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8:15:50

니카의 반란

니카 반란에서 넘어옴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로마의 내란·내전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0201><rowcolor=#FAE572> 시대 내란·내전 주체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로마 공화국
제1차 노예 전쟁 로마 공화국 vs 노예 반란군
제2차 노예 전쟁 로마 공화국 vs 노예 반란군
동맹시 전쟁 로마 공화국 vs 이탈리아 공화국
술라의 내전 파일:Senate_loyalists.png 술라파 vs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마리우스
세르토리우스 전쟁 파일:Senate_loyalists.png 로마 원로원 vs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세르토리우스
제3차 노예 전쟁 로마 공화국 vs 스파르타쿠스
카이사르의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카이사르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폼페이우스
무티나 내전 파일:rome_antony_mon_256.png 안토니우스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로마 원로원
해방자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제2차 삼두정파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해방자
필리피 전투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제2차 삼두정파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해방자
페루시아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옥타비아누스 vs 파일:rome_antony_mon_256.png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시칠리아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옥타비아누스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섹스투스 폼페이우스
안토니우스-옥타비아누스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옥타비아누스 vs 파일:rome_antony_mon_256.png 안토니우스
악티움 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옥타비아누스 vs 파일:rome_antony_mon_256.png 안토니우스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라바룸.svg
로마 제국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 베스파시아누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여섯 황제의 해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푸피에누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군인 황제 시대 49년간 황제 18명 vs 갈리아 제국 vs 팔미라 제국
사두정의 내전 막센티우스 · 막시미아누스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갈레리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리키니우스 · 콘스탄티누스 1세
밀비우스 다리 전투 콘스탄티누스 1세 vs 막센티우스
무르사 전투 마그넨티우스 vs 콘스탄티우스 2세
프리기두스 전투 파일:east_roman_mon_256.png 테오도시우스 1세 vs 파일:western_roman_mon_256.png 에우게니우스
파일:라바룸.svg
동로마 제국
니카의 반란 녹색당과 청색당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제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미하일 2세 vs 슬라브인 토마스
제10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콘스탄티노스 6세 vs 레온 토르니키오스
제1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 내전 안드로니코스 2세 vs 안드로니코스 3세
요안니스 5세 vs 요안니스 6세
요안니스 5세 vs 안드로니코스 4세
}}}}}}}}}


파일:external/cdn-9chat-fun.9cache.com/aj167XVw3_840w_v1.jpg

1. 개요2. 녹색당과 청색당3. 반란의 시작4. 진압

1. 개요

그리스어: Στάση του Νίκα
영어: Nika riots

'니카 폭동'이라고도 한다.

유스티니아누스 대제가 재위하던 시기 동로마 제국에서 벌어진 대대적인 반란이다.

반란의 명칭인 '니카'는 그리스어로 '승리'란 뜻이다. 반란의 주체인 두 당파의 기원은 전차 경주의 응원단인데 이 때 외치는 '니카!'라는 구호에서 비롯하였다.

2. 녹색당과 청색당

동로마 제국고대 로마 후기 진행된 전제군주정의 전통을 고스란히 물려받은 고대 로마 제국 그 자체가 서로마 상실 이후 동쪽으로 옯겨간 국가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전통이 완벽하게 확립되기까지는 긴 세월이 걸렸다. 자유 시민의 전통 역시 천년을 지탱한 강력한 전통이었고, 이 힘을 온전히 억누를 수만은 없었기 때문이다. 이 전통을 대표하는 사례가 바로 동로마 제국 초기 존재했던 녹색당과 청색당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당파의 기원 자체는 히포드롬(hippodrom), 즉 그리스-로마 시기에 대중들이 열광하던 전차경주의 응원단에서 찾아볼 수 있다. 히포드롬에서 벌어지는 전차 경주에서 각 전차는 자신의 소속을 색깔로 나타냈고, 이 색깔을 응원하는 데에서 청색당과 녹색당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 두 당파는 본질적으로 단순한 응원단이 아니라 그 이상의 조직이었다. 동로마 제국에서 히포드롬은 고대 로마의 포룸이나 아테네아고라처럼 민중이 자신의 정치적 의사를 내세울 수 있는 장소였다. 이 장소를 장악한 두 당파는 현대와 비교하면 정당과도 같은 존재로 성장했다고 할 수 있다.

청색당과 녹색당은 기본적으로는 상호 간의 대립을 이어가는 조직이었다. 청색당은 대토지를 보유한 고위 귀족층의 비호를 받았고, 녹색당의 경우 상공업자들과 궁정 관료들의 지지를 얻었다. 바꾸어 말하면, 청색당은 고대 로마 서부의 전통을 이어받은 자들의 정당이었고, 녹색당은 고대 로마 동부에서 새로 발흥한 이들의 정당이었던 것이다. 그로 인해 양자는 산업 진흥책에서 격렬한 투쟁을 벌였다.

하지만 이들이 갈등을 빚은 부분은 산업 분야 정책만이 아니었다. 종교에 관한 문제를 놓고 양자는 치열한 갈등을 벌였다. 청색당의 경우 칼케돈 공의회에서 공인받은 소위 정통 교리를 지지했고, 녹색당의 경우 오리엔트 지역에서 세가 강성했던 단성론을 지지했다.

보통의 경우, 양당 중 한 당이 정부의 비호를 받고 정부의 비호를 받지 못한 당은 반정부적인 기류를 형성하는 게 일반적이었다.[1] 하지만 두 당이 공동 전선을 펴는 경우도 있었는데, 중앙 권력의 전제적지배가 나타나려 할 때 양당은 손을 잡고 정부에 공동으로 대항하기도 했다. 두 당은 자유 시민의 전통을 이어받은 존재였기 때문이다.

3. 반란의 시작

532년 1월, 드디어 콘스탄티노플에서 반란이 폭발하게 된다. 당시 재위하고 있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대제는 숙부인 유스티누스 1세가 재위하던 당시까지만 해도 아나스타시우스 1세의 지지를 받던 녹색당 대신 청색당을 비호하던 인물이었고, 청색당은 그런 황제에게 지지를 보냈다. 하지만 제위에 오르게 된 유스티니아누스는 즉위와 함께 양당 모두를 강력하게 찍어 누르기 시작했다.

두 당은 강력한 형사적 처벌 조치와 탄압을 받았고, 이는 양당의 불만을 동시에 촉발시키기에 충분한 정도였다. 거기에 더해서 유스티니아누스고토 수복으로 대표되는 대사업은 필연적으로 제국의 주민들에게 과중한 부담을 안겨주었고, 콘스탄티노플 전역에서 황제에 대한 반발심이 들끓고 있었다. 양당은 서로 연대하여 황제의 절대 권력에 대항할 것을 선포했다.

532년 1월, 양당은 자신들의 근거지이자 정치적 의사를 전통적으로 표출해 온 콘스탄티노플의 히포드롬(현제의 이스탄불 술탄 아흐메트 광장(술탄 아흐메트 모스크 앞의 광장.)이 있는 장소)에 집결했고, 거대한 외침이 모든 것을 압도했다.
"자비로운 녹색당과 청색당이여, 부디 영속하라!"

4. 진압

반란의 기세는 뜨거웠다.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화염에 휩싸였고, 전제적인 유스티니아누스를 싫어했던 유력 원로원 의원들의 후원을 받은 양당은 유스티니아누스의 폐위와 원로원 의원 중에서 뽑을 새 황제의 즉위를 선포했다.[2] 아나스타시우스 1세의 조카 히파티우스가 새 황제로 선포되는 지경에 이르자 유스티니아누스는 수도를 떠나 도망칠 준비를 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그런 그를 가로막은 것이 황후 테오도라였다. 테오도라는 '자주빛(황제의 상징색)의 옷은 가장 좋은 수의'라고 말하며 단호하게 만류했고 정신을 다잡은 유스티니아누스는 반란에 대항할 것을 결의했다. 그리고 그런 황제에게 주어진 두 칼이 있었다. 바로 제국 제일의 명장 자리를 놓고 겨룰 수 있던 장수들, 벨리사리우스나르세스가 있었던 것이다.

우선 나르세스가 노회한 책략가다운 면모를 확실히 발휘했다. 나르세스는 반란 세력의 연대를 해체하는 게 선결과제라고 보았고, 테오도라에게 받은 뇌물을 가지고 청색당의 지도부와 접촉을 시도했다. 유스티누스 1세와 유스티니아누스의 공동 통치기에 청색당에 베풀어진 은혜를 상기시키며 새 황제로 선포된 히파티우스는 녹색당 출신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나르세스는 청색당의 지도부와 담판을 짓는 데 성공했고, 강력한 연대를 이루고 있던 양 당은 결국 분열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 시점에 제국 최고의 용장이자 전술가라고 할 수 있을 벨리사리우스가 나섰다. 벨리사리우스는 황제에게 충성을 바치던 병력들을 지휘하여 반란의 진원지였던 히포드롬으로 진격했다. 공격은 신속하고 기습적이었다. 허를 찔린 봉기자들은 벨리사리우스 부대의 공격을 감당하지 못했고, 전해지기로는 약 3만명이 이 진압 과정에서 학살당했다.

쉽게 말하면 나르세스가 반란군의 분열을 획책했고, 벨리사리우스가 분열된 반군에 대한 공격을 감행해 반란이 진압된 것이다. 히파티우스는 체포되어서 끌려왔다. 유스티니아누스는 히파티우스의 목숨을 살려주려 했다. 본래 히파티우스는 유스티니아누스와 관계가 원만했고 히파티우스 본인이 반란을 일으킨게 아니라 시민들의 강요로 강제 즉위당한 유형이라서 자비를 베풀어도 크게 이상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유가 어찌되었든 죽여야 한다는 테오도라의 설득으로 그를 처형했다.

이후 유스티니아누스는 원로원 의원들이 자신을 퇴위시키려고 했던 것에 대한 보복으로 원로원 회당을 황궁의 접견 홀로 용도변경했다.[3]

교과서는 이 반란을 진압하면서 자유시민의 전통을 확실히 꺾고, 절대적인 황제권을 확립하는 데 성공했다고 표현한다. 이 반란의 와중에 전소된 하기아 소피아는 유스티니아누스의 손에 의해 재건되었고,[4] 그는 완공된 성당을 보고 "솔로몬이여, 짐은 그대를 능가했도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절대적인 황제로 자리매김한 유스티니아누스에게 가장 어울리는 표현이었다. 물론 이 일로 황후 테오도라의 인기는 폭락했다.

그러나 수백 년을 이어온 사회가 그리 쉽게 바뀌는 것이 아니라, 이 사건 이후에도 로마의 공화적 전통은 이어졌다. 현대에는 중기, 후기 동로마 제국의 공화적 전통에 주목하는 시각이 많다.


[1] 실제로 녹색당을 공개적으로 지지한 아나스타시우스 1세의 재위 당시 청색당의 폭동이 빈발했고,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이 폭동들의 와중에 제위를 상실할 뻔한 위기를 겪기도 했다.[2] 'Lars Brownworth'라는 미국의 교사 출신 역사 저술가의 블로그에는 'In 532 they participated in the Nika Riots hoping to replace Justinian with one of their own members.'라는 대목이 있다.[3] 마찬가지로 위의 각주의 블로그에 'Justinian repaid them by confiscating the Senate House and turning it into a reception hall for the Great Palace.'라는 대목이 있다.[4] 이 때 공사에 투입된 인부들의 상당수가 반란군들의 가족이었다고 한다. 반란군의 가족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강제노역에 투입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