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경산시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김병욱 | 제2대 김수생 | 제3대 조용수 | 제4대 신의웅 | 제5-6대 최재영 |
제7대 안윤식 | 제8-9대 최희욱 | 제10대 윤영조 | 제11-13대 최병국 | 제14-16대 최영조 | |
제17대 조현일 | |||||
| }}}}}}}}} |
역임한 직위 | |||||||||||||||||||||||||||||||||||||||||||||||||||||||||||||||||||||||||||||||||||||||||||||||||||||||||||||||
|
제4대 경상북도 경산시장 신의웅 申義雄 | |||
| |||
<colbgcolor=#001A71><colcolor=#fff> 출생 | 1939년 12월 8일 | ||
사망 | 2025년 4월 17일 (향년 85세)[1] | ||
재임기간 | 제4대 경상북도 경산시장 | ||
1992년 11월 19일 ~ 1993년 4월 27일 | |||
제31대 경상북도 김천시장 | |||
1991년 12월 26일 ~ 1992년 11월 18일 | |||
제5대 경상북도 점촌시장 | |||
1989년 9월 11일 ~ 1991년 1월 9일 | |||
제27대 경상북도 군위군수 | |||
1982년 9월 18일 ~ 1985년 3월 25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1A71><colcolor=#fff> 학력 | 경북고등학교 (졸업) 영남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영남대학교 (법학 / 석사) | |
경력 | 제27대 경상북도 군위군수 선산군수 제5대 경상북도 점촌시장 제31대 경상북도 김천시장 제4대 경상북도 경산시장 내무부 기획과장 대구보건전문대학 교수 4·19 혁명공로자회 영남지부장 | }}}}}}}}} |
1. 개요
대한민국의 민주운동가 출신 공무원으로 경상북도 군위군수, 선산군수, 점촌시장, 김천시장, 경산시장을 지냈다.2. 생애
1939년 12월 8일 태어났으며, 본적은 대구광역시이다.[2] 경북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영남대학교 법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군위군수, 선산군수, 점촌시장, 김천시장, 경산시장, 내무부 연수원 기획과장, 총무과장, 내무부 소방과장, 기획과장, 감사관실 조사담당관 등을 역임하였고, 대구보건전문대학에서 교수직을 지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산시장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최희욱 후보에 밀려 4위로 낙선하였다. 이후 대구통합 경산자치시 추진협의회장으로 활동하였다.
1998년 4월 9일 경산시장 출마를 목적으로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였으나 김종학 지구당 위원장과의 갈등 끝에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3][4] 대구와 경산의 통합을 주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한나라당 최희욱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
이후 정계를 은퇴하였고, 은퇴 이후에는 자신이 군수로 재임했던 군위군에 기부를 하는 등 종종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