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21:57:08

팀홀튼

Tim Hortons에서 넘어옴
<colbgcolor=#DD0F2D,#010101><colcolor=#fff,#DD0F2D> Tim Hortons Inc.
파일:팀 호턴스 로고.svg
기업명 팀 호턴스 인코퍼레이티드
국가
[[캐나다|]][[틀:국기|]][[틀:국기|]]
설립 1964년 5월 17일 ([age(1964-05-17)]주년)
설립자 팀 호턴
론 조이스
모기업 레스토랑 브랜드 인터내셔널[1]
대표 액슬 슈완(Axel Schwan)
업종 요식업
본사 온타리오토론토 스위트 300 M5X 1E1
킹 St. W. 130 [2]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링크
[[캐나다|]][[틀:국기|]][[틀:국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투명 10x10.png 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olcolor=#fff,#DD0F2D>
파일:Original_Tim_Hortons_-_Hamilton,_ON.jpg
박물관을 겸하는 1호점[3]
파일:3liq0q.jpg
파일:TimmyCup.jpg
캐나다인들과 팀홀튼의 친밀감을 알 수 있게 하는 밈들
1. 개요2. 메뉴
2.1. 음료
2.1.1. 핫 음료2.1.2. 아이스 음료2.1.3. 아이스 캡 (프로즌/칠) 음료
2.2. 식품
2.2.1. 도넛 및 빵류 (베이커리)2.2.2. 랩2.2.3. 샌드위치 메뉴
3. 대한민국 사업
3.1. 프리미엄 마케팅 논란3.2. 매장
4. 기타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Always Fresh. Always Tim Hortons.
캐나다의 다국적 커피 전문점이자 레스토랑 체인으로, 본사는 토론토에 있다. 캐나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팀스(Tim's) 또는 티미스(Timmies, Timmy's)라고 부르며, 매장 외부에도 설탕단풍 잎 안에 Tim's를 기재해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토론토 메이플리프스의 전설적인 아이스하키 선수(수비수)인 팀 호턴[4]이 1964년 5월 17일에 온타리오해밀턴에서 도넛 가게를 개업한 것이 시초다. 이후 동갑내기이자 은퇴한 해밀턴 경찰 출신인 론 조이스와 동업을 시작하며 동네 도넛 가게에서 프랜차이즈로 성장해 나갔다. 1974년 2월 21일에 호턴이 해밀턴 동쪽의 세인트캐서린스에서 자동차 사고[5]로 세상을 떠난 후에는 조이스가 호턴의 지분을 모두 인수했으며, 1995년 웬디스에 팀홀튼을 매각할 때까지 공격적으로 기업을 키워 나가며 캐나다를 대표하는 요식업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1995년에 미국의 패스트푸드 그룹 웬디스와 합병하면서 캐나다 내에서는 맥도날드를 능가할 정도로 성장했고, 2006년 9월에 다시 분사해 나와 IPO를 개시하며 순수 캐나다 자본 기업으로 돌아왔었다.[6] 그러다가 버거킹을 소유한 레스토랑 브랜즈 인터내셔널(RBI)이 미국의 법인세를 피해 비교적 세율이 낮은 캐나다로 본사를 이전하기 위해서 2014년 8월 26일 114억 달러라는 거액에 팀홀튼을 인수, 다시 캐나다-미국 공동 자본의 소유 기업이 되었다. 이후 RBI는 토론토로 본사를 옮겼다. 이 영향으로 팀홀튼의 대한민국 라이선스는 비케이알이 맡고 있다.

본사는 해밀턴에 있었다가, 2018년에 토론토로 이전했다. 해밀턴의 1호점 외부에는 창업주 팀 호턴의 동상이 있다.

캐나다에서는 스타벅스를 포함한 다른 커피하우스 프랜차이즈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커피와 도넛, 기타 음료들과 함께 간단한 식사와 다양한 먹거리를 제공한다.[7] 거기다 점포 수도 많아 부담없이 어디서나 즐길 수 있어, 명실상부 캐나다의 국민 커피숍이자 레스토랑 체인이라 할 수 있다.

연고지인 온타리오 주에 상대적으로 매장이 많지만, 그래도 미국 내에서 동부 지역에 매장이 편중되어 있는 던킨같은 브랜드에 비하면[8] 캐나다 내에서는 매장이 고르게 분포해 있다.

2. 메뉴

2.1. 음료

2.1.1. 핫 음료

2.1.2. 아이스 음료

2.1.3. 아이스 캡 (프로즌/칠) 음료

얼음을 갈아만든 베이스로 만든 음료들이다.

2.2. 식품

2.2.1. 도넛 및 빵류 (베이커리)

2.2.2.

2.2.3. 샌드위치 메뉴

블랙 포레스트 햄, 체다치즈, 양상추, 토마토와 렌치소스 드레싱을 러스틱 번에 싼 샌드위치
베이컨, 양상추, 토마토와 마요네즈를 번에 싼 샌드위치
아티산 슬라이스드 통밀빵, 꽉채운 체다지즈와 위에 뿌려진 모짜렐라 치즈 그리고 몬터레이 잭 치즈가 들어간 전형적인 구운 치즈 샌드위치

3. 대한민국 사업

본사가 버거킹과 한 식구인 것의 영향인지, 대한민국에서도 버거킹 운영사인 비케이알이 사업을 추진·운영한다. # # 2023년 5월 13일 팀홀튼의 진출을 발표한 비케이알은 향후 5년 이내 전국에 150개 이상의 매장을 오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2023년 12월 14일 대한민국 1호점을 오픈한 지 약 한 달 사이에 4호점까지 진출을 할 정도로 공격적으로 매장을 늘려 나가고 있다.[10]

2023년 12월 14일신논현역 사거리에 위치한 어반하이브 빌딩 1층에 대한민국 1호점이 오픈하며 대한민국에 진출했다. 파이브 가이즈와 동일하게 개점 당일에 비가 오는 날씨임에도 불구하고 매장 앞은 300여명 이상이 줄을 설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방문을 하였으며,[11] 오픈 이후에도 웨이팅이 약 200팀 이상을 기다려야 할 정도였다. #

3.1. 프리미엄 마케팅 논란

대한민국에 오픈하면서 전체적인 가격을 1.5~2배 가까이 단가를 올려서 팔려는 프리미엄 마케팅 전략을 시도하고 있어서 다소 우려의 목소리도 없지 않은 편이다.# 캐나다에서는 1.83 캐나다 달러 (대략 원화 1,788원) 정도의 가격인 미디엄 사이즈 커피를 대한민국에서는 2배 가량인 3,900원에 팔고 있다. 또 팀빗 한 상자에 캐나다는 3,000원인데, 대한민국은 7,000원으로 팔고 있다. 오죽했으면 팀홀튼이 대한민국으로 치면 메가MGC커피컴포즈커피, 빽다방 등과 동일한 포지션인데, 해외에 나가서 가격을 비싸게 받는 격이라는 비아냥도 있을 정도.

물론 브랜드별 일대일 대응은 어렵고, 대한민국에서는 경쟁이 너무 심한 저가 커피 시장이 아닌 스타벅스, 던킨 등의 메이저 커피 프랜차이즈와 경쟁하기 위해 이와 같이 포지셔닝을 한 거라 볼 수 있다. 특히 도넛류의 디저트가 주력인 만큼, 던킨과의 경쟁을 하는 포지션으로 보인다.

3.2. 매장

이모지에 적힌 범례는 다음과 같다.
<colcolor=#fff> 🚌 <colcolor=#d21033> 버스 터미널
<colbgcolor=#000> 🚏 버스 정류장
✈️ 공항
파일:KTX BI_White, Red.svg 파일:SRT BI_White.svg 고속열차(KTX·SRT) 정차역
🚉 일반열차 철도역
🚇 지하철역

<rowcolor=#fff> 순번 매장명 개점일 주소 대중교통 비고
1 신논현역 2023년 12월 14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476
(논현동, 어반하이브빌딩 1층)
파일:Seoulmetro9_icon.svg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논현역 국내 첫 매장
2 선릉역 2023년 12월 28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08
(대치동, 대치빌딩 1층)
파일:Seoulmetro2_icon.svg 선릉역
3 숭례문그랜드센트럴 2024년 1월 30일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4
(남대문로5가, 그랜드센트럴 1층)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서울역
4 서울대입구역 2024년 1월 31일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805
(봉천동, 에이스에이존 오피스텔 1층)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대입구역
5 분당서현 2024년 2월 27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 324
(서현동, 송강빌딩 1층)
파일:SBLine_icon.svg 서현역 경기권 첫 매장
6 광화문K-Twin타워 2024년 4월 16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길 50
(중학동, 케이트윈타워 1층)
파일:Seoulmetro5_icon.svg 광화문역
7 인천청라국제도시 2024년 4월 22일 인천광역시 서구 중봉대로586번길 19
(청라동, 홍익파크 1층)
파일:Seoulmetro7_icon.svg 003정거장 [2028년] 인천시 첫 매장
8 구로하이엔드 2024년 5월 2일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26길 5
(구로동, 에이스하이엔드타워1차 1층)
파일:Seoulmetro7_icon.svg 남구로역
9 성신여대입구역 2024년 5월 22일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 97
(동소문동, 삼경빌딩 1층)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UiLine_icon.svg 성신여대입구역
10 여의도TP타워 2024년 5월 24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여의도동, TP타워 1층)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여의도역
11 일산동구청 2024년 7월 23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정발산로 27
(장항동, 진원프라자 1층)
파일:Seoulmetro3_icon.svg 정발산역 경기권
두번째 매장
12 신림역 2024년 7월 30일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619
(신림동, 영일빌딩 1층)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신림역
13 서울시청 2024년 9월 4일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6
(을지로1가, 프레지던트 호텔 1층)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시청역
파일:Seoulmetro2_icon.svg 을지로입구역
서울시
10번째 매장

4. 기타

5. 둘러보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e4a3f,#43454d><bgcolor=#5e4a3f,#010101><tablebgcolor=#fff,#1c1d1f> ☕ 커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커피 종류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a38778,#000> 블랙 커피 에스프레소 (리스트레토 · 룽고) · 아메리카노 · 드립 · 아랍 커피 · 콜드 브루 · 튀르크 커피 아이스 커피
질소 커피
베리​에이션
커피
우유를 넣은 커피 (스팀 밀크 · 카페라테 · 카페오레 · 카페모카 · 카푸치노 · 코르타도 · 마키아토 · 플랫 화이트 · 카페 콘 레체)
콘 판나 · 아인슈페너 · 아포가토 · 샤케라토 · 로마노 · 방탄커피 · 달고나 커피 · 프라페
커피주 깔루아 (B-52 · 깔루아 밀크 · 벨벳 해머 · 블랙 러시안 · 에스프레소 마티니 · 오르가즘 · 퀵퍽 · 푸스 카페 레인보우 · 화이트 러시안) · 아이리시 커피 · 카페 로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a38778,#000>추출 방식
및 기구
에스프레소 (에스프레소 메이커 · 전자동 머신 · 반자동 머신 · 캡슐 · 파드 · 레버 · 휴대용) · 드립 커피 (드리퍼 · 드립 커피 메이커) · 콜드 브루 · 프렌치 프레스 (클로버) · 모카포트 · 달임식 · 에어로프레스
자판기 커피 · 맥심 · 카누 · 칸타타 · 스타벅스 비아 · 맥스웰하우스 · 네스카페
T.O.P · 칸타타 · 레쓰비 · 스타벅스 · 조지아 · 맥스웰하우스 · 네스카페
기타 문서카페 · 루왁커피 · 바리스타 · 크레마 · 모카 · 대용 커피 · 커피 젤리 · 카페인 · 디카페인 · 커피스틱 · 커피 체인점 · 카공족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유명 체인점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font-size: .92em"
한국계 프랜차이즈
파일:이디야커피 심볼.svg파일:카페베네 엠블럼.svg파일:할리스커피 심볼.svg파일:탐앤탐스 심볼.svg파일:투썸플레이스 심볼.svg
파일:엔제리너스 커피 엠블럼.svg파일:폴 바셋 로고.svg파일:빽다방 로고.svg파일:카페 드롭탑 아이콘.svg파일:카페 띠아모 로고.svg
파일:요거프레소 심볼.svg
파일:더카페 로고.svg
파일:커피에반하다 로고.svg
파일:COFFEEBAY 로고.svg
파일:메가MGC커피 로고.svg
파일:더벤티 로고.svg
파일:logo.svg
파일:감성커피 3.0_심볼.png
파일:하삼동커피 로고.svg
파일:카페봄봄 로고.svg
파일:카페051 BI.png
파일:어벤더치_로고.png
파일:하이오커피_로고.jpg
파일:디저트39 로고.svg
파일:떼루와 로고.jpg
파일:랑데자뷰.png
파일:벤티프레소로고.png
파일:킹프레소 로고.png
파일:토프레소 로고.svg
파일:terarosa.jpg
파일:logo_black.png
파일:커피사피엔스 로고.png
파일:카페코지.png
파일:댄싱컵_로고.svg
외국계 프랜차이즈
파일:스타벅스 로고.svg파일:일리카페 로고.svg파일:파스쿠찌 엠블럼.svg파일:블루보틀 로고.svg파일:커피 빈 앤 티 리프 심볼.svg
파일:팀 호턴스 로고.svg파일:컴포즈커피 심볼.svg파일:스크린샷 2023-12-01 오후 1.41.29.png파일:brandimage_1-220530094411.jpg 파일:fuglenlogo_고화질.png
파일:던킨 로고.svg
}}}}}}}}}}}}



[1] 버거킹, 파파이스, 파이어하우스 서브를 자회사로 두고 있는 패스트푸드 기업.[2] 정확히는 토론토해밀턴 사이에 위치한 인구 21만 명의 타운 오크빌(Oakville)에 본사가 있었다. 오크빌은 광역 토론토(GTA) 지역에 속하기 때문에, 토론토를 본사 소재지로 보아도 무방하다. 2018년 4월 17일에 토론토 다운타운으로 본사를 이전하며 완전히 토론토에 자리잡았다. 재미있게도 창업주 팀 호턴의 묘소도 토론토에 있으며, 2000년에 팀 호턴의 부인이 사망한 후에는 부부가 합장되어 있다.[3] 창업주 팀 호턴의 동상이 건물 외부 중앙에 있다. 본업이 아이스하키 선수라서, 스틱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있다.[4] 1930~1974. 실제 발음상으로는 '홀튼'에 더 가깝지만, 외래어 표기법 용례에 의하면 Horton은 '호턴'으로 표기된다.[5] 사고 당시 호턴이 몰았던 차는 데 토마조 판테라다.[6] 일부에서는 팀홀튼이 미국에 진출하기 위해 웬디스를 가지고 놀았다고 평하기도 한다.[7] 호불호가 있긴 하지만 비교적 맛은 괜찮은 편이고, 아이스 캡(카푸치노)같은 메뉴들은 정말 맛도 좋아서 가끔씩 땡기거나 중독 대한민국에 오면 생각나는 메뉴이기도 하다.[8] 던킨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이유 중 하나가 세금 때문이다.[9] 우유로도 교체가 가능하긴 한데 당연히 맛이 확 달라진다.[10] 2호점 12월 28일, 3호점 1월 30일, 4호점 1월 31일[11] 1등은 오픈 전 날 오후 11시에 왔다고 한다.[2028년] 예정[13] 캐나다 내에서도 커피 애호가들에게는 사실상 대한민국에서의 카페베네 정도 취급을 당한다. 그런데 아래 나오듯 그 카페베네가 창립 당시 모델로 세운 프랜차이즈가 바로 이 팀홀튼이다.(!)[14] 빽다방은 본래 백종원이 원조쌈밥집 내에 손님들에게 커피를 서비스할 목적으로 2006년 원조벅스라는 이름으로 세워졌다가, 빽다방으로 이름을 변경하고 지금의 브랜드가 되었다.[15] 김선권과 백종원의 공통점이 둘 다 모두 외식업 출신이라는 것이다. 김선권은 카페베네 이전에 추풍령감자탕 외식업을 운영했다가 캐나다 여행 중 팀 홀튼에서 커피맛을 본 계기로 카페베네를 창업했지만, 백종원은 외식업이 본업이었다가 쌈밥 손님들에게 커피를 서비스할 목적으로 카페를 차린 것이 차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