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 경산 | 경주 | 구미 | 김천 | 문경 |
조현일 | 주낙영 | 김장호 | 최순고 | 신현국 | |
상주 | 안동 | 영주 | 영천 | 포항 | |
강영석 | 권기창 | 박남서 | 최기문 | 이강덕 | |
고령 | 봉화 | 성주 | 예천 | 영덕 | |
이남철 | 박현국 | 이병환 | 김학동 | 김광열 | |
영양 | 울릉 | 울진 | 의성 | 청도 | |
오도창 | 남한권 | 손병복 | 김주수 | 김하수 | |
청송 | 칠곡 | ||||
윤경희 | 김재욱 | ||||
* 김천시장 김충섭 당선무효 (2024.11.28.) |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 |
경상북도 김천시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백락돈 | 제2대 류석영 | 제3대 정이환 | 제4대 권중효 | 제5-6대 이병관 |
제7대 여영복 | 제8대 신정화 | 제9대 정후조 | 제10대 조필호 | 제11대 이규홍 | |
제12대 김영만 | 제13대 김철순 | 제14대 박준무 | 제15대 김한엽 | 제16대 박창규 | |
제17대 박돈양 | 제18대 박재복 | 제19대 신우균 | 제20대 서정훈 | 제21대 신동길 | |
제22대 오헌덕 | 제23대 마용수 | 제24대 김광원 | 제25대 엄환섭 | 제26대 석진후 | |
제27대 고정환 | 제28대 조영찬 | 제29대 양종석 | 제30대 박광희 | 제31대 신의웅 | |
제32대 김의환 | 제33대 최제동 | 제34-36대 박팔용 | 제37-39대 박보생 | 제40-41대 김충섭 | |
권한대행 최순고 | |||||
| }}}}}}}}} |
<colcolor=#fff> '''경상북도 김천시장 慶尙北道 金泉市長 Mayor of Gimcheon City ''' | |
현직 | <colbgcolor=#fff,#1f2023>최순고 / 부시장(권한대행) |
취임일 | 2024년 11월 28일 |
정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홈페이지 |
1. 개요2. 상세3. 명단4. 역대 선거 결과
4.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4.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4.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4.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4.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4.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4.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4.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4.9. 2025년 재보궐선거
5. 시정 구호6. 관련 문서[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김천시장은 경상북도 김천시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경상북도 김천시 시청1길 1(신음동)에 소재한 김천시청이다. 2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2. 상세
상세한 특징을 입력해주세요.3. 명단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국회의원, 시·도지사, 차관급 이상의 직을 역임한 구청장에게는 볼드체 표시함.
<rowcolor=#fff> 대수 | 성명 | 재임 기간 | 정부 및 당적[1] | 기타 |
관선 경상북도 김천부-김천시장[?급] | ||||
초대 | 백락돈 | 1949년 8월 13일 ~ 1950년 3월 13일 | ||
2대 | 류석영 | 1950년 3월 13일 ~ 1950년 12월 9일 | ||
3대 | 정이환 | 1951년 1월 10일 ~ 1951년 11월 9일 | ||
4대 | 권중효 | 1951년 11월 10일 ~ 1952년 5월 10일 | ||
5대 | 이병관 | 1952년 5월 15일 ~ 년 월 일 | ||
6대 | 이병관 | 년 월 일 ~ 1953년 6월 27일 | ||
7대 | 여영복 | 1957년 7월 1일 ~ 1960년 1월 6일 | ||
8대 | 신정화 | 1960년 2월 17일 ~ 1960년 6월 28일 | ||
9대 | 정후조 | 1960년 6월 28일 ~ 1960년 12월 1일 | ||
10대 | 조필호 | 1960년 12월 27일 ~ 1961년 6월 14일 | ||
11대 | 이규홍 | 1961년 6월 19일 ~ 1962년 12월 31일 | ||
12대 | 김영만 | 1963년 1월 1일 ~ 1964년 4월 10일 | ||
13대 | 김철순 | 1964년 4월 11일 ~ 1966년 5월 12일 | ||
14대 | 박준무 | 1966년 5월 13일 ~ 1967년 11월 14일 | ||
15대 | 김한엽 | 1967년 11월 15일 ~ 1970년 3월 4일 | ||
16대 | 박창규 | 1970년 3월 5일 ~ 1970년 9월 4일 | ||
17대 | 박돈양 | 1970년 9월 5일 ~ 1971년 8월 20일 | ||
18대 | 박재복 | 1971년 8월 21일 ~ 1973년 3월 13일 | ||
19대 | 신우균 | 1973년 3월 14일 ~ 1975년 9월 2일 | ||
20대 | 서정훈 | 1975년 9월 3일 ~ 1977년 3월 7일 | ||
21대 | 신동길 | 1977년 3월 8일 ~ 1978년 8월 1일 | ||
22대 | 오헌덕 | 1978년 8월 2일 ~ 1979년 5월 6일 | ||
23대 | 마용수 | 1979년 5월 7일 ~ 1980년 8월 7일 | ||
24대 | 김광원 | 1980년 8월 8일 ~ 1982년 9월 17일 | ||
25대 | 엄환섭 | 1982년 9월 18일 ~ 1983년 12월 26일 | ||
26대 | 석진후 | 1983년 12월 27일 ~ 1986년 12월 23일 | ||
27대 | 고정환 | 1986년 12월 24일 ~ 1988년 12월 31일 | ||
28대 | 조영찬 | 1989년 1월 1일 ~ 1989년 6월 8일 | ||
29대 | 양종석 | 1989년 6월 9일 ~ 1990년 7월 4일 | ||
30대 | 박광희 | 1990년 7월 5일 ~ 1991년 12월 25일 | ||
31대 | 신의웅 | 1991년 12월 26일 ~ 1992년 11월 29일 | ||
32대 | 김의환 | 1992년 11월 20일 ~ 1994년 10월 6일 | ||
33대 | 최제동 | 1994년 10월 7일 ~ 1995년 6월 30일 | [3] | |
민선 경상북도 김천시장[3급] | ||||
34대 | 박팔용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35대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
36대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37대 | 박보생 | 2006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
38대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39대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새누리당| | ||
40대 | 김충섭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41대 | 2022년 7월 1일 ~ 2024년 11월 28일 | | [5] | |
권한대행 | 최순고 | 2024년 11월 28일 ~ 2025년 월 일 | 부시장 | |
42대 | 2025년 월 일 ~ 2026년 6월 30일 |
3.1. 금릉군 통합 전
<rowcolor=#fff> 초대 | 2대 | 3대 | 4대 | 5~6대 |
백락돈 | 류석영 | 정이환 | 권중효 | 이병관 |
1949.08.13 ~ 1950.03.13 | 1950.03.13 ~ 1950.12.09 | 1951.01.10 ~ 1951.11.09 | 1951.11.10 ~ 1952.05.10 | 1952.05.15 ~ 1953.06.27 |
<rowcolor=#fff>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여영복 | 신정화 | 정후조 | 조필호 | 이규홍 |
1957.07.01 ~ 1960.01.06 | 1960.02.17 ~ 1960.06.28 | 1960.06.28 ~ 1960.12.01 | 1960.12.27 ~ 1961.06.14 | 1961.06.19 ~ 1962.12.31 |
<rowcolor=#fff>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김영만 | 김철순 | 박준무 | 김한엽 | 박창규 |
1963.01.01 ~ 1964.04.10 | 1964.04.11 ~ 1966.05.12 | 1066.05.13 ~ 1967.11.14 | 1967.11.15 ~ 1970.03.04 | 1970.03.05 ~ 1970.09.04 |
<rowcolor=#fff> 17대 | 18대 | 19대 | 20대 | 21대 |
박돈양 | 박재복 | 신우균 | 서정훈 | 신동길 |
1970.09.05 ~ 1971.08.20 | 1971.08.21 ~ 1973.03.13 | 1973.03.14 ~ 1975.09.02 | 1975.09.03 ~ 1977.03.07 | 1977.03.08 ~ 1978.08.01 |
<rowcolor=#fff> 22대 | 23대 | 24대 | 25대 | 26대 |
오헌덕 | 마용수 | 김광원 | 엄환섭 | 석진후 |
1978.08.02 ~ 1979.05.06 | 1979.05.07 ~ 1980.08.07 | 1980.08.08 ~ 1982.09.17 | 1982.09.18 ~ 1983.12.26 | 1983.12.27 ~ 1986.12.23 |
<rowcolor=#fff> 27대 | 28대 | 29대 | 30대 | 31대 |
고정환 | 조영찬 | 양종석 | 박광희 | 신의웅 |
1986.12.24 ~ 1988.12.31 | 1989.01.01 ~ 1989.06.08 | 1989.06.09 ~ 1990.07.04 | 1990.07.05 ~ 1991.12.25 | 1991.12.26 ~ 1992.11.29 |
<rowcolor=#fff> 32대 | 33대 | |||
김의환 | 최제동 | |||
1992.11.20 ~ 1994.10.06 | 1994.10.07 ~ 1994.12.31 |
3.2. 금릉군 통합 후
<rowcolor=#fff> 통합초대 | 1~3대 | 4~6대 | 7~8대 |
최제동 | 박팔용 | 박보생 | 김충섭 |
1995.01.01 ~ 1995.06.30 | 1995.07.01 ~ 2006.06.30 | 2007.07.01 ~ 2018.06.30 | 2018.07.01 ~ 2024.11.28. |
4. 역대 선거 결과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f600f><tablebgcolor=#fff,#1f2023><bgcolor=#fff,#1f2023><color=#000,#ddd>
역대 경상북도 김천시장 선거 결과 ||
1995 | 1998 | 2002 | 2006 | 2010 | ||
무소속 | 한나라당 | 무소속 | 한나라당 | |||
박팔용 | 박보생 | |||||
2014 | 2018 | 2022 | ||||
새누리당 | 무소속 | 국민의힘 | ||||
박보생 | 김충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1995년 |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박팔용 51.26%2위: [[민주자유당| | |||||
1998년 | 1위: 박팔용 75.63% 2위: [[자유민주연합| | |||||
2002년 |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박팔용 53.93%2위: 조준현 36.62% | |||||
2006년 | 1위: 박보생 50.0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최대원 46.57% | |||||
2010년 | 1위: 박보생 69.7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응규 30.21% | |||||
2014년 | 1위: [[새누리당|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정국 31.62% | |||||
2018년 |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충섭 50.79%2위: [[자유한국당|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박희주 15.45% | |||||
2022년 | 1위: 김충섭 76.0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선명 11.42% | }}}}}}}}} |
4.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성우(李星雨) | 31,710 | 2위 |
[[민주자유당| | 39.52% | 낙선 | |
2 | 박병호(朴炳浩) | 7,38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9.20% | 낙선 | |
3 | 박팔용(朴八用) | 41,134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1.26%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07,079 | 투표율 77.75% |
투표 수 | 83,256 | ||
무효표 수 | 3,024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4.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팔용(朴八用) | 54,198 | 1위 |
| 75.63% | 당선 | |
2 | 김영주(金榮柱) | 3,960 | 3위 |
[[새정치국민회의| | 5.52% | 낙선 | |
3 | 김정배(金正培) | 13,497 | 2위 |
[[자유민주연합| | 18.8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8,162 | 투표율 67.52% |
투표 수 | 73,030 | ||
무효표 수 | 1,375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4.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조준현(曺峻鉉) | 25,652 | 2위 |
| 36.62% | 낙선 | |
3 | 김정배(金正培) | 6,614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9.44% | 낙선 | |
4 | 박팔용(朴八用) | 37,775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3.93%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10,853 | 투표율 64.36% |
투표 수 | 71,347 | ||
무효표 수 | 1,306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4.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박보생(朴寶生) | 36,031 | 1위 |
| 50.09% | 당선 | |
| | 사퇴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7 | 전영수(全榮洙) | 2,397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33% | 낙선 | |
8 | 최대원(崔大源) | 33,496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6.5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0,274 | 투표율 68.33% |
투표 수 | 75,354 | ||
무효표 수 | 3,430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4.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보생(朴寶生) | 46,220 | 1위 |
| 69.78% | 당선 | |
7 | 김응규(金應奎) | 20,016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0.2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9,593 | 득표율 61.77% |
투표 수 | 67,698 | ||
무효표 수 | 1,462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4.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보생(朴寶生) | 46,598 | 1위 |
[[새누리당| | 68.37% | 당선 | |
4 | 김정국(金正國) | 21,548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1.6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1,552 | 투표율 62.97% |
투표 수 | 70,244 | ||
무효표 수 | 2,098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4.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김응규(金應奎) | 27,098 | 2위 |
[[자유한국당| | 33.75% | 낙선 | |
6 | 박희주(朴喜住) | 12,405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45% | 낙선 | |
7 | 김충섭(金忠燮) | 40,775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0.79%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19,511 | 투표율 69.93% |
투표 수 | 83,572 | ||
무효표 수 | 3,294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4.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김충섭(金忠爕) | 48,387 | 1위 |
| 75.06% | 당선 | |
4 | 이성룡(李成龍) | 3,121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84% | 낙선 | |
5 | 서범석(徐範石) | 5,58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66% | 낙선 | |
6 | 이선명(李善明) | 7,364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4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0,471 | 투표율 55.85% |
투표 수 | 67,279 | ||
무효표 수 | 2,819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4.9. 2025년 재보궐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황태성(黃台盛) | 0 | |
| 00.00% | ||
2 | 0 | ||
| 00.00% | ||
- | 박판수(朴判洙) | 0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0.00% | ||
- | 배태호(裵兌鎬) | 0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0.00% | ||
- | 이선명(李善明) | 0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0.00% | ||
계 | 선거인 수 | 투표율 00.00%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더불어민주당은 황태성 김천시 지역위원장이 출마하며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처음으로 김천시장 후보를 공천했다.
5. 시정 구호
<rowcolor=#fff> 시장 | 시정 목표 |
김충섭 (민선 8기) | 시민 모두가 행복한 김천 |
6. 관련 문서
[1]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급] [3] 시·군통합 김천시장: 1995년 1월 1일 ~ 1995년 6월 30일[3급] 3급 대우[5] 공직선거법 위반 유죄로 인한 당선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