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8 16:26:58

갑현신호장

갑현신호장
역명 표기
중앙선 갑현
Gapyeon
甲峴 / 甲岘 / カピョン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장수로 2092
(舊 화남리 889-4)
관리역 등급
신호장
(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
운영 기관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중앙선 1978년 1월 1일
승강장 구조
0면 2선
철도거리표
중앙선
갑 현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연계 교통편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갑현역/gaphyeon.jpg
현 역사(1978년 준공)

중앙선의 신호장.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장수로 2092 (舊 화남리 889-4) 소재.

서지신호장, 업동신호장과 마찬가지로 교행 목적으로 설치된 신호장이며, 현재 무인화 되었다.

2. 역 정보

파일:갑현역 출발도움선.jpg
출발 도움선(열차의 견인력 부족을 대비하여 설치된 선로)이 설치되어 있는 3개의 역 중 하나이다.[1] 사진에서 보면 맨 오른쪽이 본선, 왼쪽이 대피선인데, 대피선에서 본선으로 합류하기 직전에 왼쪽으로 선로가 빠지는 부분이 있다. 이게 출발 도움선이다.

마을 이름은 갑티의 고개 밑에 있다고 해서 갑현. 단, 이곳의 도로명은 갑티로가 아니라 장수로며, 인근에 성운대학교가 있다.[2]

2024년 12월 중앙선 도담 ~ 영천 구간이 이설되면 폐역될 예정이며 2023년 11월 22일 업동신호장이 폐역되면서 비봉신호장과 함께 중앙선 최후의 교행 목적으로 지어진 신호장이 되었다. 또한 역사 사진 우측을 유심히 보면 신호장인데 대합실 공간이 있다.

갑현신호장은 직선구간+급격한 구배구간(육안으로도 확인이 된다)에 보통이음매와 목침목 분기기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선로 특성 상, 전국 철도역 중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상당히 열차 통과 소음이 크다. 특히 영천역, 동대구역 등 하행방면으로 가는 열차의 경우는 하구배에서 탄력을 받은 상태로 빠르게 달려와서 버스정류장 (화남 3리), 신녕농협 마늘출하저장소 등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도 이음매 소리가 크게 들려온다. 비슷하게 이음매 소리가 큰(컸던)걸로 유명한 역으로는 같은 중앙선인 단성역이 있다.

2020년 1월 5일 새벽까지 이 역에서 청량리~부전 무궁화호 1623열차와 1624열차가 서로 교행했다.[3]

2.1. 승강장

봉림
신녕

교행 목적으로 지어진 신호장이기에 승강장이 없다.

3. 연계 교통편

주의할 점이 있는데, 군위방면은 중앙선을 따라 봉림, 화본, 우보를 거치는게 아닌 화수, 매성, 연계, 의흥, 수서, 우보를 거친다. 즉, 철도선형 그대로 군위로 가지 않으니 주의.
화남2리(삼산방면)(571018)
영천시 시내버스
일반
군위군 마을버스
마을
7(군위방면)
8(군위방면)
화남2리(신녕방면)(571043)
영천시 시내버스
일반
군위군 마을버스
마을
7(신녕방면)
8(신녕방면)

4. 둘러보기

중앙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서경주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황성}}}}}}
취소선:폐역,†:여객영업 X ||}}}}}}}}} ||



[1] 다른 두 역은 서지신호장업동신호장이나, 서지신호장은 2020년 12월 17일, 업동신호장은 2023년 11월 22일 폐지되어 현재 출발 도움선이 남아 있는 역은 갑현신호장 뿐이다.[2] 당연히 통학 열차는 없다. 원래부터 신호장이어서 승강장 등 시설물이 없는데다가, 그보다 그런 짓을 할 한국철도공사가 아니다. 한국철도공사가 버스업체도 아니고 비슷한 사례로 경부선 조치원역과 이전역 서창역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다. 조치원에 있는 홍익대학교 조치원캠퍼스는 서창역에서 더 가깝고 실제로 학교 측에서 서창역에 여객 열차를 일부 세우면 안 되겠냐는 요청이 들어왔던 적이 있었지만, 애초에 서창역은 신호장 목적으로 세워진 역이라 당연히 거절당했다.[3] 주간 열차인 1621, 1622열차는 안동역에서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