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6 13:16:47

바버라 매클린톡

바바라 매클린톡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역대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1904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에밀 폰 베링 로널드 로스 닐스 핀센 이반 파블로프
<rowcolor=#cd9f51> 1905 1906 1907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베르트 코흐 카밀로 골지 산티아고 카할 샤를 라브랑
<rowcolor=#cd9f51> 1908 1909 1910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일리야 메치니코프 파울 에를리히 에밀 코허 알브레히트 코셀
<rowcolor=#cd9f51> 1911 1912 1913 1914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알바르 굴스트란드 알렉시 카렐 샤를 리셰 로베르트 바라니
<rowcolor=#cd9f51> 1919 1920 1922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쥘 보르데 아우구스트 크로그 아치볼드 힐 오토 마이어호프
<rowcolor=#cd9f51> 1923 1924 1926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프레더릭 벤팅 존 매클라우드 빌럼 에인트호번 요하네스 피비게르
<rowcolor=#cd9f51> 1927 1928 1929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율리우스 야우레크 샤를 니콜 크리스티안 에이크만 프레더릭 홉킨스
<rowcolor=#cd9f51> 1930 1931 193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카를 란트슈타이너 오토 바르부르크 찰스 셰링턴 에드거 에이드리언
<rowcolor=#cd9f51> 1933 1934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토머스 모건 조지 휘플 조지 마이넛 윌리엄 머피
<rowcolor=#cd9f51> 1935 1936 1937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한스 슈페만 헨리 데일 오토 뢰비 얼베르트 센트죄르지
<rowcolor=#cd9f51> 1938 1939 1943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코르네유 하이만스 게르하르트 도마크 카를 담 에드워드 도이지
<rowcolor=#cd9f51> 1944 1945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조지프 얼랭어 허버트 개서 알렉산더 플레밍 하워드 플로리
<rowcolor=#cd9f51> 1945 1946 194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에른스트 체인 허먼 멀러 칼 퍼디낸드 코리 거티 코리
<rowcolor=#cd9f51> 1947 1948 194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1861-2010).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베르나르도 우사이 파울 뮐러 발터 헤스 에가스 모니스
<rowcolor=#cd9f51> 1950 195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필립 헨치 에드워드 켄들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 막스 타일러
<rowcolor=#cd9f51> 1952 1953 1954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셀먼 왁스먼 핸스 크렙스 프리츠 리프먼 존 앤더스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토머스 웰러 프레더릭 로빈스 악셀 테오렐 앙드레 쿠르낭
<rowcolor=#cd9f51> 1956 1957 195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베르너 포르스만 디킨슨 리처즈 다니엘 보베 조지 웰스비들
<rowcolor=#cd9f51> 1958 1959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에드워드 테이텀 조슈아 레더버그 세베로 오초아 아서 콘버그
<rowcolor=#cd9f51> 1960 1961 1962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1960-1968).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프랭크 맥팔레인 버넷 피터 메더워 게오르크 폰 베케시 제임스 왓슨
<rowcolor=#cd9f51> 1962 196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프랜시스 크릭 모리스 윌킨스 앨런 호지킨 앤드루 헉슬리
<rowcolor=#cd9f51> 1963 1964 1965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존 커루 에클스 콘라트 블로흐 페오도르 리넨 프랑수아 자코브
<rowcolor=#cd9f51> 1965 1966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앙드레 루오프 자크 모노 페이턴 라우스 찰스 브렌턴 허긴스
<rowcolor=#cd9f51> 1967 1968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랑나르 그라니트 핼던 케퍼 하틀라인 조지 월드 로버트 윌리엄 홀리
<rowcolor=#cd9f51> 1968 196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마셜 니런버그 하르 고빈드 코라나 막스 델브뤼크 앨프리드 허시
<rowcolor=#cd9f51> 1969 1970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살바도르 에드워드 루리아 버나드 카츠 울프 폰 오일러 줄리어스 액설로드
<rowcolor=#cd9f51> 1971 1972 1973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얼 서덜랜드 제럴드 모리스 에덜먼 로드니 로버트 포터 카를 폰 프리슈
<rowcolor=#cd9f51> 1973 1974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콘라트 로렌츠 니콜라스 틴베르헌 알베르 클로드 크리스티앙 드뒤브
<rowcolor=#cd9f51> 1974 1975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조지 에밀 펄레이드 데이비드 볼티모어 레나토 둘베코 하워드 마틴 테민
<rowcolor=#cd9f51> 1976 197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바루크 새뮤얼 블럼버그 대니얼 칼턴 가이듀섹 로제 기유맹 앤드류 빅터 섈리
<rowcolor=#cd9f51> 1977 197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절린 옐로 베르너 아르버 다니엘 네이선스 해밀턴 O. 스미스
<rowcolor=#cd9f51> 1979 1980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1954–2006).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앨런 코맥 고드프리 하운스필드 바루 베나세라프 장 도세
<rowcolor=#cd9f51>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조지 데이비스 스넬 로저 울컷 스페리 데이비드 헌터 허블 토르스텐 닐스 비셀
<rowcolor=#cd9f51> 1982 1983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수네 베리스트룀 벵트 잉에마르 사무엘손 존 로버트 베인 바버라 매클린톡
<rowcolor=#cd9f51> 1984 198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1861-2010).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세사르 밀스테인 게오르게스 쾰러 닐스 카이 예르네 마이클 스튜어트 브라운
<rowcolor=#cd9f51> 1985 1986 198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조지프 골드스타인 스탠리 코언 리타 레비몬탈치니 토네가와 스스무
<rowcolor=#cd9f51> 1988 198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제임스 화이트 블랙 거트루드 B. 앨리언 조지 히칭스 존 마이클 비숍
<rowcolor=#cd9f51> 1989 1990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해럴드 엘리엇 바머스 조지프 에드워드 머리 에드워드 도널 토머스 에르빈 네어
<rowcolor=#cd9f51> 1991 1992 1993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베르트 자크만 에드먼드 헨리 피셔 에드윈 크레브스 리처드 로버츠
<rowcolor=#cd9f51> 1993 1994 199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필립 앨런 샤프 앨프리드 길먼 마틴 로드벨 에드워드 루이스
<rowcolor=#cd9f51> 1995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에릭 위샤우스 크리스티아네 뉘슬라인폴하르트 피터 C. 도허티 롤프 칭커나겔
<rowcolor=#cd9f51> 1997 199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탠리 프루지너 로버트 퍼치곳 루이스 이그내로 페리드 머래드
<rowcolor=#cd9f51> 1999 2000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귄터 블로벨 폴 그린가드 아비드 칼손 에릭 캔들
}}}
}}}}}}}}}
[ 21세기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파일:1200px-Encyclopædia_Britannica.svg.png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선정 세계의 여성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9년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은 세계사에 이름을 남긴 여성들을 선정했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여성들뿐 아니라 '세계사에 족적을 남긴 여성들'을 뽑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인물들 혹은 논란 있는 인물들도 있다.
성인들
성모 마리아 예수의 테레사 마더 테레사
지도자들
앙겔라 메르켈 베나지르 부토 예카테리나 2세 캐시 프리먼 서태후
클레오파트라 코라손 아키노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다이애나 스펜서
지우마 호세프 에디트 크레송 엘레오노르 다키텐 엘리너 루스벨트 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2세 엘런 존슨 설리프 에바 페론 골다 메이어 그로 할렘 브룬틀란
한나 수호츠카 하트셉수트 인디라 간디 이사벨 1세 제니 시플리
줄리아 길라드 칼레다 지아 킴 캠벨 마거릿 대처 마리 앙투아네트
메리 로빈슨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미첼 바첼레트 미셸 오바마 박근혜
잔 다르크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쑹메이링 탄수 칠레르 테오도라
바이라 비케프레이베르가 빅토리아 여왕 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 비올레타 차모로 측천무후
잉락 친나왓
발견자들
에이다 러브레이스 어밀리아 에어하트 바버라 매클린톡 캐롤라인 허셜 도러시 호지킨
엘리자베스 블랙웰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히파티아 제인 구달 캐서린 존슨
리제 마이트너 마거릿 미드 마리아 미첼 마리 퀴리 마리암 미르자하니
레이첼 카슨 로잘린드 프랭클린 사카자위아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예술가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코코 샤넬 도로시아 랭 프리다 칼로 카라 워커
메리 카사트 쿠사마 야요이 자하 하디드
사회운동가들
앨리스 워커 앤절라 데이비스 앤 로이페 아얀 히르시 알리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엘프리데 옐리네크 그레타 툰베리 제인 폰다 주디 시카고 리마 보위
나오미 클라인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수잔 팔루디 타우왁쿨 카르만 와리스 디리
말랄라 유사프자이 마거릿 생어 마리아 몬테소리 해리엇 터브먼 캐롤리 슈니먼
로자 파크스 시린 에바디 왕가리 마타이 에멀린 팽크허스트 글로리아 스타이넘
작가들
에밀리 디킨슨 제인 오스틴 사포버지니아 울프 마거릿 애트우드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헬렌 켈러 J. K. 롤링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무라사키 시키부
시몬 드 보부아르 안네 프랑크 토니 모리슨
운동선수들
베이브 디드릭슨 빌리 진 킹 파니 블랑커스쿤 재키 조이너커시 미아 햄
나디아 코마네치 세레나 윌리엄스
퍼포머들
비욘세 엘라 피츠제럴드 캐서린 헵번 마돈나 메릴 스트립
미리엄 마케바 오프라 윈프리 사라 베르나르 움 쿨숨
정치인들
에이미 클로버샤 바바라 조던 캐롤 모즐리 브라운 엘리자베스 워런 프랜시스 퍼킨스
제럴딘 페라로 해티 캐러웨이 힐러리 클린턴 저넷 랭킨 매들린 올브라이트
낸시 펠로시 넬리 테일로 로스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셜리 치점 빅토리아 우드훌
참정권주의자들
앨리스 폴 앨리스 스톤 블랙웰 캐리 채프먼 카트 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 도리아 샤픽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 프랜시스 하퍼 프랜시스 윌러드 해리엇 스탠턴 블래치 헤르타 아일톤
후다 샤아라위 아이다 벨 웰스 제인 애덤스 줄리아 워드 하우 케이트 셰퍼드
루크레티아 모트 루시 번스 루시 스톤 메리 처치 테렐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이 라이트 슈 밀리센트 포셋 소저너 트루스 수전 앤서니 버지니아 루이자 마이너
출처 }}}}}}}}}}}}
<colbgcolor=#555555><colcolor=#ffffff> ForMemRS
바버라 매클린톡
Barbara McClintock
파일:F31664BC-555A-47B0-BE51-304213B06CD8.jpg
본명 엘리노어 매클린톡
Eleanor McClintock
출생 1902년 6월 16일
미국 코네티컷주 하트퍼드
사망 1992년 9월 2일 (향년 90세)
미국 뉴욕주 서포크 카운티 헌팅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생물학
학력 코넬 대학교 (B.S. / M.S. / Ph.D.)
수상 NAS 회원 (1944)
국립과학메달 (1970)
토마스 헌트 모건 메달 (1981)
루이자 그로스 호위츠 상 (1982)
노벨생리학·의학상 (1983)
서명 파일:바버라 매클린톡 서명.svg

1. 개요2. 생애3. 업적4. 여담

1. 개요

미국의 생물학자.

2. 생애

코넬 대학교[1]를 졸업하고 미주리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다 1941년에 사직한 뒤,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에서 40년 이상 연구했다.

그녀가 발견한 이동성 유전인자는 너무 황당한 이론이라는 이유로 그 당시에는 무시당하다, 한참 뒤에 관찰기술의 발달로 진실임이 밝혀져 노벨상을 받게 된다. 몇십년 전의 선구적 연구를 81세 할머니가 되어서야 인정받게 된 것이다.

이 사람은 여성 단독으로는 최초로 노벨생리학·의학상(1983)을 수상한 생물학자이지만,[2] 과학사에서는 언더독(underdog)으로 분류되는 불운의 여성 과학자 중 한 명이다. 심지어 그녀의 업적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던 시기에는 마녀로 불리며 비난받기까지 했다. 이 때문에 DNA 이중나선 구조의 공동발견자 중 한쪽인 제임스 왓슨의 인성을 보여주는 일화도 있다. 왓슨이 쓴 책에 보면 '나랑 같은 연구소에 있는 남자 과학자들은 무지 재밌는 사람들인데 매클린톡이라는 깐깐하고 마녀 같은 할머니가 있어서, 이 여자 옥수수밭 때문에 우리가 공놀이를 못하네요'라는 대목이 있다.

3. 업적


옥수수를 연구하여 전이성 유전인자를 발견했다.

4. 여담



[1] 그 당시에 여자를 받아주는 대학은 여자대학을 제외하면 거의 없었다.[2] 그 외에도 1967년 미국과학원 킴버유전학상 수상, 1981년 앨버트 래스커 의학연구상 수상. 코넬대학교대학원 식물학 박사 미국 유전학회 회장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