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춘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신라| 신라의 역사 ]]新羅歷史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be67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4a2d5b; 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ff5d2,#ccc4a8> 시대 | 국가 | ||||
고신라 (古新羅) | 왕정 이전 | 진한 사로국 (계림) | ||||
삼국시대 | 신라 | |||||
신라 보덕국 | | ||||||
삼국 통일 | 통일신라 장안국 | |||||
신라/후삼국시대 후고구려 | 후백제 | 후사벌국 | ||||||
중세 | 신라부흥운동 | |||||
역대 왕조 주요 귀족 | 박씨 왕조 | 석씨 왕조 | 김씨 왕조 성골 | 진골 | 육두품 |
신라의 국성 慶州 昔氏 (月城 昔氏) 경주 석씨 (월성 석씨) | |
관향 | <colbgcolor=#fff,#191919>경상북도 경주시 |
시조 | 석탈해(昔脫解) |
중시조 | 석재흥(昔載興) |
인구 | 11,355명(2015년) |
경주석씨 대종회 |
[clearfix]
1. 개요
월성 석씨(月城 昔氏) 와 경주 석씨(慶州 昔氏)는 한국의 성씨이다. 월성은 경주의 옛 표기이며, 두 성씨는 동본이다. 신라때의 김씨, 박씨와 함께 신라의 국성이며, 신라의 4대왕인 탈해 이사금을 시조로 한다.석씨는 신라 시대, 172년 동안 왕조를 유지했다.
2. 시조 석탈해
기원전 19년(혁거세 39년), 한 노파가 고기잡이를 하던 도중 한 금궤가 내려와 이를 열어보니,한 사내아이가 있었다. 그 노파는 이 사내아이를 잘 길렀다. 시간이 지난후 그 사내아이는 키가 9척이나 되었으며 (이하생략) 신라의 4대왕이 되었다.
중시조 석재흥(昔載興)은 탈해 이사금의 23대손이며, 고려의 문신이었다.
3. 역대 석씨 왕조 일람.
경주 석씨 즉 월성 석씨는 총 8명의 신라 군주를 배출하였다. 총 재위기간 172년.- 석탈해 - 신라 4대왕. 최초의 석씨 군주.
- 석벌휴 - 신라 9대왕.
- 석내해 - 신라 10대왕.
- 석조분 - 신라 11대왕.
- 석첨해 - 신라 12대왕.
- 석유례 - 신라 14대왕.
- 석기림 - 신라 15대왕.
- 석흘해 - 신라 16대왕. 마지막 석씨 군주.
4. 인구
2015년 경주석씨 + 월성석씨는 1만명 가량으로 매우 적다. 이 숫자조차 2000년 인구조사보다 상당히 늘어난 숫자다.5. 항렬자
월성 석씨(月城 昔氏)는 각파가 통일된 항렬자를 사용하는 대동항렬법을 채택하고 있다. 각 항렬은 중시조 기준으로 계대를 계산 한 것 이다.<rowcolor=#ece5b6> 계대수 | 항렬자 |
38世 | 기(基) |
39世 | 진(鎭) |
40世 | 하(河) |
41世 | 동(東) |
42世 | 영(榮) |
43世 | 규(圭) |
44世 | 호(鎬) |
45世 | 준(準) |
46世 | 식(植) |
6. 인물
- 석탈해-경주(월성) 석씨의 시조.
- 역대 석씨 왕조.
- 석재흥(昔載興)-경주(월성)석씨의 중시조. 석탈해의 22대손으로, 고려 때에 교서랑을 지냈었다.
- 석수철-야구 감독.[1]
- 석명준-前 농구 선수
- 석동석-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제9호 은산별신제(화주)예능 보유자.
- 석정규 - 정치인
- 석영훈-현 공군 중령(공군사관학교 54기), 10전투비행단 201전투비행대대장
- 석태용- 현 탈해왕릉 능참봉
7. 같이 보기
[1] 옛날 석을 사용하는 현대의 유명인 중 거의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