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06:39:06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395>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2025).svg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괌 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네팔 대만 대한민국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마카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북한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필리핀 호주 홍콩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West_Asian_Football_Federation_logo_(2023).png 서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레바논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예멘
오만
요르단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이라크
카타르
쿠웨이트
팔레스타인 }}}}}}}}}

<nopad>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4~).png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1]الا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لكرة القدم
<colbgcolor=#fff><colcolor=#ff0000> FIFA 코드 UAE
축구 협회 아랍에미리트 축구 협회 (UAEFA)
대륙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 연맹 서아시아 축구 연맹 (WAFF)
홈 경기장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Zayed Sports City Stadium / 44,260석)
별칭 Al-Abyad (흰색)
Eyal Zayed (자예드의 자손)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루마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루마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코스민 올러로이우 (Cosmin Olăroiu)
주장
C
칼리드 에이사 (Khalid Eisa)
라이벌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FIFA 랭킹 65위 (2025년 7월 10일 기준 / #)
Elo 랭킹 73위 (2025년 9월 8일 기준 / #)
공식 웹사이트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0000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ff0000> A매치 최다 출전 아드난 알 탈리아니 (Adnan Al Talyani)
- 161경기 / 52골
A매치 최다 득점 알리 마브쿠트 (Ali Mabkhout)
- 114경기 / 85골
월드컵 최다 득점 칼리드 이스마일 (Khalid Ismail)
- 1골 (1990)
알리 타니 주마 (Ali Thani Jumaa)
- 1골 (1990)
첫 국제경기 출전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아랍에미리트 vs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0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 1972년 3월 17일)
최다 점수차 승리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아랍에미리트 vs [[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12:0
(브루나이 반다르스리브가완 / 2001년 4월 14일)
최다 점수차 패배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아랍에미리트 vs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0:8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 2005년 11월 12일)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0000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 세계대회
월드컵 [진출] 1회
[최고] 24위/조별리그[2] (1990)
컨페드컵 [진출] 1회
[최고] 6위/조별리그[3] (1997)
대륙대회
아시안컵 [진출] 10회
[최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1996)
아랍컵 [진출] 2회
[최고] 4위 (1998)
걸프컵 [진출] 23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2007, 2013)
팬아랍 게임 [진출] 4회
[최고] 4위 (2007)
}}}}}}}}}}}} ||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하의
양말


1. 개요

아랍에미리트축구 국가대표팀. 백색(Al-Abyad)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42위(1998년 11월 18일 ~ 1999년 1월 26일), 최저 순위는 138위(2012년 1월 18일)이다.

2. 특징

1990월드컵 당시 아시아 예선에서 본선 월드컵 티켓 2장 중 아시아 2위로[4]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 24개국 본선에 처음 진출했으나, 24등으로 마치게 되었다. 월드컵 본선 진출은 이것이 전부.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아디다스다.[5]

3. 상세

그동안 서아시아 내에서는 중동 4강으로 꼽히던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쿠웨이트 등에 밀려 중동 4강 바로 아랫단계[6]로 평가되었으나, 2000년대의 집중적인 투자와 지원 덕에 전력이 제법 강해졌다. 2007년 자국에서 열린 아라비안 걸프컵에서도 우승했고, 2013년 사상 두 번째로 걸프컵에서 우승했고, 2014년에는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아시안컵에서도 이러한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2015 아시안컵 이전 3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8강에 실패했지만 2015 AFC 아시안컵 호주에서는 카타르바레인을 연파하고 이란과는 접전 끝에 패하면서 1996년 대회 이후로 장장 19년 만에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다. 그리고 8강에선 통산 5회 우승과 두 번째 2연패를 꿈꾸던 일본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격침시키고 4강에 진출했고,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다만 의외로 우승은 한 번도 못 해 봤다.

다른 중동 국가들과 비교하면 아랍에미리트는 일본과 유사한, 소위 말하는 스시타카 스타일과 비슷한 형태의 축구를 한다. 그래서 다른 중동 국가들과 달리 일본과는 비등한 경기를 하지만, 파워로 밀어붙이는 대한민국에게는 약한 면을 보인다. 현 대표팀의 주축 오마르 압둘라흐만도 일본 스타일의 테크니션, 플레이메이커다. 다만 아흐메드 칼릴, 알리 마브쿠트 투 톱이 매우 빠른 발과 괜찮은 골 결정력은 가지고 있어 이 삼각편대를 내세운 역습에도 재미를 많이 보는 편. 2019년 자국에서 열리는 아시안컵을 내심 이 세대들이 사고를 쳐줄 것이라고 기대했으나 4강에 그쳤고, 오히려 앙숙 카타르가 우승하는 걸 지켜봐야만 했다. 또한 중동 축구팀들의 종특침대축구는 자주 보여주지 않고, 본인들이 앞서고 있어도 웬만하면 공격에 나선다.

최근에는 자국 리긍디 외국인 선수들을 자국 대표팀으로 유치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카이우 카네두, 파비우 리마, 세바스티안 탈리아부에 등 기존 귀화 선수 이외에도 UAE 프로 리그에서 뛰면서 FIFA 5년 거주 룰을 충족시킨 외국인 선수들을 대표팀으로 불러들이고 있다. [7] 아프리카, 남미, 동유럽 등지의 어린 선수를 저렴한 가격에 자국 클럽으로 영입한 이후 그 선수들을 키우면서 대표팀 수준의 실력으로 성장시키는 것이다.[8] 한편으로는 이렇게 자국 내 선수들을 육성하는 방책 이외에도 아랍에미리트에서 태어나거나 성장한 외국인 유스에게도 국적을 부여하고 있다. 실제로 잉글랜드 태생의 매켄지 헌트가 국적을 취득받고 대표팀 경기에 출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대표팀 상비군의 풀(pool)을 점진적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평가된다.[9]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 전반기까지만 해도 다소 불안불안했으나 후반기 들어서는 3승 2패로 선전하며 아시아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속칭 11524로 불리는 아시아 5강 바로 밑의 팀이라고 줄곧 평가받았으나 월드컵 예선에선 그 평가에 맞는 성적을 내지 못했었지만, 이번 플레이오프 진출로 자신들이 아시아의 다크호스임을 어느 정도 증명했다.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대회 진출 이후 32년만에 월드컵 본선 진출과 가장 가까운 위치까지 다가갔다.[10] 그러나 아시아 플레이오프에서 호주에게 1:2로 패하여 또다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22년 현재 주요 선수로는 아메드 칼릴, 알리 마브쿠트, 칼리드 에이사, 카이우 카네두, 파비우 리마 등이 있다.

4. 코칭 스태프

5. 역대 감독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4~).png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72년 ~ 현재
1대
파일:이집트 국기.svg 셰이타
2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가리브
3대
파일:이집트 국기.svg 셰이타
4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엘셰르비니
5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가리브
6대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타디치
7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비
8대
파일:이란 국기.svg 모하제라니
9대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헤이라
10대
파일:브라질 국기.svg 자갈루
11대
파일:폴란드 국기.svg 블라우트
12대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헤이라
13대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로바노브스키
14대
파일:폴란드 국기.svg 피슈니체크
15대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이비치
16대
파일:브라질 국기.svg 산드리
17대
파일:체코 국기.svg 마찰라
18대
파일:브라질 국기.svg 산드리
19대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케이로스
20대
파일:헝가리 국기.svg 유리치치
21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마스파르
22대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셸
23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사크르
24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루이스
25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본프레레
26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호지슨
27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더모스
28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아드보카트
29대
파일:프랑스 국기.svg 메추
30대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테나이
31대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카타네츠
32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마스파르
33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리
34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바우사
35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자케로니
36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판마르베이크
37대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요바노비치
38대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핀투
39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판마르베이크
40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루아바레나
41대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벤투
현직
42대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올러로이우
}}}}}}}}}}}}}}} ||

6.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ffffff)"<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4~).png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아드난 알탈리아니 161회 1984.3.10 1997.12.17
2 이스마일 마타르 136회 2003.9.27 2021.12.6
3 수바이트 카터 120회 1999.8.20 2011.11.15
4 알리 마브쿠트 115회 2009.11.15 2024.1.6
이스마일 알함마디 2007.9.23 2019.12.2
압둘라힘 주마 1998.11.25 2009.4.1
7 주헤어 바크시트 112회 1988.1.23 2002.12.16
8 압둘살람 주마 111회 1997.3.18 2010.1.6
9 무흐신 무사바 107회 1985.4.12 1999.8.27
왈리드 아바스 2008.12.27 2023.11.16
11 아흐메드 칼릴 104회 2008.2.6 2019.11.29
12 모하메드 오마르 102회 1996.8.14 2009.1.28
}}}}}}}}}}}}}}} ||

7. 역대 성적

7.1. FIFA 월드컵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74위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 영국의 보호국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 우루과이
독립 이전 (트루셜 스테이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34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 멕시코
※ 아랍에미리트 연합국
파일:독일 국기.svg
1974 서독
FIFA 비회원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 아르헨티나
기권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 스페인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 멕시코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 이탈리아
조별리그[12] 24위 0 3 0 0 3 2 11
파일:미국 국기.svg
1994 미국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 한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6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1회 0 3 0 0 3 2 11

7.2.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1992 사우디 진출 실패
1995 사우디
1997 사우디 컨페더컵 조별리그[15] 6위 3 1 0 2 2 8
1999 멕시코 진출 실패
2001 한국/일본
2003 프랑스
2005 독일
2009 남아공
2013 브라질
2017 러시아
합계 본선진출 1회 3 1 0 2 2 8

7.3. AFC 아시안컵

대회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 영국의 보호국
파일:영국령 홍콩 기(1955~1959).svg
1956 홍콩
독립 이전 (트루셜 스테이트)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960 대한민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64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
1968 이란
※ 아랍에미리트 연합국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1972 태국
AFC 비회원국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
1976 이란
불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80 쿠웨이트
조별리그[16] 9위 1 4 0 1 3 3 9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984 싱가포르
조별리그[17] 6위[18] 6 4 2 0 2 3 8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조별리그[19] 8위[20] 3 4 1 0 3 2 4
파일:일본 국기.svg
1992 일본
4위[21] 6 5 1 3 1 3 4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 아랍에미리트
준우승 2위 14 6 4 2 0 8 3
파일:레바논 국기.svg
2000 레바논
본선 진출 실패[12개팀]
파일:중국 국기.svg
2004 중국
조별리그[23] 15위 1 3 0 1 2 1 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7 아세안
조별리그[24] 12위 3 3 1 0 2 3 6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1 카타르
조별리그[25] 13위 1 3 0 1 2 0 4
파일:호주 국기.svg
2015 호주
3위[26] 10 6 3 1 2 10 8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9 아랍에미리트
4강[27] 4위 11 6 3 2 1 8 8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3 카타르
16강 12위 5 4 1 2 1 6 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 사우디아라비아
본선진출 ? ? ? ? ? ? ? ?
합계 본선진출 11회 / 준우승 1회 61 48 16 13 19 47 64

7.4.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요르단 국기.svg
2000 요르단
불참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2002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2004 이란
파일:요르단 국기.svg
2007 요르단
파일:이란 국기.svg
2008 이란
파일:요르단 국기.svg
2010 요르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12 쿠웨이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4 카타르
파일:이라크 국기.svg
2019 이라크
합계 본선진출 없음 0 0 0 0 0 0 0

7.5. 아라비안 걸프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바레인 국기.svg
1970 바레인
불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72 사우디아라비아
결선리그 3위 3 1 0 2 1 11 3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4 쿠웨이트
4강 4위 4 1 1 2 5 9 4
파일:카타르 국기.svg
1976 카타르
결선리그 6위 6 0 2 4 4 13 2
파일:이라크 국기.svg
1979 이라크
결선리그 6위 6 1 0 5 5 18 3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2 아랍에미리트
결선리그 3위 5 3 0 2 7 6 9
파일:오만 국기.svg
1984 오만
결선리그 4위 6 2 3 1 5 4 9
파일:바레인 국기.svg
1986 바레인
준우승 2위 6 3 1 2 10 7 1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8 사우디아라비아
준우승 2위 6 3 2 1 7 4 11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90 쿠웨이트
결선리그 5위 4 0 2 2 2 8 2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2 카타르
결선리그 4위 5 3 0 2 4 3 9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4 아랍에미리트
준우승 2위 5 3 2 0 7 1 11
파일:오만 국기.svg
1996 오만
결선리그 4위 5 1 3 1 5 5 6
파일:바레인 국기.svg
1998 바레인
결선리그 3위 5 2 1 2 5 7 7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2 사우디아라비아
결선리그 6위 5 1 0 4 3 7 3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03-04 쿠웨이트
결선리그 5위 6 2 1 3 6 7 7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4 카타르
조별리그 6위 3 0 2 1 4 5 2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7 아랍에미리트
우승 1위 5 4 0 1 8 5 12
파일:오만 국기.svg
2009 오만
조별리그 5위 3 1 1 1 3 4 4
파일:예멘 국기.svg
2010 예멘
4강 4위 4 1 2 1 3 2 5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3 바레인
우승 1위 5 5 0 0 10 3 1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14 사우디아라비아
4강 3위 5 2 2 1 7 5 8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17-18 쿠웨이트
준우승 2위 5 1 4 0 1 0 7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9 카타르
조별리그 7위 3 1 0 2 5 6 3
파일:이라크 국기.svg
2023 이라크
조별리그 7위 3 0 1 2 2 4 1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24 쿠웨이트
조별리그 7위 3 0 2 1 3 4 2
합계 본선진출 23회 / 우승 2회 116 41 32 43 122 148 155

7.6. FIFA 아랍컵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963
독립이전(영국의 일부)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1964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이라크 1966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985
불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198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199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98
4강 4위 4 1 0 3 6 8 3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2002
불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01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21
8강 7위 4 2 0 2 3 7 6
합계 본선진출 2회 / 4위 1회 8 3 0 5 9 15 9

7.7. 올림픽

UAE는 올림픽 본선에 1회 진출했다.

8. 연령별 대표팀

8.1. U-23 대표팀

8.1.1. AFC U-23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오만 국기.svg
2014 오만
8강 8위 5 4 1 2 1 2 2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6 카타르
8강 5위 7 4 2 1 1 5 5
파일:중국 국기.svg
2018 중국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2020 태국
8강 6위 5 4 1 2 1 4 6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2 우즈베키스탄
조별리그 11위 4 3 1 1 1 3 4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4 카타르
조별리그 15위 0 3 0 0 3 1 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6 사우디
? ? ? ? ? ? ? ? ?
굵은 글씨는 올림픽 진출권이 걸려있는 대회
합계 본선진출 5회 / 8강 3회 21 18 5 6 7 15 22

8.2. U-20 대표팀

8.2.1. FIFA U-20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튀니지 국기.svg
1977년 튀니지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1979년 일본
파일:호주 국기.svg
1981년 튀니지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3년 멕시코
파일:소련 국기.svg
1985년 소련
파일:칠레 국기.svg
1987년 칠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9년 사우디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991년 포르투갈
파일:호주 국기.svg
1993년 호주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5년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7년 말레이시아
16강 16위 3 4 1 0 3 2 13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9년 나이지리아
예선 탈락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1년 아르헨티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3년 아랍에미리트
8강 7위 7 5 2 1 2 4 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5년 네덜란드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7년 캐나다
8강 8위 7 5 2 1 2 6 7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9년 이집트
예선 탈락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1년 콜롬비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3년 터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5년 뉴질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대한민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년 폴란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3년 아르헨티나[29]
파일:칠레 국기.svg
2025년 칠레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3회 / 8강 2회[30]

8.2.2. AFC U-20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9 말레이시아
독립 이전(영국의 일부)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0 말레이시아
파일:태국 국기.svg
1961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2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3 말레이시아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64 남베트남
파일:일본 국기.svg
1965 일본
파일:필리핀 국기.svg
1966 필리핀
파일:태국 국기.svg
1967 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9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0 필리핀
파일:일본 국기.svg
1971 일본
비회원국
파일:태국 국기.svg
1972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3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1974 태국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5 쿠웨이트
불참
파일:태국 국기.svg
1976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7 이란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1978 방글라데시
파일:태국 국기.svg
1980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82 태국
결선리그 4위 1 3 0 1 2 2 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5 UAE
결선리그 3위 4 3 1 1 1 9 4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6 사우디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4강 4위 5 5 1 2 2 2 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0 인도네시아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2 UAE
4강 4위 7 5 2 1 2 5 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4 인도네시아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대한민국
4강 3위 8 6 2 2 2 12 13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태국
예선 탈락
파일:이란 국기.svg
2000 이란
조별리그 10위 0 4 0 0 4 6 12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 카타르
8강 7위 4 4 1 1 2 3 6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04 말레이시아
예선 탈락
파일:인도 국기.svg
2006 인도
조별리그 14위 0 3 0 0 3 2 6
AFC U-19 챔피언십 대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8 사우디
우승 1위 18 6 6 0 0 12 3
파일:중국 국기.svg
2010 중국
8강 8위 4 4 1 1 2 7 6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 UAE
조별리그 11위 3 3 0 3 0 2 2
파일:미얀마 국기.svg
2014 미얀마
8강 7위 5 4 1 2 1 7 5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6 바레인
조별리그 10위 4 3 1 1 1 4 3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 인도네시아
조별리그 9위 6 3 2 0 1 10 3
AFC U-20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우즈베키스탄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2025 중국
합계 본선진출 14회 / 우승 1회 69 56 18 15 23 83 80

8.3. U-17 대표팀

8.3.1. FIFA U-17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중국 국기.svg
1985 중국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1987 캐나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989 스코틀랜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1 이탈리아
조별리그 15위 1 3 0 1 2 3 10
파일:일본 국기.svg
1993 일본
예선 탈락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995 에콰도르
파일:이집트 국기.svg
1997 이집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1999 뉴질랜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2001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핀란드 국기.svg
2003 핀란드
파일:페루 국기.svg
2005 페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대한민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9 나이지리아
16강 15위 3 4 1 0 3 3 6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1 멕시코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3 UAE
조별리그 22위 0 3 0 0 3 2 10
파일:칠레 국기.svg
2015 칠레
예선 탈락
파일:인도 국기.svg
2017 인도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9 브라질
기권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23 인도네시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5 카타르
본선진출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6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7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8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9 카타르
합계 본선진출 3회 / 16강 1회 4 10 1 1 8 8 26

8.3.2. AFC U-17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U-16 Championship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5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6 카타르
파일:태국 국기.svg
1988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0 아랍에미리트
준우승 2위 10 5 3 1 1 10 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92 사우디아라비아
조별리그 7위 1 3 0 1 2 3 5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4 카타르
조별리그 7위 5 4 1 2 1 10 9
파일:태국 국기.svg
1996 태국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8 카타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0 베트남
AFC U-17 Championship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2 아랍에미리트
8강 7위 4 4 1 1 2 5 7
파일:일본 국기.svg
2004 일본
예선 탈락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06 싱가포르
AFC U-16 Championship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08 우즈베키스탄
4강 4위 6 4 2 0 2 7 13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0 우즈베키스탄
8강 6위 5 4 1 2 1 5 5
파일:이란 국기.svg
2012 이란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2014 태국
파일:인도 국기.svg
2016 인도
8강 6위 7 4 2 1 1 7 5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 말레이시아
기권
AFC U-17 아시안컵
파일:태국 국기.svg
2023 태국
예선 탈락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5 사우디아라비아
8강 8위 4 4 1 1 2 5 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6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8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9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8회 / 준우승 1회 42 32 11 9 12 52 55

9. 국가별 전적

9.1. 대한민국과 전적

한국 상대로는 상성이 영 좋지 않은 중동 국가로, 한국을 상대로 통산 전적 21전 3승 5무 13패로 절대 열세다. 최근 경기는 2022년 3월 29일 두바이에서 열린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 10차전 경기로 아랍에미리트가 1:0 승리를 거두며 2006년 이후 16년 만에 대한민국을 상대로 승리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국가별 상대전적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2025).svg 서아시아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West_Asian_Football_Federation_logo_(2023).png 서아시아 축구 연맹(WAFF)
<colcolor=#fff> 대표팀 국가 최다득점 최근 전적
<colcolor=#fff>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colcolor=#fff> + <colcolor=#fff> - <colcolor=#fff> ±
<rowcolor=#fff>
파일:레바논 대표팀 로고.png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박주영(3) 1:0 승 (2022)
16 12 3 1 28 5 +23
<rowcolor=#fff> 파일:바레인 축구 협회 엠블럼.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허정무, 최순호(4) 3:1 승 (2024)
17 12 4 1 40 12 +28
<rowcolor=#ff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황선홍, 조규성(2) 1:1 무 (2024)
19 5 9 5 20 16 +4
<rowcolor=#fff>
파일: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신정부군 엘블럼.png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박성화(2) 2:0 승 (2022)
10 6 3 1 12 5 +7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4~).pn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박주영 등 5명(3) 0:1 패 (2022)
21 13 5 3 36 14 +22
<rowcolor=#fff> 파일:예멘 대표팀 로고.png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박성화(4) 6:0 승 (1984)
1 1 0 0 6 0 +6
<rowcolor=#666>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24px-Coat_of_arms_of_South_Yemen_%281970-1990%29.svg.png 파일:남예멘 국기.svg 남예멘(해체) 최순호(2) 3:0 승 (1982)
1 1 0 0 3 0 +3
<rowcolor=#fff>
파일:ofa logo.png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안정환(2) 1:1 무 (2025)
7 5 1 1 12 6 +6
<rowcolor=#fff>
파일: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4~).png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박주영(2) 1:1 무 (2025)
9 4 4 1 10 7 +3
<rowcolor=#fff>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이재성(3) 2:0 승 (2025)
25 11 12 2 32 16 +16
<rowcolor=#fff>
파일:카타르 축구 협회 로고.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이근호(3) 2:1 승 (2020)
11 6 2 3 19 13 +6
<rowcolor=#fff> 파일:Kuwait_FA.pn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이동국(5) 4:0 승 (2025)
26 14 4 8 37 21 +16
<rowcolor=#fff> 파일: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손흥민(1) 1:1 무 (2024)
2 0 2 0 1 1 0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 EAFF | ASEAN | SAFF | WAFF | CAFA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CFA |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OFC |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UEFA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CONCACAF |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CONMEBOL
}}}}}}}}}}}}}}} ||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4~).pn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A매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nopad> 21 [🏟️]
<colbgcolor=#000><colcolor=#fff> 3 <nopad> 5 <colbgcolor=#000><colcolor=#fff> 13
14 득점 (-24) <nopa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우세
38 득점 (+24)
<rowcolor=#fff> 아드난 알 탈리아니, 주하이르 바키트(2) 최다득점자 최순호, 김도훈, 유상철, 이근호, 박주영(3)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32]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1)[33]
선수 기록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34]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3)[35]
<nopad> 최근경기: 아랍에미리트 승 (2022)

9.1.1. 대한민국과 역대 경기결과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nopad> 2022-03-29
<nopad> 1: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22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아시아 최종예선 A조 10차전
일시: 2022년 3월 29일 17:45[UTC+4] 장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주심: 파일:오만 국기.svg 아흐메드 알카프 경기장: 알막툼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030> - 1:0
(0:0)
<colbgcolor=#fff><colcolor=#030> -
하렙 압둘라 파일:득점 아이콘.svg 54’[M.아바스]
칼릴 알하마디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90+1’
정우영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3’
김민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90+2’
감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로돌포 아루아바레나 감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울루 벤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tvN]

A조 타팀 결과 파일:이란 국기.svg IRN 2:0 LBN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SYR 1:1 IRQ 파일:이라크 국기.svg
월드컵 최종예선 조별리그 10차전 종료 후 A조 최종순위[40]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이란 국기.svg IRN 파일:상승 아이콘.svg 1 25 10 8 1 1 15 4 +11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파일:하강 아이콘.svg 2 23 10 7 2 1 13 3 +10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 3 12 10 3 3 4 7 7 0
<rowcolor=#fff> 파일:이라크 국기.svg IRQ • 4 8 10 1 6 3 6 12 -6
<rowcolor=#fff>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SYR 파일:상승 아이콘.svg 5 6 10 1 3 6 9 16 -7
<rowcolor=#fff> 파일:레바논 국기.svg LBN 파일:하강 아이콘.svg 6 6 10 1 3 6 5 13 -8
파일: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로고.svg 2022 FIFA 월드컵 본선 진출확정(A조 2위)[41]
}}}}}}}}} ||
<nopad> 2021-11-1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nopad> 1: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22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아시아 최종예선 A조 5차전
일시: 2021년 11월 11일 20:00[UTC+9] 장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주심: 파일:중국 국기.svg 마닝 경기장: 고양종합운동장
<colbgcolor=#fff><colcolor=#030> 황희찬 파일:페널티골 아이콘.svg 36’[황인범P]
정우영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3’
조규성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4’
1:0
(1:0)
<colbgcolor=#fff><colcolor=#030> -
- 왈리드 아바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90+3’
감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울루 벤투 감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베르트 판마르베이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tvN]

A조 타팀 결과 파일:이라크 국기.svg IRQ 1:1 SYR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LBN 1:2 IRN 파일:이란 국기.svg
월드컵 최종예선 조별리그 5차전 종료 후 A조 순위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이란 국기.svg IRN • 1 13 5 4 1 0 8 2 +6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 2 11 5 3 2 0 5 2 +3
<rowcolor=#fff> 파일:레바논 국기.svg LBN • 3 5 5 1 2 2 4 5 -1
<rowcolor=#fff> 파일:이라크 국기.svg IRQ 파일:상승 아이콘.svg 4 4 5 0 4 1 3 6 -3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파일:하강 아이콘.svg 5 3 5 0 3 2 3 5 -2
<rowcolor=#fff>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SYR • 6 2 5 0 2 3 5 8 -3
}}}}}}}}} ||
<nopad> 2015-06-1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nopad> 3: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친선경기
일시: 2015년 6월 11일 20:00[UTC+8] 장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주심: 파일:베트남 국기.svg 보우 민 티[47] 경기장: 샤알람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666> 염기훈 파일:프리킥골 아이콘.svg 44’ 3:0
(1:0)
<colbgcolor=#fff><colcolor=#666> 아메르 압둘라흐만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29’
카미스 에스마일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1’
이용재 파일:득점 아이콘.svg 59’[김진수][De]
한국영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2’
이정협 파일:득점 아이콘.svg 90’[정동호]
왈리드 아바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8’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 울리 슈틸리케 감독: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마흐디 알리[5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G]
}}}}}}}}} ||
<nopad> 2011-11-11
<nopad> 0:2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4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시아 3차예선 B조 4차전
일시: 2011년 11월 11일 16:45[UTC+4] 장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주심: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라브샨 이르마토프 경기장: 알 라시드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006600> 왈리드 아바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6’ 0:2
(0:0)
<colbgcolor=#fff><colcolor=#006600> -
파레스 주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7’
마지드 나시르 하미드[GK]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90+4’
차두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1’
박주영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3’
이근호 파일:득점 아이콘.svg 88’[이용래]
박주영 파일:득점 아이콘.svg 90+3’[손흥민]
감독: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압둘라 메스페르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광래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SBS]

B조 타팀 결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KUW 0:1 LBN 파일:레바논 국기.svg
월드컵 3차예선 조별리그 4차전 종료 후 B조 순위[59]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 1 10 4 3 1 0 11 2 +9
<rowcolor=#fff> 파일:레바논 국기.svg LBN 파일:상승 아이콘.svg 2 7 4 2 1 1 6 9 -3
<rowcolor=#fff>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KUW 파일:상승 아이콘.svg 3 5 4 1 2 1 6 6 0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 4 0 4 0 0 4 4 10 -6
}}}}}}}}} ||
<nopad> 2011-10-1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nopad> 2:1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4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시아 3차예선 B조 3차전
일시: 2011년 10월 11일 20:00[UTC+9] 장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주심: 파일:중국 국기.svg 탄하이 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
<colbgcolor=#fff><colcolor=#006600> 홍정호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2’
구자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5’
2:1
(0:0)
<colbgcolor=#fff><colcolor=#006600> 함단 알 카말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5’
박주영 파일:득점 아이콘.svg 51’[서정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5’
함단 알 카말리 파일:자책골 아이콘.svg 63’[62]
이스마일 마타르 파일:득점 아이콘.svg 90+1’[A.알-주나이비]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광래 감독: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압둘라 메스페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KBS]

B조 타팀 결과 파일:레바논 국기.svg LBN 2:2 KUW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월드컵 3차예선 조별리그 3차전 종료 후 B조 순위[66]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 1 7 3 2 1 0 9 2 +7
<rowcolor=#fff>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KUW • 2 5 3 1 2 0 6 5 +1
<rowcolor=#fff> 파일:레바논 국기.svg LBN • 3 4 3 1 1 1 5 9 -4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 4 0 3 0 0 3 4 8 -4
}}}}}}}}} ||
<nopad> 2009-06-06
<nopad> 0:2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0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0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B조 8차전[2010Q4]
일시: 2009년 6월 6일 20:15[UTC+4] 장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주심: 파일:카타르 국기.svg 압둘라 발리데흐 경기장: 알 막툼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030> 마제드 나세르[GK]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9’ 0:2
(0:2)
<colbgcolor=#fff><colcolor=#030> 박주영 파일:득점 아이콘.svg 9’[박지성]
기성용 파일:득점 아이콘.svg 39’[71]
이영표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4’
살렘 마수드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6’
헬랄 사에드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85’
김정우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6’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49’
오범석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0’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도미니크 바트네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정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KBS]

B조 타팀 결과 파일:북한 국기.svg PRK 0:0 IRN 파일:이란 국기.svg
월드컵 최종예선 조별리그 8차전 종료 후 B조 순위[74]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 1 14 6 4 2 0 11 3 +8
<rowcolor=#fff> 파일:북한 국기.svg PRK • 2 11 7 3 2 2 7 5 +2
<rowcolor=#ff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KSA • 3 10 6 3 1 2 8 8 0
<rowcolor=#fff> 파일:이란 국기.svg IRN • 4 7 6 1 4 1 6 6 0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 5 1 7 0 1 6 6 16 -10
}}}}}}}}} ||
<nopad> 2008-10-15
<nopad> 4:1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0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0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B조 3차전[2010Q4]
일시: 2008년 10월 15일 20:00[UTC+9] 장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주심: 파일:호주 국기.svg 매튜 브리즈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colbgcolor=#fff><colcolor=#030> 이근호 파일:득점 아이콘.svg 20’[이청용]
박지성 파일:득점 아이콘.svg 25’
4:1
(2:0)
<colbgcolor=#fff><colcolor=#030> 파예즈 주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11’
김정우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7’
이근호 파일:득점 아이콘.svg 80’[박지성][2G]
곽태휘 파일:득점 아이콘.svg 88’[김형범]
바쉬르 사에드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2’
이스마일 알 하마디 파일:득점 아이콘.svg 71’[81]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정무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도미니크 바트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MBC]

B조 타팀 결과 파일:이란 국기.svg IRN 2:1 PRK 파일:북한 국기.svg
월드컵 최종예선 조별리그 3차전 종료 후 B조 순위[84]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파일:상승 아이콘.svg 1 4 2 1 1 0 5 2 +3
<rowcolor=#fff> 파일:이란 국기.svg IRN 파일:상승 아이콘.svg 2 4 2 1 1 0 3 2 +1
<rowcolor=#ff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KSA 파일:하강 아이콘.svg = 4 2 1 1 0 3 2 +1
<rowcolor=#fff> 파일:북한 국기.svg PRK 파일:하강 아이콘.svg 4 4 3 1 1 1 4 4 0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 5 0 3 0 0 3 3 8 -5
}}}}}}}}}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nopad> 2006-01-18
<nopad> 1: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친선경기
일시: 2006년 1월 18일 17:30[UTC+4] 장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주심: 파일:이집트 국기.svg 아흐메드 카멜 힐리드 경기장: 알 샤밥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666> 파이살 칼릴 파일:득점 아이콘.svg 22’[M.오마르] 1:0
(1:0)
<colbgcolor=#fff><colcolor=#666> -
모하마드 카미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2’
하이더르 알로 알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7’
김두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5’
정경호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1’
최진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7’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도미니크 바트네 감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딕 아드보카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KBS]
}}}}}}}}} ||
<nopad> 2004-07-23
<nopad> 2: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4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2004 AFC Asian Cup Official Logo.png 2004 AFC 아시안컵 중국 16강 조별리그 B조 2차전
일시: 2004년 7월 23일 21:00[UTC+8] 장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난시
주심: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라브샨 이르마토프 경기장: 산둥 스포츠 센터
<colbgcolor=#fff><colcolor=#000066> 박재홍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16’
이동국 파일:득점 아이콘.svg 40’[이영표]
2:0
(1:0)
<colbgcolor=#fff><colcolor=#000066> 수바트 알-주나이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12’
박재홍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55’[91]
이운재[GK]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5’[항의+]

안정환 파일:득점 아이콘.svg 90+1’[설기현]
이스마엘 마타르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8’
감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조 본프레레 감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아트 더 모스[9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MBC]

B조 타팀 결과 파일:요르단 국기.svg JOR 2:0 KUW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B조 순위[98]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파일:상승 아이콘.svg 1 4 2 1 1 0 2 0 +2
<rowcolor=#fff> 파일:요르단 국기.svg JOR 파일:상승 아이콘.svg 1 4 2 1 1 0 2 0 +2
<rowcolor=#fff>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KUW 파일:하강 아이콘.svg 3 3 2 1 0 1 3 3 0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 4 0 2 0 0 2 1 5 -4
}}}}}}}}} ||
<nopad> 2001-02-11
<nopad> 1:4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1 에미레이츠컵 대회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1 에미레이츠컵 두바이 친선대회 2차전
일시: 2001년 2월 11일 18:30[UTC+4] 장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주심: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압둘라 이브라힘 경기장: 알 니자르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666> 압둘라흐만 주마 파일:득점 아이콘.svg 24’[M.이브람]
하이더르 알로 알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27’
1:4
(1:1)
<colbgcolor=#fff><colcolor=#666> 심재원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15’
송종국 파일:득점 아이콘.svg 45’[De]
자엘 압둘라흐만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3’ 유상철 파일:득점 아이콘.svg 65’[김도훈]
설기현 파일:득점 아이콘.svg 72’[김도훈]
고종수 파일:득점 아이콘.svg 89’[김도훈]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앙리 미셸 감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거스 히딩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KBS]

타팀 경기 결과 파일:모로코 국기.svg MAR 4:2 DEN 파일:덴마크 국기.svg
2차전 종료 후 대회 전체 순위[107]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파일:상승 아이콘.svg 1 4 2 1 1 0 5 2 +3
<rowcolor=#fff> 파일:모로코 국기.svg MAR 파일:상승 아이콘.svg 2 4 2 1 1 0 5 3 +2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파일:하강 아이콘.svg 3 3 2 1 0 1 2 4 -2
<rowcolor=#fff> 파일:덴마크 국기.svg DEN • 4 0 2 0 0 2 2 5 -3
}}}}}}}}} ||
<nopad> 2000-10-04
<nopad> 1:1
[A.E.T.]
3 [PSO] 2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0 LG컵 대회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0 LG컵 아랍에미리트 친선대회 1차전
일시: 2000년 10월 4일 17:20[UTC+4] 장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주심: 파일:오만 국기.svg 오마르 아부 룸 경기장: 알 막툼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666> 야세르 살렘 파일:득점 아이콘.svg 34’
하이더르 알로 알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4’
1:1
3 PK 2
(1:1)
(1:0)
<colbgcolor=#fff><colcolor=#666> -
- 이임생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79’
이영표 파일:득점 아이콘.svg 89’
- -
선축 / 파일:골키퍼 아이콘.svg 무타즈 압둘라
주마 사이드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None]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
수바잇 카테르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None]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
잘릴 압둘 레흐만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후축 / 파일:골키퍼 아이콘.svg 이운재
설기현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
이동국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이영표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
박진섭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윤정환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앙리 미셸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정무

타팀 결과 파일:호주 국기.svg AUS 1:0 KUW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차전 종료 후 대회 전체 순위[113]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호주 국기.svg AUS 1 3 1 1 0 0 1 0 +1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2 2 1 0 1 0 1 1 0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3 1 1 0 1 0 1 1 0
<rowcolor=#fff>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KUW 4 0 1 0 0 1 0 1 -1
}}}}}}}}} ||
<nopad> 1998-12-09
<nopad> 2:1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8 아시안게임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16강 2차 조별리그 2조 2차전
일시: 1998년 12월 9일 15:00[UTC+7] 장소: [[태국|{{{#fff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방콕
주심: 파일:중국 국기.svg 루쥔 경기장: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36c> 윤정환 파일:득점 아이콘.svg 37’[박진섭] 2:1
(1:0)
<colbgcolor=#fff><colcolor=#36c> 압델 마타르 알 물라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5’
유상철 파일:페널티골 아이콘.svg 55’[박진섭P] 모하메드 이브라힘 알 볼로시 파일:득점 아이콘.svg 61’[H.사에드]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정무 감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카를로스 케이로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KBS]

2조 타팀 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JPN 2:1 KUW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차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A조 순위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파일:상승 아이콘.svg 1 6 2 2 0 0 4 1 +3
<rowcolor=#fff>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KUW 파일:하강 아이콘.svg 2 3 2 1 0 1 6 2 +4
<rowcolor=#fff> 파일:일본 국기.svg JPN • 3 3 2 1 0 1 2 3 -1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 4 0 2 0 0 2 1 7 -6
}}}}}}}}} ||
<nopad> 1997-11-09
<nopad> 1:3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8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아시아 최종예선 B조 10차전[1998Q2]
일시: 1997년 11월 9일 16:55[UTC+4] 장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주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체카리니 경기장: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030> - 1:3
(0:2)
<colbgcolor=#fff><colcolor=#030> 이상윤 파일:득점 아이콘.svg 9’
김도훈 파일:득점 아이콘.svg 42’
주하이르 바키트 빌랄 파일:득점 아이콘.svg 52’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2’
문테르 알리 압둘라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3’
이상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2’
김도훈 파일:득점 아이콘.svg 67’[2G]
감독: 파일:브라질 국기.svg 로리 산드리 감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차범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G]

B조 타팀 결과 파일:일본 국기.svg JPN 5:1 KAZ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월드컵 최종예선 조별리그 10차전 종료 후 B조 최종 순위[124]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 1 19 8 6 1 1 19 7 +12
<rowcolor=#fff> 파일:일본 국기.svg JPN • 2 13 8 3 4 1 17 9 +8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 3 9 8 2 3 3 9 12 -4
<rowcolor=#fff>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UZB • 4 6 8 1 3 4 13 18 -5
<rowcolor=#fff>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KAZ • 4 6 8 1 3 4 7 19 -12
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 1998 FIFA 월드컵 본선 진출확정(B조 1위)[125]
}}}}}}}}} ||
<nopad> 1997-10-04
<nopad> 3: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8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아시아 최종예선 B조 5차전[1998Q2]
일시: 1997년 10월 4일 19:00[UTC+9] 장소: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주심: 파일:니제르 국기.svg 루시앵 부샤르도 경기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
<colbgcolor=#fff><colcolor=#030> 하석주 파일:득점 아이콘.svg 7’[이상윤] 3:0
(1:0)
<colbgcolor=#fff><colcolor=#030> -
유상철 파일:페널티골 아이콘.svg 67’[최용수P]
이상윤 파일:득점 아이콘.svg 80’[서정원]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차범근 감독:파일:브라질 국기.svg 로리 산드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MBC]

B조 타팀 결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KAZ 1:1 JPN 파일:일본 국기.svg
월드컵 최종예선 조별리그 5차전 종료 후 B조 순위[133]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 1 12 4 4 0 0 10 2 +8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 2 7 4 2 1 1 7 5 +2
<rowcolor=#fff> 파일:일본 국기.svg JPN • 3 5 4 1 2 1 8 6 +2
<rowcolor=#fff>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KAZ 파일:상승 아이콘.svg 4 2 4 0 2 2 2 9 -7
<rowcolor=#fff>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UZB 파일:하강 아이콘.svg 5 1 4 0 1 3 7 12 -5
}}}}}}}}} ||
<nopad> 1996-12-04
<nopad> 1:1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6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37px-Asian_Cup_1996.svg.png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12강 조별리그 A조 1차전
일시: 1996년 12월 4일 16:45[UTC+4] 장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아부다비
주심: 파일:태국 국기.svg 피롬 운-프라세르트 경기장: 셰이크 자예드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000066> 압둘라흐만 알 하다드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None]
아델 모하메드 아흐메드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13’
카미스 사드 파일:득점 아이콘.svg 40’[136]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5’
1:1
(1:1)
<colbgcolor=#fff><colcolor=#000066> 황선홍 파일:득점 아이콘.svg 9’[고정운]
- 김주성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5’
감독: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토미슬라브 이비치[138]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박종환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Xports]

A조 타팀 결과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IDN 2:2 KUW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조별리그 1차전 종료 후 A조 순위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IDN 1 1 1 0 1 0 2 2 0
<rowcolor=#fff>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KUW = 1 1 0 1 0 2 2 0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3 1 1 0 1 0 1 1 0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 1 1 0 1 0 1 1 0
}}}}}}}}} ||
<nopad> 1996-03-19
<nopad> 3:2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6 UAE 친선대회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96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컵 4개국 친선대회 1차전
일시: 1996년 3월 19일 19:30[UTC+4] 장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주심: 파일:우간다 국기.svg 찰스 마젬베 경기장: 알 막툼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666> 유세프 후세인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20’ 3:2
(0:1)
<colbgcolor=#fff><colcolor=#666> 김도훈 파일:득점 아이콘.svg 23’
압둘라흐만 알 하다드 파일:득점 아이콘.svg 48’
주하이르 바키트 빌랄 파일:득점 아이콘.svg 51’
아드난 알 탈리아니 파일:득점 아이콘.svg 56’
황선홍 파일:득점 아이콘.svg 63’
감독: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토미슬라브 이비치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박종환

타팀 경기 결과 파일:모로코 국기.svg MAR 2:0 EGY 파일:이집트 국기.svg
1차전 종료 후 대회 전체 순위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모로코 국기.svg MAR 1 3 1 1 0 0 2 0 +2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2 3 1 1 0 0 3 2 +1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3 0 1 0 0 1 2 3 -1
<rowcolor=#fff> 파일:이집트 국기.svg EGY 4 0 1 0 0 1 0 2 -2
}}}}}}}}} ||
<nopad> 1994-09-19
<nopad> 0: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친선경기
일시: 1994년 9월 19일 15:00[UTC+9] 장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주심: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김영주 경기장: 동대문운동장
<colbgcolor=#fff><colcolor=#666> 고정운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None] 0:0 <colbgcolor=#fff><colcolor=#666> 아드난 알 탈리아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None]
압둘라지즈 모하메드 카도르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None]
압둘칼레드 파드헬 마르조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None]
- -
감독: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나톨리 비쇼베츠 감독: 파일:폴란드 국기.svg 안토니 피에히니체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SBS]
}}}}}}}}} ||
<nopad> 1992-10-2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nopad> 0: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친선경기
일시: 1992년 10월 21일 15:00[UTC+9] 장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경기도 안양시
주심: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김진옥 경기장: 안양종합운동장
<colbgcolor=#fff><colcolor=#666> - 0:0 <colbgcolor=#fff><colcolor=#666> -
-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김 호 감독: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발레리 로바노우스키
}}}}}}}}} ||
<nopad> 1989-10-28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nopad> 1:1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0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90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5차전
일시: 1989년 10월 28일 17:00[UTC+8] 장소: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주심: 파일:프랑스 국기.svg 조엘 퀴니우 경기장: 주롱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030> 황보관 파일:득점 아이콘.svg 8’ 1:1
(1:1)
<colbgcolor=#fff><colcolor=#030> 아드난 알 탈리아니 파일:득점 아이콘.svg 16’
- 모하메드 오베이드 알 자히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0’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이회택 감독: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리우 자갈루
파일:유튜브 아이콘.svg[G]

타팀 경기 결과 파일:카타르 국기.svg QAT 2:1 CHN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KSA 2:0 PRK 파일:북한 국기.svg
월드컵 최종예선 5차전 종료 후 최종 순위[152]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 1 8 5 3 2 0 5 1 +4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 2 6 5 1 4 0 4 3 +1
<rowcolor=#fff> 파일:카타르 국기.svg QAT 파일:상승 아이콘.svg 3 5 5 1 3 1 4 5 -1
<rowcolor=#fff> 파일:중국 국기.svg CHN 파일:하강 아이콘.svg 4 4 5 2 0 3 5 6 -1
<rowcolor=#ff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KSA 파일:상승 아이콘.svg 5 4 5 1 2 2 4 5 -1
<rowcolor=#fff> 파일:북한 국기.svg PRK 파일:하강 아이콘.svg 6 3 5 1 1 3 2 4 -2
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 1990 FIFA 월드컵 본선 진출확정(아시아 최종예선 1위)[153]
}}}}}}}}} ||
<nopad> 1988-12-03
<nopad> 1: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8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AFC 아시안 네이션스컵 카타르 10강 조별리그 1조 1차전[1988AC]
일시: 1988년 12월 3일 15:00[UTC+3] 장소: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도하
주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지 코트니 경기장: 알 아흘리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000066> 이태호 파일:페널티골 아이콘.svg 8’[정해원P] 1:0
(1:0)
<colbgcolor=#fff><colcolor=#000066> -
조병득[GK]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조민국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노수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강태식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이회택 감독: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리우 자갈루
파일:유튜브 아이콘.svg[G]

1조 타팀 결과 파일:이란 국기.svg IRN 2:0 QAT 파일:카타르 국기.svg
조별리그 1차전 종료 후 1조 순위[159]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이란 국기.svg IRN 1 2 1 1 0 0 2 0 +2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2 2 1 1 0 0 1 0 +1
<rowcolor=#fff> 파일:일본 국기.svg JPN 3 0 0 0 0 0 0 0 0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4 0 1 0 0 1 0 1 -1
<rowcolor=#fff> 파일:카타르 국기.svg QAT 5 0 1 0 0 1 0 2 -2
}}}}}}}}} ||
<nopad> 1980-09-24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nopad> 4:1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0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80 AFC 아시안 네이션스컵 쿠웨이트 10강 조별리그 B조 5차전[1980AC]
일시: 1980년 9월 24일 18:30[UTC+3] 장소: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티
주심: 파일:인도 국기.svg 멜빈 빅토르 드수자 경기장: 사바 알 사렘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000066> 최순호 파일:득점 아이콘.svg 26’ 4:1
(1:0)
<colbgcolor=#fff><colcolor=#000066> -
최순호 파일:득점 아이콘.svg 53’ 파일:페널티골 아이콘.svg 78’[3G]
정해원 파일:득점 아이콘.svg 84’
아메드 촘비 파일:득점 아이콘.svg 79’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김정남 감독: 파일:이란 국기.svg 헤슈마트 모하제라니[163]

B조 타팀 결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KUW 4:0 QAT 파일:카타르 국기.svg
조별리그 5차전 종료 후 B조 최종순위[164]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 1 7 4 3 1 0 10 2 +8
<rowcolor=#fff>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KUW 파일:상승 아이콘.svg 2 5 4 2 1 1 8 5 +3
<rowcolor=#fff>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MAS 파일:하강 아이콘.svg 3 4 4 1 2 1 5 5 0
<rowcolor=#fff> 파일:카타르 국기.svg QAT • 4 3 4 1 1 2 3 8 -5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 5 1 4 0 1 3 3 9 -6
}}}}}}}}} ||

[1] 아랍어: muntakhab al'iimarat alearabiat almutahidat likurat alqadam[2] 24강 조별리그[3] 8강 조별리그[4] 아시아 예선 1위는 대한민국이었으며, 90월드컵과 94월드컵 아시아 예선은 전 지역 합동 리그 예선으로 1위 팀과 2위 팀만이 당시 24강 본선 월드컵에 진출하였다.[5] 사실 아디다스는 국제적으로 약팀이면 유니폼을 대충 만들기로 유명하다. 실제로 UAE 축구대표팀의 유니폼이 기본으로 배급받는 디자인에 협회로고만 갖다박은 수준으로 2014년 부터 2017년까지 그냥 이러한 똑같은 유니폼만 입었다. 이 때문에 유럽의 아르메니아 대표팀산마리노, 페로 제도 등 약소국 국가대표팀들이 2018년 시즌부터 아디다스에서 이탈리아 브랜드인 마크론으로 갈아탄 원인이 되었다.[6]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과 비슷한 수준.[7] 일례로 최근 UAE와 카타르 간의 월드컵 예선 경기에는 쿠아메 콰디오라는 코트디부아르 출신의 귀화 선수가 출전하였다. 이외에도 브라질 출신의 루앙지뉴, 아르헨티나 출신의 마티아스 팔라시오스 등이 국적을 부여받았고, 최종예선 기간 동안 합류조건이 맞춰지는 선수들이 생겨날 예정이다.[8] 선수들을 키우는 방법에는 쿼터제의 활용이 있다. UAE 리그에는 U-22 쿼터가 있는데 이 쿼터제로 인하여 어린 외국인 선수들도 자국 선수로 인정받고 많은 경기를 뛰게 하여 성장하도록 유도한다.[9] 사실 자국 혈통을 지니거나 오일머니로 데려온 자국 리그의 외국 선수들을 귀화시키는 전략은 중동 국가에서 비일비재한 일이다. 카타르의 세바스티안 소리아가 그 예시이다. 다만 UAE의 경우 영입한 선수들의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이들이 대표팀의 장기적인 전력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10] 아시아 플레이오프를 기준으로 하면 2002년 한일 월드컵 예선 이후 20년만에 플레이오프 무대를 밟는 셈이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2] 24강 조별리그[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5] 8강 조별리그[16] 10강 조별리그[17] 10강 조별리그[18] 이 대회는 8강전이 없이 10강 조별리그 다음 4강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19] 10강 조별리그[20] 이 대회는 8강전이 없이 10강 조별리그 다음 4강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21]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12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3] 16강 조별리그[24] 16강 조별리그[25] 16강 조별리그[26]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3위[27] 이 대회부터 3-4위전이 폐지되어서 최종결과는 4강전이다.[28] 16강 조별리그[29] 2021년 대회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30] 최고순위 7위(2003 아랍에미리트)[🏟️] 중립 경기: 6
UAE 홈 경기: 9
KOR 홈 경기: 6
[32]
2골, 아드난 알 탈리아니, 주하이르 바키트
1골, 아메드 촘비, 압둘라흐만 알 하다드, 카미스 사드, 알 볼로시, 야세르 살렘, 압들라흐만 주마, 파이살 칼릴, 이스마일 알 하마디, 이스마일 마타르, 하렙 압둘라
[33]
1호, 헬랄 사에드(2009)
[34]
3골, 최순호, 김도훈, 유상철, 이근호, 박주영
2골, 황선홍, 이상윤
1골, 정해원, 이태호, 황보관, 하석주, 윤정환, 이영표, 송종국, 설기현, 고종수, 이동국, 안정환, 박지성, 곽태휘, 기성용, 염기훈, 이용재, 이정협, 황희찬
자책골, 1골
[35]
1호, 이임생(2000)
2호, 박재홍(2004)
3호, 김정우(2009)
[UTC+4] [M.아바스] 모하메드 아바스 도움[H] [tvN] [40] 이란은 이미 7차전 결과로 남은 3경기 상관없이 조 2위를 확보하며 월드컵 본선 직행에 성공했다. 한국은 최소 조 3위 와일드카드를 확보했다. 8차전 후 한국 역시 최소 조 2위를 확보하며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했다. 반면 시리아는 남은 결과 상관없이 탈락이 확정되었다. 최종전에 따라 치열한 3위 와일드카드 경쟁에서 아랍에미리트가 한국에게 승리해 자리를 사수해내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41] 8차전 종료 후 확정(2022.02.01.)[UTC+9] [황인범P] 황인범 도움, 페널티킥 유도[H] [tvN] [UTC+8] [47] Võ Minh Trí[김진수] 김진수 도움[De] [정동호] 정동호 도움[51] Mahdi Ali[G] [UTC+4] [GK] [이용래] 이용래 도움[손흥민] 손흥민 도움[H*] 풋볼매거진 골! 방송 일부[SBS] [59] 조 1, 2위까지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4차전 종료 후 아랍에미리트의 탈락이 확정되었다.[UTC+9] [서정진] 서정진 도움[62] 기성용의 코너킥을 헤더로 자기 골문에 넣어버렸다.[A.알-주나이비] 아흐마드 알 주나이비 도움[H] [KBS] [66] 조 1, 2위까지 최종예선에 진출한다.[2010Q4] 2010 월드컵 아시아 최종(4차)예선은 각 5팀씩 조를 편성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은 1차전과 6차전 경기를 쉰다.[UTC+4] [GK] [박지성] 박지성 도움[71] 마제드 나세르 골키퍼의 실책[F] [KBS] [74] 월드컵 아시아 예선 사상 최악의 지옥의 조로 회자된다. 조 1, 2위는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조 3위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7차전 결과 아랍에미리트는 탈락이 확정되었다. 8차전 종료 후 한국이 플레이오프 진출권이 주어지는 최소 조 3위를 확보했다.[2010Q4] 2010 월드컵 아시아 최종(4차)예선은 각 5팀씩 조를 편성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은 1차전과 6차전 경기를 쉰다.[UTC+9] [이청용] 이청용 도움[박지성] 박지성 도움[2G] [김형범] 김형범 도움[81] 조용형의 실책, 최후방에서 백패스를 받은 뒤 알 하마디에게 볼을 빼앗겼다.[F] [MBC] [84] 월드컵 아시아 예선 사상 최악의 지옥의 조로 회자된다. 조 1, 2위는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조 3위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UTC+4] [M.오마르] 모하메드 오마르 도움[F] [KBS] [UTC+8] [이영표] 이영표 도움[91] 수바이트 카테르에 대한 경고성 파울, 이미 경고가 있어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다.[GK] [항의+] 박재홍의 태클에 항의하다가 경고를 받았다.[설기현] 설기현 도움[95] Aad de Mos[F] [MBC] [98] 아랍에미리트는 남은 3차전 결과와 상관없이 탈락이 확정되었다.[UTC+4] [M.이브람] 모하메드 이브람 도움[De] [김도훈] 김도훈 도움[김도훈] 김도훈 도움[김도훈] 김도훈 도움[F] [KBS] [107] 모로코와 덴마크는 정규 대표팀이 아닌 리그 선발팀이 출전하였다.[A.E.T.] [PSO] [UTC+4] [None] [None] [113] 본 대회는 UAE, 호주가 각각 나머지 2팀인 쿠웨이트와 한국을 상대하는 경기만 치러진다. 따라서 총 4팀이지만 각각 2경기만을 치르고 순위를 정하여 우승팀을 가린다. 무승부가 벌어지는 경우 연장전 및 승부차기까지 진행하며 승부차기의 경우 승리한 팀이 1점을 더 얻어간다.[UTC+7] [박진섭] 박진섭 도움[박진섭P] 박진섭이 얻어낸 페널티킥[H.사에드] 하산 사에드 도움[F] [KBS] [1998Q2] 최종예선은 10개팀이 2개조 각 5개팀으로 배정되었고, 홀수로 구성된 관계로 한국팀은 3차전, 8차전에 경기를 쉬었다.[UTC+4] [2G] [G] [124] 조 1위는 월드컵 본선 직행, 조 2위는 아시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대한민국은 7차전 결과에 따라 최소 조 2위 자리를 확보하여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따냈다. 8차전 한국이 쉬는 동안 경쟁팀 들이 무승부와 패배를 기록하고 오히려 최하위 우즈베키스탄만 승리하는 결과가 나옴으로써 한국의 조 1위마저 확정되며 월드컵 본선에 직행으로 가게 되었다. 9차전 결과에 따라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탈락이 확정되었다. 최종전 결과 일본이 아랍에미리트를 따돌리고 남은 아시아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따냈다.[125] 8차전 종료 후 확정(1997.10.25.)[1998Q2] 최종예선은 10개팀이 2개조 각 5개팀으로 배정되었고, 홀수로 구성된 관계로 한국팀은 3차전, 8차전에 경기를 쉬었다.[UTC+9] [이상윤] 이상윤 도움[최용수P] 최용수가 얻어낸 페널티킥[서정원] 서정원 도움[F] [MBC] [133] 조 1위는 월드컵 본선 직행, 조 2위는 아시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UTC+4] [None] [136] 이영진의 실책, 모하메드 알리의 크로스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카미스에게 공이 흘렀다.[고정운] 고정운 도움[138] Tomislav IVIC[F] [Xports] 엑스포츠[UTC+4] [UTC+9] [None] [None] [None] [None] [F] [SBS] [UTC+9] [UTC+8] [G] [152] 조 1, 2위까지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었다. 4차전 경기에서 한국이 사우디에 승리함에 따라 한국은 최종전 결과에 상관없이 월드컵 본선 진출을 조기 확정했다. 반면 사우디아라비아는 탈락이 확정되었다. 최종전에서 승리가 필요했던 중국과 북한이 패했고 카타르가 승리했지만 한국과 비긴 아랍에미리트가 순위를 지켜내며 사상 첫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153] 4차전 종료 후 확정(1989.10.25.)[1988AC] 총 10팀이 5팀씩 2조로 나뉘어 홀수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팀당 1차례식 경기를 쉬어야 했다. 한국은 2차전을 쉬었다.[UTC+3] [정해원P] 정해원이 얻어낸 페널티킥[GK] [G] [159] 이 당시 승점은 2점이었다.[1980AC] 총 10팀이 5팀씩 2조로 나뉘어 홀수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팀당 1차례식 경기를 쉬어야 했다. 한국은 2차전을 쉬었다.[UTC+3] [3G] [163] Heshmat Mohajerani[164] 이 당시 승점은 2점이었다. 아랍에미리트는 이미 3차전 후 탈락이 확정되었다. 한국은 이미 4차전 후 다음 라운드 진출을 확정했다. 남은 한자리는 개최국 쿠웨이트가 최종전에서 카타르에 대승하며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