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거제시/정치]]{{{#!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거제 | 김해 | 밀양 | 사천 | 양산 |
변광용 | 홍태용 | 안병구 | 박동식 | 나동연 | |
진주 | 창원 | 통영 | 거창 | 고성 | |
조규일 | 장금용 | 천영기 | 구인모 | 이상근 | |
남해 | 산청 | 의령 | 창녕 | 하동 | |
장충남 | 이승화 | 오태완 | 성낙인 | 하승철 | |
함안 | 함양 | 합천 | |||
조근제 | 진병영 | 김윤철 | |||
* 창녕군수 김부영 사망 (2023.1.9.) * 밀양시장 박일호 사퇴 (2023.12.11.) * 거제시장 박종우 당선무효 (2024.11.14.) * 창원시장 홍남표 당선무효 (2025.4.3.) |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 |
경상남도 거제시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김계현 | 제2대 조상도 | 제3·4대 양정식 | 제5·6대 김한겸 | 제7·8대 권민호 |
제9대 변광용 | 제10대 박종우 | 제11대 변광용 | |||
| }}}}}}}}} |
<colbgcolor=#d22027><colcolor=#fff> '''경상남도 거제시장 慶尙南道 巨濟市長 Mayor of Geoje City ''' | |
| |
현직 | 변광용 / 제11대 (민선 8기) |
취임일 | 2025년 4월 3일 |
정당 | |
홈페이지 |
1. 개요2. 명단
2.1. 거제시장
3. 역대 선거 결과3.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3.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3.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4. 200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3.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3.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3.10. 2025년 재보궐선거3.11.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4. 시정 구호5. 관련 문서1. 개요
경상남도 거제시장은 경상남도 거제시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계룡로 125(고현동)에 있는 거제시청이다. 2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2. 명단
===# 과거 거제시가 속했던 지역의 장 #===<rowcolor=#fff> 대수 | 성명 | 재임기간 | 정부 및 당적[1] | 기타 |
(간/관/직)선 (광역) (기초) (읍면동)장 | ||||
N대 | ||||
(광역) (기초청사) XX출장소장 | ||||
초대 | XXX 시정 |
2.1. 거제시장
- 국회의원, 시·도지사, 차관급 이상의 직을 역임한 구청장에게는 볼드체 표시함.
<rowcolor=#fff> 대수 | 성명 | 재임 기간 | 정부 및 당적[2] | 기타 |
관선 경상남도 거제군수-거제시장[?급] | ||||
초대 | 조창제 | 1953년 1월 15일 ~ 1953년 11월 25일 | ||
2대 | 박재욱 | 1953년 11월 26일 ~ 1955년 11월 25일 | ||
3대 | 박우경 | 1955년 11월 26일 ~ 1958년 3월 15일 | ||
4대 | 이효원 | 1958년 3월 16일 ~ 1960년 5월 25일 | ||
5대 | 김상호 | 1960년 5월 26일 ~ 1961년 6월 20일 | ||
6대 | 구태옥 | 1961년 6월 21일 ~ 1961년 10월 20일 | ||
7대 | 변광영 | 1961년 10월 21일 ~ 1964년 3월 16일 | ||
8대 | 이상철 | 1964년 3월 17일 ~ 1965년 5월 1일 | ||
9대 | 강삼희 | 1965년 5월 2일 ~ 1968년 1월 1일 | ||
10대 | 이한순 | 1968년 1월 2일 ~ 1970년 9월 10일 | ||
11대 | 박희수 | 1970년 9월 11일 ~ 1971년 10월 21일 | ||
12대 | 김영완 | 1971년 10월 22일 ~ 1973년 6월 30일 | ||
13대 | 허직 | 1973년 7월 1일 ~ 1974년 4월 22일 | ||
14대 | 이한순 | 1974년 4월 23일 ~ 1974년 10월 16일 | ||
15대 | 정태영 | 1974년 10월 17일 ~ 1976년 3월 31일 | ||
16대 | 채낙현 | 1976년 4월 1일 ~ 1977년 2월 10일 | ||
17대 | 옥성선 | 1977년 2월 11일 ~ 1978년 8월 1일 | ||
18대 | 권택훈 | 1978년 8월 2일 ~ 1980년 7월 24일 | ||
19대 | 이봉목 | 1980년 7월 25일 ~ 1982년 7월 19일 | ||
20대 | 박창기 | 1982년 7월 20일 ~ 1983년 12월 16일 | ||
21대 | 이근식 | 1983년 12월 17일 ~ 1985년 9월 16일 | ||
22대 | 하일청 | 1985년 9월 17일 ~ 1986년 3월 7일 | ||
23대 | 백승두 | 1986년 3년 8일 ~ 1988년 2월 4일 | ||
24대 | 김한배 | 1988년 2월 5일 ~ 1991년 9월 30일 | ||
25대 | 양정식 | 1991년 10월 1일 ~ 1994년 9월 30일 | ||
26대 | 이영돈 | 1994년 10월 1일 ~ 1994년 12월 31일 | ||
관선 경상남도 거제시장 | ||||
초대 | 김계현 | 1995년 1월 1일 ~ 1995년 6월 30일 | ||
민선 경상남도 거제시장[2급] | ||||
2대 | 조상도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민주자유당| | |
3대 | 양정식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
4대 | 2002년 7월 1일 ~ 2003년 1월 6일 | [5] | ||
권한대행 | 박갑도 | 2003년 1월 6일 ~ 2003년 1월 23일 | 부시장 | |
권한대행 | 윤영 | 2003년 1월 24일 ~ 2003년 3월 3일 | 부시장 | |
권한대행 | 한일균 | 2003년 3월 4일 ~ 2003년 4월 24일 | 부시장 | |
5대 | 김한겸 | 2003년 4월 25일 ~ 2006년 6월 30일 | | |
6대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
7대 | 권민호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8대 | 2014년 7월 1일 ~ 2018년 3월 7일 | [[새누리당| | [6][7] | |
권한대행 | 박명균 | 2018년 3월 7일 ~ 2018년 6월 30일 | 부시장 | |
9대 | 변광용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
10대 | 박종우 | 2022년 7월 1일 ~ 2024년 11월 14일 | | [8] |
권한대행 | 정석원 | 2024년 11월 15일 ~ 2025년 4월 2일 | 부시장 | |
11대 | 변광용 | 2025년 4월 3일 ~ 현직 | |
3. 역대 선거 결과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22027><tablebgcolor=#fff,#1c1d1f><bgcolor=#fff,#1f2023><color=#000,#ddd>
역대 경상남도 거제시장 선거 결과 ||
1995 | 1998 | 2002 | 2003 재보궐 | 2006 | ||
민주자유당 | 한나라당 | 한나라당 | ||||
조상도 | 양정식[9] | 김한겸 | ||||
2010 | 2014 | 2018 | 2022 | 2025 재보궐 | ||
한나라당 |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
권민호 | 변광용 | 박종우 | 변광용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1995년 | 1위: [[민주자유당|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양정식 34.21%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배길송 12.60%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황수원 10.31% | |||||
1998년 | 1위: 양정식 44.50%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조상도 23.13%3위: [[새정치국민회의| | |||||
2002년 | 1위: 양정식 56.14%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서영칠 43.85% | |||||
2003년 | 1위: 김한겸 32.7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윤영 27.22%3위: [[민주노동당| 4위: 배길송 16.17% | |||||
2006년 | 1위: 김한겸 45.55% 2위: [[민주노동당| 3위: [[열린우리당| | |||||
2010년 | 1위: 권민호 35.72%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유승화 19.17%3위: [[진보신당| 4위: [[민주노동당|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태재 10.36% | |||||
2014년 | 1위: [[새누리당|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해연 38.85%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윤영 15.37% | |||||
2018년 | 1위: 변광용 52.47% 2위: [[자유한국당| | |||||
2022년 | 1위: 박종우 45.89% 2위: 변광용 45.5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한표 7.43% | |||||
2025년 | 1위: 변광용 56.75% 2위: 박환기 38.12% | }}}}}}}}} |
3.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조상도(曺相道) | 30,166 | 1위 |
[[민주자유당| | 40.90% | 당선 | |
2 | 배길송(裵吉松) | 9,297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60% | 낙선 | |
3 | 양정식(梁楨植) | 25,231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4.21% | 낙선 | |
4 | 이대곤(李大坤) | 1,443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5% | 낙선 | |
5 | 황수원(黃守元) | 7,609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3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98,760 | 투표율 77.31% |
투표 수 | 76,353 | ||
무효표 수 | 2,607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3.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양정식(梁楨植) | 30,625 | 1위 |
| 44.50% | 당선 | |
2 | 서영칠(徐榮七) | 14,450 | 3위 |
[[새정치국민회의| | 20.99% | 낙선 | |
4 | 배길송(裵吉松) | 4,615 | 4위 |
[[국민신당(1997년)| | 6.70% | 낙선 | |
5 | 김경언(金京彦) | 2,791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05% | 낙선 | |
6 | 조상도(曺相道) | 16,335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3.7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0,644 | 투표율 63.56% |
투표 수 | 70,328 | ||
무효표 수 | 1,512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파일:조상도 2회 지선.jpg | }}}}}}}}} |
3.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양정식(梁楨植) | 35,494 | 1위 |
| 56.14% | 당선 | |
3 | 서영칠(徐榮七) | 27,730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3.8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2,843 | 투표율 52.84% |
투표 수 | 64,912 | ||
무효표 수 | 1,688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파일:서영칠 3회 지선.jpg | }}}}}}}}} |
3.4. 200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1위:김한겸 32.7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윤영 27.22%3위:
[[민주노동당|
4위: 배길송 16.17%
3.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변광용(邊光龍) | 9,502 | 3위 |
[[열린우리당| | 12.78% | 낙선 | |
2 | 김한겸(金汗謙) | 33,858 | 1위 |
| 45.55% | 당선 | |
4 | 변성준(卞成俊) | 16,146 | 2위 |
[[민주노동당| | 21.72% | 낙선 | |
6 | 배길송(裵吉松) | 3,328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47% | 낙선 | |
7 | 설계현(薛桂賢) | 3,759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05% | 낙선 | |
8 | 윤성기(尹星基) | 6,068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16% | 낙선 | |
9 | 황양득(黃亮得) | 1,661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2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2,095 | 투표율 53.24% |
투표 수 | 75,651 | ||
무효표 수 | 1,329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3.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권민호(權民鎬) | 32,955 | 1위 |
| 35.72% | 당선 | |
5 | 이세종(李世鍾) | 15,551 | 4위 |
[[민주노동당| | 16.85% | 낙선 | |
7 | 김한주(金韓柱) | 16,490 | 3위 |
[[진보신당| | 17.87% | 낙선 | |
8 | 유승화(柳承和) | 17,695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17% | 낙선 | |
9 | 이태재(李泰宰) | 9,567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3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6,795 | 득표율 56.27% |
투표 수 | 93,855 | ||
무효표 수 | 1,597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3.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권민호(權民鎬) | 44,731 | 1위 |
[[새누리당| | 45.76% | 당선 | |
| | 사퇴 | |
[[새정치민주연합| | |||
4 | 김해연(金海淵) | 37,973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8.85% | 낙선 | |
5 | 윤영(尹英) | 15,02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3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84,572 | 투표율 54.17% |
투표 수 | 99,978 | ||
무효표 수 | 2,245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3.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변광용(邊光龍) | 62,949 | 1위 |
| 52.47% | 당선 | |
2 | 서일준(徐一俊) | 54,764 | 2위 |
[[자유한국당| | 45.64% | 낙선 | |
6 | 박재행(朴在行) | 2,253 | 3위 |
[[대한애국당|]] | 1.8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4,485 | 투표율 63.03% |
투표 수 | 122,592 | ||
무효표 수 | 2,626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4ea2><bgcolor=#004ea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 거제시장 개표 결과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변광용 | 서일준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62,949 (52.47%) | 54,764 (45.64%) | +8,185 (△6.83) | 63.03% | |
구 장승포시 | |||||
득표율 | 20,500 (60.88%) | 12,458 (37.00%) | +8,042 (△23.88) | 58.43% | |
장승포동[A] | 53.22% | 44.30% | △8.92 | 54.04 | |
능포동[B] | 56.70% | 41.22% | △15.48 | 59.73 | |
아주동[C] | 69.43% | 28.77% | △40.66 | 60.69 | |
옥포1동 | 54.63% | 43.06% | △11.57 | 59.47 | |
옥포2동[D] | 58.63% | 39.07% | △19.56 | 56.83 | |
구 거제군 | |||||
득표율 | 34,021 (46.92%) | 37,170 (51.26%) | -3,149 (▼4.34) | 60.95% | |
장평동[E] | 52.66% | 45.54% | △7.12 | 55.37 | |
고현동[F] | 46.10% | 52.13% | ▼6.03 | 59.95 | |
상문동[G] | 57.87% | 40.47% | △17.40 | 62.91 | |
수양동[H] | 54.86% | 43.60% | △11.26 | 68.82 | |
일운면[18] | 54.49% | 44.26% | △10.23 | 62.75 | |
동부면 | 31.67% | 65.01% | ▼33.34 | 64.74 | |
남부면 | 29.35% | 68.76% | ▼39.41 | 61.96 | |
거제면[19] | 38.55% | 59.02% | ▼20.47 | 62.75 | |
둔덕면 | 28.44% | 69.55% | ▼41.11 | 61.58 | |
사등면[J] | 40.03% | 57.93% | ▼17.90 | 58.75 | |
연초면[J][22] | 38.36% | 59.66% | ▼21.30 | 55.23 | |
하청면 | 31.24% | 67.17% | ▼35.93 | 61.41 | |
장목면[K] | 25.74% | 72.38% | ▼46.64 | 62.02 | |
후보 | 변광용 | 서일준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4.07% | 50.46% | ▼6.39 | ||
관외사전투표 | 61.56% | 36.91% | △24.65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3.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변광용(邊光龍) | 44,403 | 2위 |
| 45.50% | 낙선 | |
2 | 박종우(朴宗佑) | 44,790 | 1위 |
| 45.89% | 당선 | |
4 | 김한표(金漢杓) | 7,256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7.43% | 낙선 | |
5 | 김승철(金承哲) | 1,135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3,369 | 투표율 51.40% |
투표 수 | 99,295 | ||
무효표 수 | 1,711 |
||<-8><tablealign=center><bgcolor=#E61E2B><tablebordercolor=#E61E2B>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 거제시장 개표 결과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변광용 | 박종우 | 김한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44,403 (45.50%) | 44,790 (45.89%) | 7,256 (7.43%) | - 387 (▼0.39) | 99,295 (51.35%) | ||
구 장승포시 | |||||||
장승포동[A] | 46.93% | 44.70% | 7.24% | △2.22 | 47.90 | ||
능포동[B] | 47.42% | 45.26% | 6.30% | △2.16 | 51.23 | ||
아주동[C] | 58.24% | 34.19% | 6.43% | △24.04 | 43.94 | ||
옥포1동 | 45.44% | 45.85% | 7.76% | ▼0.40 | 50.95 | ||
옥포2동[D] | 46.76% | 44.81% | 7.37% | △1.94 | 45.75 | ||
구 거제군 | |||||||
장평동[E] | 44.82% | 46.83% | 6.69% | ▼2.00 | 43.41 | ||
고현동[F] | 42.11% | 49.12% | 7.67% | ▼7.01 | 47.45 | ||
상문동[G] | 52.19% | 39.60% | 6.87% | △12.59 | 46.04 | ||
수양동[H] | 50.73% | 40.47% | 7.24% | △10.25 | 53.91 | ||
일운면[32] | 60.06% | 34.85% | 4.61% | △25.21 | 53.56 | ||
동부면 | 30.68% | 61.18% | 7.43% | ▼30.49 | 62.07 | ||
남부면 | 31.87% | 61.22% | 6.50% | ▼29.34 | 58.42 | ||
거제면[P] | 36.14% | 55.83% | 6.97% | ▼19.68 | 55.01 | ||
둔덕면 | 25.22% | 66.45% | 7.33% | ▼41.22 | 58.43 | ||
사등면[J] | 32.48% | 56.73% | 9.30% | ▼24.25 | 50.29 | ||
연초면[J] | 34.13% | 57.79% | 6.97% | ▼23.65 | 45.96 | ||
하청면 | 27.75% | 62.54% | 8.49% | ▼34.78 | 55.08 | ||
장목면[K] | 23.78% | 56.15% | 19.42% | ▼32.36 | 53.70 | ||
후보 | 변광용 | 박종우 | 김한표 | 격차 | |||
거소투표 | 49.01% | 33.99% | 13.30% | △15.02 | |||
관외사전투표 | 47.75% | 44.01% | 7.22% | △3.74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3.10. 2025년 재보궐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변광용(邊光龍) | 51,292 | 1위 |
| 56.75% | 당선 | |
2 | 박환기(朴煥基) | 34,455 | 2위 |
| 38.12% | 낙선 | |
5 | 김두호(金斗浩) | 4,072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50% | 낙선 | |
6 | 황영석(黃永錫) | 555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6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2,087 | 투표율 47.32% |
투표 수 | 90,898 | ||
무효표 수 | 523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152484><bgcolor=#152484> 2025년 재보궐선거 경상남도 거제시장 개표 결과 ||
박종우 전 시장의 당선무효로 치러진 재보궐선거임에도 불구하고, 무공천했던 구로구청장과 달리 여기는 텃밭이라 당선 가능성이 있어서인지 국민의힘이 후보를 공천했다.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변광용 | 박환기 | ||
득표수 (득표율) | 51,292 (56.75%) | 34,455 (38.12%) | +16,837 (△18.63) | 90,898 (47.32%) |
구 장승포시 | ||||
득표율 | 16,326 (63.27%) | 8,330 (32.28%) | +7,994 (△30.99) | 25,927 (45.30%) |
장승포동[A] | 58.35% | 34.12% | △24.23 | 50.19 |
능포동[B] | 56.43% | 38.04% | △18.39 | 50.88 |
아주동[C] | 72.65% | 22.86% | △49.79 | 42.94 |
옥포1동 | 59.67% | 36.98% | △22.69 | 46.62 |
옥포2동[D] | 60.34% | 36.20% | △24.14 | 43.80 |
구 거제군 | ||||
득표율 | 34,341 (54.12%) | 25,753 (40.59%) | +8,588 (△13.53) | 63,736 (47.72%) |
장평동[E] | 59.19% | 35.84% | △23.35 | 42.95 |
고현동[F] | 53.19% | 40.57% | △12.62 | 45.63 |
상문동[H] | 63.47% | 28.55% | △34.92 | 45.14 |
수양동[I] | 62.64% | 31.97% | △32.67 | 50.47 |
일운면[45] | 64.72% | 33.04% | △31.68 | 54.88 |
동부면 | 40.94% | 56.35% | ▼15.41 | 62.12 |
남부면 | 34.85% | 61.43% | ▼26.58 | 54.40 |
거제면[P] | 44.10% | 52.25% | ▼8.15 | 53.95 |
둔덕면 | 34.94% | 62.12% | ▼27.18 | 56.33 |
사등면[J] | 43.10% | 53.50% | ▼10.40 | 46.13 |
연초면[J] | 47.81% | 48.51% | ▼0.70[49] | 44.59 |
하청면 | 36.28% | 57.04% | ▼20.76 | 55.09 |
장목면[K] | 35.01% | 61.86% | ▼26.85 | 50.95 |
후보 | 변광용 | 박환기 | 격차 | |
거소투표 | 52.26% | 35.71% | △16.55 | |
관외사전투표 | 65.20% | 27.27% | △37.93 |
허나 개표 초반부터 더불어민주당 변광용 후보가 예상을 완전히 뒤집고 무려 더블 스코어 차이로 앞서더니, 개표율 78.29% 시점에서 당선이 확정되며 싱겁게 끝났다.# 심지어 득표율 역시 56.75%를 얻어 38.12% 득표에 그친 국민의힘 박환기 후보를 무려 18.63%p 격차로 꺾을 정도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연이은 거제시 패배를 설욕했다. 변광용 후보가 받은 56.75%는 역대 민선 거제시장 중에서 최고 득표율이다. 동시에 1990년 3당 합당 이후 거제시에서 역대 민주당계 후보 중 최고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했던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거제시에선 더불어민주당 vs 범보수 합치면 약 5%p 정도의 차이였는데, 그보다 훨씬 더 큰 격차인 약 19%p는 거제시민들의 윤석열 정부에 대한 피로감이 매우 높았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거제시의 민심이 불과 1년만에 꽤나 변화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 결과였다.
이 결과는 당시 집권여당인[51] 국민의힘에게 매우 충격적인 결과일 수밖에 없었다. 당이 전반적으로 참패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보다도 더 후퇴했기 때문이다. 이는 본인들의 집권 정부가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상상할 수 없는 비상계엄을 일으켜서 민주주의를 박살냈음에도 불구하고 반대집회에 참석하여 내란수괴를 지속적으로 방탄한 것도 모자라, 자당 소속의 귀책사유로 치러진 재보궐선거에 텃밭이라는 이유만으로 아무렇지 않게 후보를 공천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한 술 더 떠, 수구보수 기독교 단체를 지휘한 전한길 강사 등까지 지원유세에 끌어들였으니, 국민의힘 이미지가 완전히 극우화되어 중도층의 민심을 역행해 어찌보면 참패는 당연한 결과였다. # # 오죽하면 거제시에서 가장 보수 성향이 강한 편인 장목면마저 박환기 후보가 고작 61.86%를 득표한 것에 그쳤으며, 이곳 역시 1990년 이후 변광용 후보가 민주당계 정당 출마자로서 최초로 30%대 중반 득표율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득표율을 갱신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구 장승포시 지역에서는 변광용 후보가 더블 스코어급으로 압승했는데, 특히 한화오션(舊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등이 있어 노동자들이 밀집한 아주동에선 거의 호남 수준급인 72.65%라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또한 전통적 보수 강세 지역이자 7회 지선 때도 이기지 못했던 구 거제군 지역에서도 이번엔 승리했는데, 동 지역은 전부 싹쓸이했고[52] 자신의 고향인 일운면에서는 65%에 육박한 득표율로 대승했다. 거기에 연초면에서는 23표 차로 석패하는 등 열세 지역에서 표차를 많이 줄였기에 이길 수 있었다.
3.11.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0 | ||
| 00.00% | ||
2 | 0 | ||
| 00.00% | ||
계 | 선거인 수 | 투표율 00.00%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4. 시정 구호
<rowcolor=#fff> 시장 | 시정 목표 |
권민호 (민선 5·6기) | 활기찬 경제 행복한 시민 미래성장 거제 |
변광용 (민선 7기) | 세계로 가는 평화의 도시 거제 |
박종우 (민선 8기) | 시민중심! 희망의 새로운 거제 |
변광용 (민선 8기) | - |
5. 관련 문서
[1]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2]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급] [2급] 2급 대우.[5]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되자 시장직 사퇴.[6] 2017년 4월 18일
[[자유한국당|
]] 탈당
2018년 1월 15일
입당[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경상남도지사 후보 당내 경선 출마를 위해 사퇴.[8] 공직선거법 위반 유죄로 인한 당선무효.[9] 03.01.06. 시장직 사퇴 (뇌물수수로 재판 중)[A] 법정동 장승포동 · 두모동(일부)[B] 법정동 능포동 · 두모동(일부)[C] 법정동 아주동 · 아양동. 한화오션(舊 대우조선해양) 본사가 있다.[D] 법정동 옥포동(일부) · 덕포동[E]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가 있는 동네[F] 거제시청이 있는 중심지[G] 법정동 상동동 + 문동동 · 삼거동[H] 법정동 수월동 + 양정동[18] 변광용 후보의 고향[19] 문재인 대통령의 고향[J] 소규모 조선소 단지가 있는 동네[J] [22] 서일준 후보의 고향[K] 김영삼 전 대통령의 고향[A] 법정동 장승포동 · 두모동(일부)[B] 법정동 능포동 · 두모동(일부)[C] 법정동 아주동 · 아양동. 대우조선해양 본사가 있는 동네[D] 법정동 옥포동(일부) · 덕포동[E]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가 있는 동네[F] 거제시청이 있는 중심지[G] 법정동 상동동 + 문동동 · 삼거동[H] 법정동 수월동 + 양정동[32] 변광용 시장의 고향[P] 문재인 전 대통령의 고향[J] 소규모 조선소 단지가 있는 동네[J] [K] 김영삼 전 대통령의 고향[A] 법정동 장승포동 · 두모동(일부)[B] 법정동 능포동 · 두모동(일부)[C] 법정동 아주동 · 아양동, 한화오션(舊 대우조선해양) 본사가 있다.[D] 법정동 옥포동(일부)[E]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가 있는 동네[F] 거제시청이 있는 중심지[H] 법정동 상동동 + 문동동 · 삼거동[I] 법정동 수월동 + 양정동[45] 변광용 후보의 고향[P] 문재인 전 대통령의 고향[J] 소규모 조선소 단지가 있는 동네[J] 소규모 조선소 단지가 있는 동네[49] 단 23표 차이였다.[K] 김영삼 전 대통령의 고향[51] 이 선거 고작 2일후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8인 만장일치로 파면되면서, 3년만에 야당이 되었다.[52] 장승포시 구역에 가려져서 그렇지 고현동과 장평동도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만만찮은 곳이다.
[[자유한국당|
2018년 1월 15일
입당[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경상남도지사 후보 당내 경선 출마를 위해 사퇴.[8] 공직선거법 위반 유죄로 인한 당선무효.[9] 03.01.06. 시장직 사퇴 (뇌물수수로 재판 중)[A] 법정동 장승포동 · 두모동(일부)[B] 법정동 능포동 · 두모동(일부)[C] 법정동 아주동 · 아양동. 한화오션(舊 대우조선해양) 본사가 있다.[D] 법정동 옥포동(일부) · 덕포동[E]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가 있는 동네[F] 거제시청이 있는 중심지[G] 법정동 상동동 + 문동동 · 삼거동[H] 법정동 수월동 + 양정동[18] 변광용 후보의 고향[19] 문재인 대통령의 고향[J] 소규모 조선소 단지가 있는 동네[J] [22] 서일준 후보의 고향[K] 김영삼 전 대통령의 고향[A] 법정동 장승포동 · 두모동(일부)[B] 법정동 능포동 · 두모동(일부)[C] 법정동 아주동 · 아양동. 대우조선해양 본사가 있는 동네[D] 법정동 옥포동(일부) · 덕포동[E]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가 있는 동네[F] 거제시청이 있는 중심지[G] 법정동 상동동 + 문동동 · 삼거동[H] 법정동 수월동 + 양정동[32] 변광용 시장의 고향[P] 문재인 전 대통령의 고향[J] 소규모 조선소 단지가 있는 동네[J] [K] 김영삼 전 대통령의 고향[A] 법정동 장승포동 · 두모동(일부)[B] 법정동 능포동 · 두모동(일부)[C] 법정동 아주동 · 아양동, 한화오션(舊 대우조선해양) 본사가 있다.[D] 법정동 옥포동(일부)[E]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가 있는 동네[F] 거제시청이 있는 중심지[H] 법정동 상동동 + 문동동 · 삼거동[I] 법정동 수월동 + 양정동[45] 변광용 후보의 고향[P] 문재인 전 대통령의 고향[J] 소규모 조선소 단지가 있는 동네[J] 소규모 조선소 단지가 있는 동네[49] 단 23표 차이였다.[K] 김영삼 전 대통령의 고향[51] 이 선거 고작 2일후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8인 만장일치로 파면되면서, 3년만에 야당이 되었다.[52] 장승포시 구역에 가려져서 그렇지 고현동과 장평동도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만만찮은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