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32:53

무인시대/줄거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무인시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c1c12 40%, #000000 100%); color:#ffffff; margin: -5px -10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줄거리 · 평가 · 유튜브 스트리밍
황제는 폐위되셨소이다
등장인물
주인공

파일:무인시대 이의방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정중부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경대승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이의민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최충헌 아이콘.png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핵심인물 이고 · 채원 · 두경승 · 문극겸 · 조원정 · 허승 · 두두을 · 박진재
이의방 측근 무비 · 조씨 · 사평왕후
이준의 · 이린 · 이춘부 · 오랑
정중부 측근 정균 · 송유인 · 종참 · 순주
경대승 측근 김자격 · 경진 · 손석 · 김광립
이의민 측근 최씨 · 부용 · 아란 · 이지순 · 이지영 · 이지광
박존위 · 부루 · 최부 · 자선
최충헌 측근 송씨 · 최우 · 최향 · 최충수 · 홍련화 · 자운선
노석숭 · 김약진 · 정숙첨 · 노인우 · 만적
황실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공예태후 · 선평왕후 · 대령후 · 임씨 · 수안궁주 · 성평왕후
신료 김돈중 · 한뢰 · 임종식 · 윤인첨 · 한문준 · 조영인 · 유응규 · 이규보
이소응 · 기탁성 · 진준 · 이광정 · 이영진 · 석린
왕광취 · 최전첨 · 조 환관 · 최 상궁 · 최세보
기타 수혜 · 현소 · 김보당 · 조위총 · 망이 · 망소이 · 김사미
외국인 금 세종 · 야율규 · 완안정 · 걸노 · 합진 · 완안자연 · 포리대완
}}}}}}}}}}}} ||

1. 개요2. 구성
2.1. 제1장 (1회 ~ 25회)2.2. 제2장 (26회 ~ 51회)2.3. 제3장 (52회 ~ 76회)2.4. 제4장 (77회 ~ 99회)2.5. 제5장 (100회 ~ 129회)2.6. 제6장 (130회 ~ 158회)
3. 등장 회차4. 정권별 권세 분석

1. 개요

KBS 대하드라마 무인시대의 줄거리를 정리한 문서.

총 158부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건과 집권자들을 중심으로 6개 장으로 정리할 수 있다.[1]

2. 구성

2.1. 제1장 (1회 ~ 25회)

<rowcolor=#ffffff> 황제는 폐위되셨소이다!
무신정권의 개막 (1170년)을 다루는 장.

이전부터 무신들은 조정의 차별대우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그러다 의종이 개최한 오병수박희에서 문신 한뢰가 무신 이소응의 뺨을 때리며 조롱하는 하극상을 벌이고 이 사건을 계기로 무신들은 문신들을 척살한다. 의종은 무신들의 정변에 불안해 하고, 정변의 주동자인 이의방은 그런 의종 앞에 찾아와 정변에 휘말려 죽은 환관 왕광취의 목을 보여주고 황제는 폐위되셨소이다라고 일갈하며 의종을 협박한다.

정변의 성공으로 결국 의종은 폐위되는데, 이후 무신들 사이에서 익양후와 대령후 중 누구를 황제로 옹립할 것인지에 대해 논쟁이 벌어지고 마침내 익양후가 황제로 즉위하게 된다.

이 시기엔 이고, 이의방, 정중부의 3대 세력의 힘이 막강했는데, 계급이 높지만 노장위주의 세력을 갖고있던 정중부는 노회한 정치적 감각으로 기회를 엿보며 자중하고 있는 모양새였던 반면, 젊은 무관을 주축으로 이고 및 이의방 세력이 실질적으로 가장 두각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렇게 1장에서는 이고와 이의방 양강체제 가운데 힘을 숨기면서 두마리의 호랑이 싸움을 지켜보고 있던 정중부 체제까지 3대 세력의 치열한 갈등이 벌어지게 된다.

2.2. 제2장 (26회 ~ 51회)

<rowcolor=#ffffff> 이의방의 최후
이의방 집권기(1171년~1174년)를 다루는 장.

이고, 채원 등 이의방을 위협하던 강력한 무신들이 퇴장하고, 이의방이 무신정권의 실질적 집권자가 되어 본격적으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기 시작한다. 하지만 군부의 수장으로서 마침내 평장사라는 고위직까지 오른 정중부가 여전히 건재하여 이의방의 폭주를 견제하고 있었다.

한편, 혈기왕성한 젊은 무장이었던 정중부의 아들 정균은 이의방에게 정인을 빼앗긴 일로 이의방에게 원한을 가지게 되는데...

2.3. 제3장 (52회 ~ 76회)

<rowcolor=#ffffff> 정중부의 몰락
정중부 집권기(1174년~1179년)를 다루는 장.

정중부의 아들인 대장군 정균이 일으킨 갑오정변으로 이의방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정중부가 제2대 무신정권 집권자가 된다.

정중부, 정균 부자의 천하권세는 하늘 높은 줄을 모르고, 하늘 무서운 줄 모르는 이들의 패악질은 마침내 황실을 향해서도 그 발톱을 드러낸다. 이들의 전횡을 지켜보던 젊은 장수 경대승은 위기에 빠진 사직을 바로잡고자 행동에 나서게 되고, 한편 금강야차 이의민 역시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며 세력을 키워가고 있었다.

2.4. 제4장 (77회 ~ 99회)

<rowcolor=#ffffff> 정균vs경대승
<rowcolor=#ffffff> 경대승의 죽음
경대승 집권기 (1179년~1183년)를 다루는 장.

98화에서 경대승은 병사하고 99화에서 남은 경대승 휘하의 도방이 조원정이 이끈 중방에 완전 제압당한다.

2.5. 제5장 (100회 ~ 129회)

<rowcolor=#ffffff> 이의민의 최후와 최충헌의 집권

이의민 집권기 (1183년~1196년)를 다루는 장.

정권기 주동자인 이의민은 127회에 사망하며, 그의 장남 이지순 삼남 이지광 세력이 남아서 129화에서 이들이 완전 진압당했다.

2.6. 제6장 (130회 ~ 158회)

최충헌 집권기 (1196년~1219년)를 다루는 장.

3. 등장 회차

각 주인공들의 등장화는 아래와 같다.

4. 정권별 권세 분석

극중 묘사된 권세의 강약에 따른 각 인물별 순서는 아래와 같다.
최충헌 (with 최우) >>> 정중부 (with 정균) > 이의방 > 이의민 (with 이지순, 이지영, 이지광) > 이고 > 두경승 > 조원정 > 허승 > 경대승 (with 김자격)


[1] 해당 분류는 <무인시대> 일본어 공식 페이지의 설명 참조함. #[2] 51회에서 정중부에 의해 실권 및 사망. 다만 시신으로 등장하는 52회까지 포함.[3] 98회에서 경대승 사망전에 악몽에 꿈속에서 등장 꿈속에서 경대승을 호통치는데 고려사에 실제로 기록되어 있는 내용이며 고인이된 김흥기 배우의 마지막 TV출연 장면이다.[4] 실질적인 사망은 98화이고 두두을 과 마음속의 대화장면으로 99화까지 출연했다.[5] 127회에서 최충헌에 의해 실권 및 사망. 다만 시신으로 등장하는 129회까지 포함.[6] 그나마 노인우가 쓴소리 잘하지만 직급이 낮아 큰 영향력이 없고 최충헌의 친척이라서 거병만 안 하면 봐주는 거고, 두경승과 비슷한 포지션의 김취려는 정치와 거리를 두는데다가 정치적 입지가 두경승에는 못 미쳐 그저 나라의 무장으로서의 임무만 충실할 뿐이다.[7] 실제 『고려사』「열전」에 위의 집권자들 중 두경승과 경대승만 일반 열전에 들어가있고, 그 외 다른 집권자들은 모두 '반역' 열전에 들어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0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