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녕역 | ||
청량리 방면 | 중앙선 무궁화호 | 부전 방면영 천 17.0 ㎞ → |
화 본 ← 15.2 ㎞ | ||
영동선 무궁화호 | 동대구 방면북영천 14.5 ㎞ → | |
동해 방면 | ||
역명 표기 | ||
중앙선 | 신녕 Sinnyeong 新寧 / 新宁 / シンニョン | |
주소 |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장수로 1587 (완전리)[1]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3급) (안동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 | ||
운영 기관 | ||
중앙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경남부선 | 1938년 12월 1일[2] | |
경경선 | 1941년 7월 1일[3] | |
무궁화호 | 1998년 2월 3일 | |
승강장 구조 | ||
1면 5선 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청량리 방면갑 현 ← 5.0 ㎞ | 중앙선 신 녕 | 모량 방면화 산 6.4 ㎞ → |
현 역사(1940년 준공) |
승강장 |
[clearfix]
1. 개요
예나 지금이나 소중한 이동수단
신녕역은 1938년 11월 중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역으로, 목조 슬레이트 단층구조의 아담한 역사였다. 배 모양의 분지에 들어선 역사답게 오른편에는 신녕의 돛대로 신성하게 여겨지는 2.6m, 폭 1m의 선돌이 자리하고 있다. 철도는 과거 이 지역 주민들에겐 없어선 안 되는 중요한 이동수단으로 1941년 4개 동의 신녕역 관사가 건립되기도 하였다. 오늘날에도 농산물 집하장이 있어 주민들에게 더 없이 필요한 교통수단이다. 과거부터 여객열차보다 화물열차가 더 많이 오가던 역사로, 시멘트를 주로 취급하였으며 인근에 시멘트 공장이 위치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신녕역은 1938년 11월 중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역으로, 목조 슬레이트 단층구조의 아담한 역사였다. 배 모양의 분지에 들어선 역사답게 오른편에는 신녕의 돛대로 신성하게 여겨지는 2.6m, 폭 1m의 선돌이 자리하고 있다. 철도는 과거 이 지역 주민들에겐 없어선 안 되는 중요한 이동수단으로 1941년 4개 동의 신녕역 관사가 건립되기도 하였다. 오늘날에도 농산물 집하장이 있어 주민들에게 더 없이 필요한 교통수단이다. 과거부터 여객열차보다 화물열차가 더 많이 오가던 역사로, 시멘트를 주로 취급하였으며 인근에 시멘트 공장이 위치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중앙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장수로 1587 소재.
2. 역 정보
신녕면 행정복지센터가 있는 중심지에서 좀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4] 현재까지 여객 취급이 되고 있는 매우 희귀한 사례로, 2021년 현재 무궁화호 열차가 1일 6회 정차한다.[5]원래 수/소화물을 취급했으나 중지했다. 현재는 시멘트 화물을 주로 취급하며, 바로 옆에 시멘트 공장이 있다. 한때는 그 공장 굴뚝에 신녕 마늘의 일러스트가 크게 그려져 있었다.
상행의 경우 9시 54분 #1602를 놓치면 무려 7시간 20분이라는 상상을 초월한 배차간격이 등장한다. 다만 상하행 각각 3회만 정차하는 역이라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6]
역 앞에서 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7]를 타면 영천 시내까지 30분이나 걸리는데, 무궁화호를 타면 14분이면 가므로 시간대가 맞다면 열차를 타고 가는 것이 낫다. 다만, 신녕역이 면 내에서 좀 떨어져 있고 #1671은 영천역이 아닌 북영천역에서 선다는 점, 열차가 1일 2회 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8]
경산시 하양읍으로는 하양역에 정차하는 #1671 외에도 와촌1번을 이용해서 갈 수 있으며, 여객영업이 중단된 금호역이 위치한 금호읍에는 222번으로 갈 수 있다.
2021년 2월 24일부터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지정되었다. 역무원은 상주하고 있으나 승차권을 발매하지 않으므로 열차 승차 후 승무원에게 차내승차권을 구입하거나 코레일톡으로 발권하면 된다.
2024년 9월 27일,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24-509호에 의해 철도거리표 상에서 삭제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바로 시행되는 것은 아니며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살아 있다.
2024년 12월 중앙선 도담 ~ 북영천 구간이 이설되면 폐역되며 시멘트 화물수송이 중단될 예정이다.
2.1. 승강장
역사와 건널목으로 이어진다.↑ 갑현 | |||
ㅣ | 2 | 1 | ㅣ |
화산 ↓ |
1 | 중앙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경주·태화강·부전 방면 |
영동선 | 북영천·하양·동대구 방면 | ||
2 | 중앙선 | 안동·제천·청량리 방면 | |
영동선 | 영주·분천·동해 방면 |
3. 연계 교통
3.1. 시내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신녕역건너(571001) ||
영천시 시내버스 | |
일반 | |
공공형 | |
경산시 시내버스 | |
간선 | |
지선 |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신녕역앞(571002) ||
영천시 시내버스 | |
일반 | |
공공형 | |
경산시 시내버스 | |
간선 | |
지선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2004년 | 9명 | |
2005년 | 11명 | |
2006년 | 9명 | |
2007년 | 5명 | |
2008년 | 6명 | |
2009년 | 8명 | |
2010년 | 6명 | |
2011년 | 9명 | |
2012년 | 7명 | |
2013년 | 7명 | |
2014년 | 7명 | |
2015년 | 7명 | |
2016년 | 8명 | |
2017년 | 7명 | |
2018년 | 6명 | |
2019년 | 7명 | |
2020년 | 5명 | |
2021년 | 9명 | |
2022년 | 10명 | |
2023년 | 13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 앞서 말했다시피 신녕역은 신녕면 시가지에서 다소 떨어져 있음에도 여객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가 터진 2020년에도 수요는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 신녕역은 중앙선에서 여객취급을 하는 철도역 중 가장 이용객 수가 적은 역이다.
5. 둘러보기
중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명† - 삼곡† - 도담† - - - - - - - - - - - - 옹천† - - - - - - - - - - - 비봉† - - 우보† - - 봉림† - 갑현† - - 화산† - - - - - - - - 모량†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1] 완전리 587[2]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3558호.[3] 경경남·북부선 통합 및 경경선으로 개칭된 날짜.[4] 신녕버스터미널까지는 도보로 15분, 신녕면 행정복지센터까지는 20분 정도이다.[5] 청량리-부전 1601~1604열차 & 동대구-동해 1671, 1674열차. 화본역도 이 열차들만 정차한다.[6] 이는 화본역도 마찬가지다.[7] 영천시 200번대 버스 중 일부 노선은 신녕면으로 가지 않는다.[8] 북영천역이 있는 곳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성내동 서문육거리, 금노동 영천버스터미널이 있다. 조금 더 내려가면 영천 시내인 완산동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