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경북과학기술고등학교 | ※ 김천고등학교 | ◈ 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 | 김천여자고등학교 | 김천예술고등학교 | |
김천중앙고등학교 | 성의고등학교 | 성의여자고등학교 | ⊙ 율곡고등학교 | 한일여자고등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ext linear-gradient(90deg, #e3d28d 10%, #ffffff 80%, #e3d28d 95%)" GIMCHEON HIGH SCHOOL | |||
| |||
교훈 | <colbgcolor=#ffffff,#191919> 깨끗하게 부지런하게 | ||
교화 | 진달래 | ||
교목 | 소나무 | ||
개교 | 1931년 5월 9일[5] | ||
유형 |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 ||
성별 | 남자고등학교 | ||
운영형태 | 사립 | ||
학생 수 | 705명[기준] | ||
교원 수 | 57명 [기준] | ||
교장 | 박윤상[8] | ||
교감 | 이승민[9] | ||
학교 법인 | | ||
관할청 | | ||
주소 | 경상북도 김천시 송설로 90 (부곡동 777-1) | ||
우편번호 | 39632 | ||
홈페이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22874><colcolor=#ffffff> | }}}}}}}}}}}} |
1. 개요
교훈: 깨끗하게 부지런하게
永爲私學 涵養民族精神 (영위사학 함양민족정신: 길이 사학을 영위하여 민족정신을 함양하라)
一人定邦國 一人鎭東洋 克遵此道 勿負吾志
건학이념
一人定邦國 一人鎭東洋 克遵此道 勿負吾志
건학이념
경상북도 김천시 부곡동에 위치한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이며, 남녀공학이 아닌 단성학교로 운영되고 있다. 지역의 명칭을 따서 지어진 학교는 대부분 공립학교인 반면 김천고등학교는 사립학교다. 때문에 외지인들은 종종 자공고로 오해하기도 한다.
1931년 순헌황귀비의 궁녀이자 영친왕의 보모였던 최송설당 시인[12]이 일제에 대항하여 전재산, 30만 2,100원[13]에 무교동 55간의 자신의 마지막 처소까지 내놓아[14]1931년 2월 5일, 재단법인[15] 송설당교육재단을 인가[16]받았고, 3월17일에 김천고보 설립이 총독부 학무국에 의해 정식 승인(조선총독부 고시 제145호[17])되었다.
1943년 일제의 탄압에 의해 김천중학교로 개칭되고 공립학교로 강제 전환되었으나, 1951년 사립 김천고등학교 설립을 인가 받아 현재에 이른다. 2009년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지정되어 2010년부터 전국에서 신입생을 받고 있다. 개교한 이래 올해로 동문수가 4만여 명에 이른다.
- [ 성명서 전문 보기 · 접기 ]
성 명 서
김천은 내가 태어난 땅이다. 이 고을은 무릇 영남의 요충지이자, 훌륭한 인재가 많이 배출된 곳으로 이 일대에서 가장 큰 도회지가 되었다. 내가 서울에서 수시로 내려와 보니 이곳 송정은 자연경관이 빼어나게 아름답고, 훌륭한 인물의 배출이 영남의 다른 고을보다 곱절이 넘음에도, 교육 여건이 아직도 유치한 수준을 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실로 자금을 마련하기 어렵기 때문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뜻있는 사람들이 이러한 현실을 한스럽게 생각한 지 오래되었다.
아, 우리 선조께서 불행하여 집안의 재앙이 매우 참혹하였고, 내가 여자로 태어나서 외로운 이슬 같은 신세로 만년을 맞이하고 있으니 불행 중에 더욱 불행한 일이었다. 내가 칠팔 세 나이 때부터 선조의 억울한 누명을 씻는 데에 뜻을 두어 시집가지 않기로 맹세하고 친가에서 어머님을 봉양하면서 힘써 재물을 모아 선조께 보답하는 일에 전력을 기울이느라 수십 년을 보냈다. 광무 신축년에 이르러 피눈물로 부르짖어 마침내 엄한 누명을 벗고 하늘의 해를 다시 보게 되었다. 이로써 묵은 원한을 시원스럽게 씻어 내어 어릴 적에 세운 뜻을 이루는 천행을 누리게 되었다. 그로 인하여 상석을 설치하고 성묫길을 다듬고 전답을 마련하여 제사를 올림으로써 작은 정성이나마 바치게 되었으니 이제 죽어도 여한이 없게 되었다.
그러나 내 한평생을 회고해 보니 감개무량한 가운데 기쁨과 탄식이 교차하였고, 내 스스로의 뜻을 다하지 못한 아쉬움이 마음 한구석에 도사리고 있었다. 가만히 생각해 보건대 사회 발전은 인재교육에 달려있고, 교육의 확장은 재정을 마련하는 일과 무관하지 않은 것 같았다. 만약 지금 재정이 궁핍하다는 이유로 마땅히 해야 할 일임에도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면, 사회의 급한 일에 대하여 책임을 다하였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이에 삼십만 이천일백 원을 출연하여 김천중학교 설립 자금으로 찬조할까 하오니, 여러분께서 그 일을 잘 성취함으로써 교육 발전에 만분의 일이나마 보탬이 되게 하기를 간절히 바라나이다.
소화 5년 2월 24일
- [ 포고서 전문 보기 · 접기 ]
포 고 서
영남에 위치한 금릉은 우리나라의 이름난 고을이자 인물의 보고입니다. 산천이 좋은 기운을 모아서 영재가 많이 배출되었음에도, 교육 여건이 아직 유치한 정도를 벗어나지 못하였습니다. 이런 까닭에 뜻있는 분들이 이를 매우 안타깝게 여기어, 위치의 편의성과 기회의 적절성을 하나씩 살펴 가면서 중학교 설립을 계획한지 벌써 여러해가 지났습니다. 그러나 설립 자금을 마련할 길이 없어 지금까지도 그 일이 제대로 진척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중, 송설당 여사께서 이러한 상황을 목격하시고, 격연히 분발할 뜻을 세워 특별히 삼십만 원이라는 거금을 출연하여 중학교 설립 경비로 찬조하고, 모든 실무를 우리들에게 위탁하였습니다. 이에 우리가 경험이 적고 능력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그 일에 착수하여 바야흐로 차근차근 실행 중에 있습니다.
아름답고 아름답습니다! 최 여사의 특출한 행위와 빼어난 절개는 당대를 떨쳐 빛나는 것으로, 실로 만 명의 대장부라도 능히 하기 어려운 일이었고, 그 밖의 걸출한 사업들도 가히 모범이 될 만한 것이었으니, 고금의 역사를 훑어보더라도 그에 버금갈 예는 그다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에 그 대략을 열거한다면, 얌전하고 정숙하면서도 단아하고 장중함은 부녀자로서의 모범이었고, 농염하면서도 고아합은 손수 지은 시문에 배어 있고, 몸을 던져 부르짖어 선조의 억울함을 시원스레 씻은 것은 그 효도를 다한 것이요, 마음을 다하여 가문의 명예를 회복 하고자 시집을 가지 않겠다고 맹세함은 그 정절을 지킨 것이요, 비석을 세우고 봉제사 전답을 마련한 것은 선조를 받듦에 그 정성을 다한 것이요, 곳간을 열어 곡식을 나누어 준 것은 가난한 이를 구휼하는 그 의로움을 다한 것입니다. 무릇 이런 돈독한 행위와 숭고한 의리는 세인의 이목을 놀라게 한 바 있고, 오늘날의 모든 사람들이 그 아름다운 마음에 감탄하고 진실로 탄복하는 바 있었으니, 그것을 일일이 소상하게 다시 언급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오늘 이렇게 거금을 내어 학교를 설립한 것은 그의 특별한 의무감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오로지 우리 사회가 아름다운 은혜를 입는 다행스러움은 어두운 거리에 등불을 밝히는 것이요, 음산한 산골짜기에 꽃이 핀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 소식을 듣고 감격해서 많은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축하의 말을 그치지 아니하였습니다.
비천한 우리가 모든 실무를 전적으로 위임받음에 감사의 뜻을 표할 바를 모르다가 이에 감히 그 대강이나마 간략히 적어서 동지와 신사 여러분께 우러러 아뢰오니, 그 고결한 뜻을 널리 비추어 밝게 빛내 주시기 바랍니다.
경오 맹춘 하순
2. 학교 연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rowcolor=#E3D28D><colbgcolor=#422874><colcolor=white> 연 월 일 | 내 용 | 역대 교장 | |
1930.02.22 | 최송설당 여사, 김천고등보통학교 설립을 위한 전 재산 삼십이만 원 희사 의향을 표명 | |||
1930.02.23 | 고덕환, 이한기, 최석태, 최동렬, 김종호 諸氏가 학교 설립을 위한 제반 일을 수임, 경향 일간지에 성명서를 공포 | |||
1930.03.03 | 수임5人이 금릉군(현 김천시) 부곡동 777번지를 학교 부지로 선정 | |||
1930.03.13 | 최송설당 여사, 5人을 재단법인 이사로 지명 | |||
1930.03.24 | 재단법인 송설당교육재단 설립 신청 | |||
1930.04.01 | 김천고등보통학교 후원회 조직 | |||
1931.02.05 | 재단법인 송설당 교육재단 인가 | |||
1931.02.16 | 김천고등보통학교 5학년 설립인가원 제출 | |||
1931.02.27 | 가교사(現 송설역사관 위치) 건축공사 착공 | |||
1931.03.10 | 교장(校章) 제정 | |||
1931.03.17 | 김천고등보통학교 설립 인가(5年制 5學級) | |||
1931.03.17 | 신입생 선발시험을 김천공립보통학교(現 金泉初校)에서 실시 | |||
1931.03.30 | 초대 안일영 교장 취임, 학교부지 정지작업 착수 | 初 代 ◉ 안 일 영 | ||
1931.05.09 | 입학식 거행(開校記念日로 定함) | |||
1931.05.11 | 가교사에서 수업개시 | |||
1931.06.13 | 교주 최송설당 여사, 松亭으로 移舍 | |||
1931.12.01 | 본교사(現 本館)건축 준비 착수 | |||
1932.01.08 | 교가 제정(作詞 鄭烈模, 作曲 玄濟明) | |||
1932.01.15 | 제2대 정열모 교장 취임 | 2 代 ◉ 정 열 모 | ||
1932.08.31 | 본교사 신축낙성(6.25로 일부 파괴, 1957年 6月 수리) | |||
1933.10.17 | 제1회 운동회 개최 | |||
1934.04.01 | 교우회 창설 | |||
1934.12.01 | 제1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35.01.08 | 기숙사 신축낙성(6.25로 일부 소실, 1951年 고등학교 가교사로 사용하다 1957年 3月 철거) | |||
1935.05.09 | 교기 제정식 거행 | |||
1935.10.06 | 제3회 운동회 개최 | |||
1935.11.30 | 개교기념식 및 본관 낙성식, 교주 최송설당 여사 동상 제막식 거행 | |||
1935.12.01 | 제2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36.09.25 | 풀장 준공 | |||
1936.09.25 | 제4회 운동회 개최 | |||
1936.12.01 | 제3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37.05.09 | 김기진, 교련용 총기 100정 기증 | |||
1937.05.09 | 제5회 운동회 개최 | |||
1937.12.01 | 제4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38.04.01 | 조선총독부 교육령 개정에 의하여 김천중학교로 개칭(6年制) | |||
1938.05.09 | 제6회 운동회 개최 | |||
1938.12.01 | 제5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39.03.31 | 10학급 증설 인가 | |||
1939.05.09 | 제7회 운동회 개최 | |||
1939.06.16 | 교주 영면 | |||
1939.06.22 | 교주 장례식 엄수(묘소 松亭) | |||
1939.10.15 | 기숙사 청운료 신관 신축(6.25로 소실) | |||
1939.10.15 | 사감 사택 낙성 | |||
1939.10.30 | 축사 낙성(고용원 숙사로 개조) | |||
1939.12.01 | 제6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39.12.20 | 총기고 낙성 | |||
1940.03.01 | 과학관 낙성(별관 6.25로 파괴, 1959년 6월 개축) | |||
1940.03.20 | 목욕탕 낙성(6.25로 소실) | |||
1940.04.21 | 구강당 이전 | |||
1940.05.09 | 제8회 운동회 개최 | |||
1940.12.01 | 제7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41.10.10 | 제9회 운동회 개최 | |||
1941.10.11 | 개교 10주년 기념식 및 수임5이사 공덕비 건립 | |||
1941.12.01 | 제8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42.05.09 | 제10회 운동회 개최 | |||
1942.10.20 | 정열모 교장, 조선어학회사건으로 피검 | |||
1943.03.31 | 사립 김천중학교 폐지(공립으로 이관) | |||
1943.04.01 | 김천공립중학교 개교 | |||
1943.04.01 | 제3대 가라사와 학교장 취임 | 3代 가라사와 | ||
1943.05.09 | 제11회 운동회 개최 | |||
1943.05.24 | 제4대 모리사키 교장 취임 | 4代 모리사키 | ||
1944.04.01 | 학제 변경에 의한 4년제 중학교로 개편 | |||
1944.05.09 | 제12회 운동회 개최 | |||
1945.09.30 | 제5대 임부남 교장 취임 | 5代 임부남 | ||
1946.06.18 | 제6대 김봉조 교장 취임 | 6代 김봉조 | ||
1946.09.01 | 김천중학교 부속 사범과 설치 | |||
1947.04.14 | 제7대 이원천 교장 취임 | 7代 이원천 | ||
1947.05.09 | 제13회 운동회 개최 | |||
1947.10.11 | 대강당 낙성(6.25로 소실) | |||
1947.12.01 | 제8대 권태희 교장 취임 | 8代 권태희 | ||
1948.05.09 | 제14회 운동회 개최 | |||
1948.07.20 | 제9대 문기석 교장 취임 | 9 代 ◉ 문 기 석 | ||
1948.09.10 | 학제변경에 의해 6년제 중학교로 개편 | |||
1948.12.20 | 제9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49.02.22 | 김천공립중학교 교우회 해산 | |||
1949.02.22 | 김천공립중학교 학도호국대 결대식 거행 | |||
1949.05.09 | 제15회 운동회 개최 | |||
1949.09.01 | 전수과 1학급 설치 인가 | |||
1949.09.01 | 경상북도 초등교원양성소 김천분교장 설치 | |||
1949.09.17 | 신관 7교실 낙성(1951년 3월 소실) | |||
1949.12.01 | 제10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50.05.08 | 학생 변소 준공 | |||
1950.06.01 | 교육법에 의한 3년제 중학교로 개편 | |||
1950.06.16 | 교주 동상 재건 제막식 거행 | |||
六二五 戰爭 | ※ 6.25 전쟁으로 인한 건물 피해 사항 1) 화재 건물 강당 1동(272평), 숙직실 1동(25평), 변소 1동(15평), 창고 3동(63평), 기숙사 2동(143평), 교원사택 1동 및 복도 기타(63평) 2) 파괴 건물 본관 1동(400평), 변소 1동(15평), 별관 1동 7교실(212평), 축사 1동(21평), 구강당 1동(81평), 농기구 창고 1동(10평) | |||
1950.08.01 | 6.25로 휴교 | |||
1950.11.01 | 복교 | |||
1951.03.13 | 신관 1동 7교실 188평 전소(UN군 주둔 사용 중 실화) | |||
1951.03.13 | 제2대 이한기 이사장 취임 | |||
1951.09.01 | 교육법 개정에 의해 3년제 중학교로 개편(24학급) | |||
1951.09.22 | 사립 김천고등학교 설립 인가(3년제 6학급) | |||
1951.10.03 | 초대 고등학교 박학규 교장 취임 | 高 初 代 ◉ 박 학 규 | ||
1951.10.03 | 고등학교 1,2학년 209명 모집 및 개교식 거행 | |||
1951.10.10 | 중학교 10대 류치을 교장 취임 | 中 10 代 ◉ 류 치 을 | ||
1952.01.31 | 숙직실 준공(초가 건평 14평, 공사비 350만 원) 1962년 5월 철거 | |||
1952.05.05 | 고등학교 9학급 인가 | |||
1952.05.30 | 고등학교 가교사 1동 4교실 준공 | |||
1952.07.10 | 가교사 건축 준공(목조기와 2교실, 건평 42평, 공사비 9,997,000원) 1958년 철거 | |||
1952.12.31 | 중학교 제11대 김철기 교장 취임 | 中 11 代 ◉ 김 철 기 | ||
1953.02.18 | 김천중학교 송설당교육재단이 인수하여 사립으로 경영 중학교 김철기 교장 유임 | |||
1953.05.25 | 중학교 김철기 교장 유임, 고등학교 12학급 인가 | |||
1953.05.30 | 고등학교 가교사 1동 3교실 준공 | |||
1954.02.06 | 고등학교 제2대 류시완 교장 취임 | 高 2 代 ◉ 류 시 완 | ||
1954.05.30 | 고등학교 가교사 1동 5교실 준공 | |||
1954.09.08 | 물품 창고 준공(옥조기와 17평 5합, 공사비 277,860원) | |||
1954.10.17 | 재단이사장 이한기 별세, 동월 21일 학교장 거행 | |||
1954.12.20 | 제11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55.04.04 | 제3대 김종호 재단이사장 취임 | |||
1955.07.20 | 고등학교 가교사 1교실 준공 | |||
1955.12.20 | 제12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57.01.20 | 제4대 김세영 재단이사장 취임 | |||
1957.01.31 | 고등학교 시멘트 벽돌 2층 교사 10교실 준공 | |||
1957.02.08 | 중12대 고3대 이훈응 교장 취임(김천중·고 겸임, 이하 같음) | 中 12 代 ◉ 高 3 代 ◉ 이 훈 완 | ||
1957.04.01 | 김천중·고등학교 병합 운영 | |||
1957.05.09 | 제16회 운동회 개최(이후부터 매 5년마다 개최) | |||
1957.06.09 | 본관 수리 공사 준공 | |||
1957.09.30 | 물품 창고 30평 건축 준공 | |||
1958.06.15 | 학생 자전거 보관소 이전(공사비 230,400환) | |||
1958.08.31 | 서쪽 교사 5교실 개축공사 준공(구 고등학교 가교사 5교실을 개축, 공사비 3,204,050환) | |||
1958.10.31 | 구강당 개축공사 준공(공사비 2,764,000환) | |||
1958.12.30 | 남쪽 교사 4교실 신축공사 준공(중학교서 건축한 가교사 2교실과 고등학교에서 건축한 가교사 1교실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신축, 공사비 4,490,700환) | |||
1959.06.15 | 별관 개축 공사 준공(공사비 7,232,200환) | |||
1959.12.21 | 제16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60.08.26 | 중13대 고4대 성옥환 교장 취임 | 中 13 代 ◉ 高 4 代 ◉ 성 옥 환 | ||
1960.09.05 | 교내 사설 상수도 설치 제17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60.12.23 | 제17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61.03.10 | 중학교 3학급 증설 인가(18학급) | |||
1961.05.09 | 개교 30주년 기념행사(제17회 운동회 개최) | |||
1961.12.22 | 제18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62.08.25 | 숙직실 및 양호실 1동 건립. 건평 30평 신축공사(구 흙집 기와 숙직실 14평을 철거한 위치) | |||
1962.12.23 | 제19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63.03.02 | 우사(목장) 준공(젖소 7마리), 1969년 폐쇄 | |||
1963.07.01 | 세심지 준공(김세영 이사장 특지) | |||
1963.08.15 | 교주 최송설당에게 대통령으로부터 문화포상 추서 | |||
1963.12.21 | 제20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64.12.23 | 제21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65.12.21 | 제22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66.04.30 | 도서관 신축 준공(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지봉, 2층, 건평 105평 8합 5작, 청부금액 3,390,000원) | |||
1966.05.09 | 개교 35주년 기념행사(제18회 운동회 개최) | |||
1966.12.21 | 제23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67.12.20 | 제24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68.06.01 | 정기대 및 스탠드 준공 | |||
1968.11.10 | 온실 신축공사(건평 17평 2합) | |||
1968.12.01 | 제25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69.11.01 | 고등학교 축구부 제50회 전국체육대회 3위 동메달 획득 | |||
1969.12.21 | 제26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70.12.19 | 제27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71.05.09 | 개교 40주년 기념행사(제19회 운동회 개최) | |||
1971.08.31 | 70. 06. 10 중학교 교사 서편 신관 신축 착공하여 71. 08. 31 준공 (연건평 40,908평) | |||
1971.12.19 | 제28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71.12.29 | 고등학교 3학급 증설(24학급) | |||
1972.12.14 | 제29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73.02.23 | 중14대 고5대 양갑석 교장 취임 | 中 14 代 ◉ 高 5 代 ◉ 양 갑 석 | ||
1973.08.31 | 변소 준공(철근 슬라브 72평, 10칸) | |||
1973.12.13 | 제30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74.06.22 | 중3 김기삼 제3회 전국선수권대회 높이뛰기 대회 신기록 | |||
1974.08.31 | 중학교 교사 서쪽 신관 철근 슬라브 2층, 4교실 준공(4교실 중축, 99평) | |||
1974.12.12 | 제31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75.03.01 | 쌍사자석등 건립(김세영 이사장 특지) | |||
1975.05.09 | 개교 45주년 기념행사, 분수대 준공(고1회 졸업생 기증), 제20회 운동회 개최 | |||
1975.08.30 | 물풍창고 준공(연건평 27평) | |||
1975.12.14 | 제32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75.12.20 | 도서관 중축 준공(연건평 142평 2층 37평 증축) | |||
1976.02.20 | 무기고 준공(물품창고 2층, 건평 8평) | |||
1976.10.11 | 대지 901평 경상북도 교육위원회에 기부채납하여 770평 체육관 준공 | |||
1976.12.15 | 제33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77.10.25 | 중15대 고6대 정진기 교장 취임 | 中 15 代 ◉ 高 6 代 ◉ 정 진 기 | ||
1977.12.23 | 제34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78.12.14 | 제35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79.01.27 | 고등학교 3학급 증설(27학급) | |||
1979.11.01 | 77.04.05 고등학교 신관 철근슬라브 3층, 18교실 신축 착공하여 79.11.01 준공(연건평 630평, 공사비 115,000,000원) | |||
1979.12.14 | 제36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80.06.30 | 학교버스 2대 운영 | |||
1980.08.30 | 교내부지 담 쌓기, 배수로 공사 준공(연장 100미터, 공사비 8,030,000원) | |||
1980.09.30 | 학교변소 신축 준공(철근슬라브, 연건평 24평7합, 수세식, 공사비 10,000,000원) | |||
1980.12.16 | 제37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81.05.09 | 개교 50주년 기념식(교주흉상 건립, 송설50년 발간, 송설동창회 명부 발간) | |||
1981.05.09 | 중·고 분리 운영 | 中 16 代 ◉ 조 종 옥 | ||
1981.05.09 | 중16대 조종옥 김천중학교장 취임 | |||
1981.12.25 | 조종옥 중학교장 별세 | |||
1982.02.28 | 정진기 고교장 사임 | |||
1982.03.01 | 중학교 제17대 김종철 교장 취임 | 中 17 代 ◉ 김 종 철 | ||
1982.03.01 | 고등학교 제7대 윤주섭 교장 취임 | 高 7 代 ◉ 윤 주 섭 | ||
1982.04.28 | 고9회 백인역 중고연명회장기 태권도 미들급 39) | |||
1982.07.04 | 중 교무실 철제 책상으로 교체(당 14회 기준) | |||
1982.12.27 | 고 나화엽 학력고사 자연계 경복수석(332점) | |||
1983.01.04 | 고등학교 3학급 중설인가(총 30학급) | |||
1983.05.04 | 설악산 수학여행단 152명 식중독 소동 | |||
1983.05.09 | 졸업 30주년기념 국기게양대 기증(16회) | |||
1983.12.30 | 고 송병호 학력고사 전국 수석(322점) | |||
1984.01.20 | 경북 최우수교 표창 | |||
1984.03.10 | 서산농장 학교에서 관리 | |||
198403.15 | 고 교사 3층 12교실 증축 | |||
1984.03.20 | 학력고사 전국 수석 기념시계 수령(도교육감) | |||
1984.04.14 | 중 강희장 전국 중·고 육상 높이뛰기 1위(1.85m) | |||
1984.10.15 | 중 배드민턴 전국체전 동메달 입상 | |||
1984.11.11 | 망우리 세심장학사 신축 | |||
1984.12.15 | 고 교사 서쪽 수세식 변소 공사 완료 | |||
1984.12.29 | 고3 문희종 학력고사 경북수석(자연계 324점) | |||
1985.01.25 | 고 학력고사 경북 최우수교 표창 | |||
1985.02.15 | 교문 밖 건물 22평 매입(12,600,000원) | |||
1985.04.10 | 구강당 벽 수리 | |||
1985.04.10 | 서산농장 경지정리 완료 | |||
1985.04.15 | 본관옥상 누수 방지 슬라브 수리 | |||
1985.04.30 | 고 교사 변소 24.7평 증축 | |||
1985.05.07 | 고 변소(20평) 철거 | |||
1985.05.18 | 교정 시계탑 기증(중17회, 고4회 졸업기념) | |||
1985.07.01 | 과학기자재구입비 40,625불 보조(IBRD원조) | |||
1985.08.23 | 고 박성택 일본 스쿠바 산업박람회 경북대표 파견 | |||
1985.09.12 | 고 학력 우수교로 페넌트 수령(도교육감) | |||
1985.12.31 | 경북도내 학력 우수교 표창 | |||
1986.03.02 | 고 신관 교사 출입문 교체 · 전기 220V로 교체 | |||
1986.03.30 | 중 전국 24회 춘계 종별 중학교 배드민턴 3위 | |||
1986.04.20 | 도서관 옥상 누수 방지 슬라브 수리 | |||
1986.05.06 | 15회 전국소년체전에서 이상국(중3) 400m 2위(51.9초) | |||
1986.05.09 | 도서실 열람대(246석) 기증(26회 전호덕 기증) | |||
1986.06.15 | 고 40교실 선풍기 설치 | |||
1986.10.20 | 운동장 확장공사 착수 | |||
1986.12.30 | 고3 박성택 자연계 경북수석(324점) | |||
1986.12.31 | 고 도내 학력 최우수교로 표창 | |||
1987.03.02 | 고3용 책걸상 600조 현대식으로 교체 | |||
1987.05.09 | 교문설치 기증(18회, 21회 출업 33주년 기념) | |||
1987.05.30 | 중학교 앰프 • 칼라TV 기증(27, 30회) | |||
1987.07.01 | 고 신관 옥상 냉난방 2중창 슬라브 시설 • 누수방지 시설 | |||
1987.08.18 | 중3 백성화 비호기 육상경기에서 투원반 입상(51.50m) | |||
1987.09.15 | 60주년 기념탑 원석(5.5m x 4.5m) 기증 (26회 조규화) | |||
1988.02.15 | 고2용 책걸상 600조 현대식으로 교체 | |||
1988.06.10 | 고1용 책걸상 600조 현대식으로 교체 | |||
1988.12.01 | 고 신관 2, 3층 2중창으로 교체 | |||
1989.02.01 | 기숙사(청운료) 착공 | |||
1989.05.01 | 교문 및 울타리 석축 준공 | |||
1989.07.01 | 고 신관 3층 2중창 및 과학관 창문 교체 | |||
1989.08.01 | 고1 김용호 배드민턴 한국대표 한일교환경기 참가 | |||
1989.10.20 | 대형 게시판 기증(20, 23회) | |||
1989.12.20 | 중학교 칼라TV 기증(최재욱) | |||
1990.09.01 | 청운료(기숙사) 준공(42실 168명) | |||
1990.12.29 | 고3 박진석 고려대 인문계 수석합격 | |||
1990.12.30 | 중 교실4, 화장실(수세식) 1층 신축 | |||
1991.02.28 | 고 교사 서편 수세식 변소 3동 준공 | |||
1991.03.03 | 유도부(고 특기) 신설 | |||
1991.10.01 | 청운료 포장 준공 • 주변 환경정리 | |||
1991.10.05 | 고 교사 동편 수세식 변소 3동 준공 | |||
1991.12.07 | 제 48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91.12.31 | 송설 60년사 발간 | |||
1992.04.01 | 중학교 도서관 개관 | |||
1992.04.24 | 고등학교 수도 신설 공사 | |||
1992.06.29 | 송설로 조경 및 화단 조성 공사 | |||
1992.08.20 | 중학교 교실 8실 신축 준공 | |||
1992.08.20 | 중학교 화장실 2실 준공 | |||
1992.10.28 | 교정 자갈 깔기 및 교내 전화 교체 공사 | |||
1992.12.09 | 고등학교 교내 방송시설 공사 | |||
1992.12.12 | 제49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92.12.15 | 송설동창회원 명부 발간 | |||
1992.12.31 | 고등학교 신관 복도 2중장 설치 | |||
1993.01.20 | 고 정두호 금오공대 전체 수석 | |||
1993.05.31 | 도서관 2중장 교체 및 실내 보수공사 | |||
1993.08.20 | 중학교 교실 2중창 교체 시설 완료 | |||
1993.09.28 | 고 신관 교실 출입문 교체 공사, 교내 노후전선 교체 | |||
1993.09.30 | 도서관 앞 구 변소 철거 | |||
1993.11.04 | 고등학교 본관 옥상 방수공사 | |||
1993.12.07 | 제50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93.12.31 | 고등학교 신관 옥상 방수공사 | |||
1993.12.31 | 고등학교 본관 남쪽 2중창 공사 | |||
1993.12.31 | 수영장 정비 및 송정 연못 정비 운동장 전기 공사 | |||
1993.12.31 | 고등학교 컴퓨터실 설치(도 지원으로 교육용 컴퓨터 60대 구입) | |||
1994.08.10 | 중학교 과학실 지붕 기와 교체 | |||
1994.11.30 | 기숙사 학습실 증축 공사 75평 | |||
1994.12.08 | 제51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94.12.21 | 구관 12개 교실 철거 | |||
1995.01.15 | 고 3년 박훈 영남대 수석 합격 | |||
1995.02.20 | 고등학교 교무실 신축 기공 및 고사 | |||
1995.03.02 | 기숙사 학습실 준공 | |||
1995.04.30 | 중학교 정기대 개축 | |||
1995.08.19 | 중 박강희, 박명구, 최판욱, 김연진 24회 전국남녀중학교 육상경기대회 1위 입상(400M) | |||
1995.09.01 | 중18대 이창규 교장 취임 | 中 18 代 ◉ 이 창 규 | ||
1995.12.09 | 제52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96.04.10 | 중 이성구, 강복규, 이재현, 정용, 허지훈, 김강민, 김경록, 김형호, 송상수 34회 전국춘계종별배드민턴리그전 단체 3위 입상 | |||
1996.07.05 | 중 이성훈 24회 KBS배 전국육상경기대회 3위 | |||
1996.09.17 | 고등학교 관리동 신축 준공 | |||
1996.10.19 | 청솔관 준공 | |||
1996.12.09 | 제53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96.12.22 | 고3년 박웅용 수능 경북 인문계 수석 | |||
1997.06.07 | 중 최성국 26회 전국남녀중고등학교 육상경기대회 3위 | |||
1997.10.01 | 중19대 권태환 교장 취임 | 高 8 代 ◉ 이 창 규 | 中 19 代 ◉ 권 태 환 | |
1997.10.01 | 고8대 이창규 교장 취임 | |||
1997.10.10 | 고 관리실 앞 중앙화단 조경공사 | |||
1997.10.29 | 중 교단 선진화 설치 공사 | |||
1998.02.19 | 제54회 내한 마라톤 실시(97년 12월 폭설로 연기 실시) | |||
1998.03.02 | 중20대 송복수 교장 취임 | 中 20 代 ◉ 송 복 수 | ||
1998.05.17 | 고 본관 앞 및 신관 뒤편 포장공사 | |||
1998.05.30 | 고 본관 앞 화단 자연석 조경공사 | |||
1998.06.30 | 고 교내 주차장 신설 포장 설치공사 | |||
1998.12.17 | 제55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99.02.27 | 고 경상북도교육청 학교기관평가 최우수교 표창 수상 | |||
1999.04.06 | 고 교육부 학교교육계획서 공모 우수교 지정 | |||
1999.05.26 | 고 대운동장 하수도 확장 및 개수공사 | |||
1999.05.31 | 고 본관2층 복도 및 교실 보수공사 | |||
199906.30 | 고 대운동장 쉼터 소공원 조성공사 | |||
1999.07.07 | 고 2년 김병상 대한민국학생발명대회 특별상 수상 | |||
1999.09.01 | 중21대 이동식 교장 취임 | 中 21 代 ◉ 이 동 식 | ||
1999.10.12 | EBS 장학퀴즈 공개 녹화(고2년 이진희 주 장원) | |||
1999.11.01 | 고2년 이진희 EBS 장학퀴즈 월 장원전 우승, 기 장원전 전국 차석 | |||
1999.11.14 | 중 문정민 4회 전국학생우슈선수권대회 2위 | |||
1999.11.25 | 고 경상북도교육청 과학교육 우수교 수상 | |||
1999.12.20 | 제 56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1999.12.20 | 중 창고 증축 공사 | |||
1999.12.25 | 고 경상북도교육청 학교 생활지도 최우수교 표창 수상 | |||
2000.01.06 | 고 신관 동편 학생 화장실 보수 및 부패정화조 시설 이전 공사 | |||
2000.01.10 | 고 제3회 학교평화대상 수상 | |||
2000.02.15 | 김천고/송설총동창회 홈페이지 개설 | |||
2000.03.01 | 중 교무실 확장 이전 | |||
2000.03.01 | 중 '송설의 얼'단행본 발간 | |||
2000.03.03 | 중 태권도부 창설 | |||
2000.03.31 | 중 교단 선진화 시설 완비 | |||
2000.04.23 | 중 문정민 12회 회장배 전국우슈선수권대회 3위 | |||
2000.05.07 | 테니스장 전면 개·보수 공사 | |||
2000.05.08 | 중 시민이 뽑은 '아름다운 화장실'지정 | |||
2000.06.20 | 청운료 기숙사 별관 신축 완공(24실 92명) | |||
2000.07.15 | 수위실 신축공사 | |||
2000.07.31 | 고 교직원 휴게실 정비 | |||
2000.08.22 | 고 3년 김세훈 전국고등학교 한자 한문부문 대상 수상 | |||
2000.09.08 | 고 신관 교실 옆 옹벽 및 하수도 공사, 기숙사 진입로 포장 및 옹벽 공사 | |||
2000.09.21 | 고 교내 도로 배수로 시설 공사 | |||
2000.10.10 | 중학교내 전산망설치 | |||
2000.10.30 | 고 1년 권현기 전국고교생정보기술활용대회 정보사냥 1위 | |||
2000.10.31 | 중 화장실 1, 2층 보수 공사 | |||
2000.11.17 | 고 신관 옥상 방수 공사, 학내 자가용 수전 설비공사 | |||
2000.12.09 | 제 57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2000.12.11 | 중 본관 외부 도색 공사 | |||
2000.12.11 | 중 본관 옥상 방수 공사 | |||
2000.12.13 | 고 3년 오재준 수능 경북 인문계 수석(398.5점) | |||
2001.01.12 | 고 3년 태순호 인제대 수석 합격 | |||
2001.01.22 | 고 교실 조도 개선 공사 | |||
2001.02.28 | 고 학내 전산망 구축 공사 | |||
2001.02.28 | 중 교실 조도 개선 및 승압 공사 | |||
2001.04.21 | 중 박성진, 엄지관, 김종배, 장인창 39회 전국봄활증빌베드민턴선수권대회 단체 3위 | |||
2001.05.08 | 중 서편 몽벽 및 남편 공간 콘크리트 포장 | |||
2001.05.09 | 개교 70주년 기념 행사 | |||
2001.06.28 | 중 엄지관, 김종배 전국여름철종별배드인턴대회 복식 2위 | |||
2001.06.28 | 중 엄지관 전국여름철종별배드민턴선수권대회 단식 3위 | |||
2001.08.07 | 중 교직원 전용화장실 준공 | |||
2001.09.14 | 중 이기준 11회 전국초중음악경연대회 1위 | |||
2001.10.30 | 고 2년 권현기 전국고교생정보기술활용대회 정보사냥 1위 | |||
2001.11.20 | 중 옹벽 및 배수로 담장 설치 공사 | |||
2001.11.30 | 고 경상북도 교육청 과학교육 실적심사 우수교 수상 | |||
2001.12.20 | 제 58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2002.01.31 | 중 교직원 화장실 개선 공사 | |||
2002.05.16 | 중 김경환 3회 용인대학교 총장배 골프대회 2위 | |||
2002.06.21 | 중 김경환 전국중고등학교 골프대회 2위 | |||
2002.07.29 | 고 최호진 제35회 중고선수권대회 혼합 단체 은메달 | |||
2002.09.01 | 중 컴퓨터실 완비 | |||
2002.09.01 | 고 제2 컴퓨터실 및 정보검색실 완비 | |||
2002.09.03 | 고 제29회 전국가을철종별배드민턴선수권대회 단체 3위 | |||
2002.11.17 | 중 김준섭 2002년 전국 나의주장웅변대회 최우수상 | |||
2002.11.25 | 중 이래규 7회 한국수학학력평가 금상 | |||
2002.12.24 | 제 59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2003.01.10 | 고 제6회 학교평화대상 수상 | |||
2003.01.11 | 중 장지욱, 정재현 2003전국학생창의력올림피아드 동상 | |||
2003.02.03 | 학교생활지도 평화대상 최우수교 수상 | |||
2003.02.20 | 중 신관 6개 교실 신축(음악 특별교실 포함) | |||
2003.03.20 | 중•고 멀티관, 체육관, 도서관 기공식 | |||
2003.03.20 | 중 신관 교실 중축 공사 | |||
2003.07.05 | 2003년 송설동창회원 명부 발간 | |||
2003.07.23 | 고 3년 이준헌 제16회 대한민국학생발명전시회 금상 | |||
2003.07.23 | 고 2년 이준호 제16회 대한민국학생발명전시회 동상 | |||
2003.10.03 | 중 2년 김준섭 대한민국 청소년 문화 웅변대회 차상 | |||
2003.10.09 | 중 1년 최경국 제21회 전국청소년 과학경진대회 로켓과학부분 장려상 | |||
2003.12.31 | 제 60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2004.01.09 | 중 제 7회 학교평화대상 우수상 | |||
2004.04.23 | 제 7회 경북협회장배 골프대회-고2 김경환 우승 | |||
2004.05.14 | 제42회 도민체전 배드민턴부 우승, 태권도 고1 정휘동 3위 | |||
2004.06.26 | 최송설당 기념 학술대회(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 | |||
2004.07.14 | 고 3년 엄지관 2004 아시아주니어 배드민턴대회 준우승 | |||
2004.08.29 | 송설총동창회 김천시 남산동에 사무실 개소 | |||
2004.09.01 | 고 9대 강흥구 교장 취임 | 高 9 代 ◉ 강 흥 구 | ||
2004.10.08 | 제 85회 전국체전 배드민턴부 동메달 | |||
2004.12,23 | 중•고 멀티관 준공식(38억 2,700여만 원) | |||
2004.12.31 | 제 61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2005.03.27 | 제 13회 삼성전기배 주니어 단식 최강전 중2 전지현 2위, 고1 이동현 3위 | |||
2005.04.12 | 솔도서관 개관(열람석 380석, 특별실 40석) | |||
2005.05.21 | 제5회 한국주니어 육상경기대회 고3 임경식 10종 경기 2위 | |||
2005.06.08 | 중 조회대 정비 및 교사용 체력단련실 마련 | |||
2005.07.15 | 국회방송의 '대한민국 푸른 국회' 김천고 편 방송 | |||
2005.07.26 | 고 3년 박지운 12회 로하스챌린지투어 우승 | |||
2005.08.08 | 고 1년 김희섭 제14회 전국삼성전기배 배드민턴부 3위 | |||
2005.08.26 | 고 3년 박지운 국내 최연소 KPGA 프로골프 테스트 합격 | |||
2005.09.26 | 고 3년 임경식 추계중고육상경기대회 10종 경기 은메달 | |||
2005.12.03 | 제 62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2005.12.04 | 송설39회 졸업30주년 기념 모교 방문의 날 행사-송림정 기증 | |||
2005.12.17 | 고 3년 최상민 수능 경북 수석 | |||
2005.12.21 | 고 3년 최상민 경찰대학교 수석합격 | |||
2005.12.29 | 최송설당 탄생 150주년 기념(최송설당기념사업회)에서 송설당 전집 2권 간행 | |||
2006.04.14 | 고 1년 김정훈 제6회 청주MBC주니어 골프대회 고등부 1위 | |||
2006.04.24 | 제5대 정해창이사장 취임 | |||
2006.05.22 | 중 3년 전지훈 제47회 전국여름철종별배드민턴 경기대회 3위 | |||
2006.07.01 | 제4회 전국고교논술경시대회MHET 장려상 고3 박영상, 나동현, 이현상 | |||
2006.07.07 | 동일 문예대회 6.25 글짓기 공모전 최우수 고1 배병수 | |||
2006.07.13 | 제1회 생글고교논술경시대회 장려상 고2 백승만 | |||
2006.07.15 | 제4회 전국고교논술경시대회 장려상 고3 김태형 | |||
2006.07.20 | 제 19회 대한민국학생발명전시회 입선 고2 이명환 | |||
2006.08.22 | 제36회 협회장기전국단체대항태권도대회 웰터급 고3 조경철 3위 | |||
2006.08.27 | 중•고 멀티관을 세심관으로 명명 | |||
2006.09.02 | 고 중장기발전계획 중간 발표회 | |||
2006.10.21 | 제14회 한국학생과학탐구올림픽 고2 김준섭, 피종훈 동상 | |||
2006.10.21 | 제7회 한국과학창의력대회 고2 피종훈 금상 | |||
2006.10.21 | 고 제1회 송설학술제 실시 | |||
2006.10.23 | 제87회 전국체육대회 배드민턴 개인전 3위 고3 신택용 | |||
2006.11.10 | 중 자현도서관 개관 | |||
2006.11.18 | 고 중장기발전계획을 위한 공개수업 | |||
2006.12.02 | 제63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2006.12.29 | 중 제1회 한아람축제 | |||
2007.01.25 | 2007년 송설동창회원 명부 발간 | |||
2007.02.27 | 고 경상북도교육청 학교기관평가 최우수고 선정 | |||
2007.03.03 | 중22대 손용식 교장 취임 | 中 22 代 ◉ 손 용 식 | ||
2007.05.10 | 개교76주년 기념식 및 제1회 한마음 축제 | |||
2007.05.31 | 고2 4박 5일 일본 오사카-나라-도쿄 탐방 | |||
2007.06.23 | 고 제1회 경상북도 중학생 영어 수학 경시대회(김천시 후원) | |||
2007.09.02 | 김천고 중장기 발전계획 세미나 | |||
2007.09.15 | 과학실 현대화 사업으로 화학실습실 리모델링 | |||
2007.10.20 | 도서관 주변 조경공사 완공 | |||
2007.10.31 | KBS 도전! 골든벨에서 고2 이규인 골든벨 울림 | |||
2007.12.01 | 제64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2008.02.25 | 고 방송실 인테리어 및 TAPE 보관함 제작 준공 | |||
2008.03.03 | 고 10대 이영우 교장 취임 | 高 10 代 ◉ 이 영 우 | ||
2008.05.09 | 개교77주년 기념행사 및 제2회 한마음 축제 | |||
2008.07.12 | 고 제2회 경상북도 중학생영어수학경시대회(김천시 후원) | |||
2008.08.27 | 고3 조희윤 제6회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동상 | |||
2008.08.31 | 송설역사관 개관 | |||
2008.09.01 | 중23대 황성일 교장 취임 | 中 23 代 ◉ 황 성 일 | ||
2008.11.05 | 고 과학실 리모델링 공사 준공 | |||
2008.11.07 | 고 옥상방수공사 준공 | |||
2008.11.12 | 고 미술실 리모델링 | |||
2008.12.12 | 제 65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2008.12.23 | 고 제3회 송설한마음축제 | |||
2009.02.01 | 고11대 박종근 교장 취임 | 高 11 代 ◉ 박 종 근 | ||
2009.02.07 | 제1기 송설 글로벌리더 장학금 수여(15명 1인당 300만원) | |||
2009.03.02 | 전교생 높이 조절 가능한 책걸상으로 교체 | |||
2009.05.07 | 개교 78주년기념 송설한마음 축제 | |||
2009.05.09 | 송설23회 졸업 50주년기념 모교방문 | |||
2009.06.12 | 송설22회 졸업 51주년기념 모교방문 | |||
2009.06.15 | 고1 금시현 제25회 KSC한국학생특기경시대회(한자) 은상 | |||
2009.06.16 | 고 보건실 리모델링 | |||
2009.07.15 | 고 자율형사립고 지정 | |||
2009.07.15 | 고 과학실 현대화 사업으로 지구과학실 리모델링 | |||
2009.07.17 | 교과부 교과교실제 운영학교(A형) 지정 | |||
2009.07.31 | 고1 권기봉 제4회 전라남도지사배 전국중고등학생골프대회 1위 | |||
2009.08.30 | 제28대 송석환 총회장 유임 | |||
2009.09.12 | 고 제3회 경상북도 중학생영어수학경시대회(김천시 후원) | |||
2009.10.23 | 고 1 이혁회 제10회 도산전기 독후감 공모전 대상(1위) | |||
2009.10.26 | 고 3 주명균 제90회 전국체육대회 배드민턴 부문(단식) 1위 | |||
2009.10.26 | 고 3 진지훈 제90회 전국체육대회 배드민턴 부문(개인혼복) 2위 | |||
2009.10.30 | 고 2 김유빈 제16회 실라리안컵아마추어골프선수권대회(경북 남주니어부) 2위 | |||
2009.11.14 | 송설43회 졸업30주년 홈커밍데이 | |||
2009.11.26 | 고 제4회 송설한마음 축제 | |||
2009.12.11 | 제 66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2009.12.17 | 재단법인 송설장학회 기본재산 2억, 보통재산 3천만 원으로 설립 허가 | |||
2009.12.18 | 고 영어전용교실 준공 | |||
2010.03.01 | 고12대 나병률 교장 취임 | 高 12 代 ◉ 나 병 률 | ||
2010.03.23 | 중 교과교실 1동 준공(311.85㎡) | |||
2010.03.26 | 급식소 신축 및 기숙사 리모델링 | |||
2010.05.07 | 진입부 조경공사 준공 | |||
2010.05.15 | 고 제4회 경상북도 중학생영어수학경시대회(김천시 후원) | |||
2010.05.16 | 송설24회 졸업50주년 모교 방문의 날 | |||
2010.06.09 | 제31회 매계백일장 고1 김진흥 대상 수상 | |||
2010.06.26 | 중2 장용석 제10회 전국초중학교 미술실기대회 장려상 수상 | |||
2010.07.10 | 제9회 대한민국 독서토론/논술대회-고1 최원혁 동상 수상 | |||
2010.07.17 | 제1기 중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캠프(1박 2일) | |||
2010.07.19 | 제2기 중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캠프(1박 2일) | |||
2010.08.11 | 학교법인 송설당교육재단 김세영 명예이사장 별세 | |||
2010.08.14 | 중3 김영진 전국태권도 남자중학부 헤비급 2위 | |||
2010.08.28 | 영자신문 'The Songseol Herald' 창간 | |||
2010.08.28 | 고 학교홍보동영상 제작 완료 | |||
2010.09.06 | 고 정기대 중공사 준공 | |||
2010.09.10 | 재단법인 송설장학회 기본재산 12억으로 증자 | |||
2010.09.28 | 고 선진형교과교실 16동 준공(연건평 1983.9㎡, 2,859,332,866원) | |||
2010.10.08 | 대한민국 좋은학교박람회 참가(KBS시청자광장 : 10.08~10.10) | |||
2010.10.26 | 고 상담실 위클래스 및 입학홍보실 준공 | |||
2010.11.26 | 고 진학상담실 리모델링 | |||
2010.12.03 | 고 제5회 송설한마음 축제 | |||
2010.12.10 | 제67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2010.12.30 | 제3기 중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캠프(1박 2일) | |||
2011.03.01 | 자율형사립고 2기 입학식 및 삼일절 행사 | |||
2011.03.23 | 김천고, 아하경제신문과 자매결연 협약 | |||
2011.04.07 | 김천고, 경북대와 과학실험 심화과정 위탁교육 MOU 체결 | |||
2011.05.04 | 김천고 Scholastic Aptitude Test(SAT)와 Advanced Placement(AP) 시험 센터 지정 | |||
2011.05.06 | 개교80주년기념 제6회 송설한마음축제 | |||
2011.05.26 | 김천고 교주 최송설당여사 동상 제막식 및 제2 기숙사 기공식 | |||
2011.06.16 | 학교법인 송설당교육재단 제6대 송석환 재단이사장 취임 | |||
2011.07.09 | 김천 송설브라더스 '제10회 대한민국 독서토론' 단체전 최우수상 (고2 김형곤, 이명호, 최원혁) | |||
2011.07.22 | 고 김동탁 배드민턴 전국학교대항선수킨대회 혼합복식 3위 | |||
2011.07.23 | 제1회 대구 경북 송설교육가족 홈커밍데이 | |||
2011.08.04 | 송설학생자치법정 첫 개정 | |||
2011.09.01 | 김천중 24대 이병석 교장 취임 | 中 24 代 ◉ 이 병 석 | ||
2011.09.24 | 송설45회 졸업30주년 홈커밍데이 | |||
2011.10.12 | 김천중3 윤규호 제4회 전국수학교사모임 수학독서대회 장려상 수상 | |||
2011.10.12 | 김천중2 김광민 제4회 전국수학교사모임 수학독서대회 동상 수상 | |||
2011.11.13 | 김천중 제1회 수학문화축전 수학체험교실 운영 우수고 국립과학관장 표창 | |||
2011.11.20 | 제1회 대한민국 창의체험페스티벌/창의독서 PT대회 최우수상,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수상(고2년 김재환, 박성학, 서진형, 이완희, 최원혁) | |||
2011.12.03 | 인조잔디 운동장 준공 (8억5천만 원, 국제규격 축구장, 100m 4레인, 380m 2레인, 족구장, 배구장, 2면 농구대, 넓이뛰기장, 풋살구장) | |||
2011.12.09 | 제68회 내한 마라톤 실시 | |||
2011.12.24 | 'Happi-V 자원봉사 모범 인증학교' 선정 | |||
2011.12.30 | 백운관 기숙사 준공(54실 216명), 백운관 증축(21실 84명) | |||
2012.03.01 | 고 독립운동 숭고한 정신 잇자 3•1절에 입학식 및 백운관 준공식 | |||
2012.04.06 | 자율형 사립고 김천고등학교 교지 - 송설(재창간) | |||
2012.05.21 | 김천고 이정훈 - 제 17회 대한민국 학생 영어 말하기 대회 대상 수상 | |||
2012.06.04 | 김천중 1학년 황유성 군이 댄스스포츠로 전국대회 석권 | |||
2012.07.23 | 김천고 이정훈 - 2012 전반기 대한민국 학생 영어 말하기 대회 최고상 수상 | |||
2012.10.11 | 한경 NIE 경진대회 우수상에 김천고 ’S.S.E.N’ 선정 | |||
2012.10.24 | 김천고 예지관-건축가협회가 뽑은 올해의 건축 베스트 7에 선정 | |||
2013.04.22 | 중 25대 이경근 교장 취임 | 中 25 代 ◉ 이 경 근 | ||
2013.04.22 | 고 13대 이병석 교장 취임 | 高 13 代 ◉ 이 병 석 | ||
2013.05.08 | 김천중학교의 수학교실 운영 SBS 뉴스에 소개 | |||
2013.07.15 | 제12회 대한민국 독서토론논술대회 김천중 - 최우수, 김천고- 우수상 수상 | |||
2013.11.25 | 송설 47회 졸업30주년기념으로 모교에 쉼터와 철봉대 기증 | |||
2013.12.11 | 김천고 - 한국경제교육협회 NIE 경진대회에서 대상 수상 | |||
2013.12.02 | 김천중 외 2개교 제1회 김천청소년 팝스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 |||
2014.04.29 | 김천중고등학교 교문 증축 및 진입로 포장 준공식 | |||
2014.09.24 | 김천중 박원빈,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소프트웨어부문 중등부 대상 | |||
2014.10.16 | 경쟁 치열했던 한경 NIE 경진대회 대상 영예는 - 김천고 ‘SEC’ | |||
2014.10.22 | 김천고 ‘아름다운교육상’ 학교부문 최우수상 수상 | |||
2014.11.01 | 김천중 제2회 김천청소년 팝스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 |||
2014.12.03 | 김천고 전국청소년인성실천토론대회 교육부장관상 수상 | |||
2014.12.05 | 제 71회 내한마라톤 실시 | |||
2015.07.01 | 김천고 최도영 - 나라사랑 청소년 문예대전 최우수작 '부산의 이방인’ | |||
2015.07.01 | 김천고 겐트대 글로벌캠퍼스 화학·수학 경시대회 손명준 금상 | |||
2015.07.01 | 김천고 '나라사랑 청소년 문예대전'에서 최도영 산문부 최우수 교육부장관상 수상 | |||
2015.07.30 | 제6회 전국 고등학생 바이오안전성 바이오산업 토론대회 대상 (남창완, 문용우 산업통상부장관상) | |||
2015.08.11 | 김천고 제12회 전국고교생 자유공감 토론대회 자유대상-고2 김경목, 최민 | |||
2016.02.22 | 학림관 리모델링 | |||
2017.10.16 | 송림관 준공(47실 188명) | |||
2018.02.27 | 고13대 이병석 교장 퇴임 / 고14대 이경근 교장 취임 | 高 14 代 ◉ 이 경 근 | ||
2018.03.01 | 중26대 백승환 교장 취임 | 中 26 代 ◉ 백 승 환 | ||
2020.05.04 | 본관 국가등록문화재 제778호 지정 | |||
2020.05.04 | 구 과학관 국가등록문화재 제779호 지정 | |||
2020.09.01 | 중27대 장영수 교장 취임 | 中 27 代 ◉ 장 영 수 | ||
2021.02.22 | 고14대 이경근 교장 퇴임 | |||
2021.03.01 | 고15대 장영수 교장 취임 | 高 15 代 ◉ 장 영 수 | ||
2021.03.02 | 중28대 나영호 교장 취임 | 中 28 代 ◉ 나 영 호 | ||
2021.12.01 | 송설 개교90주년 기념 음악회 겸 제8회 김천청소년팝스오케스트라 공연 | |||
2021.12.03 | 제7대 김상근 재단이사장 취임 | |||
2023.01.30 | 송담관(다목적강당/특별활동교실)준공 | |||
2023.02.10 | 2022학년도 송설 제87회 졸업식(200명) | |||
2023.03.01 | 고16대 나영호 교장 취임 | 高 16 代 ◉ 나 영 호 | ||
2023.03.02 | 중29대 장영수 교장 취임 | 中 29 代 ◉ 장 영 수 | ||
2023.04.20 | 송담관 개관 | |||
2023.05.20 | 송설37회 졸업50주년 기념 홈커밍 행사 및 세심관 벽면 사인물 기증 | |||
2024.03.01 | 2024학년도 송설 제91회 입학식(253명) | |||
2024.09.01 | 고17대 박윤상 교장 취임/중30대 나영호 교장 취임 | 高 17 代 ◉ 박 윤 상 | 中 30 代 ◉ 나 영 호 | |
*상기한 내용은 2024年 9月 1日 기준임. **상기한 내용은 『송설60년사』및 『송설80년사』의 학교력 및 본교 홈페이지 학교 연혁를 참고하였음. ***문서 내 오타나 이전 시 오기로 인하여 정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 있음. 오류 발견 시 내용 확인 후 수정 요망. |
※ 일러두기
- 재단 명칭에 관해
설립 당시 재단법인 송설당교육재단(財團法人 松雪堂敎育財團)은 현재 학교법인 송설당교육재단(學校法人 松雪堂敎育財團)이다. 관례적으로는 학교법인 송설당교육재단을, 또는 김천중학교와 김천고등학교를 아울러 송설학원(松雪學院)이라고 칭한다. - 교명 변천에 관해
사립 김천고등보통학교 인가(1931.03.17) >> 조선총독부 교육령 개정에 의하여 사립 김천중학교 개칭(1938.04.01) >> 일제의 사립중학교 강제 패교(1943.03.31)로 공립 김천중학교로 전환(1943.04.01) >> 사립 김천고등학교 설립 인가(1951.09.22) >> 김천중학교 사립 환원(1953.02.18) - 기수제에 관해
일제강점기에 교육 연한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 학제(學制)가 수시로 개편되었고, 이에 따라 졸업을 기준으로 부여한 기수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해에 입학한 선후배가 같은 해에 졸업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혼란이 초래되었으며, 해방 후 김천중과 김천고로 분리 설치 당시 김천고등보통학교 기수를 승계하지 않고 김천고등학교의 졸업기수를 부여하는 등 잘못 적용되어 왔다. 과거에는 '김천중〇회, 김천고〇회' 와 같이 사용했으나 현재는 잘못 부여 받은 중·고등학교 횟수 사용을 지양하고 입학을 기준으로 '송설〇기(회)'와 같이 송설기수(松雪期數)로 통일하여 사용한다.[18]
아래 학교 연혁은 2024년 9월 1일 기준이다. 송설학원(김천고등학교와 김천중학교)의 보다 상세한 연혁은 상기의 송설학원연혁을 참조.
<rowcolor=#E3D28D><colbgcolor=#422874><colcolor=white> 연 월 일 | 내 용 |
1931.02.05 | 재단법인 송설당 교육재단 인가 (설립자 최송설당 여사) |
1931.03.30 | 초대 안일영 교장 취임 |
1931.05.09 | 김천고등보통학교 개교(5학급) |
1938.04.01 | 김천중학교로 개칭(6년제) |
1943.04.01 | 공립 김천중학교로 전환 |
1951.09.01 | 3년제 중학교(24학급)로 개편 |
1951.09.22 | 사립 김천고등학교 설립 인가(6학급) |
1953.02.18 | 공립 김천중학교 사립으로 전환 |
1957.01.20 | 제4대 김세영 재단 이사장 취임 |
1957.04.01 | 김천중·고등학교 병합 운영 |
1971.12.29 | 고등학교 24학급 인가 |
1979.11.01 | 고등학교 신관 3층(18교실) 준공 |
1981.05.09 | 중·고 분리 운영 |
1983.01.04 | 고등학교 30학급 인가 |
1990.09.01 | 청운료(기숙사) 준공(42실 168명) |
1996.10.19 | 청솔관 준공 |
1999.02.27 | 경상북도교육청 학교 기관평가 최우수교 표창 수상 |
1999.12.15 | 경상북도교육청 학교 생활지도 최우수교 표창 수상 |
2000.06.20 | 청운료 기숙사 별관 완공(24실 92명) |
2004.12.23 | 세심관 준공 |
2007.02.27 | 경상북도교육청 학교기관평가 최우수교 선정 |
2008.08.31 | 송설 역사관 개관 |
2009.07.15 | 자율형사립고 지정 |
2009.07.17 | 교과부 교과교실제 운영학교(A형) 지정 |
2010.09.28 | 예지관(선진형교과교실) 준공 (20실 규모) |
2011.05.30 | 제6대 송석환 재단 이사장 취임 |
2011.11.26 | 인조잔디운동장 준공 |
2011.12.30 | 백운관 기숙사 준공(54실 216명), 백운관 증축(21실 84명) |
2016.02.22 | 학림관 리모델링 |
2017.10.16 | 송림관 준공 (47실 188명) |
2020.05.04 | 본관 국가등록문화유산 제778호 지정 |
2020.05.04 | 구)과학관 국가등록문화유산 제779호 지정 |
2021.12.03 | 제7대 김상근 재단이사장 취임 |
2023.02.10 | 2022학년도 송설 제87회 졸업식(200명) |
2024.03.01 | 2024학년도 송설 제91회 입학식(253명) |
2024.09.01 | 제17대 박윤상 교장 취임 |
3. 학교 상징
학교 홈페이지와 플래너[19]의 내용을 참고한 부분이다.3.1. 교훈
3.2. 교장(校章)
|
▲ 김천고등학교 교장 |
1931년 3월 10일 학교 교장(校章)이 제정되었다. 창안자는 당시 수임5이사 중의 고덕환, 이한기 두 분이다. 이들은 송설(松雪)학원을 상징할 영원할 표상으로 교주 최송설 여사의 ‘설중송(雪中松)’ 같은 지조와 절개를 최대한 반영하였다. 전체적인 윤곽은 눈의 결정체인 육각형으로 삼고, 그 가운데 김천고등보통학교의 ‘高’자를 넣어 구심점을 삼고, 거기에다 각의 정점을 향해 빗살무늬처럼 솔잎을 형상시켜 송과 설을 조화시켰다. 볼록한 부분은 ‘高’자와 ‘솔잎 무늬’가 되는데 금색(金色)으로 하고 오목한 부분은 육각의 눈형상으로 백색이 되게 하였다. 소나무는 한국 자생종이며 산과 어울려 수려한 한국적 풍취를 나타낼 뿐 아니라 눈과 어울리면 가히 겉이 절색하고 속이 드러나는 천부적 조화체라 할 만하다. 육각형의 중앙에서 각기 각의 정상을 향해 부챗살 처럼 솔잎을 뻗쳐 올린 형상은 산과 소나무의 기운찬 모습이며 소나무와 눈의 수용적 어울림을 함축했다. 우리 민족은 소나무에서 겨울을 이기는 강인함과 변함없는 지조를 보았고, 백설에서 순수와 순결을 느껴온 만큼 송설을 교장으로 형상화한 것은 교주의 정신을 잇는 일이었다. 『송설80년사(松雪ハ十年史)』 발췌 |
3.2.1. 약장(略章)
|
▲ 송설학원 약장(略章) |
3.2.2. 문장(紋章)
하복은 셔츠, 동복은 마이(테일러드 재킷) 왼쪽 가슴 포켓에 김천고등학교 문장(紋章)이 오버로크방식으로 부착된다. 자율형 사립고 전환과 함께 교복이 변경됨에 따라 마련된 것으로, 2010년 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하복용 문장과 동복용 문장에는 색상 차이가 있으며 하복용 문장에는 동복용 문장과 달리 4분할된 격자 무늬가 있다. 교복에 한하여 패용되는 상징이며 기본적으로 방패형태에 백색의 송설 심볼과 아래에 개교년도를 배치하고 월계수잎으로 둘렀다. 상단에는 국문 교명을 적고, 하단에는 영문 교명을 띠 모양 속에 기재하였다. 자수(刺繡)재질로 되어 있다.송설 심볼이 흰색인 이유로는 색깔의 성질로 보아 가령 흰색이 순결을 의미하며, 교기인 청송백설기의 백설(白雪)에서 유래한 것이다. 월계수의 잎은 아래 이미지에서는 황동색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황금색이 정확하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휘장이나 문장에 사용되는 재료에서 온 것이며 예부터 금사(金絲)는 고귀하게 사용되는 재료여서 권위와 광명을 표시하는 색깔이다. 잎의 개수에는 특별히 의미가 없으며 다만 작도 상에서 온 것이다. 블레이즌(Blazon)으로서 배경이 되는 방패 모양은 고래로 서양에서 가문이나 종족, 국가 문장의 바탕으로 사용되어 온 것이다. 동복과 하복에 색상차이가 존재하나, 이는 교복과의 색 조화를 위함이다. 처음 문장을 제작할 때 미리 규격(비율)을 정한 다음 만든 것이 아니라 시각적으로 가장 조화된 것을 작도하였으리라고 생각된다. 따로 정확한 비율과 규격을 정해 놓지 않았다.
김천고등학교 문장(紋章), 와펜(Wappen), 혹은 패치(Patch)라고 일컫는다.
김천고등학교 문장(紋章) | |
하복용 문장 | 동복용 문장 |
| |
3.3. 교기
청송백설기 靑松白雪旗 |
|
그러나 현재 게양대에 걸린 고등학교 교기는 중학교 교기와 동일한 붉은 자주색 바탕의 교기를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교장실에 비치된 교기는 교표 디자인이 미묘하게 다르다. 교표 디자인과, 색상값을 정확히 통일하여 지정해 놓지는 않았기 때문에 시대가 변하며 교기를 제작할 때마다 그에 따른 디자인 차이가 있다.
김천고등보통학교 교기 | 김천고등학교 교기 | |
<rowcolor=#000000> 1935년 5월 9일 제정 | 고등학교 설립 이후 (흰 선 삭제) | 현재 (게양대 설치시 제작된 교기) |
| | |
※ 상기 이미지는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디지털 복원한 참고용입니다. 과거 실제 사용되었던 교기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3.4. 교화
진달래 杜鵑花 | Korean rhododendron |
|
교화 진달래는 한반도 전역에서 먼저 봄을 여는 꽃이다. 저절로 생육하는 번식력은 뿌리의 강인성과 적용성으로 안으로 다져진 생명력을 엿볼 수 있는 꽃이다. 봄을 맞아 잎보다 먼저 피는 분홍의 꽃잎은 맨 먼저 봄을 알리는 선구자이다. 이것은 바로 중등교육 불모의 이 땅에 그 씨앗을 뿌린 송설당 여사의 선구적 자세와도 통하는 바가 있다. 그 선구적 근면성과 겸양의 미덕을 본받고자 1976년 5월 9일 교화로 삼았다. 『송설80년사(松雪ハ十年史)』 발췌 |
- 첫째, 절로 자라 남 먼저 봄빛을 장식함으로 선구자적 자질을
- 둘째, 낱낱이 모여 하나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조화의 미와 수수로운 겸양의 미덕을
- 셋째, 한국인의 사랑을 받아온 전통적 정서를
- 넷째, 교훈(깨끗하게 부지런하게)과의 일맥 상통하는 특성을 지닌 꽃이기에 1976년 5월 9일 송설학원의 교화로 선정하였다.
여담으로, 원래 교내에 진달래 꽃이 많았으나 없어진 것을 2015년 초에 다시 심어 많아졌다. 원래는 교내에 진달래꽃보다 개나리도 엄청나게 많았는데 전부 잘라버렸다.
3.5. 교목
소나무 松 | Korean red pine |
|
교목 소나무는 김천고등학교와 매우 친한 나무다. 자생 능력 및 번식력이 강하여 바위틈에 뿌리를 내리고도 푸른 가지를 드리우는 의연함을 갖춘 십장생의 하나로 강인한 생명력을 상징하는 소재이다. 설립자 최송설당 여사는 '겨울이 되어도 타고난 성품을 바꾸지 않는 것은, 사물 가운데에 눈속의 소나무가 있는 까닭으로 나의 외람됨을 헤아리지 않고 이로써 호를 삼는다.(송설당 문집 권1, '송설당서')'라고 소나무를 예찬하였다. 『송설80년사(松雪ハ十年史)』 발췌 |
- 첫째, 늘 푸른 기상과 의지력을
- 둘째, 고고한 품성과 이타심을
- 셋째, 끝없는 발전에의 기약을
- 넷째, 교훈(깨끗하게 부지런하게)과의 상통점을
- 다섯째, 수혜와 보은에의 가교됨을 취하여 1976년 5월9일 송설학원의 교목으로 선정하였다.
3.6. 교가
{{{#!folding 교가 악보 [ 보기 · 접기 ] |
<nopad> |
▲ 송설 제1회 졸업생 기념 앨범에 수록된 교가 [21] |
변성기가 다 지난 남고생들이 2옥타브 미까지 음을 올려야 할 정도로 난이도가 만만치 않은데, 특히 문제는 그 높은 음이 연달아 나온다는 점이다. 거기에 나머지 부분도 음이 결코 낮진 않아서, 실제로 학생들이 교가를 부를 때면 상당히 힘들어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보통 1절만 부르는 대다수의 학교와는 달리 입학식 때 교가를 3절까지 완창하는 것이라도 유명하다. [24]교가
한 가지 아이러니한 것은, 일제에 대항해 세운 학교 교가의 작곡가 현제명이 친일반민족행위자 라는 것이다.[25] 다만 학교가 개교할 1931년에는 현제명의 친일 행각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그가 본격적으로 친일 행각을 시작한 것은 1937년부터로 개교할 당시엔 최송설당 측이 현제명의 친일을 알 수 없었을 가능성이 크다.덧붙여, 현제명은 서울대학교의 교가도 작곡했다...거기다 당시 교가를 작사했던 정열모, 다시 말하면 김천고등학교 2대 교장은 조선어학회 사건때 투옥되었던 당시 저명한 한글학자였는데 문제라면 해방 이후 월북해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북한의 문법 체계를 확립하는데 큰 영향을 끼친 사람이다.
그 외에도 '추모가'라는 제목의 교주(校主) 최송설당의 기일인 매년 6월 16일에 부르는 노래로 제 2의 교가라 할 수 있다. 1절과 2절이 있는데, 보통은 1절만 부르고 끝나 2절은 존재한다는 것도 모르는 학생이 다수이다.
3.6.1. 응원가
빛나는 송설의 이름을 걸고
있는 힘 다하여 싸워 이겨라
차차차 차차차
차차차차 이겨라
이겨라 차차
VICTORY VICTORY
송설학원 만만세
요즘은 응원가를 부르는 일이 없어 모르는 사람이 절대 다수지만 송설학원 응원가도 존재한다. 추모가는 1년에 한번씩 부르기 때문에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응원가는 역사속으로 잠들고 있다.있는 힘 다하여 싸워 이겨라
차차차 차차차
차차차차 이겨라
이겨라 차차
VICTORY VICTORY
송설학원 만만세
3.7. 교육 목표
김천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학생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인간상 또는 행동특성를 종합적으로 명시한 것이다. 또한 학교 교육 활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밝혀 주는 지향점과 학교가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 행동특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아래는 김천고등학교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내용이다.永爲私學 涵養民族精神
길이 사립학교를 육성하여 민족정신을 함양하라.
一人定邦國 一人鎭東洋
잘 교육받은 한 사람이 나라를 바로잡고, 잘 교육받은 한 사람이 동양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
克遵此道 勿負吾志
마땅히 이 길을 따라 지키되, 내 뜻을 저버리지 말라.
설립자 故 최송설당 여사의 유언이자 건학이념
길이 사립학교를 육성하여 민족정신을 함양하라.
一人定邦國 一人鎭東洋
잘 교육받은 한 사람이 나라를 바로잡고, 잘 교육받은 한 사람이 동양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
克遵此道 勿負吾志
마땅히 이 길을 따라 지키되, 내 뜻을 저버리지 말라.
설립자 故 최송설당 여사의 유언이자 건학이념
미래를 선도하는 창의적인 송설인 육성
교육지표
교육지표
열정 있는 교사 (Enthusiastic Teacher)
실력 있는 교사 (Competent Teacher)
헌신하는 교사 (Devoted Teacher)
송설 교사상 (Essential Qualities of Teachers)
실력 있는 교사 (Competent Teacher)
헌신하는 교사 (Devoted Teacher)
송설 교사상 (Essential Qualities of Teachers)
진취적인 창조인 (Pioneering Creatives)
실천하는 지성인 (Intellectuals with Action)
자율적인 봉사인 (Self-motivated Volunteers)
송설 학생상 (Desirable Students)
실천하는 지성인 (Intellectuals with Action)
자율적인 봉사인 (Self-motivated Volunteers)
송설 학생상 (Desirable Students)
올바른 생각과 이상을 추구하는 학생 (Idealistic)
꾸준히 학업에 열중하는 학생 (Dedicated)
깨끗하고 부지런한 학생 (Industrious)
건강하게 심신을 단련하는 학생 (Committed)
나와 이웃을 사랑하는 학생 (Altruistic)
송설인의 생활지표 (Motto)
꾸준히 학업에 열중하는 학생 (Dedicated)
깨끗하고 부지런한 학생 (Industrious)
건강하게 심신을 단련하는 학생 (Committed)
나와 이웃을 사랑하는 학생 (Altruistic)
송설인의 생활지표 (Motto)
3.8. 슬로건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666><tablebgcolor=#fff,#666> | 松雪 100週年 記念 슬로건 | }}} |
민족과 함께한 백년 송설 세계와 함께할 천년 송설 |
|
내가 송설의 주인이다 隨處作主 立處皆眞 |
4. 학교 특징
경상북도의 유이한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인 만큼, 전국뿐만 아니라 경북 지역에서 특히 많은 학생이 몰려든다. 2016학년도 신입생 선발에서 급격하게 경쟁률이 올라 일반 전형 기준으로 2.8: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나 2017학년도 신입생 선발에서는 전국 단위 경쟁률 2.4:1로 감소했다. 2018학년도 신입생 선발에서도 1.4:1의 경쟁률을 기록하여 큰 폭으로 감소했다. 2019학년도 신입생 선발에서는 광역단위 미달에 비해 전국단위 경쟁률이 1.7:1을 기록했다. 2020년에는 광역단위는 미달이였던 반면, 전국단위 에서는 정확히 2:1의 경쟁률이 나타났다. 2022학년도 신입생 선발에서는 전국단위 경쟁률 1.68:1, 광역단위 경쟁률 0.6:1 등으로로 전체 1.04:1의 경쟁률이 나타났다. 대체로 광역단위 경쟁률이 1 미만을 기록해 거의 매년 전국단위에서 교차충원을 통해 학생을 뽑고 있다.한 학년의 정원은 보통 270명대이며 김천시 중에서도 학교 근방에 거주하는 학생이 아닌 한 모든 학생이 기숙사 생활을 한다. 학교의 특색이라 할 수도 있는데 1학년은 30명씩[26] 한 반으로 꾸린다. 2, 3학년도 2016학년도부터 10반으로 늘려, 1학년 10반, 2학년 10반, 3학년 10반으로 총 30반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2021년 현재는 전학년 각각 8반씩 총 24학급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래서 부장급 교사와 예체능 교과 교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교사가 담임을 맡게 된다.
입학식이 3월 1일이다. 설립자의 설립정신 때문에 삼일절에 하는 것.[27] 그러나 학교교사들도 지방학교라 학부모 편의를 위한 것도 있다고 인정한다. 점심쯤 입학식을 시작하는데, 입학식이 끝나고 기숙사로 가서 짐을 풀고난 이후 학부모와 작별하고 야간자율학습를 시행한다.[28] 집이 먼 학생들은 학부모가 떠나고 나면 말 못할 감정을 느낄 때도 있다.[29]
학교 뒷산에 최송설당 여사의 묘가 위치해 있다. 산속에 있어서 예전에는 학교 건물에서 잘 보이지 않았으나, 어느날 나무를 싹 베어내고 나니 일부 교실에서 창문만 열면 보인다. 일부 교사들이 잠을 깨우는 용도로 활용한다.
자사고 지정 이후부터 휴대폰 없는 학교라는 문구로 외부 홍보까지 하고 있으며 실제로 휴대폰, 노트북 등에 대해 규제가 심한 편이다. 우선 휴대폰을 쓰고 있으면 교사들이 바로 압수해간다. 실제로 이 문구 때문에 자식을 김천고로 보낸 케이스도 존재한다. 물론 이런 식으로 규제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즐길 것 다 즐기고 쓸 것 다 쓰는 학생들의 비중이 늘어나기 마련인데, 이로 인해 웃지 못할 해프닝이 발생하기도 한다. 원래 태블릿 PC의 사용은 허용되었으나 2020년 신입생부터 사용이 전면 금지됐다. 화면과 키보드가 분리되는 노트북도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2023학년도부터는 다시 학습 용도로의 사용을 허가하고 있다.
한 동문의 기부에 힘입어 매일 한반당 2부씩 조선일보 신문이 배달되며, 이를 본교무실에서 수령하여 교실로 갖다놓는 신문 도우미도 각 반별로 한 명씩 있다.
5. 학교 시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천고등학교/시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천고등학교/시설#|]][[김천고등학교/시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학교 생활
6.1. 일과표
6.1.1. 평일
일정 | 시간 |
기상방송 | <colbgcolor=#ffffff,#191919> 06:30 |
등교마감 | 07:40 |
1교시 | 08:10~09:00 |
2교시 | 09:10~10:00 |
3교시 | 10:10~11:00 |
4교시 | 11:10~12:00 |
점심시간 | 12:00~13:00 |
5교시 (창체)[30] | 13:00~13:50 |
6교시 | 14:00~14:50 |
7교시 | 15:00~15:50 |
종례 및 청소 | 15:50~16:10 |
8교시 | 16:10~17:00 |
9교시 | 17:10~18:00 |
저녁시간 | 18:00~19:10 |
야간 자율학습 1교시 | 19:10~20:40 |
야간 자율학습 2교시 | 21:00~22:30 |
점 호 | 22:50 |
청소점호[31] | 23:10 |
소등방송 | 23:50 |
1교시부터 4교시까지 오전 수업 후 점심을 먹고, 5교시부터 9교시까지 오후 수업을 듣고 저녁을 먹은 이후 야간자율학습을 진행한다. 보통 1~7교시는 수업 시간, 8~9교시는 방과후수업으로 진행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야간자율학습은 1, 2교시로 이루어져 있다. 야자 1교시는 19시 10분경부터 20시 40분까지, 2교시는 21시경부터 22시 30분 까지 진행된다. 교육청 모의고사나 사설 모의고사, 대수능 모의평가 등의 시험을 치른 날의 야간자습 역시 정상적으로 위 시정에 맞추어 진행하며, 국경일, 법정 공휴일, 선거일 등은 일요일 시간표에 맞추어 일정을 진행한다.
야간자습 시정은 본래 3교시(23시 30분)까지였으며, 학생들이 많은 피로와 고통을 호소하고 집중력 저하 등을 이유로 단축을 요구하여 종료 시간이 22시 30분으로 앞당겨지게 되었다.[32]
6.1.2. 토요일
일정 | 시간 |
기상방송 | <colbgcolor=#ffffff,#191919> 07:00 |
등교마감 | 07:50 |
오전 자율학습 1교시 | 08:10~09:50 |
오전 자율학습 2교시 | 10:20~12:00 |
점심식사 및 자유시간 | 12:00~19:10 |
야간 자율학습 1교시 | 19:10~20:40 |
야간 자율학습 2교시 | 21:00~22:30 |
점 호 | 22:50 |
소등방송 | 23:50 |
어떤 학생이 "토요일은 어차피 8시까지 등교인데 왜 굳이 7시 40분까지 나가게 하느냐"는 문의가 기숙사 연구부장에게 들어가 평일과 다르게 토요일엔 기상 시간이 6시 30분에서 7시로 바뀌고 7시 50분-8시까지 등교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주중과는 다르게 "송학연"이라는 이름의 학습동아리 활동을 진행하며, 시험기간에는 자습을 한다. 12시 정각부터 19시 10분까지는 자유시간이다. 이 시간만큼은 학생 본인이 뭘 하든 학교에선 전혀 터치하지 않기때문에 학교 바깥으로 나갔다와도 된다. 학교에 남아서 공부하는 학생들도 소수 있지만 주로 동아리 활동이나 여가, 휴식, PC방을 즐기거나 집이 가까운 학생들은 잠깐 집에 다녀오기도 한다.[33] 혹은 부모들이 직접 학교로 찾아와서 자식들과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34] 정말 열정인 학생은 이시간에 주변 대도시(구미시,대구광역시 등등)의 학원을 가기도 하는 등 자기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자유시간을 즐긴다. 자유시간 이후에는 야간자율학습이 있으며, 시정은 평일과 동일하게 운영한다.
토요일 일정은 오전자습(송설학술연구), 자유시간, 야간자율학습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전자습은 8시 정각부터 12시 정각까지 진행하며 총 2교시로 나뉘어 있다. 학생들은 A팀과 B팀으로 나누어 1교시에 A팀이 송학연[35]을 진행하고 B팀은 예지관에서 자습을 한다. 2교시 활동은 거꾸로 생각하면 된다. 이후 12시 정각부터 19시 10분까지 자유시간이 주어진다. 자유시간에는 본인이 뭘 하든 학교에서 전혀 터치하지 않는다. 심지어 학교 바깥으로 나가서 놀다와도 된다. 사실 자유시간이 7시간 10분씩 주어지나 토마독이나 수행평가를 하다 보면 자유시간이 사라지는 마술이 발생하는 일이 다반사다.
6.1.3. 일요일, 공휴일
일정 | 시간 |
기상방송 | <colbgcolor=#ffffff,#191919> 08:00 |
자유시간 | 08:00~13:00 |
오후 자율학습 1교시 | 13:00~14:50 |
오후 자율학습 2교시 | 15:10~17:00 |
저녁식사 및 자유시간 | 17:00~19:10 |
야간 자율학습 1교시 | 19:10~20:40 |
야간 자율학습 2교시 | 21:00~22:30 |
점 호 | 22:50 |
청소점호 | 23:10 |
소등방송 | 23:50 |
일요일은 아침에 자유시간이 주어지고 오후자습과 야간자습으로 진행된다. 종교의 자유를 보장해주기 때문에 오전은 종교활동을 하러 학교 바깥으로 나가도 아무 상관없다. 본인의 종교가 개신교나 가톨릭의 경우 오전에 김천시내에 위치한 교회나 성당에 다녀오면 된다.
당연히 오후 자습 시작하기 전까지 계속 숙면을 취해도 상관없다.[36] 오후자습은 1,2교시로 이루어져있고 1교시 13시 10부터 14시 50분, 2교시 15시 20분부터 17시 정각까지 진행된다. 야간자습은 평일과 같다.
아침부터 13시 10분까지는 오전 자유시간이다. 아침식사 시간인 8시에 알람을 울려 깨워준다. 평소와는 다르게 노래가 나오지 않고 한번만 방송을 해서 못 듣는 경우가 많으니 아침을 꼭 먹고 싶다면 알람설정을 해두자. 기숙사 출입문은 보통 12시 50분 경에 일괄적으로 폐쇄하니 그 전에는 나와서 학교로 이동해야 한다.
아무래도 오전이 기상방송 자체를 하지 않는 자유시간이다보니 아침을 먹지 않고 그냥 퍼질러 자는 학생들이 많다. 하긴 김천고 생활이 잠이 부족할 수밖에 없으니... 종교가 있는 학생들은 그 시간에 종교활동을 한다[37][38] 그 이후로 점호 없이 바로 오후 자습을 17시 정각까지 진행한 후, 19시 10분까지 저녁시간이 주어진다. 이후 22시 30분까지 야간자율학습을 진행한 후 기숙사로 복귀하여 점호를 한다. 기숙사 정기 청소 날이기 때문에 보통 인원 확인점호 20분 후 청소 확인점호를 또 한다.
설날과 추석 등 명절 기간을 제외한 공휴일에도 야자는 계속된다.[39] 휴일에는 무조건 일요일 시간표로 진행한다고 생각하면 된다.[40] 한 교사의 말에 따르면 김천고 역사상 명절 기간을 제외한 야자가 없었던 날은 단 하루도 없었다고 한다. 즉 1년 365일 모두 했다는 뜻. 심지어 2016년 경주 지진과 2017년 포항 지진이 났을 때도 했다. 단, 고산등반에 갔다 온 날은 제외이다.[41]
6.2. 문과와 이과
이과에 비해 문과생이 내신 따기 힘들다고 한다. 왜냐하면, 문과는 전교생 50명 정도 뿐이기 때문에 문과 1등급은 1-2명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때는 여기 학교에서 문과를 박멸하려 했다는 내용이 적혀있었으나, 다른 고등학교와 다를 바 없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문과가 상대적으로 비선호될 뿐이며[42], 학교 측에서 고의적으로 문과를 멸시하거나 축소시키려는 움직임은 전혀 없다. 오히려 대회나 여러 프로그램의 경우 문과성향의 행사와 이과성향의 행사의 비중이 비슷한데 비해 이과학생의 수가 월등히 많아서 이과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도 있다.오히려 세심관에서 듣는 진로 강의를 들을 때는 주로 문과 출신의 직업인들이 많이 와서 이과 학생들의 반응이 좋지 않았다. 사실 문과 출신의 직업인들이 많이 왔다기보다는 문이과 학생들의 비율이 5:1 정도인데 비해 직업인들의 비율이 1:1 정도라서 상대적으로 그렇게 보이는 것 뿐이다. [43] 김천고의 전성기인 60~80년대 30기~50기 시절에는 문과가 이과에 밀리지 않을 정도로 꽤나 잘 나갔고, 그당시 문과를 졸업한 동문들이 지금 50대 중후반으로써 각종 기업의 높으신 분들이라 그런 것도 있다. 여담으로 모 인터넷 강의 사이트의 유명 영어 강사가 김천고를 방문해 학생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었다.
2018년 이후 이과와 문과 학생들이 서로 같은 반에 소속되었다. 그러나 수업반[44][45]에선 문과와 이과를 나누어서 수업하였다. 2019년 이후로 수업반 제도는 폐지되었으며, 1학년 학생들의 경우 문과와 이과가 함께 수업을 듣게 되었다. 그러나 2024학년도 2학년의 경우 인원수가 많아 행정반-수업반 제도를 일시적으로 다시 도입해 적용하고 있다.
6.3. 방과후 수업(보충수업)
2학년 1학기 이후, 일주일에 각 3시간씩 수강하는 선택 교과 이외에도 1, 2학년 모두 학교에서 진행하는 필수 방과후를 이수해야 한다. 필수 방과후 수업은 생활기록부에 이수단위가 기록되지는 않으나 대개 시험 범위에 포함되는 교재 범위의 진도를 나가기에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시간이다. 학생들 사이에선 자신에게 꼭 필요한 강좌가 정작 거의 없다거나 의무 이수가 귀찮다는 평이 많다. 실제로 입학 후 시간이 점점 지날수록 방과후 수업에 대해 좋은 생각을 갖는 학생들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예전의 경우 선택교과와 선택방과후를 통틀어 자습 제외 수업을 최소 지정 시간 이상을 들어야 하게끔 되어있다. 아예 듣지 않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는데 2018년 1학기에는 복도에 이러한 제도를 반대하는 익명 대자보가 A4 용지에 인쇄되어 여러 군데에 게시되어 학교 내에서 화제가 되었는데, 이를 계기로 조금이나마 완화되긴 했다.
6.4. 기숙사 일과표
일정 | 시간 |
기상방송 | <colbgcolor=#ffffff,#191919> 06:30 |
세면 및 조식 | 06:30~07:40 |
등교마감 | 07:40 |
학교일과 | 08:10~22:30 |
점 호[46][최근] | 22:50 |
소등방송 | 23:50 |
심야자습[48] | 익일 00:50 |
6.4.1. 외박
전교생 기숙사 생활을 하기 때문에 외박제도가 존재한다. 외박은 정기외박과 선택외박이 있다. 외박은 금요일 일과 종료 후 나갈 수 있으며, 일요일 귀사 점호 이전까지 복귀하면 된다. 선택외박은 부모님이 먼저 김천고등학교 전용 리로스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하고, 이후 담임교사의 승인을 받아 나갈 수 있다.정기외박은 학교에서 지정한 의무 외박, 즉 반드시 집에 가야 하는 외박일이다. 학교력 맨 오른쪽 '기숙사 귀가일' 란에 일정이 자세히 나와 있어 확인할 수 있다. 김천고 기숙사 재학생 500~600명이 한꺼번에 외박을 나가니 정기외박일에는 특히나 열차편 예매 경쟁이 치열하다[49] 상식적으로 원래도 절반 이상은 채우는 열차 하나에 최소 100명에서 2~300명이 몰려드니 매우 신속하게 매진되며 최악의 경우에는 입석으로 가게 될 수도 있다. 비록 외박시간에 맞춰 택시들이 정문에 줄을 서나 워낙 학생들이 많아 택시 잡기 경쟁도 벌어진다. 그래서 짐이 적거나 없다면 시내버스를 타기도 한다. 김천공용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를 탈 수도 있지만 배차간격이 굉장이 긴 편이다. 부모님이 마중을 나와 부모님 차를 타고 가는 학생들도 다수 있고 부모님들이 돈을 모아 관광버스를 대절해 같은 지역 학생들이 같이 타고 가는 경우도 있다.
금요일에는 학생들이 매우 긍정적이지만 일요일에는 어둑어둑한 밤에 비까지 추적추적 내리는데 무거운 캐리어를 질질 끌면서 기숙사로 걸어 들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7. 학교 교육과정
7.1. 1학년
1학년은 인문계열, 자연계열이 공통과목을 함께 학습한다. 별도의 문이과 구분은 없다.7.1.1. 2015 개정 교육과정
아래는 2024학년도 김천고등학교 교육과정편성표를 참고한 내용이다. 9등급제에 따라 석차등급이 산출되는 과목만 표기하였다.교과목 | 단위수 |
국어 | <colbgcolor=#ffffff,#191919> 3 |
수학 | 6 |
영어 | 6 |
통합사회 | 3 |
통합과학 | 3 |
한문 I | 2 |
제2외국어[50] | 2 |
7.1.2. 2022 개정 교육과정(고교학점제)
아래는 2025학년도 김천고등학교 교육과정편성표를 참고한 내용이다. 5등급제에 따라 석차등급이 산출되는 과목만 표기하였다.교과목 | 학점수 |
공통국어 1 | <colbgcolor=#ffffff,#191919> 4 |
공통국어 2 | 4 |
공통수학 1, 2[51] | 6 |
대수 | 4 |
공통영어 1 | 4 |
공통영어 2 | 4 |
한국사 1[52] | 3 |
한국사 2[53] | 3 |
통합사회 1 | 3 |
통합사회 2 | 3 |
통합과학 1, 2[54] | 6 |
과학탐구실험 1, 2[55] | 2 |
생명과학/지구과학 | 3 |
체육 1 | 2 |
체육 2 | 2 |
음악/미술[56] | 3 |
한문[57] | 3 |
7.2. 2학년
2학년부터는 인문계열, 자연계열에 따라 반을 나누어 수업하게 된다. 보통 문과가 뒤 2반 정도를, 이과가 나머지 반을 사용한다. 2025학년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에 따라 이와 같은 제도에도 일부 변화가 발생한다.7.2.1. 2015 개정 교육과정
아래는 2024학년도 김천고등학교 교육과정편성표를 참고한 내용이다. 9등급제에 따라 석차등급이 산출되는 과목만 표기하였다.교과목 | 단위수 |
문학[58] | <colbgcolor=#ffffff,#191919> 4 |
언어와 매체[59] | 4 |
수학 II[60] | 4 |
미적분[61] | 4 |
영어 I[62] | 4 |
영어 II[63] | 4 |
한국사[64] | 1 |
과학탐구[65][66] | 4 |
7.2.2. 2022 개정 교육과정(고교학점제)
7.3. 3학년
7.3.1. 2015 개정 교육과정
아래는 2024학년도 김천고등학교 교육과정편성표를 참고한 내용이다. 3학년의 경우, 9등급제에 따라 석차등급이 산출되는 과목이 매우 적어 절대평가 과목을 함께 표기하였다.과목구분 | 교과목 | 단위수 |
일반선택 | <colbgcolor=#ffffff,#191919> 독서[67] | <colbgcolor=#ffffff,#191919> 4 |
일반선택 | 확률과 통계[68][69] | 4 |
진로선택 | 경제수학[70] | 4 |
진로선택 | 심화수학 I[71] | 4 |
진로선택 | 심화영어 I[72], 심화영어독해 I[73] | 4 |
진로선택 | 심화영어 II[74], 심화영어독해 II[75] | 4 |
기초 | 한국사[76][77] | 2 |
진로선택 | 과학탐구 II[78] | 4 |
진로선택 | 여행지리 | 2 |
진로선택 | 제2외국어 독해와 작문[79][80] | 1 |
7.3.2. 2022 개정 교육과정(고교학점제)
8. 학교 프로그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천고등학교/프로그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천고등학교/프로그램#|]][[김천고등학교/프로그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태권도부
2023년 1월을 기점으로 김천고등학교 태권도부가 설립되어 더 이상 타 학교로 전학하지 않고도 태권도 선수 생활을 고등학교까지 이어갈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입학전형에도 태권도 특기자 전형이 신설되었다. 2023학년도에 총 2명의 학생이 특기자 전형을 통해 김천고등학교에 입학해 선수 생활과 학업을 병행한 것을 시점으로 김천고등학교 태권도부가 막을 올렸다. 현재는 매년 광역단위 일반전형에서 7명의 모집인원을 체육 특기자 전형으로 분류해 별도로 선발하는 중이다.10. 출신 인물
- 강중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 前 일산차병원장, 건강보험 일산병원장
- 고우진 : 前 국회의원
- 고창준 : 現 육군참모총장 직무대행 (송설 51회)
- 김기옥: 前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
- 김명수: 現 합동참모의장 (송설 49회)
- 김언성: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관
- 김범찬: 시대인재 N재수종합 수학 강사
- 김병우: 前 충청북도교육감
- 김세환(1962)
- 김연수: 소설가
- 김응규: 前 경상북도의원
- 김충섭: 現 김천시장
- 김태훈: 前 프로게이머, 현 공무원
- 김한선
- 나기보
- 남승인: 前 대구교육대학교 총장
- 도더리[81]
- 문태준: 시인
- 미키광수: 개그맨
- 박건찬: 現 주후쿠오카 총영사, 前 경북지방경찰청장
- 박선기: 前 국방부 법무관리관(예비역 소장), 국제형사재판소 재판관
- 박용만
- 박희재(군인)
- 배기철: 前 대구광역시 동구청장
- 백낙종
- 서광훈: 뮤직비디오 감독
- 성백영: 前 경상북도 상주시장
- 성창훈: 제25대 한국조폐공사 사장
- 송승호
- 여환섭: 前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
- 우신구
- 윤사섭: 아동문학가. 김천고 교사 역임.
- 윤창욱
- 이병화: 대통령비서실 기후환경비서관
- 이상훈: 해군 제독 (송설 47회)[82]
- 이인배
- 이재하: 김천 상무 FC 대표이사 (송설 46회)
- 이목희: 前 국회의원,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 이선중
- 이안삼: 가곡 작곡가. 김천고 교사 역임.
- 이재옥
- 이종대: 유한킴벌리 초대 회장
- 이창재: 前 김천시 부시장
- 이철우: 現 경상북도지사, 前 국회의원
- 이홍기: 前 제3야전군사령관
- 임인배: 前 국회의원
- 임호영: 정치인, 前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 정광웅: 육군 소장 (송설 54회)
- 정희용: 現 국회의원
- 조상명: 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장
- 조용진(1979)
- 주동민: 前 SBS PD
- 진현환: 국토교통부 제1차관
- 최상화
- 하대경
- 허영구: 2020년 의료진으로서는 처음으로 코로나 19에 감염되어 숨진 의료인. (송설 42회)
- 홍성규(1948)
- 황태성
11.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11.1.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김천중고교(14663)
||
지리적으로 김천 구도심과 굉장이 가까워 버스노선도 풍부한 편이다.그랜드호텔 방면 | |
일반버스 |
11.2. 철도
김천역[83]이 학교 정문을 기준으로 약 2km 이내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김천고 앞에 정차하는 모든 버스가 김천역 방향으로 향해 역까지 이동하는 데 큰 불편은 없다. 친구들끼리 택시를 타고 가도 버스비와 거의 비슷한 수준의 요금으로 갈 수 있다. 다만 김천시의 경부고속선 KTX 역인 김천(구미)역은 거리상으로는 그렇게 멀지 않으나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가 불편하다. 김천공용버스터미널에서 김천구미역 방향 버스로 환승하는게 그나마 낫다. 또는 친구들과 돈을 모아 택시를 잡으면 1인당 5,000원 내외로 아주 편안하게 갈 수 있다.12. 사건 사고
제도권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
- 2015년 5월 4일 본동 2층의 과학준비실에서 화재가 발생해 21,000,000₩(이천백만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기사 이 때 과학준비실에서 좀 떨어진 화학실에서 친구들과 야구동영상을 보고 있던 학생에 의하면 그걸 보던 중 함성 소리가 들리며 매캐한 냄새가 났고 이에 밖에 나가보니 불이 나고 있었다고 한다.[84] 실제로 소방차가 오기 전까지 체육대회 때문에 운동장에 있던 학생들은 불이 났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 2017년 2월 중순 경 학교 측에서 한국사 국정교과서 연구학교 지정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이 언론을 통해 학생들에게 전달되며, 학생들은 우려하기 시작했다. 연구학교 신청 마지막날인 2월 17일에는 결국 일이 크게 터졌다. 교사들과 학부모들은 계속해서 전산실에 있는 교장을 설득하며 대치 상태를 이어갔고, 학생 100~200명은 대강의실에서 국정교과서 반대 자유발언을 이어갔다. 또한 야자시간에는 일부 학생들이 전산실이 있는 청솔관 앞에서 교가를 부르며 시위했다. 결국 오후 9시경 교장이 포기 선언을 했으며, 학생, 교사, 학부모의 힘으로 큰일을 막을 수 있었다. 기사
- 2021년 8월 말 학교에 코로나 19 확진자가 20명 이상 발생했다. 1학년 학생이 발열 등 의심증상을 보여 검사를 진행한 결과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23일 오후에는 학교에서 전수검사를 진행했고, 밀접 접촉자를 선별해 예지관에 격리시켰다. 또한 당일 저녁까지 모든 1학년 학생을 귀가조치했고, 다음날 24일에는 2학년 학생을 전부 귀가조치했다. 기사
- 2022년 3월 중순 경까지 전체 재학생 중 19퍼센트에 달하는 120여명의 학생들이 코로나 19 확진판정을 받았다. 학기 초반인 3월 3일에 시행한 코로나 19 전수검사에서는 극히 일부가 확진판정을 받았지만, 신종 오미크론 변이의 높은 전파력으로 인해 전수검사를 시행한 이후 학교에서 밀접접촉자를 포함한 유증상자에게 자가진단 키트를 사용해 검사하도록 하였고, 검사에서 양성 판정이 나온 사람을 사람을 B-3교실에 격리시킨 후 귀가조치했다. 기사
- 2023년 3월 1일 11시 40분 쯤 급식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점심 준비를 하던 중 1번 가마솥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소방대원들이 긴급 출동하여 12시 5분쯤에 화재가 진압되었다. 급식실은 3학년 기숙사인 청운관과 맞닿아 있으며, 화재로 인하여 모든 학년의 귀사가 3월 12일로 2주 정도 연기되었다. 기사
13. 기타
1984년 대학입학 학력고사에서 전국 수석을 배출하였다. 당사자는 332점으로 서울대학교 의예과에 진학하였다. 역대 학력고사 수석 목록은 문서 참고.90년대 중반까지 여교사가 1명도 없었다. 당시 재직 교사의 발언에 의하면 의도적으로 여교사의 선발을 피해왔다는 증언이 있었다. 1996년에 1명, 1997년에 2명을 시작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한국 전쟁 중 본관 혹은 지금은 유실된 최송설당 여사가 거주했던 기와집[85] 북한 인민군의 기갑부대 시설로 쓰였다는 말이 있으며,[86] 또한 행정실이 있는 구 건물[87]의 건물 상단 부분의 벽돌벽에 드문 드문 시멘트로 땜빵한 자국이 있는데 이는 한국전쟁 당시의 총탄 흔적이라고 한다.
장학퀴즈 학교에 가다: 전국 고교 퀴즈 배틀에서 예선 2위로 Top10 본선에 진출하였다. 송설84기 학생들(2018년 2학년)로 구성된 팀으로 2017년 당시 기준 본선 팀중 유일한 1학년으로 구성된 팀이었다.
2018년 송설총동창회 송석환 이사장의 초청으로 서로 각별한 관계인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세심관에 방문해 강의를 해주었다. 그 어느 때와 달리 학생들이 모두 일어서서 환영했다. 사실 방문 전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실인 것을 알고는 깜짝 놀라는 반응이었다. 하지만 방문 후 대부분의 학생은 잠을 자거나 연설내용에 두서가 없다고 평했다. [88] 또한 고질적 단점으로 지적 받던 우유부단한 리더십을 스스로 감싸려는 말만 늘어 놓은 채 실질적으로 도움되는 내용은 없었다는 평이 많았다.[89] 이날 기념식수와 기념비 제막식도 했는데 "기문 트리"라는 귀여운 별명이 생겼다. 이날 학교에서 학생들이 보기에 불만을 가질만한 행동을 많이 보였는데 학생들은 평소에 교정 미관에 도움이 되기도 하는 개교 60주년 기념비 근처 분수대가 한번도 작동하지 않다가 이날 학교의 분수대가 작동하는 것을 처음 봤을 것이다. 학생들이 그토록 원했던 총장의 급식실 식사가 이루어졌었다. 사진에서 보이다시피 그날 메뉴는 삼겹살이었고, 또 학생들이 불만스러워했던 점은 학생들은 기다리느라 다 식은 삼겹살을 먹어야 했지만 총장과 관계자들에게는 따끈따끈하게 보관된 삼겹살이 전달되기도 했다.
정말 예전 일이지만 현재 백운관으로 올라가는 길에서 잘 보면 백운관 오른쪽의 움푹 파인 곳은 원래 수영장이다[90]. 1936년 학생들에게 수영을 가르치기위해 고성산에서 흘러나오는 계곡물을 모아 수영장을 만들었다. 하지만 전쟁이 끝난 후 안전상의 문제로 사용하지 않게 됐다.
2017년부터 매년 오리들이 김천고로 와서 둥지를 만든다. 학림관 앞 연못이나 기와집 앞쪽 연못이 장소가 되며 적당히 시간이 흐르면 인근의 직지천으로 떠나는데, 2017년에 어느날 갑자기 새벽에 오리들이 사라져 CCTV로 찾아보니 운동장에서 고양이의 습격을 받은(...) 영상만이 남아서 2018년에는 학생들을 동원해 연못을 포위하고 그물로 오리들을 생포해 직접 직지천으로 데려다 줬다고 한다[91].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의 강연 및 방문 기념으로 '기문 트리'를 심었다. 어째선지 이 기문 트리가 주황색으로 병들어가고 있다.[92] 아마 소나무 근처에 심은 것이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결국 2019년 5월 2일에 주황색으로 병든 이 기문 트리를 뿌리째 뽑아내고 그 자리에 새로운 기문 트리를 심었다!
김천고등학교가 2019년 6월 9일 tvN 프로그램 고교급식왕에 출연하였다. 234팀 중 살아남은 8팀 중 2팀의 대결을 학생들이 평가를 해주어 승리 팀을 선정한다. 1화에서는 김천고등학교의 소개와, 급식실 내부 정도가 공개되었고 2019년 6월 15일에 방영된 2화에서 김천고등학교의 대부분 모습이 공개되었다.학교 주변에 KTX 선로와 일반 선로가 있어 기차 소리가 많이 들린다. 특히 KTX나 SRT가 지나갈 경우, 비행기가 이륙하는 소리가 들린다. 조금 고지대에 가면 지나가는 고속열차와 일반 선로의 디젤기관차와 무궁화호, 그리고 ITX-새마을, ITX-마음 등 일반열차 역시 볼 수 있다.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학생의 외출 및 외박이 전면 금지 당했다. 7월 11,12일에는 자유시간에 외출이 허용되었다. 드디어 학생들은 편의점 이용 및 외식 불가로 불만이 많다고 한다.[93] 그렇게 느슨해졌다가 2021년 4월 경에 교육부와 경상북도 교육청에서 실시한 감사에서 외출 및 외박이 가능한 점이 지적되어 다시 전면 금지되었다. 물론 그 와중에도 나갈 사람은 다 나간다. 현재 외출 및 외박은 정상적으로 허용되고 있다.
1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5ead><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5ead>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7F7F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초등학교 | |||
고령초등학교 | 구미원당초등학교 | 김천부곡초등학교 | 대교초등학교 | |
모전초등학교 | 봉계초등학교 | 봉성초등학교 | 봉황초등학교 | |
북삼초등학교 | 산북초등학교 | 상주중앙초등학교 | 성암초등학교 | |
양서초등학교 | 예천동부초등학교 | 옥계동부초등학교 | 유림초등학교 | |
청도초등학교 |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 포항제철초등학교 | 풍기초등학교 | |
현곡초등학교 | ||||
중학교 | ||||
금호중학교 | 명인중학교 | 신광중학교 | 영광여자중학교 | |
영광중학교 | 영양중학교 | 울진중학교 | 초전중학교 | |
고등학교 | ||||
경북과학고등학교 | 경산과학고등학교 | 구미고등학교 | 김천고등학교 | |
봉화고등학교 | 선덕여자고등학교 | 영주여자고등학교 | 영천전자고등학교 | |
오천고등학교 | 포항이동고등학교 | 한국펫고등학교 | 함창고등학교 | |
후포고등학교 | ||||
특수학교 | ||||
경희학교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고등학교 |
김천고등학교 | |
중학교 | |
김천중학교 |
일제강점기 조선의 고등보통학교 高等普通學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fff><colbgcolor=#062861><colcolor=white> 인가연도 | 고등보통학교 | 여자고등보통학교 | |
1911년 | <colcolor=black,white> 관립경성고등보통학교, 관립평양고등보통학교, 사립함흥고등보통학교 | <colcolor=black,white> 관립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사립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 ||
1912년 | 사립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
1913년 | 사립양정고등보통학교 | |||
1914년 | 관립평양여자고등보통학교 | |||
1915년 | ||||
1916년 | 관립대구고등보통학교, 사립배재고등보통학교, 사립동래고등보통학교 | |||
1917년 | 사립보성고등보통학교, 사립송도고등보통학교 | |||
1918년 | 관립함흥고등보통학교, 사립휘문고등보통학교, 사립광성고등보통학교 |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호수돈여자고등보통학교 | ||
1919년 | 관립전주고등보통학교 | |||
1920년 | 사립오산고등보통학교(고창), 사립광주고등보통학교 | |||
1921년 | 관립경성제2고등보통학교, 관립신의주고등보통학교, 사립중앙고등보통학교 | 사립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 ||
1922년 | 관립광주고등보통학교, 관립동래고등보통학교, 관립경성(鏡城)고등보통학교, 관립해주고등보통학교, 관립공주고등보통학교 | |||
1923년 | ||||
1924년 | 관립청주고등보통학교, 관립춘천고등보통학교 | |||
1925년 | 관립진주고등보통학교 및 全관립고보를 공립 이관 | 全관립여고보를 공립 이관 및 사립배화여자고등보통학교, 사립일신여자고등보통학교(부산), 사립루씨여자고등보통학교 | ||
1926년 | 사립오산고등보통학교(서울) | 대구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사립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 ||
1927년 |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부산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
1928년 | 공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
1929년 | 사립영생여자고등보통학교 | |||
1930년 | ||||
1931년 | 사립김천고등보통학교, 사립영생고등보통학교 | |||
1932년 | 해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
1933년 | ||||
1934년 | ||||
1935년 | 함흥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나남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
1936년 | 안주공립고등보통학교 | 신의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
1937년 | 대전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 |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대한민국 운영기관 The Duke of Edinburgh’s International Award |
|
봄/여름/가을/겨울[94] |
[1] 인조잔디로 이뤄진 운동장은 국제 규격을 따라 공식 경기가 가능한 축구장으로 김천시에서 예산을 보태줘서 6~7월에 고등학교 축구 대회의 경기장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물론 운이 없어 팀의 연습 시간과 체육 시간이 겹칠 시 엄청난 짜증을 유발한다.[2] 운동장에는 응급 환자 운송을 위한 닥터헬기가 착륙 가능하며 해당 내용을 담은 표지가 세심관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3] 현재 학림관 좌측 하얀색 건물인 탁구실 자리에 세븐일레븐이 들어섰다.[4] 현재 테니스장 우측 다목적강당인 송담관이 들어섰다.[5] 개교 당시 명칭은 '김천고등보통학교' 였으며, 과거 2월 5일이 개교일이라는 서술이 있었으나 2월 5일은 재단법인 송설당교육재단이 인가된 날이다.[기준] 2024년[기준] [8] 前 김천고등학교 교감.[9] 前 김천고등학교 교무부장.[10] 여운형이 학교 설립 당시 한 말이다. 대학 입시 결과가 좋지 않았던 시절에는 '오아시스가 다 말라버렸다.'라고 드립을 치기도 했다.[11] “김천에 들어와서 우리의 생명탑이라 할 만한 이 고등보통학교가 뚜렷이 서 있음을 발견하매 '오아시스'를 만남과 같아서 얼마나 반가운지 깨닫지 못하였습니다“ - 개교 4주년 기념식 및 송설당 동상 제막식에 참석한 여운형의 축사 中[12] 조선조 마지막 궁중 여류 시인이다.[13] 김천, 김해, 대전 세 곳에 흩어져 있는 20만2천100원 상당의 토지와 10만원의 은행예금까지 모두 30만2천100원이었다. 당시 백미 1섬은 29.77원이었으니 30만원이면 1만섬 이상을 살 수 있던 엄청난 규모다.[14] 원래 송설당이 기부하기로 했던 재산이 30만2천원에 1930년도 수익예상금이 2만6천원이었는데, 세계 대공황의 여파로 쌀값이 폭락하는 바람에 1만6천원의 부족분이 발생하자 총독부 학무국이 제동을 걸고 나왔다. 그러나 최송설당은 물러서지 않고, 마지막 남은 처소인 무교동 55간 짜리‘송설당’집을 내놓겠다고 선언했다. 무교동집 평가액이 2만3천원이어서 총독부의 이의제기를 막기에 충분했다.[15] 설립 당시 명칭, 현재는 학교법인[16] 일제는 설립을 허가하지 않고 상고나 농고를 만들라 했지만, 인문계 고보 설립허가를 주지 않으면 기부를 취소하겠다 나서 결국 허가를 받아 냈다.[17] 朝鮮總督府告示第百四十五號
左記高等普通學校ヲ設立シ昭和六年四月一日ヨリ開校ノ件昭和六年三月十七日認可セリ昭和六年三月二十日
朝鮮總督 子爵齋藤實
記
名稱 金泉高等普通學校
位置 慶尙北道金泉郡金陵面富谷洞
設立者 財團法人松雪堂敎育財團[18] 2025학년도 입학생이라면 송설 92기이다.[19] 김천고에서는 자기주도학습의 기초가 되는 플래너를 2011년부터 매년 발간하여 전교생에게 배부하고 있다. 표지에는 연도와 함께 "내 꿈 내 미래"라는 문구가 적혀있으며, 교훈, 교가, 교목, 교화, 건학이념, 최송설당 진영, 송설삼품제 소개, 목표설정, 성적관리 모의고사, 모의고사 점수 변화 그래프, 시험계획표, 학교행사 및 수업일수, 평일 일과표, 주말 일과표, 연·월·일별 계획표, 진로 희망대학 탐색, 대학입학을 위한 자기소개서, 체험활동 보고서, 수련회 활동 보고서, 동아리활동 보고서, 봉사활동 계획표 및 보고서, 방과후 학교 활동보고서, 명사특강, 독서 활동 기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월이 넘어가는 곳에는 선배들의 대학 합격 수기와 사자성어, 명언 등이 곳곳에 있다.[20] 사실 이 교표는 과거에는 많이 사용했지만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실제 이 마크는 송설 역사관의 과거 교복과 운동장의 깃대에 걸린 모습밖에 없다. 하복 단추는 현재도 교장 모양이다.[21] 김천고등보통학교 교기와 함께 교가 사진이 수록되었다.[22] 정열모(1895-1967)는 1931년 4월에 김천고보의 교무주임(현 교감)으로 부임해 근무하면서 1932년 1월 8일 교가를 작사하고 당해 1월 15일에 교장으로 취임, 재직하다 1942년 10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검거, 예심 종결로 석방될 때까지 옥고를 치렀다. 1944년 9월 30일 함남 홍원 유치장에서 석방되어, 김천시 다수동에서 1년 넘게 살았다. 그 후에는 상경하여 1945년 9월 현 숙명여대 교수로, 1946년 2월 국학대학의 창설 학장으로, 1948년 8월 15일부터는 홍익대학교 초대학장으로 2년 간 근무했으며, 1949년부터 <한글학회> 이사를 지냈다. 6·25 때 납북되어 1950년 그 이후의 생활상은 남한에서는 더 이상 알 수 없으나 <한글학회>에서 소개하고 있는 자료에 의하면 1967년에 사망한 것으로 소개되고 있다.[23] 현재명(1902-1960)은 서울대 음대 초대학장을 하였으며, 오늘날 우리가 즐겨 부르는 한국 가곡 '산들바람', '고향 생각', '그 집 앞', '뱃노래', '바다로 가자' 등이 현제명의 작곡 작품이다. 광동고등학교, 고창고등학교, 광주숭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명지대학교, 경북대학교, 전북대학교 인하대학교교가, 제일은행 시절 행가도 이 사람이 작곡했다.[24] 참고로 애국가 또한 4절까지 다 부른다. 그러나 2절, 3절로만 가도 실제 가사를 알고 부를 수 있는 학생은 많지 않다.[25] 유명한 가곡인 희망의 나라로를 작곡한 그 작곡가 맞다.[26] 예전에는 각반 20명, 문과 12명 구성이였다.[27] 자사고라 가능한 학사일정이지 일반 공립고나 사립고였으면 절대 불가능하다. 다만 같은 재단의 김천중학교는 2023년까지 3월 2일에 입학식을 치렀으나, 2024년 신입생부터 똑같이 3월 1일에 입학식을 시행한다.[28] 첫날이라 사실상 자유시간이나 마찬가지다.[29] 2020학년도에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진행하지 못하였다.[30] BOA 프로그램 활동 가능[31] 화요일, 목요일만 시행[32]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일반계 고등학교의 고3 야자시간은 보통 23시 정각까지 행해졌다. 시내버스 막차 문제도 있고 해서 23시까지 하는 학교는 거의 없었다.[33] 구미시나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등 기차로 1시간 이내인 지역의 학생들이 주를 이룬다.[34] 현재 공식적으로 자유시간 전자기기 사용이 허가되었다.[35] 송설학술연구활동의 줄임말로 간단히 말해 스터디그룹이다.[36] 대부분 주중에는 공부하느라 상당히 피로해진 상태기때문에 주말 오전에는 교회나 성당을 다니지 않는한 기숙사에서 계속 숙면을 취하게 된다.[37] 다만 주중에 공부하느라 피로한 상태에서 충분히 숙면을 취하기 위해 종교를 포기하는 경우가 더 많다.[38] 물론 모태신앙이며 독실한 개신교 신자일 경우 부모가 직접 학교까지 찾아와서 자녀를 데리고 교회에 같이 가거나 예배를 마치고 다시 학교로 데려다주게 된다. 집이 멀다면 불가능하고 주로 집이 가까운 학생들의 학부모가 이런 양상을 보인다.[39] 명절 기간에는 전교생이 집으로 외박을 나간다.[40] 2018년 2학기부터 시작되었다. 원래는 교사들이 회의 후에 결정했는데 학교에서 자습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41] 원래는 고산등반 이후에도 야간자습이 있었으나 등산하고 와서 피곤했던 나머지 학생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자는 바람에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예정보다 일찍 산행이 마무리 되는 경우 야간자습까지 그대로 하는 경우도 있다.[42] 사실 이러한 현상들은 현재 대한민국 사회의 이공 계열 선호현상 때문임이 크다.[43] 그러나 2016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교수가 들어와 모든 문과생들이 문송을 외치며 자는 등 재미있는 일들이 일어나게 되었다.[44] 학생들이 조례와 종례, 성적산출을 하는 행정반과, 수업만 듣는 수업반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10개의 행정반과 8개의 수업반이 있었으며, 한 행정반엔 24명 내외, 한 수업반엔 30명 내외로 있었다.[45] 교사 한 명당 학생 수를 줄여 학생 관리 및 생기부 작성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진행하였으나 꽤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고, 2018년 연말에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거쳐 폐지되었다. 사실 그 전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었는데, 많은 교사들은 폐지를 하자는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예상하였지만 이를 뒤집고 현재 체제를 유지하자는 의견이 훨씬 많았다. 그 이유는 다양한데, 대표적으로 일반적으로는 만나기 힘든 다른 반 학생과 쉽게 교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46] 군대처럼 모든 학생이 자신의 생활반 앞에 서서 검사를 받는 절차이다. 청소가 있는 매주 화요일, 목요일, 일요일에는 23시 10분에 한번 더 확인 점호를 한다.[최근] 야자 후 야식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편의점에서 먹고 올 수 있도록 점호 시간을 10분 연장했다.[48] 시험기간 2주 전부터는 익일 01:50까지 연장한다.[49] 김천은 버스교통보다 철도교통이 편리한 철도 강세 지역 중 하나다.[50] 일본어 I, 중국어 I, 베트남어 I 중 택 1[51] 기존과 마찬가지로 공통수학 과정은 1학기에 몰아서 6학점으로 이수한다.[52] 본래 2, 3학년으로 나누어 총 6단위로 편성되어 있던 한국사가 1학년으로 이동하였다. 1학기, 2학기로 나누어 각각 3학점씩 이수한다.[53] 본래 2, 3학년으로 나누어 총 6단위로 편성되어 있던 한국사가 1학년으로 이동하였다. 1학기, 2학기로 나누어 각각 3학점씩 이수한다.[54] 통합과학 1, 2 과정을 1학기에 몰아서 6학점으로 이수한다.[55] 과학탐구실험 1, 2 과정을 2학기에 몰아서 2학점으로 이수한다.[56] 2학기[57] 제2외국어 과정은 고교학점제 도입과 함께 2학년으로 이동하였지만 한문은 1학년에 필수 이수 과목으로 여전히 지정되어 있다.[58] 2-1[59] 2-2[60] 2-1[61] 2-2[62] 2-1[63] 2-2[64] 1학기, 2학기 공통[65] 물리학 I, 화학 I, 생명과학 I, 지구과학 I[66] 이과반 중 절반은 1학기에 물리학 I, 지구과학 I을 먼저 이수하고, 나머지는 화학 I, 생명과학 I을 1학기에 이수한다. 2학기에는 이를 교차하여 진행하기에 이과는 과학탐구 I과목 4개를 의무적으로 이수하게 된다.[67] 3-1[68] 3-1[69] 이과의 경우 확률과 통계를 필수적으로 이수하게 된다. 문과는 2학년 2학기에 미적분을 이수한 경우에 한하여 이과와 함께 이수할 수 있다.[70] 문과 3-1[71] 3-2[72] 이과 3-1[73] 문과 3-1[74] 이과 3-2[75] 문화 3-2[76] 1학기, 2학기 공통[77] 수능에서 절대평가 과목인 한국사를 3학년에 2단위나 배치하는 전국에서 몇 안되는 학교이다. 한 마디로 미친 짓.[78] 이과는 물리학 II, 화학 II, 생명과학 II, 지구과학 II 중에서 2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게 된다.[79] 일본어 독해와 작문 I, 중국어 독해와 작문 I 중 택 1[80] 통상적으로 1학년 때 선택한 제2외국어를 따른다.[81] 활동시기를 본다면 자사고 시절이 아닌 한창 하락시기 때로 추정[82] 송설 47회에서는 박희진(육군/기무사), 최병호(육군/헌병), 이상훈(해군/항해), 윤기희(해군/항공) 동문 등 무려 4명의 국군 장성을 배출했다.[83] 경부선, 경북선 정차[84] 즉, 화재경보기가 작동하지 않았다(!!).[85] 최송설당 여사의 무덤이 있는 곳으로 올라가다 보면 작은 기와집이 하나 보이는데 그것의 왼쪽에 위치해 있었다 한다.[86] 폭격을 받은 적은 없다. 그당시에는 본관과 미술실, 매점건물 밖에 없었는데 2층 벽돌건물에 폭탄이 터지면 다 사라지고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폭격은 폭탄을 1개만 투하 하는 것도 아니므로. 공습을 받은 적이 있긴 있는데, 공격기의 기총소사였다[87] 운동장의 단상 바로 뒤에 있는 건물[88] 북한 얘기 하다가, 리더십 얘기 하다가, 자다 일어나 아무말 하는 듯한 전개였다. 이 외에도 의미없이 같은 말의 반복이었다. 그가 강조했던 키워드는 '패션, 컴패션'. 열정과 동정심에 관한 내용으로, 컴패션이 없는 패션은 이기주의에 불과하다는 말이었다. 물론 좋은 뜻이지만 과장 하나 섞지 않고 5번 이상은 들은 듯 하다.[89] 진로가 정치, 외교 쪽인 학생들은 생기부 기록의 좋은 기회였을 것이나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매우 지루한 시간이었던 셈이다.[90] 수영장 사다리만이 남아 이곳이 원래 수영장이었다는 사실을 알린다.[91] 이때 어미를 생포하는데는 실패해 새끼들을 생포한 그물을 들고 그걸로 어미를 유인해 데려갔다고. 그리고 2019년에 연못에 오리가 다시 등장하였다.[92] 얼핏 보면 단풍같다.[93] 일일 감염인원이 50명 미만인 날이 일정량 계속될 때 나갈 수 있다고 한다.[94] 사진이 작게 나와서 그렇지 실제 학교의 계절별 풍경은 매우 훌륭하다. 특히 봄에 벚꽃이 필 때 급식로 올라가는 길은 말 그대로 벚꽃으로 뒤덮이는데 이는 모두 좋아하는 광경이다. 또한 겨울에 눈이 쌓이면 드넓은 운동장이 새하얀 눈으로 뒤덮인 장관을 볼 수 있는데 정말 예쁘다.
左記高等普通學校ヲ設立シ昭和六年四月一日ヨリ開校ノ件昭和六年三月十七日認可セリ昭和六年三月二十日
朝鮮總督 子爵齋藤實
記
名稱 金泉高等普通學校
位置 慶尙北道金泉郡金陵面富谷洞
設立者 財團法人松雪堂敎育財團[18] 2025학년도 입학생이라면 송설 92기이다.[19] 김천고에서는 자기주도학습의 기초가 되는 플래너를 2011년부터 매년 발간하여 전교생에게 배부하고 있다. 표지에는 연도와 함께 "내 꿈 내 미래"라는 문구가 적혀있으며, 교훈, 교가, 교목, 교화, 건학이념, 최송설당 진영, 송설삼품제 소개, 목표설정, 성적관리 모의고사, 모의고사 점수 변화 그래프, 시험계획표, 학교행사 및 수업일수, 평일 일과표, 주말 일과표, 연·월·일별 계획표, 진로 희망대학 탐색, 대학입학을 위한 자기소개서, 체험활동 보고서, 수련회 활동 보고서, 동아리활동 보고서, 봉사활동 계획표 및 보고서, 방과후 학교 활동보고서, 명사특강, 독서 활동 기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월이 넘어가는 곳에는 선배들의 대학 합격 수기와 사자성어, 명언 등이 곳곳에 있다.[20] 사실 이 교표는 과거에는 많이 사용했지만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실제 이 마크는 송설 역사관의 과거 교복과 운동장의 깃대에 걸린 모습밖에 없다. 하복 단추는 현재도 교장 모양이다.[21] 김천고등보통학교 교기와 함께 교가 사진이 수록되었다.[22] 정열모(1895-1967)는 1931년 4월에 김천고보의 교무주임(현 교감)으로 부임해 근무하면서 1932년 1월 8일 교가를 작사하고 당해 1월 15일에 교장으로 취임, 재직하다 1942년 10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검거, 예심 종결로 석방될 때까지 옥고를 치렀다. 1944년 9월 30일 함남 홍원 유치장에서 석방되어, 김천시 다수동에서 1년 넘게 살았다. 그 후에는 상경하여 1945년 9월 현 숙명여대 교수로, 1946년 2월 국학대학의 창설 학장으로, 1948년 8월 15일부터는 홍익대학교 초대학장으로 2년 간 근무했으며, 1949년부터 <한글학회> 이사를 지냈다. 6·25 때 납북되어 1950년 그 이후의 생활상은 남한에서는 더 이상 알 수 없으나 <한글학회>에서 소개하고 있는 자료에 의하면 1967년에 사망한 것으로 소개되고 있다.[23] 현재명(1902-1960)은 서울대 음대 초대학장을 하였으며, 오늘날 우리가 즐겨 부르는 한국 가곡 '산들바람', '고향 생각', '그 집 앞', '뱃노래', '바다로 가자' 등이 현제명의 작곡 작품이다. 광동고등학교, 고창고등학교, 광주숭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명지대학교, 경북대학교, 전북대학교 인하대학교교가, 제일은행 시절 행가도 이 사람이 작곡했다.[24] 참고로 애국가 또한 4절까지 다 부른다. 그러나 2절, 3절로만 가도 실제 가사를 알고 부를 수 있는 학생은 많지 않다.[25] 유명한 가곡인 희망의 나라로를 작곡한 그 작곡가 맞다.[26] 예전에는 각반 20명, 문과 12명 구성이였다.[27] 자사고라 가능한 학사일정이지 일반 공립고나 사립고였으면 절대 불가능하다. 다만 같은 재단의 김천중학교는 2023년까지 3월 2일에 입학식을 치렀으나, 2024년 신입생부터 똑같이 3월 1일에 입학식을 시행한다.[28] 첫날이라 사실상 자유시간이나 마찬가지다.[29] 2020학년도에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진행하지 못하였다.[30] BOA 프로그램 활동 가능[31] 화요일, 목요일만 시행[32]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일반계 고등학교의 고3 야자시간은 보통 23시 정각까지 행해졌다. 시내버스 막차 문제도 있고 해서 23시까지 하는 학교는 거의 없었다.[33] 구미시나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등 기차로 1시간 이내인 지역의 학생들이 주를 이룬다.[34] 현재 공식적으로 자유시간 전자기기 사용이 허가되었다.[35] 송설학술연구활동의 줄임말로 간단히 말해 스터디그룹이다.[36] 대부분 주중에는 공부하느라 상당히 피로해진 상태기때문에 주말 오전에는 교회나 성당을 다니지 않는한 기숙사에서 계속 숙면을 취하게 된다.[37] 다만 주중에 공부하느라 피로한 상태에서 충분히 숙면을 취하기 위해 종교를 포기하는 경우가 더 많다.[38] 물론 모태신앙이며 독실한 개신교 신자일 경우 부모가 직접 학교까지 찾아와서 자녀를 데리고 교회에 같이 가거나 예배를 마치고 다시 학교로 데려다주게 된다. 집이 멀다면 불가능하고 주로 집이 가까운 학생들의 학부모가 이런 양상을 보인다.[39] 명절 기간에는 전교생이 집으로 외박을 나간다.[40] 2018년 2학기부터 시작되었다. 원래는 교사들이 회의 후에 결정했는데 학교에서 자습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41] 원래는 고산등반 이후에도 야간자습이 있었으나 등산하고 와서 피곤했던 나머지 학생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자는 바람에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예정보다 일찍 산행이 마무리 되는 경우 야간자습까지 그대로 하는 경우도 있다.[42] 사실 이러한 현상들은 현재 대한민국 사회의 이공 계열 선호현상 때문임이 크다.[43] 그러나 2016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교수가 들어와 모든 문과생들이 문송을 외치며 자는 등 재미있는 일들이 일어나게 되었다.[44] 학생들이 조례와 종례, 성적산출을 하는 행정반과, 수업만 듣는 수업반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10개의 행정반과 8개의 수업반이 있었으며, 한 행정반엔 24명 내외, 한 수업반엔 30명 내외로 있었다.[45] 교사 한 명당 학생 수를 줄여 학생 관리 및 생기부 작성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진행하였으나 꽤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고, 2018년 연말에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거쳐 폐지되었다. 사실 그 전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었는데, 많은 교사들은 폐지를 하자는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예상하였지만 이를 뒤집고 현재 체제를 유지하자는 의견이 훨씬 많았다. 그 이유는 다양한데, 대표적으로 일반적으로는 만나기 힘든 다른 반 학생과 쉽게 교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46] 군대처럼 모든 학생이 자신의 생활반 앞에 서서 검사를 받는 절차이다. 청소가 있는 매주 화요일, 목요일, 일요일에는 23시 10분에 한번 더 확인 점호를 한다.[최근] 야자 후 야식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편의점에서 먹고 올 수 있도록 점호 시간을 10분 연장했다.[48] 시험기간 2주 전부터는 익일 01:50까지 연장한다.[49] 김천은 버스교통보다 철도교통이 편리한 철도 강세 지역 중 하나다.[50] 일본어 I, 중국어 I, 베트남어 I 중 택 1[51] 기존과 마찬가지로 공통수학 과정은 1학기에 몰아서 6학점으로 이수한다.[52] 본래 2, 3학년으로 나누어 총 6단위로 편성되어 있던 한국사가 1학년으로 이동하였다. 1학기, 2학기로 나누어 각각 3학점씩 이수한다.[53] 본래 2, 3학년으로 나누어 총 6단위로 편성되어 있던 한국사가 1학년으로 이동하였다. 1학기, 2학기로 나누어 각각 3학점씩 이수한다.[54] 통합과학 1, 2 과정을 1학기에 몰아서 6학점으로 이수한다.[55] 과학탐구실험 1, 2 과정을 2학기에 몰아서 2학점으로 이수한다.[56] 2학기[57] 제2외국어 과정은 고교학점제 도입과 함께 2학년으로 이동하였지만 한문은 1학년에 필수 이수 과목으로 여전히 지정되어 있다.[58] 2-1[59] 2-2[60] 2-1[61] 2-2[62] 2-1[63] 2-2[64] 1학기, 2학기 공통[65] 물리학 I, 화학 I, 생명과학 I, 지구과학 I[66] 이과반 중 절반은 1학기에 물리학 I, 지구과학 I을 먼저 이수하고, 나머지는 화학 I, 생명과학 I을 1학기에 이수한다. 2학기에는 이를 교차하여 진행하기에 이과는 과학탐구 I과목 4개를 의무적으로 이수하게 된다.[67] 3-1[68] 3-1[69] 이과의 경우 확률과 통계를 필수적으로 이수하게 된다. 문과는 2학년 2학기에 미적분을 이수한 경우에 한하여 이과와 함께 이수할 수 있다.[70] 문과 3-1[71] 3-2[72] 이과 3-1[73] 문과 3-1[74] 이과 3-2[75] 문화 3-2[76] 1학기, 2학기 공통[77] 수능에서 절대평가 과목인 한국사를 3학년에 2단위나 배치하는 전국에서 몇 안되는 학교이다. 한 마디로 미친 짓.[78] 이과는 물리학 II, 화학 II, 생명과학 II, 지구과학 II 중에서 2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게 된다.[79] 일본어 독해와 작문 I, 중국어 독해와 작문 I 중 택 1[80] 통상적으로 1학년 때 선택한 제2외국어를 따른다.[81] 활동시기를 본다면 자사고 시절이 아닌 한창 하락시기 때로 추정[82] 송설 47회에서는 박희진(육군/기무사), 최병호(육군/헌병), 이상훈(해군/항해), 윤기희(해군/항공) 동문 등 무려 4명의 국군 장성을 배출했다.[83] 경부선, 경북선 정차[84] 즉, 화재경보기가 작동하지 않았다(!!).[85] 최송설당 여사의 무덤이 있는 곳으로 올라가다 보면 작은 기와집이 하나 보이는데 그것의 왼쪽에 위치해 있었다 한다.[86] 폭격을 받은 적은 없다. 그당시에는 본관과 미술실, 매점건물 밖에 없었는데 2층 벽돌건물에 폭탄이 터지면 다 사라지고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폭격은 폭탄을 1개만 투하 하는 것도 아니므로. 공습을 받은 적이 있긴 있는데, 공격기의 기총소사였다[87] 운동장의 단상 바로 뒤에 있는 건물[88] 북한 얘기 하다가, 리더십 얘기 하다가, 자다 일어나 아무말 하는 듯한 전개였다. 이 외에도 의미없이 같은 말의 반복이었다. 그가 강조했던 키워드는 '패션, 컴패션'. 열정과 동정심에 관한 내용으로, 컴패션이 없는 패션은 이기주의에 불과하다는 말이었다. 물론 좋은 뜻이지만 과장 하나 섞지 않고 5번 이상은 들은 듯 하다.[89] 진로가 정치, 외교 쪽인 학생들은 생기부 기록의 좋은 기회였을 것이나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매우 지루한 시간이었던 셈이다.[90] 수영장 사다리만이 남아 이곳이 원래 수영장이었다는 사실을 알린다.[91] 이때 어미를 생포하는데는 실패해 새끼들을 생포한 그물을 들고 그걸로 어미를 유인해 데려갔다고. 그리고 2019년에 연못에 오리가 다시 등장하였다.[92] 얼핏 보면 단풍같다.[93] 일일 감염인원이 50명 미만인 날이 일정량 계속될 때 나갈 수 있다고 한다.[94] 사진이 작게 나와서 그렇지 실제 학교의 계절별 풍경은 매우 훌륭하다. 특히 봄에 벚꽃이 필 때 급식로 올라가는 길은 말 그대로 벚꽃으로 뒤덮이는데 이는 모두 좋아하는 광경이다. 또한 겨울에 눈이 쌓이면 드넓은 운동장이 새하얀 눈으로 뒤덮인 장관을 볼 수 있는데 정말 예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