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19:23:45

대구국제공항

대구공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국제공항과 활주로를 공유하는 공군기지(K-2)에 대한 내용은 대구 공군기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일대로 이전 예정인 공항에 대한 내용은 대구경북통합신공항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중추공항 인천
거점공항 김포(서울) · 제주 · 김해(부산) · 대구 · 청주 · 무안
일반공항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사천 · 군산 · 원주(횡성)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 광명역
사설·기타 비행장 울진 · 정석 · 태안 · 수색 · 잠실 헬리패드
군 전용공항 서울(성남) · 수원 · 오산 · 평택 · 이천 · 계룡 · 충주 · 예천 · 강릉 · 속초 · 전주 · 목포 · 진해 · 캠프 워커 · 현리(인제)
<nopad> 공사 중인 공항 울릉
<nopad> 착공예정 공항 가덕도(부산) · 대구경북 · 흑산 · 제주2 · 새만금(군산) · 백령
<nopad> 추진 중인 공항 경기남부(화성) · 포천 · 서산
폐쇄된 공항 여의도 · 수영 · 알뜨르 · 춘천 · 전주(송천동) · 충주(목행동) · 코엑스(도심공항)
군(軍)공항: ■ 육군, ■ 해군, ■ 공군, ■ 주한미군
}}}}}}}}} ||
대구국제공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구·경북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AA>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항공 대구국제공항 포항경주공항
항만 없음 영일만항
포항여객선터미널
후포여객선터미널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대구권 전철 (대구 도시철도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경선 ·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버스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대구권 광역환승제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8837,#1f2023> 철도 파일:KTX BI.svg 동대구역 · 서대구역
파일:SRT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대구역 · 동대구역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대구역 · 동대구역 · 화본역 · 군위역
파일:누리로 BI.svg 동대구역
일반·고속철도 경부고속선 · 경부선 · 대구선 · 중앙선
대구권 전철 파일:Daegu1.svg · 파일:Daegu2.svg · 파일:Daegu3.svg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미개통
전용(인입)철도 K-2인입선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svg 경부 · 파일:Expressway_kor_12.svg 광주대구 · 파일:Expressway_kor_20.svg 새만금포항 · 파일:Expressway_kor_45.svg 중부내륙 · 파일:Expressway_kor_55.svg 중앙 · 파일:Expressway_kor_301.svg 상주영천 · 파일:Expressway_kor_451.svg 중부내륙지선 · 파일:Expressway_kor_700.svg 대구외곽순환선
국도 4번 · 5번 · 25번 · 26번 · 28번 · 30번 · 67번
국가지원지방도 30번 · 67번 · 79번
지방도 908번 · 919번
도시고속도로 신천대로 · 앞산순환로 · 신천동로 · 테크노폴리스로 · 범안로 · 앞산터널로 · 금호강변도로
시내도로 4차 순환선 · 신천대로 · 앞산순환로 · 금호강변도로 · 테크노폴리스로 · 달구벌대로 · 동대구로 · 와룡로 · 중앙대로 · 무학로 · 서대구로
대구광역시도
버스 시내버스 급행순환간선지선출근군위마을
터미널 동대구 · 서대구 · 현풍 · 군위 · 서대구역
정류소(시외) 북부 · 서부 · 서대구역 · 용계 · 효령
시외 · 고속버스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공항 대구국제공항 · 대구경북신공항
자치군 달성군군위군 }}} }}}}}}

대구국제공항
大邱國際空港 | Daegu International Airport
분류
거점공항, 군용공항
공항코드
IATA TAE
ICAO RKTN
K-Site K-2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공항로 221 (지저동)
개항
1961년
폐항일
2030년 (예정)[3]
활주로
주 활주로 13R/31L (2,755m × 45m)
예비 활주로 13L/31R (2,743m × 45m)
소유기관
대한민국 공군
운영기관
대한민국 공군
미합중국 공군
한국공항공사
지도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항공 통계
2.1. 연도별 항공 통계2.2. 월별 이용객 통계
3. 시설
3.1. 활주로3.2. 주기장3.3. 여객터미널
3.3.1. 체크인 카운터3.3.2. 편의 시설
4. 운항노선5. 교통
5.1. 자가용/택시5.2. 시내 / 시외버스
5.2.1. 시내버스5.2.2. 시외버스
6. 이전7. 사건 사고8. 기타

[clearfix]

1. 개요



대구·경북의 관문이 되는 거점공항.

대구광역시경상도의 주요 관문 가운데 1곳이며, 대구포항고속도로의 출발지점인 팔공산IC와 인접해서 대구시민들한테는 편리한 곳이다. 대구국제공항을 이용하는 전투기의 소음 때문에 대구국제공항 주변지역에서는 군공항 이전에 대한 찬성이 높다.

1961년에 국내선용 공항으로서 개항했으며, 1995년 오사카행 국제선이 개설되면서 국제공항이 되었다. 대구 공군기지와 활주로 등 일부 시설물들을 서로 공유한다.[4] 대한민국 공군 제11전투비행단에서 F-15K 전투기를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주변에 산다면 F-15K도 볼 수가 있다. 대구 내에서는 이 공군기지를 보통 'K-2'라고 부르는데, 이는 미군이 부여한 K-Site 부호다.

활주로의 길이[5]가 길지 않아서, 국제선 운항이 가능한 광동체의 대형 항공기의 자유로운 운항이 불가능하다. 주변에 시가지가 많아서 활주로의 확장이 더 이상 불가능해, 다양한 국제선 노선을 추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하여 대구경북통합신공항[6]으로 이전될 예정이다.

2. 항공 통계

2.1. 연도별 항공 통계

환승내항기 수요는 한국공항공사 등에서 처리하는 것과 같이 국내선 수요로 서술되었다.

출처 : 한국공항공사 홈페이지
대구국제공항
연도 국내선 국제선
운항편수(편) 여객(명) 화물(톤) 운항편수(편) 여객(명) 화물(톤)
1992년


1,200,000 12,100.0 국제선 개항 전
1993년 1,296,000 12,500.0
1994년 1,582,000 14,400.0
1995년 1,886,000 14,500.0


4,000 정보부족
1996년 2,115,000 16,200.0 16,000 200.0
1997년[7] 2,151,000 14,800.0 16,000 200.0
1998년 1,791,000 12,300.0 8,000 100.0
1999년 2,080,000 15,100.0 6,000 100.0
2000년 2,234,000 17,100.0 7,000 100.0
2001년 2,154,000 16,800.0 60,000 800.0
2002년 2,142,000 18,400.0 133,000 1,500.0
2003년[8] 2,105,000 19,200.0 123,000 1,600.0
2004년[9] 12,568 1,338,475 20,004.4 2,453 229,203 2,799.1
2005년 8,909 937,980 17,181.8 2,928 298,466 3,382.8
2006년 7,930 899,478 16,430.1 3,181 294,672 3,468.3
2007년 7,792 867,140 16,011.3 3,205 310,350 3,607.7
2008년[10] 7,114 847,544 15,383.2 2,577 231,467 2,864.0
2009년 7,246 935,167 16,493.5 1,011 91,036 1,175.4
2010년 7,221 1,019,828 17,043.4 1,066 129,125 1,482.2
2011년 7,183 1,012,231 17,835.2 1,306 165,981 1,888.7
2012년 7,221 962.500 16,640.1 1,192 147,790 1,711.7
2013년 7,590 944,408 14,793.0 1,204 140,177 1,589.7
2014년 10,102 1,314,594 16,290.5 1,730 222,734 2,517.1
2015년 11,635 1,696,076 16,872.3 2,734 331,550 3,607.5
2016년 12,141 1,848,291 16,380.7 4,948 684,841 7,959.9
2017년 12,922 2,056,355 17,319.6 10,269 1,503,769 14,711.8
2018년 13,287 2,014,208 15,889.0 13,513 2,048,625 17,377.8
2019년 13,201 2,093,441 14,257.8 18,035 2,575,616 20,460.3
2020년[11] 11,169 1,520,335 8,747.9 1,821 229,061 2,302.2
2021년 13,226 2,042,121 10,498.7 68 6,244 84.8
2022년 12,756 2,163,203 11,455.0 716 92,680 938.7
2023년 13,210 2,187,104 11,314.0 7,034 1,115,003 10,763.2

2.2. 월별 이용객 통계

2024년
국내선(명) 국제선(명) 환승내항기(명)
1월 171,153 130,354 4,271
2월 156,093 121,548 4,051
3월 156,546 121,287 4,175
4월 186,793 104,592 3,905
5월 195,784 98,256 4,813
6월 180,007 102,217 4,808
7월 170,285 116,765 5,247
8월 192,981 120,512 5,324
9월 171,256 113,754 5,227
10월
11월
12월
총합 1,580,898 1,029,285 41,815

3. 시설

3.1. 활주로

활주로 제1활주로 제2활주로
13R/31L 13L/31R
길이 2755m×45m 2743m×45m
ILS CAT-I, 계기착륙장치 Visual/LOC
포장 콘크리트 콘크리트

3.2. 주기장

B737, A320, A321급 항공기 총 10대 주기가 가능하다.

탑승구 1~4번은 국제선이 사용하며, 탑승구 11~14번은 국내선이 사용한다. 탑승교는 6개가 있으며[12], 국내선 11~12번은 브릿지이며, 13~14번을 이용하면 계단을 이용해 1층으로 내려가서 청사 밖으로 나간다. 국내선 항공기는 대부분 걸어서 항공기까지 이동하고 국제선 항공기는 램프버스를 이용했었다.[13]

주기장과 유도로 연결하는 구간에는 출입을 통제하는 게이트가 있다. 군사시설과 민간시설을 구분하기위해 설치했으며, 공항 운영시간에는 항상 개방해 놓는다.[14]

3.3. 여객터미널


파일:p1065590230323898_814_thum.jpg

국내선 여객터미널
1961년에 지어진 대구공항의 기존 청사는 2001년 신청사가 개항하기 전까지 사용했다. 모든 청사 기능이 신청사로 옮긴 이후엔 청사 일부를 리모델링하여 '호텔 에어포트'로 사용하였다. 2022년 호텔이 운영을 중단한 이후 호텔 에어포트가 사용했던 건물을 국내선 청사로 리모델링하는 공사를 시작하였으며, 2023년 9월 20일에 완공, 및 오픈하였다.

이와 동시에 신청사에 있었던 국내선은 모두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이전에 공항으로 리모델링중에 공항 주변에 둘러쌓여있던 판막이에는 이러한 구문이 있었다. "대구공항의 최대 여객수용능력은 연간 375만명이나 코로나 발생전 2019년 467만명까지 이용하는 등... ...연간 468만명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로 개선할 계획입니다."

파일:2560px-Daegu_international_airport.jpg
[15]
국제선 여객터미널
기존의 구청사를 (현 국내선 여객터미널) 대체하기 위해 2001년에 신설되었다. 2023년 9월 19일까지 국제선과 국내선 모두 신청사를 사용했으나, 2023년 9월 20일 국내선이 구청사로 이전함과 동시에 현재는 국제선으로만 이용하고 있다. 기존에 사용했던 국내선 출도착 구역은 현재 국제선 구역으로 변경하는 리모델링이 진행중이다.

3.3.1. 체크인 카운터

이곳은 입출국장 진입도로가 분리되지 않아, 카운터도 1층에 위치해 있다.
국제선 공용 카운터 국제선 도착 국내선 공용 카운터[리모델링] 국내선 도착[리모델링]
3번 출입구로 들어가면 카운터가 바로 위치해 있다.
국내선 공용 카운터
1번 출입구로 들어가면 카운터가 바로 위치해 있다.

3.3.2. 편의 시설

면세점은 그랜드면세점이 있으며, 인터넷 면세점(롯데, 신라, 신세계)이용시 면세점 우측 면세품 인도장에서 인도가 가능하다. 단, 지방공항 특성상 최소 이틀 전에는 주문이 끝나야 한다. 국제선 중점 공항이 아니었고, 과거에는 그냥 대구공항으로 불렸던 시기도 있었던 관계로 면세점의 규모는 작았다. 다만 최근 이용객증가와, 공항 리모델링 등으로 그럴듯한 면세점 으로 바뀌었다. 그래도 작은 편이니 웬만하면 인터넷 면세점을 이용하자. 그리고 국제선 면세구역 내부에 편의점 같이 허기를 때울 만한 곳이 없으니 미리 출국 심사 전에 식당과 편의점을 이용하자. 2024년 08월 격리구역내 카페와 음식점이 생겼다.

참고: 2024년 2월 기준 대구국제공항 공식홈페이지 기준이며, 격리 구역은 입국/출국시에만 이용할 수 있는 시설 등을 말함.
번호 시설명 구역 유형 상세유형 위치
1 달콤커피/플레이보6 2층 일반 입점업체 식당/카페 국제선
2 달콤커피(국내선 탑승장) 2층 격리 입점업체 식당/카페 국내선
3 던킨도너츠 2층 일반 입점업체 식당/카페 국내선
4 크리스피크림도넛 1층 일반 입점업체 식당/카페 국제선
5 식사이어티(푸드코트) 2층 일반 입점업체 식당/카페 국제선
6 공차 2층 일반 입점업체 식당/카페 국제선
7 오사카키친 1층 일반 입점업체 식당/카페 국제선
8 그랜드면세점(출국장) 2층 격리 입점업체 면세점 국제선
9 그랜드면세점(입국장) 1층 격리 입점업체 면세점 국제선
10 면세품인도장 2층 격리 입점업체 면세점 국제선
11 이마트24 1층 일반 입점업체 편의점 국제선
12 럭키박스 2층 일반 입점업체 도서,잡화 국제선
13 공용체크인카운터(국제선) 1층 일반 입점업체 항공사 서비스 국제선
14 공용체크인카운터(국내선) 1층 일반 입점업체 항공사 서비스 국내선
15 대한항공라운지 2층 격리 입점업체 라운지 국제선
16 SK telecom 2층 일반 입점업체 금융/인터넷통신 국제선
17 와이파이도시락 1층 일반 입점업체 금융/인터넷통신 국제선
18 IM뱅크(구. 대구은행) 1층 일반 입점업체 금융/인터넷통신 국제선
19 무인민원 발급기 1층 일반 공공시설 기타 국제선
20 공항종합안내카운터 1층 일반 공공시설 기타 국내선
21 삼천리렌트카 1층 일반 입점업체 교통 국내선
22 대구경북관광안내소 1층 일반 공공시설 교통 국제선
23 지니고 대구에어센터 1층 일반 입점업체 기타 국내선

4. 운항노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국제공항/운항노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교통

대중교통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를 제외하고는 없다. 전철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아양교역이 있고 부역명도 대구국제공항이지만, 공항에서 거리가 1.5km 정도로 캐리어 끌고 걷기에는 멀어서 시내버스로 이동 후 환승해야 한다. 만약 짐이 많고 인원이 2~4명 정도라면 택시를 타는 것도 나쁘지 않다. 아양교역 2번 출구나 3번 출구에서 나와서 택시타면 대구국제공항까지 어지간하면 기본 요금[18]만 나온다. 동대구역의 경우 동대구역 앞이나 동대구터미널 앞에 널린 게 택시니 알아서 타면 되는데, 대략 5,000원 후반대가[19] 나온다.

그 외에도 구미종합터미널로 가는 공항버스가 있으며, 구미공항리무진이라는 회사에서 EXCO, 주공정류소, 공단정류소를 경유하여 1일 8회 운행한다.

1호선 전철 아양교역이나 동대구역까지 가기에는 시내버스나 택시 모두 거리나 비용면에서 애매하며 또 공항 주차장 건설공사로 인한 주차공간 부족으로 공항 이용객을 대중교통으로 유도하기 위해 대구광역시에서는대구공항 셔틀버스를 2016년 6월부터 운행을 계획하였으나, 택시업계의 반발로 지지부진해졌다. 2017년 1월 20일에 드디어 주차장이 완공됐다.대구공항 주차빌딩 운영 들어가…주정차난 해소 숨통

사실 1호선 건설지에 따르면 1호선의 종점은 봉무동(현 이시아폴리스)과 안심(하양)중에서 고민을 했었다. 봉무동 경로는 중앙로역~대구역~침산동~경북대~대구국제공항~봉무동의 노선이였고, 안심은 현 노선안(동대구역 경유)였다. 결국 안심행으로 결정되어서 대구국제공항은 경유할 수 없게 되었다. 지리적 특성과 당시 기술력상 대구국제공항을 경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이다.

도시철도는 닿지 않지만, 국내 공항 중에서 도심부 까지의 거리가 5km 정도로 가장 가깝고 또 그만큼 시내버스와 택시로 인한 접근성은 가장 뛰어나다. 여기에 티웨이 항공이 대구공항을 포커스시티로 삼고 이어서 많은 저가항공사들이 대구공항에 단거리 국제선을 유치하게 된 것이 대구공항이 흑자공항이 된 가장 큰 이유다. 대구 시민들 가운데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반대 이유 중에는 현 대구공항이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이 예정된 군위군 소보면, 의성군 비안면으로 이전하게 되면 공항 접근성이 많이 떨어지게 된다는 점이 크다.

5.1. 자가용/택시

국제선 노선 증가로 공항의 주차장은 항상 꽉꽉 들어 차 있다. 공항 내 야외주차장과 주차빌딩이 있지만, 공항 밖 공항 1 공영주차장과 공항 2 공영주차장도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공항 내 주차장은 2017년 9월 1일부로 주차요금을 하이패스로도 결제할 수 있으니, 주차장 A 출구로 진입 후 정산소에서 하이패스로 결제한다고 하면 직원이 기계를 조작해서 처리해 준다.
대구공항 주차장
주차장 기본요금 30분 까지 800원
주차장 추가요금 30분 초과 15분당 400원씩
하루 주차요금
주중(월~목) 13,000원
주말(금~일, 공휴일) 15,000원
유료주차장 만차 시 임시주차장 정액 10,000원 선불
마중 나오기 위한 임시 주차 15분까지 무료
공항1, 2공영주차장
주차장 기본요금 30분 까지 400원
주차장 추가요금 30분 초과 10분당 200원씩
장기 주차요금
당일요금 4,000원
정기주차 40,000원
대구시설공단 1577-644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대구광역시 택시
일반택시
기본요금 4,000원(2km)
추가(병산제) 100원(31초/130m)
야간할증 20%
시외할증 30%
모범택시
기본요금 5,500원(3km)
추가(병산제) 200원(26초/113m)
야간할증 20%
시외할증 30%
유로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5.2. 시내 / 시외버스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대구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 · · · · · ·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정류소명 시내버스
대구국제공항여객청사 101, 시외버스
대구국제공항앞 급행1,101-1, 401, 719, 동구2, 동구8, 팔공1, 팔공2(주말,공휴일 노선)
대구국제공항건너 급행1,101, 401, 719, 동구2, 동구8, 팔공1, 팔공2(주말, 공휴일 노선)

5.2.1. 시내버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번호 종별 기점 중간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급행1 급행 동화사
시설집단
지구
이시아폴리스, 공항, 칠성시장, 큰장네거리, 계대동문 매곡리 13분
101, 101-1 간선 파계사 한걸마을, 봉무공원, 공항, 신천역, 대구역, 성화여고 파계사 15~18분
401 범물1동
주민센터
수성못, 중동시장, 반월당역, 칠성시장, 공항, 공산댐 갓바위 10~11분
719 칠곡
우방타운
칠곡운암역, 팔달교, 경대북문, 공항, 영남대 조영동 13~17분
동구2 지선 동호지구 방촌시장, 공항, 경대정문, 대구광역시청, 향교, 북구청 동호지구 12~16분
동구8 연경지구 지묘동, 봉무공원, 불로동, 공항, 아양교역 동구청 12~15분
팔공1 동화사
시설집단
지구
공산댐, 이시아폴리스, 공항, 아양교역, 칠성시장역 칠성고가
도로하단
24분
팔공2 동대구역
지하도
동구청역, 공항, 봉무공원, 백안삼거리, 보림사, 진인동 갓바위 주말 7~14회

급행1번이 예전에 동화사 방면 운행 시 정차하던 공항청사 정류장은 구미행 공항버스 전용 정류장 근처에 있었다. 이 노선에는 본래 BH117H가 투입되다가 2013년부터 중국듀에고 EX 차량이 들어갔으나, 품질 문제로 퇴역시키고 2016년부터 벤츠 스프린터가 투입된다. 해당 공항청사 정류장은 2017년 5월 1일부터 101번이 정차한다.

공항으로 갈 때 어떤 버스를 탈 지 헷갈린다면 버스 앞쪽 전광판 옆에 붙어 있는 'AIRPORT' 스티커와 비행기 모양을 보고 탑승하면 어떻게 뱅뱅 돌아서 갈 지는 모르지만 일단은 공항에 도착할 수 있다.

5.2.2. 시외버스

<colbgcolor=#008837> {{{#!wiki style="margin: -12px 0;"<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colcolor=#fff> 터미널 동대구 · 서대구 · 북부 · 서부 · 군위
정류소 서대구역 · 용계역 · 현풍 · 효령 · 우보
기타 용산역(서부정류장행 하차 전용) · 태전역(북부정류장행 하차 전용) · 다리목 · 냉천 · 용계(가창) · 구효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폐쇄/운행중단 터미널 · 정류소 목록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8837><colcolor=#fff> 터미널 대구동부남부 · 현풍(시외)
정류소 대구혁신 · 시지 · 대구공항
}}}}}}}}} ||
{{{#!wiki style="margin: 0 -8px"
서울 · 부산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세종

2017년 7월 말부터 동대구터미널 ~ 대구국제공항 ~ 경북도청신도시 ~ 예천군을 경유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됨에 따라 중간 정류소가 세워졌다. 이어 점촌 노선, 영주 노선도 신설되었다가 두 노선 모두 폐지되었다.

공항 내 시내버스 정류소와 함께 사용하며 동대구행도 운행중이다.#. 대구공항→동대구행은 현재 전산 상 막혀있다.

그 외 2018년에는 경주, 포항으로 가는 노선도 신설되었다. 현재 동대구->경주경유 포항 노선이 운행중지 된만큼 이 노선도 당연히 코로나19로 운행중지되었다.

현재는 아래의 세 노선 모두 운행이 중지되었다.[20]
경유지 배차간격 운행사 비고
동대구 ~ 대구국제공항 ~ 경북도청신도시 ~ 예천삼거리 ~ 예천 2회 코리아와이드 경북 시외버스 동대구-예천[21]
동대구 ~ 대구국제공항 ~ 군위 ~ 도리원 ~ 의성 코리아와이드 경북 시외버스 동대구-의성[22]
대구국제공항 - 동대구 ~ 경주 ~ 포항 금아리무진, 아성고속, 천마고속 [23][24]

6. 이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경북통합신공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사건 사고

8. 기타



[1] 2023년에 구 호텔 에어포트 청사를 리모델링하여 국내선 전용 터미널로 재개장하였다. 좌측에 보이는 건물은 현재 국제선 전용 터미널로 사용하고 있다.[2] 2023년 이전에 촬영한 사진으로, 현재 터미널 리모델링으로 인하여 터미널 외관의 모습이 사진과 많이 다르다.[3] 이후에는 군위군대구경북통합신공항으로 이전된다.[4] 공항이 국내 지도 위성사진과 스트리트 뷰마저 가려져 있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다.[5] 약 2,750m 정도로, 광동체 여객기의 이착륙 자체는 가능하지만 고질적인 이륙중량 문제 때문에 운항 가능한 범위가 6시간 내외로 심하게 제약된다.[6]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일대 지역에 2026년 착공 예정.[7] 1997년 외환 위기[8] SARS 유행[9] 경부고속선 1단계 개통[10] 2008년 세계금융위기[11] 코로나19의 대유행 시작[12] 국제선 4개, 국내선 2개[13] 당시 에어부산의 램프버스였다. 현재는 에어부산이 대구국제공항을 철수하여 대구국제공항에는 램프버스가 없다.[14] 대구공항과 같이 게이트가 설치되어있는 공항은 광주, 청주, 사천, 군산이다. 광주, 청주공항의 경우 대구공항과 똑같이 항공편이 많아서 공항 운영시간 동안에는 항상 열어놓는다. 반대로 군산, 사천은 항공기가 출도착할때만 게이트를 여닫는다.[15] 국내선 터미널 리모델링 전 촬영.[리모델링] 현재 리모델링 공사 중[리모델링] [18] 2023년 1월부터 4,000원.[19] 2023년 3월 기준[20] 경주-포항행 및 군위-도리원-의성행은 아예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시외버스 동대구-예천은 운행중이지만 더 이상 대구공항을 거치지 않는다.[21] 이외시간에는 동대구터미널로 가면된다.[22] 1일 2회 뿐이라 그 외 시간에는 대구북부정류장으로 가야한다.[23] 1일 1회는 강릉까지 완행으로 올라가나 대구공항에서는 포항까지만 발권이 가능하다.[24] 포항까지 경주를 거쳐 오래 걸리므로 동대구로 가는 시내버스를 타고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이나 KTX를 타는 것이 낫다. 경주까지는 1시간 10분, 포항까지는 1시간 50분 정도 소요.[25] 모자이크 처리는 가능하지만 되도록이면 걸리지는 말자.[26] 앞서 서술한 것처럼 현역 장병, 군무원의 경우 단순히 사진 삭제 요구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현역 장병은 군기교육대 입과, 간부와 군무원 보안 규정 위반으로 인한 진급 등 각종 인사상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27] 대구공항 자체의 군사시설도 있지만, 활주로에서 산 정상에 군사시설과 방송국 송신소, 이동통신 중계소가 있는 팔공산이 바로 보이기도 한다. 대구지역에서 등산을 많이 다녔던 분에 따르면 이때만 해도 공군부대가 있는 팔공산이나 대구지방경찰청 통신대가 있는 앞산 정상 근처에서 사진을 찍었다가는 관계자들에게 제지당했다고 한다. 현재는 직접적으로 제지하지는 않지만, 촬영금지 등의 팻말은 남아 있다.[28] 2000년대 초반에는 A300도 운항한 적도 있다.[29] 가끔 인천행 국제선여객기가 기상사정으로 인천, 김포는 물론 제주에 조차 착륙이 불가능하면 여기로 회항하기도 한다. 근데 웬만하면 제주로 회항한다. 심야시간에는 협동체, 광동체 구분없이 인천에서 회항하면 청주로 간다. 청주는 인천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새벽에도 운항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청주는 대형기도 운항할 수 있도록 설계돼서 미국행 화물정기편도 운영했었다. A380은 착륙가능 공항이 인천, 김포, 부산, 제주, 청주 5곳뿐이다. 회항과 별개로 미군 병력 수송을 위해 B747이 들어오는 경우도 있다.[30] 키리졸브, 독수리훈련 등 한미연합훈련때 대한항공 소속 B777-200이 들어온 적이 있고, 2013년 림팩 훈련때도 미국으로 가는 인원들을 수송하기 위해 같은 대한항공 소속 B777-200이 내렸다. 그리고 2015년 대구 세계 물포럼 때는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이 투르크메니스탄 항공 소속 B777-200을 타고 대구국제공항에 내린적이 있다. 아마 이때 제11전투비행단에도 제15특수임무비행단이나 제5전술공수비행단처럼 Field Close가 걸렸을 가능성이 있다.[31] 월드 에어웨이즈, FedEx[32] 주활주로 31L에는 ILS가 설치되어 있고, 예비활주로 31R에는 LOC/DME가 설치되어 있다.[33] 칠곡 F-15K 추락사고의 원인도 여기에 있다.[34] 물론 실제 비행기 탑승시 수속은 20분 전에 마쳐야 하므로 불가능한 얘기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