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ext-align:left" | 대한제국 선포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 행정구역 | |
서울 | 양동출장소 · 양서출장소 | |
경기 | 개성시북 · 개풍군북 · 고양군 · 과천군부 · 교동군부 · 교하군부 · 남양군부 · 남양주군95 · 동탄면 · 마전군부 · 미금시95 · 반월면 · 부천군 · 부평군부 · 북포천군 · 삭녕군부 · 서울시승 · 송탄시95 · 시흥군 · 안산군부 · 양근군 · 양성군부 · 양주군승 · 양지군부 · 양천군부 · 연백군북 · 영평군부 · 오포읍 · 옹진군북 · 음죽군부 · 인천시승 · 일산구 · 장단군북 · 적성군부 · 죽산군부 · 지평군 · 태안읍 · 통진군부 · 평택군95 · 풍덕군부 | |
강원 | 간성군부 · 강원도승 · 금성군부 · 김화군북 · 명주군95 · 삼척군95 · 원주군95 · 춘천군95 · 평강군북 · 평해군부 | |
충북 | 문의군부 · 연풍군부 · 제천군95 · 중원군95 · 청안군부 · 청원군 · 구 청주시 · 청풍군부 | |
충남 | 결성군부 · 공주군95 · 노성군부 · 대덕군 · 대전시승 · 대천시95 · 덕산군부 · 면천군부 · 목천군부 · 보령군95 · 비인군부 · 서산군95 · 아산군95 · 연기군승 · 연산군부 · 온양군부 · 온양시95 · 은진군부 · 정산군부 · 직산군부 · 천안군95 · 한산군부 · 해미군부 · 홍주군부 | |
전북 | 고부군부 · 고산군부 · 김제군95 · 만경군부 · 무장군부 · 옥구군95 · 이리시95 · 익산군95 · 전라북도승 · 정읍군95 · 정주시95 · 진산군부 · 태인군부 | |
전남 | 광산군 · 광양군95 · 광주시승 · 나신면 · 나주군95 · 낙안군 · 돌산군부 · 동광양시95 · 선도면 · 송정시 · 승주군95 · 구 여수시 · 여천군 · 여천시 · 지도군부 · 창평군부 | |
경북 | 경산군95 · 경주군95 · 금릉군95 · 내동면 · 대구시승 · 문경군95 · 선산군95 · 순흥군부 · 안동군95 · 영일군95 · 영천군(榮川郡)부 · 영천군(永川郡)95 · 영풍군95 · 예안군부 · 울도군 · 월곡면 · 점촌시95 · 진보군부 · 풍기군부 · 풍서면 · 하양군부 · 현풍군부 | |
경남 | 거제군95 · 김해군95 · 동래군 · 마산시 · 밀양군95 · 부산시승 · 사천군95 · 삼천포시95 · 언양군부 · 영산군부 · 울산군95 · 울산시승 · 울주구 · 웅상읍 · 웅천군 · 원량면 · 장승포시95 · 장유면 · 진양군95 · 진해군 · 진해시 · 창원군95 · 구 창원시 · 충무시95 · 칠원군 · 통영군95 | |
제주 | 남제주군 · 대정군부 · 북제주군 · 정의군부 · 제주도(濟州島) · 제주도(濟州道)승 | }}}}}}}}} |
토론주소1=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1=본 틀에 대한제국 선포(1897년 10월 12일) 이후 폐지된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2=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2=대한제국 선포부터 광복(1945년 8월 15일) 전까지 폐지된 행정구역 가운데 현재 휴전선 이남에 위치했던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3=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3=휴전선 이북에 위치한 행정구역을 원칙적으로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4=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4=단 광복 이후 6.25 전쟁 전까지 38선 이남에 위치했으나 휴전 후 북한 치하에 들어간 경우와 일부 영역을 수복했으나 인접 시군에 편입시켜 휴전선 이남에 실효지배하는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한해 등재한다.,
토론주소5=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5=명칭 변경 사례를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6=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6=폐지된 행정구역의 소속 도(道)는 폐지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단 제주도에 소재했던 행정구역에 한해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으로 표기한다.,
토론주소7=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7=폐지된 행정구역이 행정구역 명칭과 단위가 같은 행정구역으로 다시 설치된 경우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8=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8=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폐지된 동명의 행정구역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9=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9=폐지된 동·읍·면은 원칙적으로 등재할 수 없다. 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0=YouthfulTangibleDryClam, 합의사항10=1995년 이전에 폐지된 읍·면이라도 2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1=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1=1995년 후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이라도 군 전체가 시로 승격하면서 관할 읍·면이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없다.,
토론주소12=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2=1995년 이후에 군이 폐지되고 해당 지역에 동명의 새로운 시를 설치한 경우 이전의 군을 틀에 등재하지 않는다.(따라서 틀에서 경기도 광주군을 제외한다.),
)]
金陵郡 / Kŭmnŭng County[1]
금릉군 군기 |
금릉군청 전경[2] |
[clearfix]
1. 개요
1914년 김천군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어 1949년 8월 14일 금릉군으로 개칭하고 1995년 1월 1일부로 김천시와 통합된 경상북도의 폐지된 행정구역이다.2. 역사
김천시 행정구역 변천사 | |||||||||
김산군 (金山郡, 1895) 지례군 (知禮郡, 1895) 개령군 (開寧郡, 1895) | → | 김천군 (金泉郡, 1914) | → | 김천부/시 (1949) 금릉군 (金陵郡, 1949) | → | 김천시 (1995) |
1949년 8월 14일 김천군 김천읍이 김천부[3]로 승격되면서, 김천군의 잔여지역을 금릉군으로 개칭하였다.
이후 1983년에 감천면 양천동지역이 김천시로 편입되었으며, 개령면 대광동, 어모면 응명동지역이 김천시로 편입되었고 농소면 덕곡동지역이 김천시에 편입되었다.[4]
이후 1994년까지 존속되었으며, 1995년 1월 1일부로 김천시와 도농통합을 하게 되어,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금릉(金陵)'은 조선 시대에 김산군을 부르는 별호(別號)였다. 김천군 시절 김천역 일대의 시가지인 김천읍 외에 옛 김산읍치(邑治, 관아 소재지) 및 김산향교 일대인 교동을 중심으로 '금릉면'이 있었으나, 1938년 김천읍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3. 하위 행정구역(15면)
1949년 8월 14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존재했던 행정구역. 현재 김천시 농어촌지역과 많이 다르지 않다.
- 아포면 - 현재 김천시 아포읍이다. 김천시와 도농통합 이후인 1995년 3월 1일 읍으로 승격 되었다.
- 감천면 - 현재 김천시 감천면과 유사.
단, 1983년 양천동지역을 김천시에 내준 바 있고, 현재도 양천동은 김천시 동지역에 해당된다. - 어모면 - 현재 김천시 어모면과 유사.
단, 1983년 응명동지역을 김천시에 내준 바 있고, 현재도 응명동은 김천시 동지역에 해당된다. - 개령면 - 현재 김천시 개령면과 유사.
단, 1983년 대광동지역을 김천시에 내준 바 있고, 현재도 대광동은 김천시 동지역에 해당된다. - 조마면 - 현재 김천시 조마면과 동일.
- 대항면 - 현재 김천시 대항면과 동일.
- 구성면 - 현재 김천시 구성면과 동일.
- 감문면 - 현재 김천시 감문면과 동일.
- 봉산면 - 현재 김천시 봉산면과 동일.
- 농소면 - 현재 김천시 농소면과 유사.
단, 1983년 덕곡동지역은 김천시에 내준 바 있고, 현재도 덕곡동은 김천시 동지역에 해당된다.
그리고 2013년 율곡동이 신설되면서 월곡리 일부, 신촌리일부 지역이 율곡동에 편입되었다. - 남면 - 현재 김천시 남면과 유사.
단, 2013년 율곡동이 신설되면서 용전리, 운남리 일부, 옥산리 일부, 봉천리 일부, 초곡리 일부 지역이 율곡동에 편입되었다. - 지례면 - 현재 김천시 지례면과 동일.
- 부항면 - 현재 김천시 부항면과 동일.
- 대덕면 - 현재 김천시 대덕면과 동일.
- 증산면 - 현재 김천시 증산면과 동일.
4. 기타
- 과거 존재했던 김산군의 별칭을 써, 현재 금릉이라는 이름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과거 김산군 중심지에 해당했던 삼락동 일대에 금릉초등학교 정도가 금릉의 이름이 남아있는 예다.[5] 실제로 이 지역은 한때 금릉면이기도 했으나, 금릉군이 출범했을 당시는 김천시 소속이었다.
- 예전 청원군처럼, 김천시를 도넛모양으로 둘러싼 모양이었다. 당시의 김천시는 위요지였던 셈.
- 면적은 943.9㎢이며 인구가 가장 많았을 때는 15만 여명.
- 군청은 금릉군 관내가 아니라 김천시 남산동에 위치해 있었다. 도농통합이 안된 지역에서 흔히 있었던 일이다. 비슷한 예로 과거에는 무안군~신안군청이 목포시에 있었던 것, 청원군청이 청주시에 있었던 것, 천원군청이 천안시에 있었던 것, 양주군청이 의정부시에 있었던 것, 완주군청이 전주시에 있었던 것, 화성군청이 수원시~오산시에 있었던 것 등을 예로 들수 있겠다. 현재 이 사례에 해당하는 것은 옹진군청이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있는 것이 유일하다.
- 2023년 김천에 금릉군이라는 돈가스집이 생겼다.
- 경기도 파주시에 한자가 같은 '금릉동'이라는 지명이 존재한다.
5. 관련 문서
[1] 폐지 당시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기준. 당시 금릉군 자체적으로는 Geumreung이라고 지칭했다.[2] 금릉군 관내가 아닌 김천시 남산동 28-1에 위치해 있었다. 1995년 금릉-김천 통합 이후 철거되고 1998년 작은 공원과 주차장이 되었다가 2022년 공원을 헐어내고 김천노인건강문화센터가 들어섰다.[3] 바로 다음날인 1949년 8월 15일 김천시로 개칭[4] 1988년까지 경상북도에서는 읍면지역도 하위행정구역으로 리(里)가 아닌 동(洞)을 사용했다.[5] 금릉중학교, 금릉고등학교도 존재했으나, 각각 김천중앙중학교, 김천중앙고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금릉초등학교하고 김천중앙중학교하곤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