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10:58:22

광산 이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파일:gwangsanlee.jpg光山 李氏
광산 이씨
}}}
관향 광주광역시
시조 이정(李靖)
집성촌 대구광역시 달성군
충청북도 괴산군
전라남도 화순군·나주시·강진군
경상북도 고령군·성주군·김천시
광주광역시 광산구·북구
인천광역시 부평구
인구 36,741명(2000년) | 국내 161위
사이트 광산이씨공식홈페이지

1. 개요2. 시조 논란3. 인물4.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광주광역시를 관향으로 하는 대한민국 성씨이다.

광산(光山)은 광주(光州)의 다른 이름이다. 이 때문인지 일부에서는 광주 이씨(光州 李氏)라고 하기도 한다.[1] 경기도 광주시를 본향으로 하는 광주 이씨(廣州 李氏)가 따로 있다.

순백(珣白), 숙백(淑白), 승백(升白) 세 형제를 중시조로 하여 상서공파(尙書公派), 한림공파(翰林公派), 제학공파(提學公派)[2]로 크게 나뉜다.

송강 정철에게 워낙 크게 당해서인지, 아직도 광산 이씨 출신들은 제사 음식을 준비하며 고기를 칼로 다질 때 정철 정철 하며 조상대대로 내려온 억하심정을 풀고 산다고.

2. 시조 논란

시조가 태봉의 왕 궁예의 아들 신광의 후손 이종금(李宗金)인지 고려 말 광주 지역의 호족 출신으로 추정되는 이정(李靖)인지 광산이씨 내부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광산 이씨의 대종(大宗)인 상서공파 측에서는 시조를 향공진사(鄕貢進士)를 지낸 이정을 시조로 삼고 있으나, 소수파인 한림공파[3]에서는 시조를 이종금으로 삼고 있다. 광산이씨종친회의 기본 입장은 향공진사(鄕貢進士) 이정을 시조로 한다고 밝히고 있는데, 가족을 전부 주살(誅殺)해서 자손이 남아있지 않았던 궁예에게서 이종금이라는 후손이 어떻게 나올 수 있느냐고 반문하고 있다.[4] 그렇기 때문에 신라계 김씨에서 나왔다는 이야기는 인정하지 않고 있는데[5] 증보문헌비고에는 고려태조 왕건이 태봉왕 궁예의 후손 셋을 광주와 전주에 옮겨서 그 지역 향역을 맡아 살도록 했다고 쓰여 있다.

3. 인물

4. 같이 보기



[1] 예를 들면 조선 중기인 17세기 중반 조종운(趙從耘)이 편찬한 통합보(統合譜)인 씨족원류(氏族源流)에 광주이씨(光州 李氏)라고 기록돼 있다.[2] 철종 때 편찬된 광산이씨대동보 이후로 후손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3] 대구고령에 집성촌이 있다[4] 물론 궁예가 죽인건 기록에 남은 두 아들이지 기록되지 않은 손자들까지 모두 죽였다는 기록은 없기 때문에 궁예의 후손이 없다는 근거가 될 수는 없다. 이쪽 설에 의하면 궁예는 경문왕의 아들이며 첫째 신광의 후손이 광산 이씨가 됐고 둘째 청광의 후손이 순천 김씨가 되었다고 하고 순천 김씨 쪽의 설에 의하면 궁예는 경문왕이 아닌 신무왕의 아들이라고 한다.[5] 반면에 경주 김씨쪽 족보에서 나온 신라계 김씨 동원분관분성록에는 광산 이씨도 등재시켜 놓았다고 한다.[6] 오늘날 광주광역시[7] 蓽자에서 초두변을 뺀 畢자를 써서 畢門이라고 한 경우도 있으나 蓽門이 맞다. #출처[8] 오늘날 광주광역시 북구 풍향동에 있는 서방사거리부터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에 있는 남광주교차로까지 이어지는 길이 4.2km, 왕복 8차로의 도로가 바로 이선제(李先齊) 선생의 호인 필문(蓽門)을 따서 이름 붙여진 필문대로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