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0:56:59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63ff><tablebgcolor=#0063ff> 파일: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로고.svg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일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ext-align:left"
<colbgcolor=#0063ff><colcolor=#fff>
1세대
<colbgcolor=#0063ff><colcolor=#fff> '''
2D
'''
가정용: 소닉 더 헤지혹(1991) · 소닉 더 헤지혹 2 · 소닉 더 헤지혹 CD · 소닉 더 헤지혹 3 · 소닉 & 너클즈 · 카오틱스 · 소닉 3D 블래스트
휴대용: 소닉 더 헤지혹(8비트) · 소닉 더 헤지혹 2(8비트) · 소닉 & 테일즈 · 소닉 & 테일즈 2 · 테일즈의 스카이패트롤 · 테일즈 어드벤처 · 소닉 래버린스 · G 소닉
리메이크 및 이식: 소닉 컴필레이션 · 소닉 & 너클즈 컬렉션 · 소닉 잼 · 소닉 메가 컬렉션/플러스 · 소닉 젬즈 컬렉션 · 소닉 더 헤지혹 제네시스 · 소닉 클래식 컬렉션 · 소닉 오리진스 (DLC)
2세대
3D
가정용: 소닉 어드벤처 · 소닉 어드벤처 2 · 소닉 히어로즈 · 섀도우 더 헤지혹 · 소닉 더 헤지혹(2006) · 소닉 언리쉬드 · 소닉 컬러즈 · 소닉 제너레이션즈 · 소닉 로스트 월드 (3DS) · 소닉 포시즈
리메이크 및 이식: 소닉 어드벤처 DX · 소닉 어드벤처 2 배틀 · 소닉 PC 컬렉션 · 소닉 컬러즈 얼티밋 ·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
2D
가정용: 소닉 더 헤지혹 4 · 소닉 매니아 (DLC)
휴대용: 소닉 더 헤지혹 포켓 어드벤처 · 소닉 어드밴스 · 소닉 어드밴스 2 · 소닉 배틀 · 소닉 어드밴스 3 · 소닉 러시 · 소닉 라이벌즈 · 소닉 러시 어드벤처 · 소닉 라이벌즈 2 · 소닉 크로니클 · 소닉 컬러즈(닌텐도 DS) · 소닉 제너레이션즈: 파란 모험
3세대
3D
소닉 프론티어
2D
소닉 슈퍼스타즈
외전레이싱: 소닉 드리프트 · 소닉 드리프트 2 · 소닉 R · 소닉 라이더즈 · 소닉 라이더즈 슈팅 스타 스토리 · 소닉 프리 라이더즈 · 소닉 & 세가 올스타 레이싱 · 소닉 & 올스타 레이싱 트랜스폼드 · 팀 소닉 레이싱
스토리북: 소닉과 비밀의 링 · 소닉과 암흑의 기사
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베이징 올림픽 · 밴쿠버 동계 올림픽 · 런던 올림픽 · 소치 동계 올림픽 · 리우 올림픽 · 2020 도쿄 올림픽
콜라보레이션 등장: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 Super Smash Bros. for Nintendo 3DS / Wii U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 체인 크로니클 · D×2 진 여신전생 리버레이션 · 몬스터 슈퍼리그 · 쿠키런: 킹덤 · 뿌요뿌요 테트리스 2 · Sonic Speed Simulator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 카트라이더 러쉬 플러스
소닉 붐 시리즈: 소닉 붐 라이즈 오브 리릭 · 섀터드 크리스털 · 파이어 & 아이스
기타: 소닉 패트롤 카 · 세가소닉 · 민 빈 머신 · 소닉 스핀볼 · 소닉 더 파이터즈 · 소닉 셔플 · 소닉 핀볼 파티 · 소닉 더 헤지혹 살인 사건
모바일
플레이 가능: 소닉 점프 · 소닉 대시 · 소닉 대시 2 · 소닉 러너즈 어드벤처 · 소닉 포시즈: 스피드 배틀 · 소닉 드림 팀 · 소닉 럼블
서비스 종료: 소닉 러너즈
미분류
개발 중단: 소닉 엑스트림 · 소닉 시너지: Remastered for PC
미디어
믹스
TV & OTT 애니메이션: 바람돌이 소닉 · 고슴도치 소닉 · 언더그라운드 · 소닉 X (1기 · 2기) · 소닉툰 · 소닉 프라임
수퍼 소닉 시리즈: 수퍼 소닉 · 수퍼 소닉 2 · 수퍼 소닉 3 · 너클즈(드라마)
기타 영상물: 소닉 더 헤지혹 OVA · 나이트 오브 더 웨어혹 · 주먹왕 랄프 · Hi☆sCoool! 세하걸 · 소닉 매니아 어드벤처즈 · 팀 소닉 레이싱 오버드라이브 · OK K.O.! Let's Be Heroes · 소닉 컬러즈: 라이즈 오브 더 위스프 · 테일즈튜브 · 소닉 프론티어 프롤로그: 분기 · 소닉 슈퍼스타즈: 트리오 오브 트러블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 Dark Beginnings
코믹스: 소닉 더 코믹 · 아치판 소닉 코믹스 시리즈 · 소닉 더 헤지혹(IDW)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Sonic-generations-logo.png 파일:SonicXShadowGenerations-Logo.png
소닉 제너레이션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00> 주요 문서 화이트 스페이스 (파이널 게이트) · 스테이지 / 챌린지 ·평가 (PS3 ·XB360 / SxSG)
기타 문서 파란 모험 ·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미디어믹스 Dark Beginnings }}}}}}}}}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
ソニック × シャドウ ジェネレーションズ
SONIC X SHADOW GENERATIONS
파일:소섀젠/키아트.jpg
{{{#!wiki style="margin: 0px -11px"
<colbgcolor=#fff,#010101><colcolor=#000,#dddddd> 개발 소닉 팀
유통 SEGA
프로듀서 이이즈카 타카시, 나카무라 슌
디렉터 시기하라 카츠유키[1]
플랫폼 PS5 | PS4[2] | NS
XBX|S | XB1 | Windows
ESD 콘솔: PSN | MS Store | 닌텐도 e숍
PC: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장르 액션
플레이 인원수 1명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 2024년 10월 25일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게임 엔진 헤지혹 엔진(소닉 제너레이션즈)
헤지혹 엔진 2(섀도우 제너레이션즈)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 전체 이용가[3]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공식 페이지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세계 지도.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 파일:Microsoft Store 라이트 테마 아이콘.svg파일:Microsoft Store 다크 테마 아이콘.svg | 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예정) |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양3. 트레일러4. 시놉시스5. 원작과의 차이점6.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6.1. 스토리6.2. 스테이지 일람6.3. 등장인물
7. 조작
7.1. 소닉 제너레이션즈7.2.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8. 평가9. 흥행10. 상품 구성11. 미디어 믹스12. 기타1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가장 빠르게, 가장 강하게
2011년에 발매되었던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20주년 기념작인 소닉 제너레이션즈의 리마스터로, 완전 신작 섀도우 제너레이션즈를 더한 확장판.

==# 발매 전 정보 #==
2024년 1월 29일 XboxEra 공동 창립자인 Nick Baker는 트위터에 새로운 'State of Play' 이벤트에 대한 수수께끼 트윗를 게시했고, 일부 네티즌들이 이를 해독한 결과 게임 공개 라인업을 유출한 것이 확인되었다. # 트윗에는 '소닉'과 '섀도우', '제너레이션즈'라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었기에 당시 소닉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이 트윗은 행사 공개 이후 사실임이 확인되었다.

1월 31일, 'SONIC X SHADOW GENERATIONS'라는 제목을 단 도메인이 등록된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후 이 도메인은 공식 도메인임이 판명되었다.#

2월 1일, PlayStation의 행사 State of Play를 통해 아나운스 트레일러를 정식 공개했다. #

3월 23일, 서울에서 개최된 소닉 공식 팬미팅【Sonic official fan meeting in Seoul 2024】현장에서 리마스터 &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소식을 추가로 밝혔다. 리마스터 동기 및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개발 이유를 상세하게 밝혔으며, 한국 전용 로고를 최초로 공개했다.[4]

5월 17일, 스팀DB에서 아이콘이 유출되었다. #[5]

6월 7일, @MysteryLupin는 키 아트와 트레일러 스크린샷으로 추측되는 이미지와 함께 본작의 상세 정보를 유출하였다.

태평양 표준시로 6월 7일, Summer Game Fest를 통해 신규 트레일러와 함께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쪽의 게임플레이 일부가 공개되었다.#

2. 시스템 요구 사양

3. 트레일러

아나운스 트레일러[6][7]
Summer Game Fest 트레일러 | Second 트레일러
트레일러

4. 시놉시스

수수께끼의 괴물 '타임 이터'에 의해 생긴 시공의 왜곡으로 인해, 소닉섀도우의 운명은 움직이기 시작한다.

신규 요소의 추가로, 그리우면서도 새로운 소닉이 가득한 '소닉 제너레이션즈'
과격하고 쿨한 액션으로 종횡무진 질주하는, 새로운 섀도우를 즐길 수 있는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2개의 타이틀이 세트가 된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를 마음껏 즐기자!

타임 이터에게 빼앗긴 세계의 질서를 바로잡고자 일어서는 두 명의 고슴도치.
결코 만날 일이 없었을 클래식 소닉모던 소닉이 만나는 순간, 시공을 뛰어넘은 음속의 힘이 내달린다!

한편 그때, 의 극비 연구로 태어난 궁극생명체 섀도우는, 분명 과거에 쓰러뜨렸던 숙적 '블랙 둠'과 재회하였다.
부활을 마치고 세계 정복을 노리는 블랙 둠의 유혹으로 인해, 정의와 악의 사이에서 흔들리는 섀도우.
자신의 과거, 새로운 힘, 지켜야 하는 이들… 각성한 섀도우의 선택이 세계 존망의 열쇠를 쥐고 있다.

시공의 왜곡으로 인해 생겨난 두 세계의 운명은, 소닉과 섀도우의 손에 달렸다.

5. 원작과의 차이점

5.1. 공통

5.2. 소닉 제너레이션즈

6.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colcolor=#ffffff><colbgcolor=#800800>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シャドウジェネレーションズ
SHADOW GENERATIONS
파일:섀젠 자리 표시자.jpg
시나리오 구성 이안 플린
[clearfix]

이번 작품의 완전 신작.

6.1. 스토리

궁극 생명체로 태어난 검은 고슴도치・섀도우를 노리는 수상한 그림자.
일찍이 세계 정복을 목표로, 섀도우에게 쓰러졌던
사악한 초생명체 '블랙 둠'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한다-

'카오스 컨트롤'과 새로운 힘 '둠 파워'로
왜곡된 세계를 밀고 나가라!
공식 트윗

프로듀서와 디렉터의 인터뷰에 의하면 시간대 자체는 소닉 제너레이션즈와 동일하며, 소닉과 대치하지 않은 타이밍에 섀도우가 화이트 스페이스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를 다룬다.

6.2. 스테이지 일람

6.3. 등장인물

7. 조작

※ 조작법 안내는 기본 설정을 기준으로 합니다.

7.1. 소닉 제너레이션즈

기종별 사용 버튼
액션 PS5/PS4 XBX|S/XB1 Nintendo Switch
스핀 점프 / 점프 대시 / 호밍 어택 × A B
ACT 1: 스핀 대시
ACT 2: 부스트
X Y
ACT 2: 스톰프 / 웅크리기 / 슬라이딩 B A
액티브 파워 (스킬 / 컬러 파워 / 슈퍼화)
ACT 2: 라이트 스피드 대시
Y X
ACT 2: 퀵 스텝 / 트릭 피니시[9] L1 / R1 LB / RB L / R
ACT 2: 드리프트 L2 / R2 LT / RT ZL / ZR
동상 보관실 입장[10] SELECT BACK -
일시 정지 START START +

7.2.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기종별 사용 버튼
액션 PS5/PS4 XBX|S/XB1 Nintendo Switch
스핀 점프 / 더블 점프 × A B
호밍 어택 X Y
스톰프 / 웅크리기 / 슬라이딩 B A
카오스 스피어 Y X
퀵 스텝 L1 / R1 LB / RB L / R
카오스 컨트롤 L2 LT ZL
부스트 R2 RT ZR
일시 정지 START START +

8.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rowcolor=#ffffff,#dddddd>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pc/sonic-x-shadow-generations|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pc/sonic-x-shadow-generations/user-reviews|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5/sonic-x-shadow-generations|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5/sonic-x-shadow-generations/user-reviews|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sonic-x-shadow-generations|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sonic-x-shadow-generations/user-reviews|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series-x/sonic-x-shadow-generations|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series-x/sonic-x-shadow-generations/user-reviews|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sonic-x-shadow-generations|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sonic-x-shadow-generations/user-reviews|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switch/sonic-x-shadow-generations|
tbd
]]


[[https://www.metacritic.com/game/switch/sonic-x-shadow-generations/user-reviews|
tbd
]]

9. 흥행

10. 상품 구성

11. 미디어 믹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 Dark Beginning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타

13. 둘러보기

소닉 시리즈 리마스터·리메이크 작품
소닉 컬러즈 얼티밋 소닉 오리진스 소닉 X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1] 소닉 제너레이션즈 디자이너로서 활약했으며 소닉 오리진스의 디렉터를 맡은 적 있다.[2] PlayStation 4 Pro 대응.[3] 심의 내용[4] 공식 한국 명칭은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으로 기본적으로 일본 명칭을 따라가나, '제너레이션즈'가 아닌 복수형 -s가 빠진 '제너레이션'으로 표기되었다. 전작 소닉 프론티어는 'frontiers'를 일어로 음독한 'フロンティア(Furontia)'를 기반으로 번역하였다면, '제너레이션' 표기 같은 경우는 'ジェネレーションズ(Jenerēshonzu)'로 -s 발음이 존재하기 때문에, 굳이 일어 명칭에도 어긋난 형태로 표기할 이유가 있었는 지에 대해 의문을 표하는 시선도 존재한다. 과거 소닉 제너레이션즈 한국 정발판의 패키지에는 '소닉 제너레이션즈'로 올바르게 표기하였고, 본작 설명에서도 하위 게임들을 가리킬 때 '제너레이션즈'라는 번역명을 사용한 것을 보면 일관성 없는 번역이라고 볼 수 있다. 이후 게관위 심의에서 명칭을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로 변경했다.[5] 파일:image-211243155684292852347.png[6] 소닉 제너레이션즈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여주는 듯 하다가, CG 오프닝 파트에 뜬금없이 섀도우가 끼어들면서 본작의 신규 콘텐츠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쪽으로 전환되는 것이 백미. 이 때 보여준 시퀀스는 소닉 어드벤처 2 배틀의 오프닝 구도와 유사하다.[7] 트레일러에 삽입된 음악은 Escape from the City - Cash Cash RMX의 inst. 버전(소젠 파트), 아티스트 Tomáš Herudek의 'Smash Your Enemies'(섀젠 파트).[8] 스킨이 존재하므로 실시간 렌더 컷신 기술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9] 양쪽 버튼 모두 눌러야 발동 가능[10] 화이트 스페이스 왼쪽 끝의 컬렉션 룸 안에서 해당 버튼을 길게 누르면 입장 가능. 피규어를 해금하기 위해서는 6자리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하는데, 이 때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해서도 이 키를 눌러야 한다.[11] E+10의 내용은 '만화적, 판타지적 폭력이 본격적으로 허용된다. 욕설이나 선정적 주제, 현실적 폭력이 경미하게 등장할 수 있다.'이며, 한국에서는 전체 이용가 등급으로 나왔다. 소닉 제너레이션즈는 이미 완벽한 리마스터라고 못 박았기에, 섀도우 제너레이션즈가 심의 등급에 변동을 준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0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