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2:59:36

서울 버스 163

서울 버스 153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과거 삼화상운에서 운행했던 월계동 - 목동 구간의 간선버스에 대한 내용은 서울 버스 173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과거 삼화상운에서 운행했던 월계동 - 목동 구간의 간선버스:
서울 버스 173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d5bab>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노선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0~3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colcolor=#fff> 0권역 040
1권역 100 101 102 103 104
105 107 109 110 111
120 121 130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50 151 152
160 162 163 171 172
173
2권역 201 202 240 241 242
260 261 262 270 271
272 273
3권역 301 302 303 320 333
340 341 342 343 345
350 360 361 37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4~7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colcolor=#fff> 4권역 400 401 402 405 406
420 421 422 440 441
452 461 463 470 472
5권역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40 541
571
6권역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40 641 643
650 651 652 653 654
660 661 662 672 673
674
7권역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20 721 740 741
742 750 752 753 760
761 771 77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울동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 서울02 서울04 서울05 서울07
서울08 서울09 서울1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자율주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
자율주행
상암A21 새벽A160
}}}}}}}}} ||
파일:163일렉.jpg 파일:서울 163번 저상차량.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연희교차로 - 신촌로터리 간 주의사항4.2. 대학 투어4.3. 일평균 승차인원
5. 노선6. 연계 철도역

1. 개요

동아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5.6km다.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6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63 노선도(2022).png
기점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종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대방역)
종점행 첫차 04:0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22:30 막차 00:10
평일배차 4~9분 주말배차 6~11분
운수사명 동아운수 인가대수 42대(예비 1대)[1]
노선 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 국립4.19민주묘지입구 - 광산사거리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신일중고 - 미아사거리역 - (→ 길음뉴타운 →/← 길음역.돈암삼성아파트 ←) - 정릉2동주민센터 - 국민대학교 - 북악터널 - 롯데아파트 - 평창동주민센터 - 세검정.상명대 - 유진상가 - 서대문구청.보건소.구의회 - 연희교차로 - (→ 연세대학교 → 신촌기차역 →/← 연희동대우아파트 ← 현대백화점 ←) - 신촌로터리 - 광흥창역.서강동주민센터 - 서강대교 - 국회의사당 - 여의도역 - 샛강역.여의도자이 - 대방역

3. 역사

※ 통합 전 두 노선(170번, 5711번)에 관한 연혁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 문서에서 해당 항목을 참조.
파일:서울 153 노선도.png }}}

4. 특징

4.1. 연희교차로 - 신촌로터리 간 주의사항

연희교차로 - 신촌로터리 사이 운행 구간이 상행과 하행 때 각각 다르므로 요주의.

이는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이전이었던 2013년만 해도 서강로에서 신촌로 동교동삼거리 방면과 신촌역로에서 성산로 연희IC 방면 좌회전이 불가했던 것 등 복잡했던 신호 체계가 1차적인 원인이다. 노선효율화 및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등의 이유로 여러차례 변경되고 있으나, 두 방면 통합은 아직 이루지 못하고 있다.

대방역 방향은 서대문우체국과 연세대앞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한 후 경의·중앙선 신촌역 방면으로 우회전하기 위해 중앙차로에서 끝차로로 빠져나오면서 순식간에 서너개 차선을 가로질러야 한다. 때문에 세브란스병원 가변차로나 중앙차로 둘 중 한 곳도 정차하지 못한다. 항상 갑자기 차선을 바꾸려다 보니 아찔한 상황이 가끔씩 벌어지곤 한다.[4] 또한 좌회전이 막혀 있는 신촌로터리 교통체계와 노선을 효율화하려는 서울시의 노력 덕분에 여러차례 노선이 변경되며, 이래저래 애환을 겪었다. 노선 개통 초기에는 서강대교를 건너자마자 우회전해 753번처럼 서강대부터 경유하며, 대흥역 앞 2연속 좌회전에서 10분 가량 시간 소요, 그 이후 1년여만에 서강대교에서 신촌으로 직행해 이대를 경유한 후 서강대로 가서 기존 5711번 이대통학 수요도 살리고 신촌에 빨리 가려는 사람들도 만족하는 나름대로 윈윈하는 개편을 했다.[5] 하지만 2014년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개통으로 서강대에서 연세로로 들어오는 신호가 없어져, 오랫동안 유지됐던 우이동 방향 연세대 경유가 없어졌고, 2017년에는 서강대 순환구간이 사라졌다.

4.2. 대학 투어

273번의 인지도에 밀리지만 은근히 인서울 대학들을 많이 경유하는 대학투어 노선이다. 덕성여자대학교, 고려대학교(정릉캠퍼스), 성신여자대학교 운정그린캠퍼스, 국민대학교, 상명대학교, 연세대학교를 들른다.

273번이 대학 정문 앞을 지나지 않고 그 근방[6]에서 정차하는데, 이 노선은 앞서 거론한 모든 대학의 바로 정문 앞에서 하차한다.[7]

약간 억지식으로 경유하는 대학을 더 붙이자면, 서울사이버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도 해당 학교에 포함될 수도 있다. 서강대는 서강대역이나 신촌역에서, 이화여대는 정문을 지나치지 않지만, 경의선신촌역에서 조금만 걸어가면 바로 정문이다.

정문은 아니고, 4년제 대학도 아니지만 서울여자간호대학교 근방을 지나가서 많은 학생들이 홍대입구 근처에서 환승해서 탄다.

4.3. 일평균 승차인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53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35,663명 -
2014년 35,616명 ▽ 47
2015년 36,057명 △ 441
2016년 35,722명 ▽ 335
2017년 33,751명 ▽ 1,971
2018년 32,689명 ▽ 1,062
2019년 33,049명 △ 360
2020년 24,699명 ▽ 8,350
2021년 24,798명 △ 99
2022년 27,341명 △ 2,543
※ 하차 인원 미포함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63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22년 24,889명 -
2023년 24,621명 ▽ 268
2024년 25,218명 △ 597
※ 하차 인원 미포함

5.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63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대방역
19306
샛강역1번출구.여의도자이
19153
샛강역4번출구.여의도자이
19154
여의도역5번출구
19156
여의도역6번출구
19155
국회의사당역.KB국민은행
19132
국회의사당역5번출구
19133
국회의사당
19131
국회의사당
19280
광흥창역.서강동주민센터
14200
광흥창역.서강동주민센터
14201
창전현대홈타운
14202
창전현대홈타운
14203
신촌로터리
14205
신촌로터리
14204
- 신촌역2호선
13142
현대백화점
13259
신촌기차역
13210
동교동삼거리연희동방면
13144
연세대앞
13012
연희동대우아파트
13147
서대문우체국
13010
연희교차로
13148
연희교차로
13149
연희3거리
13150
연희3거리
13151
한성화교중고교.서대문소방서
13152
한성화교중고교.서대문소방서
13153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입구
13154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입구
13155
서대문구청.보건소.구의회
13156
서대문구청.서대문구의회
13157
서대문보건소별관.홍제폭포
13159
동신병원.홍제폭포
13158
정원여중
13160
정원여중.스위스그랜드호텔
13161
홍은현대아파트.스위스그랜드호텔
13162
홍은현대아파트
13163
유진상가
13164
유진상가
13165
문화촌현대아파트
13166
문화촌현대아파트
13167
서울여자간호대학교.홍은초등학교
13168
서울여자간호대학교.홍은초등학교
13169
유원하나아파트
13170
유원하나아파트
13171
홍지문.옥천암
13172
홍지문
13173
세검정.상명대
01143
세검정.상명대
01134
세검정초등학교
01144
세검정초등학교
01133
화정박물관
01164
갑을씨티텔앞
01155
서울예술고등학교.평창동주민센터
01163
평창파출소
01156
예능교회
01162
평창동주민센터
01157
벽산평창힐스아파트
01161
일성아파트
01158
롯데아파트
01160
롯데아파트
01159
평창동삼성아파트
01293
-
국민대앞
08107
국민대학교앞
08110
청덕초등학교
08111
청덕초교
08112
북악중학교
08113
고려대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08114
봉국사
08115
봉국사
08116
정릉2동주민센터
08117
정릉2동주민센터
08118
숭덕초교
08119
숭덕초교
08120
정릉길음시장
08121
정릉길음시장.길음뉴타운9단지
08122
길음역2번출구.돈암삼성아파트
08123
길음뉴타운
08003
길음2동주민센터
08002
길음2동주민센터
08001
미아사거리역
09012
미아사거리역
09011
도봉세무서.성북시장
09010
도봉세무서.성북시장
09009
미아역.신일중고
09008
미아역.신일중고
09007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09006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09005
- 수유역
09003
수유역.강북구청
09004
수유역.강북구청
09013
강북구청
09147
강북구청
09146
광산사거리
09129
광산사거리
09128
수유2동주민센터우이시장
09127
수유2동주민센터우이시장
09126
강북청년창업마루
09124
강북청년창업마루
09125
4.19민주묘지역
09109
4.19민주묘지역
09108
덕성여대입구
10221
덕성여대솔밭근린공원
09107
서라벌중학교.우이동대우아파트
10219
서라벌중학교.우이동대우아파트
09106
북서울교회
10218
-
동아운수앞
10325
진성빌라사거리
09105
- 우이동성원아파트
09103
우이동성원아파트 · 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09104 · 09102
}}}}}}}}} ||

6.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 공휴일 31대 운행[2] 같은 날, '여의도역 - 신대방삼거리 - 모자원고개' 구간을 동일하게 다니던 6513번도 6713번으로 변경되면서 상도로, 보라매로 구간은 운행하지 않게 됐다. 이에 따라 461번, 753번의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신대방삼거리/모자원고개 등 신림선에서 먼 지역은 여의도 방향 2개 노선(두 노선 합산 평일 기준 일 운행횟수는 노선조정 직전 시점 기준 271회)이 한번에 감축되어 461번 1개 노선만 남았기 때문이다.[3] 감차분은 N15번으로 이동됐다.[4] 과거에는 연세대앞 정류소가 연세대삼거리까지 이어지지 않아 정류소를 벗어나면 바로 차선 변경이 가능했으나, 지금은 교차로를 넘어가야 차선을 변경할 수 있다.[5] 운행거리가 길어졌지만 대흥역 앞 좌회전에 시간을 많이 잡아 먹어서 소요시간에 차이가 없었다.[6] 심지어 한성대입구는 정류장에서 800m 이상 걸어야 한다. 불행 중 다행으로 성북02번승강장은 하행이나 상행 양쪽에서 다 걸어갈 만은 하다.[7] 연세대학교는 대방역 방면만 정문 앞에 하차한다.[8] 숭덕초등학교 하차.[9] 대방역 방향만 경유[10] 신촌로터리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