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〇(영) | 一(일) | 二(이) | 三(삼) | 四(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오) | 六(육) | 七(칠) | 八(팔) | 九(구) | |
伍 | 陸 | 柒 | 捌 | 玖 | |
十(십) | 廿(이십) | 卅(삼십) | 卌(사십) | 百(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이백) | 千(천) | 萬(만) | 億(억) | 兆(조) | |
- | 仟 | - | - | - | |
京(경) | 垓(해) | 秭(자) | 穰(양) | 溝(구) | |
- | - | - | - | - | |
澗(간) | 正(정) | 載(재) | 極(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십진수 Decima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큰 수 | 작은 수 | ||||||
일(一/壹) (100) | 십(十/拾) (101) | 백(百/伯/陌) (102) | 천(千/仟/阡) (103) | <colbgcolor=#d3d3d3,#000> 푼/분(分) (10-1) | <colbgcolor=#d3d3d3,#000> 리(厘) (10-2) | <colbgcolor=#d3d3d3,#000> 모(毛)/호(毫) (10-3) | <colbgcolor=#d3d3d3,#000> 사(絲) (10-4) | |
만(萬) (104) | 십만(十萬) (105) | 백만(百萬) (106) | 천만(千萬) (107) | 홀(忽) (10-5) | 미(微) (10-6) | 섬(纖) (10-7) | 사(沙) (10-8) | |
억(億) (108) | 십억(十億) (109) | 백억(百億) (1010) | 천억(千億) (1011) | 진(塵) (10-9) | 애(埃) (10-10) | 묘(渺) (10-11) | 막(漠) (10-12) | |
조(兆) (1012) | 경(京) (1016) | 해(垓) (1020) | 자(秭) (1024) | 모호 (10-13) | 준순 (10-14) | 수유 (10-15) | 순식 (10-16) | |
양(壤/穰) (1028) | 구(溝) (1032) | 간(澗) (1036) | 정(正) (1040) | 탄지 (10-17) | 찰나 (10-18) | 육덕 (10-19) | 허공 (10-20) | |
재(載) (1044) | 극(極) (1048) | 항하사 (1052) | 아승기 (1056) | 청정 (10-21) | 아라야 (10-22) | 아마라 (10-23) | 열반적정 (10-24) | |
나유타 (1060) | 불가사의 (1064) | 무량대수 (1068) | ... | |||||
구골 (10100) | 구골플렉스 ([math(10^{10^{100}})]) |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穰 볏줄기 양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c1d1f> 禾, 1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c1d1f> 22획 | ||||
미배정 | |||||||
穣 | |||||||
일본어 음독 | ジョウ | ||||||
일본어 훈독 | みの-る, ゆた-か | ||||||
- | |||||||
표준 중국어 | rá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穰은 '볏줄기 양'이라는 한자로, '볏줄기', '풍년' 등을 뜻한다. 십진수 중 10의 28제곱[1]을 의미하기도 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c1d1f>줄기 | <colbgcolor=#fff,#1c1d1f>잘게 썬 짚 | |
음 | 양 | 영 | ||
중국어 | 표준어 | ráng | ||
광동어 | joeng4, joeng5, joeng6 | |||
일본어 | 음독 | ジョウ | ||
훈독 | みの-る, ゆた-か | |||
베트남어 | - |
유니코드에는 U+7A70에 배정받았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木卜口女(HDYRV)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禾(벼 화)와 음을 나타내는 襄(도울 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4. 유의자
- 幹(줄기 간, 주관할 관, 우물 난간 한)
- 脈(줄기 맥)
- 禾(벼 화, 말 이빨의 수효 수)
- 梗(줄기 경/막힐 경, 얼음 뜰 채)
- 莖(줄기 경)
- 藁(짚 고)
- 秸(짚 갈, 뻐꾸기 길)
- 稈(볏짚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