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19:26:19

베른하르트 3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06116, #2e8a20 20%, #2e8a20 80%, #206116);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작센마이닝겐 왕조
베른하르트 1세 에른스트 루트비히 1세 에른스트 루트비히 2세 카를 프리드리히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안톤 울리히 카를 빌헬름 게오르크 1세
베른하르트 2세 게오르크 2세 베른하르트 3세 }}}}}}}}}

파일:독일 제국 전쟁기.svg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군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야전원수
Generalfieldmarschall
파일:DR_Generalfeldmarschall_1918.gif
육군
야전원수
<colcolor=#000,#fff> 프란츠 요제프 1세 | 콜마르 폰 데어 골츠 | 파울 폰 힌덴부르크 | 헤르만 폰 아이히호른 |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 빌헬름 2세 | 뷔르템베르크의 빌헬름 2세 | 레오폴트 폰 바이에른 | 카를 폰 뷜로 | 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 | [[프리드리히 폰 외스터라이히테셴프리드리히 대공]] | 메흐메트 5세 |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 뷔르템베르크 공작 알브레히트 | 루트비히 3세 | 페르디난트 1세 | 카를 1세 | 콘스탄티노스 1세 | 레무스 폰 보이르슈
해군
원수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 헤닝 폰 홀첸도르프 | 빌헬름 2세 | 하인리히 폰 프로이센
상급대장
Generaloberst

파일:KHeer_OF9_GenOberst_(Bayern)_1918.gif
육군
상급대장
펠릭스 그라프 폰 보트머 | 모리츠 폰 린커 | 헬무트 요하네스 루트비히 폰 몰트케 | 알렉산더 폰 클루크 | 루트비히 폰 팔켄하우젠 | 막스 폰 하우젠 | 알렉산더 폰 린징겐 | 구스타프 폰 케셀 | 요아힘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 요시아스 폰 헤링겐
명예원수 베른하르트 3세 | 명예원수 한스 폰 플레센 | 명예원수프리드리히 2세
병과대장
General der Waffengattung / Admiral
파일:General_(Wurttenburg).gif
육군
병과대장
에리히 폰 팔켄하인보병 | 에른스트 루트비히 카를 알브레히트 빌헬름보병 | 에리히 루덴도르프보병 | 로타르 폰 트로타보병 | 에른스트 폰 회프너기병 | 콘라트 크라프트 폰 델멘징엔포병 | 오스카 폰 후티어보병 | 오이겐 폰 팔켄하인기병 | 파울 폰 레토포어베크보병 |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기병 | 막시밀리안 폰 바덴기병 | 빌헬름 폰 우라흐기병 | 프리드리히 식스트 폰 아르민보병 | 카를 에두아르트보병 | 오토 폰 벨로보병 | 에두아르트 폰 리에베르트보병 | 프리드리히 빌헬름 빅토르 아우구스트 에른스트보병 | 헤르만 폰 슈타인포병
해군
대장
후고 폰 폴 | 라인하르트 셰어 | 프란츠 폰 히퍼 | 루트비히 폰 로이터
중장
Generalleutnant / Vizeadmiral
육군
중장
콘스탄틴 폰 알트록 | 카를 폰 베닝거 | 헤르만 폰 쿨 | 빌헬름 그뢰너 | 프리드리히 폰 작센마이닝겐 | 게오르크 그라프 폰 발더제
해군
중장
막시밀리안 폰 슈페
소장
Generalmajor / Konteradmiral
육군
소장
한스 폰 젝트 | 막스 호프만 | 프리츠 폰 로스베르크 | 카를 하우스호퍼 | 아이텔 프리드리히 폰 프로이센 | 게르하르트 타펜 | 뤼디거 폰 데어 골츠
해군
소장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독일 제국군의 상급대장과 대장, 중장, 소장은 각각 미군의 대장, 중장, 소장, 준장에 상응.
※ 윗 첨자 : 전사
}}}}}}}}}
<colbgcolor=#666> 작센마이닝겐 공작
베른하르트 3세
Bernhard III
파일:Bernhard_III_(Saxe-Meiningen).jpg
<colcolor=#fff> 이름 Bernhard Wilhelm Albrecht Georg Herzog von Sachsen-Meiningen
베른하르트 빌헬름 알브레히트 게오르크 폰 작센마이닝겐 공작[1]
출생 1851년 4월 1일
파일:Flag_of_Saxe-Meiningen_(1826).svg 작센마이닝겐 공국 마이닝겐
사망 1928년 1월 16일 (향년 76세)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독일국
재위 작센마이닝겐 공국의 공작
1914년 6월 25일 ~ 1918년 11월 9일
최종 계급 파일:100px-KHeer_OF9_GenOberst_iRd_GenFM_h_1919.jpg 육군 상급대장이자 원수[2](Generaloberst mit dem Range als Generalfeldmarschall)
주요 참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아버지 작센마이닝겐 공작 게오르크 2세
어머니 프로이센의 샤를로테
배우자 프로이센의 샤를로테 공주
(1878년 결혼 / 1919년 사망)
자녀 페오도라
1. 개요2. 생애3. 기타4. 가계

[clearfix]

1. 개요

작센마이닝겐 공국의 마지막 공작으로 제1차 세계 대전 후 폐위당했다.

2. 생애

1851년 4월 1일에 작센마이닝겐 공국의 공작 게오르크 2세와 그의 첫번째 부인 프로이센의 샤를로테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1869년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수학했지만, 도중에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 참여하며 2등급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 이후 다시 대학교로 복학하여 공부했다. 이후 베를린에서 프리드리히 황태자의 딸 샤를로테 공주와 결혼했고 슬하에 외동딸 페오도라를 낳았다. 1873년부터 본격적으로 군경력을 쌓으며, 1905년에는 상급대장으로 제2 분견대의 사찰관이 되었다.

아버지가 1914년 6월 25일에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어 작센마이닝겐의 공작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서부전선에 가서 작센마이닝겐 공국 소속 군인들을 만났다. 하지만 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제국이 패전하기 2일 전에 작센마이닝겐 공작위에서 폐위당했다.

3. 기타

예술에 조예가 깊었으며 그리스어 전문가로 번역도 많이 했다고 한다.

4. 가계

아내인 프로이센의 샤를로테 공주는 가문의 유전병으로 추정되는 포르피린증이 원인인 것으로 의심받는 신경쇠약증을 앓았기에 임신 기간 동안 일반 임산부들에 비해 더 많은 고통을 호소했고 이 때문에 외동딸 페오도라를 낳고 더 이상 자녀를 낳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외동딸 페오도라(1879~1945)는 1898년 로이스-쾨스트리츠의 하인리히 30세(1864~1939)와 결혼했다.[3] 그러나 불임으로 인해 아이를 볼 수 없었고 오랫동안 건강이 좋지 않아 말년에는 슐레지엔의 히르쉬베르크 부근에서 요양하다가 본인의 불임에 대한 스트레스+부모와 남편의 사별과 형제자매와 자녀가 없는 공허감+어머니와 마찬가지로 포르피린증으로 추정되는 신경증+2차대전에서 독일의 패망으로 폴란드 점령하에 놓여지면서 폴란드인 이웃들에 독일계라는 이유로 따가운 시선을 받아 자살했다. 살리카법으로 딸 페오도라는 공작위를 상속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작센마이닝겐 공가의 당주 자리는 이복동생 에른스트가 이었다. 공작위를 떠나서 페오도라는 자녀가 없기에 베른하르트 3세의 직계는 그대로 끊겼다.

[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대로는 '폰작센마이닝겐'으로 표기한다.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2] 사실상 명예원수를 칭함[3] 참고로 이 결혼은 빅토리아 여왕의 증손주들 중 최초이자 살아서 목격한 유일한 결혼으로 빅토리아 여왕이 결혼 후 3년이 지난 1901년까지 살아있었으므로 페오도라가 불임만 아니었다면 빅토리아 여왕은 살아서 현손자도 볼 수도 있었다.[4] 자녀가 있었으나 귀천상혼인지라 자녀들의 계승권이 없다. 공교롭게도 이복형의 처남인 빌헬름 2세와 생몰년과 나이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