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28 19:05:54

동사회강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ff,#101010>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삼국사기
(▶ 관련 틀)
고려사
(▶ 관련 틀)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고려실록 조선왕조실록
(▶ 관련 틀)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고려사절요 삼국사절요
기전(紀傳)
정사 이외에 기전체를 적용한 기록물
휘찬려사 동사세가 동사찬요
동사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동국통감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동사강목 동국통감제강 본조편년강목
여사제강 동사회강 대동사강
국조정토록
사략(史略) 본조사략 동국사략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승정원일기 일성록 동궁일기
각사등록 비변사등록
역사시(歷史詩) 응제시주 제왕운기
기타 삼국유사
(▶ 관련 틀)
개황력 대사편년
대사기 속무정보감 국조통기
발해고 해동고승전 동국병감
단군세가 기자지
해동명장전 단군고기 신라고기
백제고기 해동고기 본국고기
삼한고기 고려고기 연려실기술
동사보유 동국역대총목 열조통기
해동역사
기타 실전(失傳)
<colbgcolor=#fff,#191919> 고구려 유기 신집
신라 국사 제왕연대력 화랑세기
백제 백제기 백제신찬 백제본기 서기
고려 구삼국사 가락국기 편년통록 왕대종족기 성원록 금경록
위서(僞書) 환단고기 규원사화 단기고사
부도지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격암유록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 ||



1. 개요2. 상세3. 평가

1. 개요

東史會綱.

동사회강은 조선의 문신 임강덕이 지은 강목체 역사서이다.

삼국시대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기록하였다.

2. 상세

1719년에 만들어졌으며, 여사제강을 계승한 역사서이다. 모두 합쳐 20권 10책이다. 책은 서론(서례, 범례, 논변), 연표 및 삼국기, 신라기, 고려기로 구성되어 있다.

유계의 여사제강으로부터 영향을 받되, 형식이나 내용에 있어서는 더 철저한 강목체 적용과 기초적인 수준의 고증 시도를 하고자 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그는 기자가 주문왕으로부터 조선왕으로 봉해졌다는 설을 부정하며 기자가 주문왕의 제후가 아니었다고 주장하는 소중화주의적 태도를 드러냈으며, 기자-마한-신라를 정통으로 본 다른 사서들과 달리 조선 초처럼 삼국은 무통이었다고 주장했다. 특이한 점은 기자와 마한 또한 정통이 아닌 걸로 보아, 한국사의 정통은 신라 통일 이후에야 비로소 나타났다고 보았다는 것.

3. 평가

엄격한 강목체 적용, 지명이나 역사적 사실 등에 대한 고증 시도, 이전의 사서들에 대한 총집의 의도로 저술했다는 점에서 후대의 동사강목에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