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01:21:11

황태성(1973)

<colbgcolor=#152484><colcolor=#fff>
황태성
黃台盛 | Hwang Tae-sung
파일:황태성선관위.jpg
출생 1973년 6월 7일 ([age(1973-06-07)]세)
경상북도 김천시 자산동[A]
거주지 경상북도 김천시 자산3길
본적 경상북도 김천시 신음동 부거리[2][A]
가족 어머니 배영애
학력 김천중앙초등학교 (졸업)
김천중학교 (졸업)
김천고등학교 (41회 / 졸업)
울산대학교 (전자공학 / 학사)
경북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 석사과정 재학)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50보병사단 상병 복무만료[4]
(1994년 3월 14일 ~ 1995년 9월 13일)
소속 정당
파일:zsdkl3gasdg.svg
경력 (전)신한금융그룹 신한라이프 지점장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비상근 부대변인
더불어민주당 김천시 지역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 직능위원회 위원장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소속 정당4. 선거 이력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배영애경상북도의원의 아들이기도 하다.

2. 생애

1973년 6월 7일,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나 김천중앙초등학교, 김천중학교, 김천고등학교울산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를 졸업하였다. 1994년 3월 14일 대한민국 육군 방위병으로 입대하여 제50보병사단에서 소총수로 복무하였고, 1995년 9월 13일 상병으로 소집해제되었다.

이후 금융자산관리사로 근무하였다.

무너진 김천시 경제를 다시 세우겠다는 포부와 함께 김천경제를 망친 국민의힘 송언석 의원 저격수를 자청하면서 ‘30년 몰아주고 텅빈 김천! 시민의 힘으로 확! 바꿉시다.’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도전했는데 결과는 낙선했다. 하지만 득표율 23.22%를 기록하여 선거보전액을 얻으며 상당히 선전했다.

여담으로, 당시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의원이 후원회장을 맡았다.

이후 2025년 4월 재보궐선거에서 치러질 김천시장 재보궐선거에도 단수 공천을 받아# 1년만에 다시 재출마하게 되었으나 이번에도 본선에서 국민의힘 배낙호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이는 작년보다 훨씬 후퇴한 기록을 남기며 가까스로 선거보전액을 얻는데 만족해야 했다.[5]

3.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파일:zsdkl3gasdg.svg
2023 - 현재 정계 입문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김천
파일:zsdkl3gasdg.svg
18,079 (23.22%) 낙선 (2위)
2025 재보궐선거
(기초자치단체장)
경북 김천시장 9,481 (17.46%) 낙선 (3위) [6]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22대 총선 황태성 벽보.jpg
22대 총선 (경북 김천시) }}}}}}}}}
역대 후보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김천시 CI_White.svg 2025년 재보궐선거 경상북도 김천시장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1 더불어민주당 황태성
2 국민의힘 배낙호 당선
5 무소속 이창재
6 이선명
구로 · 아산 · 담양 · 김천 · 거제
12345678재보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C96 16.6%, #003C96 33.2%, #5a1b87 33.2%, #5a1b87 49.8%, #5a1b87 49.8%, #5a1b87 66.4%, #006464 66.4%, #006464 83%); min-height: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152484,#152484
구로구청장 아산시장 담양군수
장인홍 오세현 이재종
김천시장 거제시장
황태성 변광용
달서 6 강화 유성 2 성남 6 군포 4 당진 2
김태형 오현식 방진영 김진명 성복임 구본현
창원 12
박현주
중랑 다 마포 사 동작 나 강화 가
김대형 장영준 송동석 차성훈
광양 다 담양 라 고흥 나 고령 나
이돈견 노대현* 김동귀 김대훈
양산 마
이기준
* 무투표 당선
}}}}}}}}}}}}}}}}}} ||

[A] #[2] 행정구역 단위인 '리'가 아니라 마을 이름이다.[A] [4] 소집해제[5] 다만 김천시장 선거와 김천시 국회의원 선거를 동일선상에 놓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 국회의원 선거는 민주당계 정당들이 그동안 계속 후보 공천을 해온 선거이며 20% 언저리의 득표율은 꾸준히 기록해왔지만, 이번 김천시장 선거는 민주당계 정당이 1998년 2회 지선 이후 무공천으로 이어오다 27년만에 처음 후보를 공천한 선거이다. 따라서 지역적 기반이 총선보다도 훨씬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그나마 선거보전액이라도 받은 건 오히려 선전이라고 봐야 할 수준이다.[6] 전임 김충섭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당선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