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20:46:45

아산시장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아산시/정치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천안 공주 논산 당진 보령
박상돈 최원철 백성현 오성환 김동일
서산 아산 계룡 금산 부여
이완섭 조일교
[[권한대행|
권한대행
]]
이응우 박범인 박정현
서천 예산 청양 태안 홍성
김기웅 최재구 김돈곤 가세로 이용록
* 아산시장 박경귀 당선무효 (2024.10.8.)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충청남도 아산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1대
차주영
제2·3대
이길영
제4·5대
강희복
제6·7대
복기왕
제8대
오세현
제9대
박경귀
권한대행
조일교
파일:스마트아산.svg}}}}}}}}}
<colcolor=#ffffff>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충청남도 아산시장
忠淸南道 牙山市長
Mayor of Asan City
<nopad> 파일:조일교 아산부시장.jpg
현직 <colbgcolor=#fff,#1f2023>조일교 / 권한대행 (민선 8기)
취임일 2024년 10월 9일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아산시열린시장실

[clearfix]

1. 개요

충청남도 아산시장충청남도 아산시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충청남도 아산시 시민로 456(온천동)에 있는 아산시청이다. 2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

2. 명단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1995년 아산군과 온양시 통합 이전 舊 온양시 지역을 관리했던 사람에 대한 내용은 온양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1995년 아산군과 온양시 통합 이전 舊 온양시 지역을 관리했던 사람:
온양시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2.1. 관선 단체장

파일:아산군 CI.png
충청남도 아산군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한상현
제2대
서형선
제3대
김형중
제4대
임영재
제5대
박유진
제6대
김종진
제7대
심춘택
제8대
이승규
제9대
박재복
제10대
권의직
제11대
김홍식
제12대
정연달
제13대
송우빈
제14대
이진호
제15대
홍선기
제16대
조종완
제17대
정필모
제18대
박천수
제19대
김수진
제20대
이종호
제21대
민경휘
제22대
박상돈
제23대
송석상
제24대
강희복
제25대
이병준
충청남도 아산시장}}}}}}}}}
<rowcolor=white> 관선(임명직) 충청남도 아산군수
<rowcolor=#fff> 대수 이름 재임기간 정부 비고
초대 한상현 (韓相賢) 1947년 7월 19일 ~ 1952년 3월 25일 미군정
2대 서형선 (徐享善) 1952년 3월 25일 ~ 1952년 10월 20일 이승만 정부
3대 김형중 (金炯重) 1952년 10월 20일 ~ 1954년 9월 5일
4대 임영재 (任英宰) 1954년 9월 6일 ~ 1960년 5월 13일
5대 박유진 (朴有鎭) 1960년 5월 13일 ~ 1960년 10월 31일 허정 내각
6대 김종진 (金宗鎭) 1960년 11월 24일 ~ 1961년 6월 21일 장면 내각
7대 심춘택 (沈春澤) 1961년 7월 16일 ~ 1964년 7월 18일 국가재건최고회의
8대 이승규 (李承圭) 1964년 7월 19일 ~ 1965년 9월 13일 박정희 정부
9대 박재복 (朴載福) 1965년 9월 14일 ~ 1967년 12월 5일
10대 권의직 (權義稙) 1967년 12월 6일 ~ 1970년 3월 3일
11대 김홍식 (金弘植) 1970년 3월 4일 ~ 1973년 5월 7일
12대 정연달 (鄭然達) 1973년 5월 8일 ~ 1974년 8월 1일
13대 송우빈 (宋佑彬) 1974년 8월 2일 ~ 1976년 9월 3일
14대 이진호 (李鎭浩) 1976년 9월 4일 ~ 1979년 7월 5일
15대 홍선기 (洪善基) 1979년 7월 6일 ~ 1980년 7월 25일
16대 조종완 (趙鍾完) 1980년 7월 26일 ~ 1982년 3월 2일 최규하 정부
17대 정필모 (鄭弼謨) 1982년 3월 3일 ~ 1983년 12월 27일 전두환 정부
18대 박천수 (朴千洙) 1983년 12월 28일 ~ 1985년 3월 11일
19대 김수진 (金壽鎭) 1985년 3월 12일 ~ 1986년 3월 8일
20대 이호종 (李灝鍾) 1986년 3월 9일 ~ 1988년 2월 5일
21대 민경휘 (閔庚徽) 1988년 2월 6일 ~ 1989년 12월 27일
22대 박상돈 (朴商敦) 1989년 12월 28일 ~ 1991년 1월 13일 노태우 정부
23대 송석상 (宋錫祥) 1991년 1월 14일 ~ 1992년 11월 18일
24대 강희복 (姜熙福) 1992년 11월 19일 ~ 1994년 5월 3일
25대 이병준 (李炳駿) 1994년 5월 4일 ~ 1994년 12월 31일 김영삼 정부
파일:온양시 CI 흰색.svg
충청남도 온양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설일진
제2대
김건배
제3대
박찬무
제4대
오제세
제5대
박천수
제6대
손인완
제7대
조철연
제8대
차주영
충청남도 아산시장}}}}}}}}}
<rowcolor=white> 관선(임명직) 충청남도 온양시장
<rowcolor=#fff> 대수 이름 재임기간 정부 비고
초대 설일진 (薛一鎭) 1986년 1월 1일 ~ 1987년 4월 12일 전두환 정부
2대 김건배 (金建培) 1987년 4월 13일 ~ 1988년 12월 31일
3대 박찬무 (朴贊武) 1989년 1월 1일 ~ 1990년 6월 26일 노태우 정부
4대 오제세 (吳濟世) 1990년 6월 27일 ~ 1991년 1월 9일
5대 박천수 (朴千洙) 1991년 1월 10일 ~ 1991년 12월 22일
6대 손인완 (孫仁完) 1991년 12월 23일 ~ 1992년 7월 3일
7대 조철연 (趙哲衍) 1992년 7월 4일 ~ 1994년 8월 31일
8대 차주영 (車周英) 1994년 9월 1일 ~ 1994년 12월 31일 김영삼 정부 [1]

2.2. 민선 단체장

<rowcolor=white> 대수 이름 재임기간 당적[2] 비고 전직
충청남도 아산시장
1대 차주영 (車周英) 1995년 1월 1일 ~ 1995년 6월 30일 김영삼 정부
2대 이길영 (李吉永)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모산양조장 부사장
3대 1998년 7월 1일 ~ 2002년 5월 1일
4대 강희복 (姜熙福)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충청남도 아산군수
5대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대 복기왕 (卜箕旺)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제17대 국회의원
7대 2014년 7월 1일 ~ 2018년 2월 7일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
8대 오세현 (吳世賢)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아산시 부시장
9대 박경귀 (朴慶貴) 2022년 7월 1일 ~ 2024년 10월 8일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자문위원

[[권한대행|
권한대행
]]
조일교 2024년 10월 9일 ~ 현재 부시장

3. 역대 선거 결과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fae><tablebgcolor=#fff,#1f2023><bgcolor=#fff,#1f2023><color=#000000,#dddddd> 파일:아산시 CI.svg 역대 충청남도 아산시장 선거 결과 ||
1995 1998 2002 2006 2010
자유민주연합 한나라당 한나라당 민주당
이길영 강희복 복기왕
2014 2018 2022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복기왕 오세현 박경귀[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 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이길영 41.2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강희복 35.47%
3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이기영 23.29%
1998년 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이길영 50.4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강희복 49.51%
2002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강희복 52.27%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박진서 34.80%
3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문호 12.91%
2006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강희복 55.19%

2위:

[[국민중심당|
파일:국민중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광만 26.37%
3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곽용구 18.43%
2010년 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복기왕 34.13%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임좌순 26.22%
3위:

[[자유선진당|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 강태봉 25.33%
2014년 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복기왕 52.09%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교식 42.65%
2018년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오세현 61.06%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상욱 32.94%
2022년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경귀 50.56%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오세현 49.43%
}}}}}}}}}

3.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기영(李基永) 17,790 3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3.29% 낙선
2 이길영(李吉永) 31,490 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1.23% 당선
3 강희복(姜熙福) 27,09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5.47% 낙선
선거인 수 109,799 투표율
71.59%
투표 수 78,607
무효표 수 2,231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이기영 1회 지선.jpg 파일:이길영 1회 지선.jpg 파일:강희복 1회 지선.jpg }}}}}}}}}

3.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3 이길영(李吉永) 34,849 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50.48% 당선
4 강희복(姜熙福) 34,18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9.51% 낙선
선거인 수 126,142 투표율
55.99%
투표 수 70,628
무효표 수 1,593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이길영 2회 지선.jpg 파일:강희복 2회 지선.jpg }}}}}}}}}

3.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희복(姜熙福) 34,737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2.27% 당선
2 박문호(朴文浩) 8,581 3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2.91% 낙선
3 박진서(朴軫緖) 23,130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4.80% 낙선
선거인 수 135,721 투표율
50.03%
투표 수 67,895
무효표 수 1,44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도서관에서 후보자 전원의 선거 벽보가 확인되지 않는다.

3.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곽용구(郭龍求) 13,446 3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18.43% 낙선
2 강희복(姜熙福) 40,264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5.19% 당선
5 김광만(金光萬) 19,242 2위


[[국민중심당|
파일:국민중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6.37% 낙선
선거인 수 156,817 투표율
47.70%
투표 수 74,806
무효표 수 1,854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곽용구 4회 지선.jpg 파일:강희복 4회 지선.jpg 파일:김광만 4회 지선.jpg }}}}}}}}}

3.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임좌순(任左淳) 25,716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6.22% 낙선
2 복기왕(卜箕旺) 33,474 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34.13% 당선
3 강태봉(姜泰鳳) 24,846 3위


[[자유선진당|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
25.33% 낙선
7 한창대(韓昌大) 1,552 6위


파일:친박연합_화이트.png
1.58% 낙선
8 이건영(李建榮) 4,931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02% 낙선
9 이교식(李敎植) 7,535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68% 낙선
선거인 수 195,443 득표율
51.10%
투표 수 99,862
무효표 수 1,808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임좌순 5회 지선.jpg 파일:복기왕5회지선.jpg 파일:강태봉 5회 지선.jpg
파일:한창대 5회 지선.jpg 파일:이건영 5회 지선.jpg 파일:이교식 5회 지선.jpg }}}}}}}}}

3.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교식(李敎植) 47,764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2.65% 낙선
2 복기왕(卜箕旺) 58,339 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52.09% 당선
4 조양순(趙良順) 5,886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25% 낙선
선거인 수 222,224 투표율
51.04%
투표 수 113,429
무효표 수 1,440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이교식 6회 지선.jpg 파일:6회 지방선거 복기왕 선거벽보.jpg 파일:조양순 6회 지선.jpg }}}}}}}}}

3.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오세현(吳世賢) 78,020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1.06% 당선
2 이상욱(李相頊) 42,091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2.94% 낙선
3 유기준(兪基濬) 7,659 3위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5.99% 낙선
선거인 수 244,293 투표율
57.96%
투표 수 129,998
무효표 수 2,228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오세현 벽보1.jpg 파일:이상욱 7회 지선.jpg 파일:유기준 7회 지선.jpg }}}}}}}}}
더불어민주당 오세현 후보가 자유한국당 이상욱 후보를 더블 스코어에 가까운 차이로 꺾고 당선되었다. 당시 충청남도 아산시장이었던 복기왕은 불출마를 선언했으며, 2년 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충청남도 아산시 갑에 출마했지만 현역 의원이었던 미래통합당[6] 이명수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3.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오세현(吳世賢) 58,000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9.43% 낙선
2 박경귀(朴慶貴) 59,314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0.56% 당선
선거인 수 268,765 투표율
44.40%
투표 수 119,339
무효표 수 2,025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오세현 벽보2.png 파일:박경귀_2022벽보.jpg }}}}}}}}}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는 현직 프리미엄에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도 승리한 곳이라 해볼만한 지역구였으나 박완주 전 의원 사건과 충청도 출신의 윤석열 대통령 허니문 효과가 합쳐지며 박경귀 후보가 현직 시장인 오세현 후보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3.9. 2025년 재보궐선거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오세현(吳世賢) 0

파일:zsdkl3gasdg.svg
00.00%
2 전만권(全萬權) 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00.00%
- 조덕호(趙德鎬) 0

파일:새미래민주당 흰색 워드마크.svg
00.00%
- 김광만(金光萬) 0

[[자유통일당|
파일:자유통일당 로고타입.svg
]]
00.00%
선거인 수 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박경귀 전 시장이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시장직을 상실하며 재선거가 열리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직전 선거에서 석패한 오세현 전 시장을 단수공천했다.

국민의힘에서는 맹의석 시의회 부의장, 이상욱 전 서산시 부시장, 전만권 전 천안시 부시장의 3인 경선을 치러 전만권 후보가 공천을 받게 되었다.

4. 시정 구호

<rowcolor=#fff> 시장 시정 구호
복기왕 (민선 5·6기) 기분좋은 변화, 활짝웃는 아산
오세현 (민선 7기) 더 큰 아산, 행복한 시민
박경귀 (민선 8기) 아산을 새롭게, 시민을 신나게!
○○○ (민선 8기) -

5. 관련 문서


[1] 시·군통합 아산시장: 1995년 1월 1일 ~ 1995년 6월 30일.[2] 선거 당시 당적.[3]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출마를 위해 시장직 사퇴[4]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시장직 상실[5]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시장직 상실[6] 자유한국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의 신설 합당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