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건천역 (폐역) | ||
역명 표기 | ||
중앙선 | 건천 Geoncheon 乾川 / 干川 / [ruby(乾川, ruby=コンチョン)] | |
주소 |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내서로 1038-18 (천포리) | ||
관리역 등급 | ||
폐역 | ||
개업일 | ||
경동선 | 1917년 9월 20일 | |
경경남부선 | 1938년 12월 1일[1] | |
경경선 | 1941년 7월 1일[2]~1948년 1월 | |
중앙선 | 1948년 1월~2021년 12월 28일 | |
역사 구조 | ||
지상 1층 구조 | ||
철도거리표 | ||
청량리 방면아 화 ← 5.9 ㎞ | 舊 중앙선 (폐역) | 경주 방면모 량 3.9 ㎞ → |
건천역사 (1936년 준공) |
[clearfix]
1. 개요
중앙선의 폐지된 철도역.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내서로 1038-18 (천포리) 소재.2021년 12월 28일 동해선과 중앙선 복선화와 함께 서면 아화리와 심곡리 경계에 완공된 아화역으로 통합되었다.
2. 역 정보
1939년 표준궤로 개궤되었다.폐역 직전까지 경주시에 있는 여객열차 취급 역 중 제일 먼저 개업한 역이다.[3] 역의 이름은 역이 위치한 건천읍에서 역명을 따왔다. 이 일대 개천(대천)이 너무 배수가 잘 되어 여름이 되면 말라붙는다고 해서 건천(乾川)이다. 심지어 호우가 쏟아져도 물이 많이 차지 않는다. 다만 물살이 엄청 센 일반 개천처럼 변하기 때문에 위험한 건 매한가지지만.
1일 8회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간이역이었다. 단, 건천역에 정차하는 모든 무궁화호는 동대구에서 포항까지만 운행하였다. 바로 옆에 경부고속도로 건천IC 등이 있어서 이용객은 적지만 꾸준히 수요는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2016년 6월 13일부로 드디어 부전 - 동대구 열차도 1편이 드디어 정차하게 됨으로서 동해선 열차를 건천역에서 볼 수 있게 되었으며, 경주시나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승객들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4] 그러나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어 인접한 아화역에 여객 업무를 물려주고 폐지되었다.
청량리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가 정차하지 않아 서울방면 열차 이용은 불편하다. 또한 부산 방면은 부전역에서 건천역으로 오는 열차만 정차하지 건천역에서 부전역으로 가는 열차는 없어서 경주역으로 가거나 경주시외, 경주고속으로 가야 한다.[5]
역 모습은 일반적인 간이역의 모습이다. 또한 1, 2번 승강장은 없고 3, 4번 승강장만 있다.
타는 곳 역명판은 코레일 신 CI가 적용되었다. |
현재 승차권 차내 취급역으로 역무원은 여러 명이 근무하지만 매표소는 취급하지 않는다.[6]
중앙선 복선 전철화의 영향을 받아 2021년 12월 28일에 아화역과 통합하여 폐지되었다. 실질적으로는 아화역이 건천역의 역무를 물려받아 재개업한 셈인데 건천읍 밖인 서면 심곡리로 이전하여 아화역의 이름을 쓰게 되었다.
2.1. 향후
향후 대경선이 포항으로 연장될 계획이 있는데, 해당 계획이 구 건천역 부지 옆을 지나가기 때문에 역 재신설 가능성이 있다. 다만 신선으로 이전되었기 때문에 역이 북건천IC(경주건천일반산업단지 입구) 또는 건천읍 대곡리로 이전될 것으로 보인다. 이럴 경우 광역전철 전용 역사로 지어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현재 대경선은 2단계 연장인 김천 연장도 이제 겨우겨우 사타가 진행 중이고 남쪽 청도방면 연장이 동쪽 하양/영천방면 연장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며, 경주시와 포항시는 법적으로 대구권이 아니기 때문에 지금은 먼 미래 이야기.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2004년 | 7명 | |
2005년 | 8명 | |
2006년 | 6명 | |
2007년 | 1명 | |
2008년 | 23명 | |
2009년 | 21명 | |
2010년 | 18명 | |
2011년 | 26명 | |
2012년 | 28명 | |
2013년 | 34명 | |
2014년 | 34명 | |
2015년 | 34명 | |
2016년 | 17명 | |
2017년 | 19명 | |
2018년 | 21명 | |
2019년 | 21명 | |
2020년 | 15명 | |
2021년 | 18명 | [7]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4. 둘러보기
중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운학† - - - - - - - 고명† - 삼곡† - 도담† - - - - - - - - - - - - 옹천† - - - - - - - - - - - - - - - - - - - - - 북영천† - - - - - - 모량†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1]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3558호.[2] 경경남·북부선 통합 및 경경선으로 개칭된 날짜.[3] 경주역보다도 약 1년 먼저 개업했다.[4] 그렇지만 저녁 늦게 1편만 서기 때문에 이용하기엔 다소 불편한 감이 있었다.[5] 그러나 경주고속은 동부산행 밖에 없어서 서부산 혹은 시내로 가려면 부산서부행을 이용해야 하며, 해운대, 송정, 기장 방면은 해운대행을 이용해야 한다.[6] 2021년 2월 23일까지는 매표 업무를 취급했지만 2021년 2월 24일부터 더 이상 취급하지 않는다.[7] 1월 1일부터 12월 27일까지 361일간의 집계를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