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게임 정보 | |||
설정 | 설정 • 종족 • 기술 • 아츠 • 연표 오리지늄 • 광석병 • 이동도시 | |||
테라 • 등장인물 및 세력 {{{#!wiki style="text-align:center; margin:0 auto; display:tabl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주요 세력 및 국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fff" | 세력 | |||
글래스고 갱단 | 라인 랩 | 로도스 아일랜드 | 리유니온 | |
바벨 | 블랙스틸 월드와이드 | 쉐이 | 어비설 헌터스 | |
카란 무역회사 | 카시미어 상업연합회 | 펭귄 로지스틱스 | ||
국가 | ||||
가울 | 극동 | 라이타니엔 | 라테라노 | |
림 빌리턴 | 미노스 | 볼리바르 | 빅토리아 | |
사미 | 사르곤 | 쉐라그 | 시라쿠사 | |
염 | 에기르 | 우르수스 | 이베리아 | |
카시미어 | 카즈델 | 컬럼비아 | 타라 | |
도시 | ||||
시에스타 | 쎄루에르차 | 용문 |
스토리 | 메인 (Act initium • Act Ⅰ • Act Ⅱ) |
시스템 | 로비 시스템 • 영광의 길 • 메일 임무 • 기반시설 • 재화 및 재료 |
공개모집 • 헤드헌팅 • 포지션 오퍼레이터 • 오퍼레이터 레코드 • 패러독스 시뮬레이션 • 모듈 | |
전투 | 전투 인터페이스 및 조작법 • 기믹 작전 (섬멸 작전 • 보안 파견 • 위기 협약) |
{{{#!folding [ 적 유닛 목록 ] | 적 메인 (Act initium • Act Ⅰ • Act Ⅱ • Act Ⅲ) 사이드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이벤트 모드 (보안 파견 • 통합 전략 • 생존 연산 • 협동 경기 • 기타 이벤트) |
이벤트 | 연도별 이벤트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folding [ 에피소드 • 사이드 스토리 ] | 2019년 기병과 사냥꾼 • 파란 불꽃의 마음 • 소란의 법칙 |
2020년 흑야의 회고록 ◇ • 월루몽드의 황혼 • 위대한 족장 가비알 리턴즈 • 마리아 니어 • 맨스필드 브레이크 | |
2021년 화중인 • 오리지늄 더스트 ☆ • 워크 인 더 더스트 ◇ • 언더 타이즈 ◇ • 도솔레스 홀리데이 • 니어 라이트 • 브레이크 디 아이스 | |
2022년 장진주 • 가이딩 어헤드 • 스툴티페라 나비스 ◇ • 링거링 에코스 • 도로시의 비전 • 이상적인 도시: 엔드리스 카니발 • 시라쿠사인 • 불로 비춰주소서 | |
2023년 등림의 • 불을 쫓는 낙엽 ☆ • 론 트레일 ◇ • 공상의 정원 • 화산의 꿈 여행 • 부정축재 • 츠빌링슈튀르메의 가을 • 은심호 열차 | |
2024년 회서리 • 루센트 애로우헤드 ☆ • 바벨 ◇ • 삶의 길 • 태양을 뿌리쳐라 • 테라밥 ☆ | |
◇: 에피소드 ☆: 타사 콜라보 이벤트 |
{{{#!folding [ 이벤트 모드 ] | 위기 협약 • 통합 전략 • 다원 협력 • 인터락킹 컴페티션 • 인도자의 시련 • 생존 연산 • 분쟁 연의 • 로도스 아일랜드 협동 경기 |
{{{#!folding [ 시즌별 위기 협약 ] | 리뉴얼 이전 위기 협약 • 황무지 작전 • 파이라이트 작전 • 칼날 작전 • 잿불 작전 • 리드씰 작전 • 스펙트럼 작전 • 와일드 스케일 작전 • 파인 숫 작전 • 돈시커 작전 • 딥니스 작전 • 애쉬링 작전 • 페이크웨이브 작전 • 베이스포인트 작전 |
리뉴얼 이후 첨멸 실험 작전 • 파이롤리시스 작전 • 언더던 작전 |
{{{#!folding [ 시즌별 통합 전략 ] | 케오베의 버섯안개미궁 • 팬텀 & 크림슨 솔리테어 •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 •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 살카즈의 영겁 기담 |
상점 | 구매센터 • 스킨 • 가구 | |
기타 | 출시 전 정보 • 일러스트레이터 • 성우 평가 • 사건 사고 • 갤러리 • 채널 용어 • 게임 가이드 • 메인 트레일러 콜라보레이션 • e스포츠 |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TVA 1기 • TVA 2기 • TVA 3기) PV • Holy Knight Light • 클로저의 기밀 파일 • 리의 탐정사무소 케오의 그림일기 | |
음악 | ||
BGM • 테마곡(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folding [ 연도별 음악회 목록 ] | 앰비언스 시네스티시아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명일방주 오케스트라 콘서트 |
기타 | 만화 • 설정집 • 화집 • 입체화 • 보드 게임 • 디지털 굿즈 • 드라마 CD | |
관련 사이트 | ||
명일방주 마이너 갤러리 하이퍼그리프(Hypergryph) 마이너 갤러리 명일방주 채널 | ||
둘러보기 | ||
오퍼레이터 둘러보기 • 등장인물 둘러보기 스토리 둘러보기 • 사이드 이벤트 둘러보기 위기 협약 둘러보기 • 통합 전략 둘러보기 |
}}} ||
<colcolor=#fff> 벡터 돌파 | |
<nopad> | |
서버별 명칭 | |
중국 서버 | <colbgcolor=#fff,#1f2023> 矢量突破 |
한국 서버 | 벡터 돌파 |
일본 서버 | 鋒矢突破 |
글로벌 서버 | Vector Breakthrough |
1. 개요
메인 트레일러 |
인터락킹 컴페티션과 분쟁 연의를 계승한 이벤트.
2. 개방 기간
개방 기간 |
중국 서버: 2024년 9월 27일 ~ 2024년 10월 11일 요스타 서버: 2025년 3월 25일 ~ 2025년 4월 8일 |
- 신규 스킨으로 바닐라의 스킨이 추가되었다.
3. 진행 방식
크게 커널 돌파와 특별 전선으로 나뉜다.커널 돌파는 VEC-nn으로 표기되는 맵으로, 총 8개 존재한다.[1] 다음 맵으로 넘어갈 때마다 더 강력한 적들이 등장하고 난이도가 더욱 높아진다. 특별 전선과 달리 이전 맵에서 사용했던 오퍼레이터를 똑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지원 유닛도 사용 가능하다. VEC-08까지 클리어하는 것이 최종 목표로, 반복 클리어해서 돌파 마일스톤을 얻을 수 있다.
특별 전선은 VEC-SPnn으로 표기되는 맵으로, 마찬가지로 총 8개 존재한다.[2] 출전 가능한 오퍼레이터의 수가 제한되어 있고, 지원 유닛을 사용할 수 없으며, 해당 작전에 출전해서 주둔한 오퍼레이터는 다른 특별 전선 맵이나 커널 돌파에 출전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커널 돌파와 달리 첫 클리어 시에만 돌파 마일스톤을 얻을 수 있다.
대신 특별 전선에 오퍼레이터를 주둔시킬 경우, 그 맵에서 제공하는 전투 보급이 활성화되어 커널 돌파에서 버프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 버프가 상당히 강력하며, 버프가 없으면 커널 돌파의 난이도가 굉장히 높아지니 오퍼레이터를 최소 1명 주둔시켜서 버프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주둔한 오퍼레이터는 커널 돌파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보유한 오퍼레이터가 많을수록 유리하다.
특별 전선을 클리어했을 때 활성화되는 전투 보급은 다음과 같다.
- VEC-SP01 - 치유의 수호: <벡터 전술 장비>의 체력 -50%, 역장 범위 내 아군이 초당 최대 체력의 3%만큼 체력 회복
- VEC-SP02 - 확고의 장비: 모든 오퍼레이터의 방어력 +300, 배치 후 실드 2회 획득
- VEC-SP03 - 위협 프로그램: 모든 적의 공격력 -15%, 추가로 리더 적의 공격력 -15%
- VEC-SP04 - 각성의 수호: 모든 아군이 상태이상 면역 획득, <벡터 전술 장비>의 자폭 피해량 -50%
- VEC-SP05 - 광열의 수호: 모든 아군의 공격력 +15%, 역장 범위 내 아군의 공격 속도 +80, 초당 SP +1
- VEC-SP06 - 촉매의 장비: 모든 오퍼레이터의 초기 SP +10
- VEC-SP07 - 경량 프로그램: 모든 적의 무게 -3, 초기 배치 코스트 +10
- VEC-SP08 - 엄폐의 장비: 오퍼레이터 주변에 다른 오퍼레이터가 존재할 시 해당 오퍼레이터들이 위장 효과 획득
4. 신규 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일방주/적/기타 이벤트#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일방주/적/기타 이벤트#|]][[명일방주/적/기타 이벤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신규 적 | |||
벡터 전술 장비 | '로즈몬티스'의 드론 | '로즈몬티스', 시뮬레이션 |
5. 훈장
6. 평가
인터락킹 컴페티션과 분쟁 연의에서 지적받았던 문제점을 잘 해결했다고 평가받는다.먼저 인터락킹 컴페티션과 달리 이성을 소모하지 않는다. 따라서 오직 재화 파밍에만 이성을 투자할 수 있으며, 이성이 없다고 해서 콘텐츠를 즐기지 못 하는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 또한 대리 지휘라는 개념 자체가 존재하지 않고 커널 돌파에서 파밍을 할 이유도 없기 때문에 주둔 오퍼레이터를 중도에 교체할 때 대리 지휘를 일일이 바꿀 필요가 없다. 모든 보상을 획득하려면 여러 차례 반복해서 대리 지휘를 돌려야 했던 인터락킹 컴페티션과 달리, 벡터 돌파에서는 특별 전선과 커널 돌파를 한 번씩 클리어하면 자연스럽게 모든 보상을 획득할 수 있어서 시간도 훨씬 적게 걸린다.
또한 버프가 유명무실했던 분쟁 연의와 달리 버프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분쟁 연의에서는 버프를 사용해서 클리어할 시 점수가 감소하고 다음 난이도로 넘어가지도 못했지만, 벡터 돌파에서는 인터락킹 컴페티션의 주둔 시스템을 차용해 주둔 중인 오퍼레이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대신 버프 자체는 써도 아무 문제가 없다. 버프를 받으면 커널 돌파의 난이도가 굉장히 쉬워지기 때문에 VEC-08까지도 어렵지 않게 클리어할 수 있으며, 노 버프 플레이는 필수가 아니라 선택의 영역이 되었다. 추가로, 반복 클리어를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없었던 분쟁 연의와 달리 벡터 돌파는 저난도의 맵을 반복 클리어하는 것으로도 주요 보상들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뉴비들에게 더 친절하다.
결론적으로는 굉장히 잘 설계된 고난도 콘텐츠라고 할 수 있으며, 많은 유저들에게 호평을 받았기 때문에 인도자의 시련처럼 시즌제로 운영될 가능성도 있다.
7. 여담
- 메인 트레일러에서 나오는 로즈몬티스의 표독스러운 표정이 상당히 인상적이였고, 마침 같은 세부 분류에 명일방주 최고의 사기 오퍼레이터인 위셔델이 있었기에, 로즈몬티스가 위셔델에게 질투심을 불태운다는 밈으로 발전되었다.
8. 관련 영상
8.1. OST
로비 OST - Neo - Vector |
일반 전투 OST - Inference |
보스 전투 OST - Challeng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