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16 20:22:51

캡슐 커피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e4a3f,#43454d><bgcolor=#5e4a3f,#010101><tablebgcolor=#fff,#1c1d1f> ☕ 커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커피 종류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a38778,#000> 블랙 커피 에스프레소 (리스트레토 · 룽고) · 아메리카노 · 드립 · 아랍 커피 · 콜드 브루 · 튀르크 커피 아이스 커피
질소 커피
베리​에이션
커피
우유를 넣은 커피 (스팀 밀크 · 카페라테 · 카페오레 · 카페모카 · 카푸치노 · 코르타도 · 마키아토 · 플랫 화이트 · 카페 콘 레체)
콘 판나 · 아인슈페너 · 아포가토 · 샤케라토 · 로마노 · 방탄커피 · 달고나 커피 · 프라페
커피주 깔루아 (B-52 · 깔루아 밀크 · 벨벳 해머 · 블랙 러시안 · 에스프레소 마티니 · 오르가즘 · 퀵퍽 · 푸스 카페 레인보우 · 화이트 러시안) · 아이리시 커피 · 카페 로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a38778,#000>추출 방식
및 기구
에스프레소 (에스프레소 메이커 · 전자동 머신 · 반자동 머신 · 캡슐 · 파드 · 레버 · 휴대용) · 드립 커피 (드리퍼 · 드립 커피 메이커) · 콜드 브루 · 프렌치 프레스 (클로버) · 모카포트 · 달임식 · 에어로프레스
자판기 커피 · 맥심 · 카누 · 칸타타 · 스타벅스 비아 · 맥스웰하우스 · 네스카페
T.O.P · 칸타타 · 레쓰비 · 스타벅스 · 조지아 · 맥스웰하우스 · 네스카페
기타 문서카페 · 루왁커피 · 바리스타 · 크레마 · 모카 · 대용 커피 · 커피 젤리 · 카페인 · 디카페인 · 커피스틱 · 커피 체인점 · 카공족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유명 체인점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font-size: .92em"
한국계 프랜차이즈
파일:이디야커피 심볼.svg파일:카페베네 엠블럼.svg파일:할리스커피 심볼.svg파일:탐앤탐스 심볼.svg파일:투썸플레이스 심볼.svg
파일:엔제리너스 커피 엠블럼.svg파일:폴 바셋 로고.svg파일:빽다방 로고.svg파일:카페 드롭탑 아이콘.svg파일:카페 띠아모 로고.svg
파일:요거프레소 심볼.svg
파일:더카페 로고.svg
파일:커피에반하다 로고.svg
파일:COFFEEBAY 로고.svg
파일:메가MGC커피 로고.svg
파일:더벤티 로고.svg
파일:logo.svg
파일:감성커피 3.0_심볼.png
파일:하삼동커피 로고.svg
파일:카페봄봄 로고.svg
파일:카페051 BI.png
파일:어벤더치_로고.png
파일:하이오커피_로고.jpg
파일:디저트39 로고.svg
파일:떼루와 로고.jpg
파일:랑데자뷰.png
파일:벤티프레소로고.png
파일:킹프레소 로고.png
파일:토프레소 로고.svg
파일:terarosa.jpg
파일:logo_black.png
파일:커피사피엔스 로고.png
파일:카페코지.png
파일:댄싱컵_로고.svg
외국계 프랜차이즈
파일:스타벅스 로고.svg파일:일리카페 로고.svg파일:파스쿠찌 엠블럼.svg파일:블루보틀 로고.svg파일:커피 빈 앤 티 리프 심볼.svg
파일:팀 호턴스 로고.svg파일:컴포즈커피 심볼.svg파일:스크린샷 2023-12-01 오후 1.41.29.png파일:brandimage_1-220530094411.jpg 파일:fuglenlogo_고화질.png
파일:던킨 로고.svg
}}}}}}}}}}}}
<nopad>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13052215231a010a012.jpg
최초이자 대표적인 캡슐 커피 브랜드인 네스프레소 머신
1. 개요2. 장점3. 단점4. 머신 / 캡슐 브랜드
4.1. 국내 오프라인 매장 존재4.2. 온라인에서 정식 판매4.3. 온라인 해외직구만 가능
5. 캡슐 전문 브랜드
5.1. 네스프레소/돌체구스토 머신용5.2. 라바짜EP 머신용

1. 개요

1잔 분량씩 전용 캡슐에 담긴 분쇄된 커피를 해당 캡슐 커피 전용 에스프레소 머신에 집어넣어서 추출된 에스프레소를 일컫는 말. 분쇄와 탬핑이 완료된 원두를 산화되지 않도록 캡슐에 밀봉하여 분쇄 후 보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화의 문제를 많은 부분 해결했다.

이전에도 미리 포장되어 있는 원두를 사용하는 포드머신 또는 파드 커피 머신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거기서 좀 더 진보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캡슐과 파드는 모양새가 전혀 다르므로 용어를 혼용해서는 곤란하다. 파드 머신엔 캡슐이 들어갈 공간이 없다. 캡슐은 작은 젤리컵 형태의 플라스틱/알루미늄 케이스, 파드는 납작한 티백과 모양이 비슷하다. 캡슐, 파드, 분쇄커피까지 모두 호환되는 모코나 트리오 같은 머신도 있으나,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캡슐 머신은 파드와 상호 호환되지 않는다. 참고하자. 사실 파드같은 경우 일반적인 반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2. 장점

3. 단점

4. 머신 / 캡슐 브랜드

머신과 캡슐을 둘 다 생산하는 브랜드들이다. 국내 접근성에 따라 분류했다.

4.1. 국내 오프라인 매장 존재

4.2. 온라인에서 정식 판매

4.3. 온라인 해외직구만 가능

파일:external/demandware.edgesuite.net/verismo_v700_brewer_us_ca_detail_pdp.jpg
* 스타벅스 베리스모(Verismo)
스타벅스의 브랜드로 한국에서는 판매하지 않는다. 상술한 Krüger사의 K-fee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Verismo V가 최신 버전의 기기이며, 미국 내에서 기기는 160달러 대로, 캡슐은 12개에 12달러 정도로 판매한다. 일반 매장에서 캡슐을 판매하여 쉽게 구할 수 있다. 스타벅스인만큼 다양한 종류의 캡슐을 판매한다는 것이 장점이다. 연말에 할인을 많이 하며, 이때에는 기기+캡슐4상자(48개)를 단돈 60달러 정도에 구매 가능하므로 잘 노려서 구매하도록 하자. 다만 매장마다 한정 수량이 있다는 점이 주의점.

5. 캡슐 전문 브랜드

상술한 기기에 호환되는 캡슐만 생산한다. 대부분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지 않으며 온라인 전문이다. 네스프레소, 라바짜 등 유명 기기와 호환되는 캡슐들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호환되는 기기에 따라 분류한다.

5.1. 네스프레소/돌체구스토 머신용

5.2. 라바짜EP 머신용



[1] 동서식품은 아메리카노 캡슐 한 가지만 만들고 다른 종류는 외국 타사브랜드 제품을 수입해다 팔고 있다. 게다가 다른 종류는 거의 인터넷주문이다.[2] 사용자들은 시간을 보통 28초 근처를 추천하는데, 이는 이탈리아 국립 에스프레소 연구소의 에스프레소 레시피와 근접한 수치다. 일리가 이탈리아 회사기에 이 기준과 잘 어울리는 것. 그러나 커피맛은 결국 취향의 영역이기 때문에 다양한 설정을 시험해보고 자기 취향에 맞는 추출량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3] 개인차가 있을 수 있으나 일리의 과테말라-인텐소-포르테 쪽 다크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종류들이 대체로 배전도가 네스프레소 캡슐들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전문 로스터리 카페에 비할 바는 아니긴 하지만 산미도 좀 있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