활동
1994년 스크랩
DD-722 USS 바톤
(USS Barton)
존 K. 바톤 1943/12/30
1949/4/11
1947/1/22
1968/9/30
1949년 재취역
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
DD-723 USS 워크
(USS Walke)
헨리 A. 워크 1944/1/21
1950/10/5
1947/6/30
1970/11/30
1950년 재취역
1975년 매각 및 스크랩
DD-724 USS 래피
(USS Laffey)
바틀렛 래피[18] 1944/2/8
1951/1/26
1947/6/30
1975/3/9
1951년 재취역
사우스캐롤라이나찰스턴에 박물관함으로 보존
DD-725 USS 오브라이언
(USS O'Brien)
제레미아 오브라이언[19] 1944/2/25
1950/10/5
1947/10/4
1972/2/18
1950년 재취역
1972년 표적함으로 소모
DD-726 USS 메레디스
(USS Meredith)
조너선 메레디스[20] 1944/3/14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기뢰로 인해 대파
독일군 폭격에 의해 격침
1960년 인양 및 스크랩
DD-727 USS 드헤이븐
(USS De Haven)
에드윈 J. 드헤이븐 1944/3/31 1973/12/3 1973년 대한민국에 양도되어 DD-918 인천으로 활동
1993년 스크랩
DD-728 USS 맨스필드
(USS Mansfield)
던컨 맨스필드[21] 1944/4/14 1971/2/4 1974년 아르헨티나에 양도되어 에스포라(Espora)로 활동
1979년 스크랩
DD-729 USS 리만 K. 스웬슨
(USS Lyman K. Swenson)
리먼 K. 스웬슨[22] 1944/5/2 1971/2/12 1974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스크랩
DD-730 USS 콜렛
(USS Collett)
존 A. 콜렛[23] 1944/5/16 1970/12/18 1974년 아르헨티나에 양도되어 피에드라 부에나(Piedra Buena)로 활동
포클랜드 전쟁 당시 격침된 순양함 헤네랄 벨그라노 호위
1988년 표적함으로 소모
DD-731 USS 매독스
(USS Maddox)
윌리엄 A. T. 매독스 1944/6/2 ? 1964년 통킹만 사건에 연루
1972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포양(鄱陽)으로 활동
1985년 스크랩
DD-732 USS 하이먼
(USS Hyman)
윌포드 M. 하이먼[24] 1944/6/16 1969/11/14 1970년 매각 및 스크랩
DD-733 USS 매너트 A. 아벨
(USS Mannert L. Abele)
매너트 L. 아벨[25] 1944/7/4 1944년 오키나와 전투에서 MXY-7 오카에 의해 격침
DD-734 USS 퍼디
(USS Purdy)
프래더릭 W. 퍼디[26] 1944/7/18 1973/7/2 1974년 매각 및 스크랩
DD-741 USS 드렉슬러
(USS Drexler)
헨리 C. 드렉슬러[27] 1944/11/14 1945년 오키나와 전투에서 카미카제 공격에 의해 격침
DD-744 USS 블루
(USS Blue)
빅터 블루
존 S. 블루[28]
1944/3/20
1949/5/14
1950/9/15
1947/2/4
1949/12/12
1971/1/27
1949년 재취역
1950년 재취역
1977년 표적함으로 소모
DD-745 USS 브러시
(USS Brush)
찰스 F. 브러시[29] 1944/4/17 1969/10/27 1969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샹양(襄陽)으로 활동
1993년 스크랩
DD-746 USS 터우시그
(USS Taussig)
에드워드 D. 터우시그 1944/5/20 1970/12/1 1974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뤄양(洛陽)으로 활동
?
DD-747 USS 새뮤얼 N. 무어
(USS Samuel N. Moore)
새뮤얼 N. 무어[30] 1944/2/24 1969/10/24 1969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헝양(衡陽)으로 활동
?
DD-748 USS 해리 E. 허바드
(USS Harry E. Hubbard)
해리 E. 허바드[31] 1944/7/22
1949/5/14
1950/10/27
1947/1/15
1949/12/12
1969/10/17
1949년 재취역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재취역
1970년 매각 및 해체
DD-752 USS 알프레드 A. 커닝햄
(USS Alfred A. Cunningham)
알프레드 A. 커닝햄 1944/11/23
1950/10/5
1949/8/?
1971/2/24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재취역
1979년 레이저 유도 폭탄의 표적함으로 소모
DD-753 USS 존 R. 피어스
(USS John R. Pierce)
존 R. 피어스[32] 1944/12/30
1949/4/11
1947/1/24
1973/7/2
1949년 재취역
1974년 매각 및 스크랩
DD-754 USS 프랭크 E. 에반스
(USS Frank E. Evans)
프랭크 E. 에반스 1945/2/3
1950/9/15
1949/12/14
1969/7/1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재취역
1969년 호주 경항모 HMAS 멜버른과 충돌해 대파[33]
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
DD-755 USS 존 A. 볼
(John A. Bole)
존 A. 볼 주니어[34] 1945/3/3 1970/11/6 1974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스크랩
DD-756 USS 비티
(USS Beatty)
프랭크 E. 비티 1945/3/31 1972/7/14 1972년 베네수엘라에 양도되어 카라보보(Carabobo)로 활동
1981년 스크랩
DD-757 USS 퍼트넘
(USS Putnam)
찰스 F. 퍼트넘 1944/10/12
1950/10/?
1950/1/6
1973/8/6
1974년 매각 및 스크랩
DD-758 USS 스트롱
(USS Strong)
제임스 H. 스트롱[35] 1945/3/8
1949/5/14
1947/5/9
1973/10/31
브라질에 양도되어 리오 그란데 델 노르테(Rio Grande Del Norte)로 활동
1979년 파도로 침몰
DD-759 USS 로프버그
(USS Lofberg)
거스 B. 로프버그 주니어[36] 1945/4/26 1971/1/15 1974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스크랩
DD-760 USS 존 W. 토머슨
(USS John W. Thomason)
존 W. 토머슨 주니어[37] 1945/10/11 1970/12/8 1974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난양(南陽)으로 활동
?
DD-761 USS 벅
(USS Buck)
제임스 벅[38] 1946/6/28 1973/7/16 1973년 브라질에 양도되어 알라고아스(Alagoas)로 활동
1995년 스크랩
DD-762 USS 헨리
(USS Henley)
존 D. 헨리 1946/10/8
1950/9/23
1950/3/15
1973/7/2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재취역
1974년 매각 및 스크랩
DD-770 USS 로리
(USS Lowry)
레이가르트 B. 로리 1944/7/24
1950/12/27
1947/6/30
1973/10/31
1950년 재취역
브라질에 양도되어 이스피리투산투(Espirito Santo)로 활동
1996년 스크랩
DD-774 USS 휴 W. 해들리
(USS Hugh W. Hadley)
휴 W. 해들리[39] 1944/11/25 1945/12/15 1947년 매각 및 스크랩
DD-775 USS 윌러드 키스
(USS Willard Keith)
윌러드 W. 키스[40] 1944/12/27
1950/10/23
1947/6/20
1972/7/1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재취역
1972년 콜롬비아에 양도되어 칼데스(Caldes)로 활동
1977년 스크랩
DD-776 USS 제임스 C. 오웬스
(USS James C. Owens)
제임스 C. 오웬스 주니어[41] 1945/2/17
1950/9/20
1950/4/3
1973/7/15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재취역
1973년 브라질에 양도되어 세르지피(Sergipe)로 활동
1995년 스크랩
DD-777 USS 젤라스
(USS Zellas)
토머스 E. 젤라스[42] 1944/10/25 1971/3/19 1973년 이란에 양도되어 바브르(Babr)로 활동
1994년 스크랩
DD-778 USS 매시
(USS Massey)
랜드 E. 매시[43] 1944/11/24 1969/?/? 1974년 스크랩
DD-779 USS 더글라스 H. 폭스
(USS Douglas H. Fox)
더글라스 H. 폭스[44] 1944/12/26
1950/11/15
1950/4/21
1973/12/15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재취역
1974년 칠레에 양도되어 미니스트로 포르탈레스(Ministro Portales)로 활동
1994년 표적함으로 소모
DD-780 USS 스톰스
(USS Stormes)
맥스 C. 스톰스[45] 1945/1/27 1970/12/5 1972년 이란에 양도되어 팔랑(Palang)으로 활동
1994년 스크랩
DD-781 USS 로버트 K. 헌팅턴
(USS Robert K. Huntington)
로버트 K. 헌팅턴[46] 1945/3/3 1973/10/31 1973년 베네수엘라에 양도되어 팔콘(Falcon)으로 활동
1981년 스크랩
DD-857 USS 브리스톨
(USS Bristol)
마크 L. 브리스톨 1945/3/17 1969/11/21 1969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화양(華陽)으로 활동
1993년 스크랩
하위 함급(로버트 H. 스미스급)
함번 함명 함명 유래 취역일자 퇴역일자 최후
DD-735 USS 로버트 H. 스미스
(USS Allen M. Sumner)
로버트 H. 스미스
DD-736 USS 토마스 E. 프레이저
(USS Thomas E. Fraser)
토마스 E. 프레이저
DD-737 USS 섀넌
(USS Shannon)
해롤드 D. 섀넌
DD-738 USS 해리 F. 바우어
(USS Harry F. Bauer)
해리 F. 바우어
DD-739 USS 아담스
(USS Adams)
사무엘 아담스
DD-740 USS 톨만
(USS Tolman)
찰스 E. 톨만
DD-749 USS 헨리 A. 와일리
(USS Henry A. Wiley)
헨리 A. 와일리
DD-750 USS 시어
(USS Shea)
존 J. 시어
DD-751 USS J. 윌리엄 디터
(USS J. William Ditter)
J. 윌리엄 디터 시니어
DD-771 USS 린지
(USS Lindsey)
유진 E. 린지
DD-772 USS 그윈
(USS Gwin)
윌리엄 그윈 1944/9/30 - 1952년 재취역
터키에 인도해서 무야베넷이란 이름으로 활동했다. 그리고 미군에게 팀킬 당했다. 1992년 미군과의 NATO 합동 훈련 도중, 포레스탈급 항공모함 새러토가에서 실수로 RIM-7 시스패로우를 발사해서 함교에 명중했다. 이 사고로 터키 해군의 승무원 5명이 사망하고 19명이 부상을 입었다. 함선은 1993년 스크랩 처리했다.
DD-773 USS 아론 워드
(USS Aaron Ward)
아론 워드

4. 기타

파일:OrionDD.png

DEAD AHEAD에서 나오는 오리온 구축함 람다는 알렌 M. 섬너를 기반으로 만들었다.

배틀스테이션 시리즈에서 미국 화력 강화형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파일:94c439de-7c15-11e7-9b20-ac162d8bc1e4.jpg

월드 오브 워쉽에서 개량형인 기어링이 10티어로 나온 상황에서 2차 구축함 트리가 개설될 경우, 섬너급 역시 10티어로 될 것이라는 발언이 나왔다. 이후 2017년 8월 8일에 섬너급의 USS Brush(DD-745)가 대만 해군에 공여된 시양 양(Hsiang Yang)이 범아시아 구축함 트리의 10티어로 공개되었다. 현재는 함명이 웨 양(DD-700 USS Haynsworth)로 변경됐다.

래피가 전함소녀에서 실장, 뽀빠이를 모티브로 한 체육계 소녀로 재탄생되었다. 태평양에서의 활약상으로 인해 행운수치가 매우 높고, 개장을 통해 스킬을 습득하면 항공데미지를 아예 무시할 수도 있게 되었다! 자세한 것은 래피(전함소녀)를 참조. 이후 잉그럼도 등장했다.

벽람항로에서는 4번함인 쿠퍼가 '어둠을 쫓는 은익' 이벤트에서 전용 장비 PBY 카탈리나 수상기와 함께 실장됐으며, 카탈리나의 별명인 블랙 캣에 맞춰서 고양이를 좋아한다는 설정으로 등장했다. 네임쉽인 알렌 M. 섬너는 해당 이벤트보다 먼저 시행되었다가 훗날 복각된 '샌드플레이' 이벤트에 신규 캐릭터로 추가되었다. 잉그레이엄은 어둠을 쫓는 은익 복각 이벤트에서 추가되었으며 기존 섬너급 구축함 중 가장 높은 대공포 보정률을 받았다. 춘절 이벤트로 브리스톨, 2023년 연말 이벤트로 UR 등급의 라피II[47]가 추가되었다.

워 썬더 해상전 미국 테크의 구축함으로 등장. 플레처와 함께 구축함 라인 최고의 성능을 자랑한다.

파일:WFC_Ships_AllenMSumner.png
워쉽 플릿 커맨드에서 알렌 M 섬너가 5성급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주포의 사거리가 짧은게 아쉽지만 3초마다 6발의 탄환을 발사해 근접전에서의 화력이 좋다. 죽지만 않는다면...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7408b> 잠수함 <colbgcolor=#27408b> SS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SSG 그레이백급R
SSN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SSN(X)}
SSGN 오하이오급*
SSBN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고속정(PC)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호위함(FF)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컨스텔레이션급}
구축함 구축함(DD)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 FRAM-IIM/R, 기어링급 FRAM-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방공구축함(DDG)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DDG(X)}
순양함 순양함(CL, CA) 클리블랜드급R, 볼티모어급R, 파고급R, 오리건시티급R, 우스터급R, 디모인급R
방공순양함(CG)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 타이콘데로가급, CG(X)
핵추진 방공순양함(CGN)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타격 순양함
전함
(BB)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몬태나급
상륙정 LCU 1610, LCM, LCVP, LCAC
상륙함 LHA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LPH 이오지마급R
LHD 와스프급
LPD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LSD 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LST 뉴포트급R
LSV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EPF 스피어헤드급
소해함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군수지원함 미 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지휘함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원정이동기지선
(ESB)
루이스 B. 풀러급
항공모함 재래식(CV)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유나이티드 스테이츠급, 포레스탈급R, 키티호크급R
핵추진(CVN)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잠수함모함
(AS)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구축함모함
(AD)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우스톤급R
무인함 USV 시 헌터, {LUSV}
UUV 오르카 XLUUV, {후긴 AUV}
대형호위함(범선) 컨스티튜션*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로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대만 국기.svg 현대의 대만 해군 함선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잠수함
(SS)
<colbgcolor=#fefefe,#191919>하이신급, 하이룽급, 하이쿤급
구잠함 추장급R, 춰장급R, 칭장급R, 추지안급R
고속정
(PC)
PCA급, PCL급
미사일 고속정
(PG)
하이우급R, 룽장급, 광화 6호급
초계함
(FF)
정안급M/R, 가오안급M/R, 린안급M/R, 핑준급R, 진장급, 퉈장급
호위구축함
(DE)
중정급R 타이호급R, 타이캉급R, 타이위안급R
호위함
(FF)
신양급R, 후이양급R, 지양급M, 밍추안/펑지아M, 쳉쿵급, 캉딩급, {경호위함}
구축함 구축함
(DD)
프로젝트 T.306.5 설계안R, 린푸R, 단양급R, 뤄양급R, 선양급R, 안양급R, 샹양급R, 차오양급R
방공 구축함
(DDG)
지룽급
상륙정 허샨급R, 허펑급R, LCI, LCVP, LCM-6
상륙함 LPD 위산급
LSD 둥하이급R, 전하이급R 중정(애쉬랜드)급R, 쑤하이급
LST 중정급R, 충호급, 충하이급
LSM 메이전급R
LSSL 리안지급R
소해함 융진급, 융양급, 융촨급
수송함 윈펑급
군수지원함 우이급, 판시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현대의 아르헨티나 해군 함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Jack_of_Argentina.svg.png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75aadb> 잠수함 산타페급(1933)R, 산타페급(1960)R, 살타급, 산타 크루즈급
고속정 인트레피다급
초계정 바라데로급
초계함 무라츄르급, 부샤르급, 드러먼드급, 에스포라급
호위함 아조파르도급R
구축함 멘도사급R, 부에노스아이레스급R, 브라운급R, 세귀이급R, 에로콜레스급, 알미란테 브라운급(1983)
순양함 베인티싱코 데 마요급(1929)R, 라 아르헨티나(1937)R, 누에 베 데 훌리오급(1951)R
전함 알미란테 브라운급(1880)R, 리바다비아급R
항공모함 인디펜덴시아R, 베인티싱코 데 마요(1969)R
쇄빙선 알미란테 이리살급
군수지원함 파타고니아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이란 국기.svg 현대의 이란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99cc99,#336633> 잠수정 나항급, 유고급, 가디르급
잠수함 코우세R, 타레크급, 파테급, {베사트급}
고속정 아자르급R, 고하르급R, 아자라크쉬급, 자파르급, 쿠거급, 페이카프 I~III급, 시나급, 카이반급, 파르빈급, 카만급, 톤다르급
초계함 함제, 바얀도르급
호위함 바브르R, 알반드급, 모제급
구축함 다마반드R, 바브르급R, 쿠로시급, {칼리에 파스급}
상륙함 호르무즈-24급, 헨감급, 카르발라급
항공모함 샤히드 로우다키
공기부양정 톤다르급, BH.7급
군수지원함 칸간급, 반다르압바스급, 올급, 마크란급
소해함 팔랑R, 샤힌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현대의 그리스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003f87> 잠수함 포세이돈급, 글라브코스급, 오케아노스급, 파파니콜리스급
어뢰정 에스페로스급R, 에스테렐급
고속정 아이올로스급R, 아이올로스급R, 톨미급, 루센급, 보트시스급, 카발로디스급, 라스코스급, {사펠로급}
초계함 아포스톨리스급R, 오스프리 55급, HSY-55급, HSY-56A급
호위함 에피루스급R, 엘리급, 히드라급, {키몬급(3대)}
구축함 아이가이온R, 니키급R, 미아울리스R, 키몬급R, 키몬급(2대)R, 테미스토클리스급R
상륙정 세리포스급, 케팔로니아급
상륙함 <colbgcolor=#003f87> LST 이아손급
소해함 피레아스급R, 안티오피급R, 에브니키급, 에우로페급
수송함 판도라급, 프톨레마이다급
군수지원함 케르키니급, 제우스급, 프로메테우스급, 악시오스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콜롬비아 해군기.png 현대의 콜롬비아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ffcd00> 잠수함 인트레피도급, 피자오급
고속정호세 엔두리크 마르케즈 두란급R, 테네리페급, 마그달레나급, 딜리전트급, 푼타 아르디타급
초계함나리뇨급, 알미란테 토노급
원양초계함데 훌리오급
호위함알미란테 파디야급R, 알미란테 파디야급, {알미란테 파디야급}
호위구축함보야카R, 알미란테 파디야급R, 알미란테 토노급R
구축함데 훌리오급R, 안티오치아급R, 칼다스급R
상륙정바히아 사프주로급, 골포 데 모로스칠로급
군수지원함블라스 데 레조R, 마모날R, 투마코R, 친디오R, 바히아 솔라노R, 카르타게나 데 인디아스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파일:베네수엘라 해군기.png 현대의 베네수엘라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ffd600> 잠수함 사발로급
고속정페트렐급, 가비온급, 파갈로급, 페르난도 고메즈 데 사급
초계함카라보보급R
원양초계함과이퀘리급, 과이카마쿠토급
호위함마리스칼 수크레급
구축함카라보보급R, 알미란테 클레멘테급R, 누에바 에스파르타급R
상륙함 <colbgcolor=#ffd600> LST 카파나급
군수지원함로스 프라일레스급, 푼타 브라바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외래어 표기법을 준수한 풀 네임은 '앨런 멜란톤 섬너(Allen Melancthon Sumner)'.[2] 5인치 즉 127mm 그리고 20kg 이상 나가는 포탄을 분당 10발 이상 세워서 쏘는데, 수동식이었으면 아무리 체격이 좋다 하더라도 지쳐서 나가 떨어질 것이다. 일본해군은 아키즈키급 구축함 이전의 구축함과 경순양함 그리고 야마토급 전함이전의 포곽식 부포 전함들은 모두 수동장전식이었는데 이렇게 되면 장거리 전투 시 사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포각을 올리면 올릴수록 장전수들도 피곤해지고, 결국 카탈로그 스펙 상의 사격속도를 낼 수 없다.[3] 아이언 바텀 사운드에 가라앉은 벤슨급 구축함 DD-459의 이름을 계승.[4] USS 샬롯 베이 소속 FM-2 와일드캣과 해병 항공대 F4U 콜세어의 지원도 있었지만 4발의 일반 폭탄과 6기의 자폭 공격을 받았다.[5] 대한민국 해군에서 도입한 기어링급 구축함들이 2000년까지 현역이 였던거와 달리 섬너급은 90년대 초중반에 퇴역했는데, 이유는 헬리콥터 갑판 때문이였다. 기어링급은 섬너급 보다 선체가 조금 커서 헬리콥터 갑판을 확장하여 헬기를 탑재한것과 달리 섬너급은 헬리콥터 갑판이 기어링급 보단 작아서 헬기운용이 어렵다고 판단되어 대신 헬리콥터 갑판에는 육군에서 사용하던 M163 20mm 발칸포를 대공방어 목적으로 탑재하였으며, 격납고는 체력단련장으로 사용되었다. 대구함은 1991년에 퇴역했지만 1994년에 다시 복귀하여 운용하다가 동년 10월에 다시 퇴역했다.[대한민국] [7] 1960년대 초에 시행된 FRAM-II 개장 시 기관 노후화로 인해 33.4kn (약 61.8km/h)로 떨어짐[8] 전간기의 미해군 비행사. 1938년 수상기 추락 사고로 사망.[9] 세계대전기의 해군 장교. 1917년 폭발한 잠수함 안에 갇힌 장교를 구조한 공로로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다. 태평양 전쟁 개전 당시에는 경순양함 헬레나(CL-50)의 함장이었다. 1943년 비행기 사고로 사망.[10] 산호해 해전 당시 USS 렉싱턴(CV-2) 비행단의 단장. 일본 항공모함 쇼카쿠에 대한 공격을 지휘하던 중 전사했다.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11]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8뇌격기대대의 대대장. 대대를 이끌고 일본군 함대를 공격했으나 전사했다.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12] USS 잉그레이엄(DD-444)의 함장. 잉그레이엄이 유조선 셔멍과 충돌, 침몰하며 사망하였다.[13] USS 래피(DD-459)의 함장. 에스페란스 곶 해전에서 보인 무공으로 첫번째 해군십자장을, 과달카날 해전에서 히에이를 상대로 보인 영웅적 행위로 두번째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다. 유감스럽게도 행크 함장은 히에이의 포격으로 래피가 격침되며 사망했다.[14] 율리시스 S. 그랜트 재임 당시 해군성장관.[15] 1940~1941년 해군성차관보.[16] USS 요크타운(CV-5) 소속 제5급강하폭격기대대의 대대장. 툴라기와 미드웨이에서 세운 무공으로 해군십자장 두개를 수여받았다. 1944년 비행기 사고로 사망.[17] 신미양요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동료 병사와 함께 어재연 장군의 수자기를 노획한 공로로 명예훈장을 수여받았다.[18] 남북 전쟁 당시 북부군 수병. 증기선 USS 마모라 소속으로 근무했다. 야주 시티 전투 당시 동료 선원 두명과 함께 12파운드 함포를 가지고 상륙, 포격을 가해 남부군을 몰아냈다. 이 공로로 동료들과 함께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19] 미국 독립전쟁 당시 선장. 자신의 슬루프 유니티를 이끌고 영국군 스쿠너 HMS 마가레타를 나포했다.[20] 1차 바르바리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부사관. 함상 백병전 도중 중상을 입은 아군 장교를 보호하였다. 그로부터 5일 후 전사했다.[21] 1차 바르바리 전쟁 당시 해병대 부사관. 위장된 케치 USS 인트레피드를 타고 트리폴리에 밀항, 바르바리 해적들이 나포했던 프리깃 USS 필라델피아를 파괴했다.[22] USS 주노(CL-52)의 함장. 과달카날 해전에서 주노가 격침되며 전사했다.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23] 산타크루즈 해전 당시 USS 엔터프라이즈(CV-6) 소속 제10뇌격기대대의 대대장. 산타크루즈 해전 중 전사하였다.[24] 산호해 해전 당시 USS 심즈(DD-409)의 함장. 유조선 USS 네오쇼(AO-23)를 호위하던 중 일본군 함재기들의 공격을 받았다. 네오쇼를 항공모함으로 오인한 일본군이 심즈와 네오쇼를 격침시키는 동안 미해군 함재기들은 쇼호를 격침시킨다. 유감스럽게도 하이먼 함장은 심즈와 함께 가라앉았다. 그는 사후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다.[25] USS 그루니언(SS-216)의 함장. 일본 해방함 두척을 격침시키고 한척을 대파시켰으나 이후 그루니언과 함께 실종되었다. 격침된 것으로 추정 중. 사후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다.[26] USS 스트롱(DD-467)의 부장. 스트롱이 격침될 당시 더 많은 승무원들을 구하려고 하다가 실종되었다. 사후 은성 훈장을 수여받았다.[27] USS 트렌턴(CL-11)에서 복무하던 해군 장교. 1924년 포격 훈련 도중 탄약에 불이 붙자 다른 탄약들을 물에 담그려고 시도하였다. 비록 불이 너무 빨리 번져서 폭사했지만 용기와 영웅적 행동을 기려 사후 해군십자장과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28] USS 주노(CL-52)의 항해사. 과달카날 해전에서 주노가 격침되며 전사했다.[29] 19세기 말~20세기 초의 발명가.[30] 세계대전기의 해군 장교. 사보섬 해전 당시 USS 퀸시(CA-39)의 함장이었다. 해당 전투에서 전사.[31] USS 메레디스(DD-434)가 격침될 당시 함장. 과달카날로 향하는 화물선을 호위하던 중 메레디스가 격침되며 전사하였다.[32] 잠수함 USS 아르고노트의 마지막 함장. 1943년 일본군 호송선단에게 발각되자 아르고노트를 부상시켜 반격을 가했다. 하지만 구식 잠수함 한 척이 카게로급 구축함 세척을 상대하는 것은 무리였고, 결국 아르고노트와 함께 가라앉았다.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33] 뱃머리가 사라지고 74명의 승조원이 사망했다.[34] USS 앰버잭(SS-219)의 함장. 1943년 앰버잭과 함께 실종.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35] 남북전쟁 당시 북부군 해군 장교. 모바일 만 해전 당시 자신의 슬루프 오브 워 USS 머논가힐라로 남부 철갑함 CSS 테네시에 충각을 가했다.[36] 고속수송선 USS 리틀(DD-71)의 마지막 함장. 1942년 헨더슨 비행장을 포격하는 일본 구축함들을 막기 위해 분전했으나 리틀이 격침되며 실종되었다. 사후 은성훈장이 수여되었다.[37] 세계대전기 해병대 장교. 1918년 수아송에서 독일군 기관총좌와 조우하자 부하 한명을 데리고 돌진, 13명의 독일군을 사살했다. 이 공로로 해군십자장과 은성훈장이 수여되었다.[38] 남북전쟁 당시 북부군 수병. 뉴올리언스 공격 당시 중상을 입었음에도 8시간이나 증기선 USS 브루클린의 조타 임무를 맡았다. 이로 인해 명예훈장을 수여받았다.[39] 제12수송대의 지휘관. 1942년 헨더슨 비행장을 포격하는 일본 구축함들을 상대로 전투를 벌이다가 기함인 USS 리틀이 격침되며 전사했다. 사후 은성훈장이 수여되었다.[40] 과달카날 전역에 참전한 미해병대 장교. 자신의 중대를 이끌고 일본군 특화점에 돌격, 적을 격파했다. 하지만 장본인은 전투 막바지에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하였다.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41]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8뇌격기대대 소속 비행사. 해당 해전에서 전사하였으며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42] USS 미시시피(BB-41)에서 복무하던 해군 장교. 1924년 자신이 복무하던 2번 주포탑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밸브를 열어 작약 수레에 붙은 불을 꺼 폭발을 막아냈다. 하지만 젤라스를 포함한 47명의 승무원들은 화재로 인해 질식사했다.[43]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3뇌격기대대 대대장. 미드웨이 해전에서 전사한 후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다. 미드웨이 해전 이전에도 마셜 제도-길버트 제도 공습 당시 일본군 수송선 보르도마루를 격침시켜 비행수훈장을 받았었다.[44] USS 바튼(DD-599)의 함장. 과달카날 해전에서 바튼이 격침되며 전사했다.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 과거에도 격침된 USS 호넷(CV-8)의 승무원을 구조한 공로로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다.[45] USS 프레스턴(DD-379)의 함장. 과달카날 해전에서 프레스턴이 격침되며 전사했다.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46]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8뇌격기대대 소속 조종사. 해당 전투에서 전사.[47] 기존 벤슨급의 라피가 섬너급의 의장을 운용한다는 설정이 붙은 별도의 캐릭터로 실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