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종류 | 지난 선거 | 다음 선거 |
대통령 선거 | 제20대 2022년 3월 9일 | 제21대 2025년*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국회의원 선거 | 제22대 2024년 4월 10일 | 제23대 2028년 4월 12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전국동시지방선거 | 제8회 2022년 6월 1일 | 제9회 2026년 6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재보궐선거 | 2025년 4월 2025년 4월 2일 | 2025년 6월 2025년 6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부통령 선거 | 1960년 3월 15일 | 폐지**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국민투표 | 제6차 1987년 10월 27일 | 시행 불가*** | |
{{{#!folding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 |||
* 2025년 4월 4일 오전 11시 22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인용에 따라 윤석열이 파면되어 60일 이내로 후임자를 선거해야 한다.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8px" | 사전투표일 : KST 2026년 5월 29일(금)~2026년 5월 30일(토) 오전 6시~오후 6시 투표일 : KST 2026년 6월 3일(수) 오전 6시~오후 6시 | |
선거 이전 | ||
주요 변수 · 지역별 상황 · 정당별 상황 · 세대별 상황 · 선거구 · 선거구 획정 · 여론조사 | ||
선거 진행 | ||
선거 일정 · 참여 정당 · 출마 선언 · 공약 · TV 토론회 · 선거 연설 · 선거 광고 · 선거 방송 · 출구조사 | ||
광역단체장 | 후보군 · 공천 · 경선 | |
기초단체장 | 후보군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공천 · 경선 | |
교육감 | 후보군 · 단일화 | |
광역의원 | 공천 | |
기초의원 | 공천 | |
개표 | ||
광역단체장 | 전국 | |
기초단체장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
교육감 | 전국 | |
광역의원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기초의원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
결과 분석 | ||
정당별 결과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조국혁신당 · 개혁신당 · 진보당 | |
지역별 결과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강원도 · 제주도 | |
기타 | 세대별 결과 ·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 |
관련 문서 | ||
민선 9기 지방자치단체장 · 민선 9기 광역의회의원 · 민선 9기 기초의회의원 · 이야깃거리 |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
대한민국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투표일까지 D[dday(2026-06-03)] | ||||||||||
{{{#!wiki style="margin: -7px -12px" | 2022년 6월 1일 8회 지선 | → | 2026년 6월 3일 9회 지선 | → | 2030년 6월 12일 10회 지선 | }}} |
1. 개요
대한민국의 9번째 전국동시지방선거이다.초일 산입을 적용하므로 법이 개정되지 않는 한 2008년 6월 4일까지 출생한 이는 본 선거에 투표할 수 있고 선거에 출마도 할 수 있다.
가능성은 낮지만 제22대 국회 임기 내 헌법 개정을 충분한 논의와 제도 정비가 이루어진다면 10차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가 함께 시행될 수 있다.
2. 소개
21대 대선 이후 1년여 만에 치러지는 허니문 선거로서,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21대 대선에서 승리한 정당이 지선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임기 초부터 국정 난맥상이 펼쳐진다면 여당이 예상외의 일격을 맞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지방선거 때 확보한 기초 조직력이 2년 후의 총선에서 그대로 적용되기에[1] 이후 23대 총선을 생각해서라도 양당 모두 최선을 다할 것이다.양대 정당은 물론 22대 총선에서 비례대표로만 12석을 얻은 조국혁신당과 지역구 의원 당선이라는 이변을 만들긴 했지만 정작 당 차원의 성과는 부진했던 개혁신당 역시 장기 생존의 동력을 만들려면 이 선거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낼 필요가 있다.. 그 밖에 8회 지선에서 상당히 선전했으며 원내에 입상한 진보당은 이 선거에서의 선전을 통해 '진보 1당' 지위에 쐐기를 박고자 할 것이며, 반면 한때 원내정당이자 진보 1당 위치에 있었던 정의당 입장에선 회생을 할 마지막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2.1. 3선 단체장
이 선거에는 3선 연임 제한에 걸린 광역자치단체장이 단 한 명도 없기 때문에[2] 모든 현직 광역자치단체장이 출마가 가능하며[3],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이 이 때도 출마해서 당선된다면 헌정 사상 최초로 5선 광역자치단체장 타이틀을 가지게 된다.- 교육감과 기초자치단체장 3연임에 걸리는 사람은 다음과 같다.
<rowcolor=#fff> 선거구 | 성향 | 교육감 | |
대전광역시교육감 | 중도 | 설동호 | |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 진보 | 최교진 | |
충청남도교육감 | 김지철 | ||
경상남도교육감 | 박종훈 | ||
<rowcolor=#fff> 선거구 | 소속 정당 | 기초자치단체장 | |
서울 | 성동구청장 | 더불어민주당 | 정원오 |
대구 | 달서구청장 | 국민의힘 | 이태훈 |
북구청장 | 배광식 | ||
서구청장 | 류한국 | ||
강원 | 동해시장 | 심규언 | |
양양군수 | 무소속 | 김진하 | |
철원군수 | 국민의힘 | 이현종 | |
화천군수 | 최문순[4] | ||
충북 | 충주시장 | 조길형 | |
진천군수 | 더불어민주당 | 송기섭 | |
충남 | 보령시장 | 국민의힘 | 김동일 |
전북 | 익산시장 | 더불어민주당 | 정헌율 |
임실군수 | 무소속 | 심민 | |
전남 | 완도군수 | 더불어민주당 | 신우철 |
경북 | 포항시장 | 국민의힘 | 이강덕 |
의성군수 | 무소속 | 김주수 |
또한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이 선거에도 나가 3선에 성공한다면 경상북도는 민선 이후 최초로 3연속 보수 정당 3선 연임을 기록한 광역자치단체가 된다.[5]
3. 이번 선거에서의 변경점
- 제주특별자치도의 교육의원 직선제가 폐지될 예정이다.
- 강원도가 강원특별자치도로 개편됨에 따라 강원특별자치도지사와 강원특별자치도교육감을 뽑는 첫 선거가 될 예정이다.
- 전라북도가 전북특별자치도로 개편됨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지사와 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을 뽑는 첫 선거가 될 예정이다.
- 경상북도 군위군이 2023년 7월 1일자로 대구광역시에 편입됨에 따라 대구광역시 군위군수를 뽑는 첫 선거가 될 예정이다. 또한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도 경상북도지사가 아닌 대구광역시장, 경상북도의원 대신 대구광역시의원을 뽑게 된다. 교육감선거 역시 경상북도교육감 대신 대구광역시교육감을 뽑게 된다.
- 인천광역시 행정체제 개편에 따라 2026년 7월 1일부터 검단구, 제물포구, 영종구 등 3개 자치구가 신설되면서 각 구의 구청장과 구의원이 이 선거에서 처음으로 뽑히게 된다. 또한 인천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장 수가 10석에서 11석으로 늘어난다.
4. 선거 일정
<rowcolor=#fff> 날짜 | 실시 사항 | 기준일 |
2026년 1월 5일까지 | 인구수 등의 통보 | 인구의 기준일 후 15일까지 |
2026년 1월 24일까지 | 선거비용제한액 공고·통지 | 예비후보자등록개시일 전 10일까지 |
예비후보자홍보물 발송수량 공고 | ||
2026년 2월 3일부터 | 예비후보자 등록 [시·도지사 및 교육감선거] | 선거일 전 120일부터 |
2026년 2월 20일부터 | 예비후보자 등록 [시·도의원, 구·시의원 및 장의 선거] | 선거기간개시일 전 90일부터 |
2026년 3월 5일까지 | 각급선관위 위원, 예비군 중대장 이상의 간부, 주민자치위원, 통·리·반의 장이 선거사무 관계자 등이 되고자 하는 때 그 직의 사직 | 선거일전 90일까지 |
입후보제한을 받는 자의 사직 | ||
2026년 3월 5일~6월 3일 | 의정활동 보고 금지 | 선거일 전 90일부터 선거일까지 |
2026년 3월 22일부터 | 예비후보자 등록 [군의원 및 장의 선거] | 선거기간개시일 전 60일부터 |
2026년 4월 4일~6월 3일 |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금지 | 선거일 전 60일부터 선거일까지 |
2026년 5월 12일~5월 16일 | 선거인명부 작성 | 선거일 전 22일부터 5일 이내 |
거소투표자신고 | ||
거소투표자신고인명부 작성 | ||
군인 등 선거공보 발송신청 | ||
2026년 5월 14일~5월 15일 | 후보자등록 신청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선거일 전 20일부터 2일간 |
2026년 5월 18일까지 | 선거벽보 제출 | 후보자등록마감일 후 5일까지 |
2026년 5월 21일 | 선거기간개시일 | 후보자등록마감일 후 6일 |
2026년 5월 21일~6월 2일 |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대담·토론회 개최 | 선거운동기간 중 |
2026년 5월 22일까지 | 선거공보 제출 | 후보자등록마감일 후 7일까지 |
선거벽보 첩부 | 제출마감일 후 2일까지 | |
2026년 5월 22일 | 선거인명부 확정 | 선거일 전 12일 |
2026년 5월 24일까지 | 투표소의 명칭과 소재지 공고 | 선거일 전 10일까지 |
거소투표용지 발송 (선거공보, 안내문 동봉) | ||
투표안내문(선거공보 동봉) 발송 | 선거인명부확정일 후 2일까지 | |
2026년 5월 29일~5월 30일 | 사전투표소 투표 (매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선거일 전 5일부터 2일간 |
2026년 6월 3일 | 투표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선거일 |
개표 (투표 종료 후 즉시) |
5. 참여 정당
최종 선거기호는 후보자 등록 마감일인 2026년 5월 15일 기준 각 정당의 의석수를 바탕으로 확정될 예정이다.- 지역구 의석 5석 이상 또는 직전 대통령선거,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선거에서 3% 이상을 획득한 정당들은 의석 순으로 전국통일기호를 부여받는다. 의석수가 동일할 경우 직전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득표수 순으로 부여한다. 전국통일기호는 특정 지역구에 후보를 내지 않아도 결번으로 남겨진다.
- 전국통일기호정당이 아닌 원내정당은 의석수 순으로, 의석이 동일한 경우 직전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득표율 순으로 기호를 부여받는다.
전국 통일 기호 정당 | ||
<rowcolor=#e74083,#d2af6d> 기호 | 정당 | 후보자 수 |
1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2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3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4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원내 정당 | ||
5~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기본소득당|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사회민주당(2024년)|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원외 정당 | ||
<rowcolor=#e74083,#d2af6d> 기호 | 정당 | 후보자 수 |
5~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국가혁명당|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국민주권당(2023년)|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기독당(2016년)|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녹색당(대한민국)|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대한민국당|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미래당|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새누리당(2017년)|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여성의당|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열린민주당(2022년)|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우리공화당(2020년)|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자유통일당|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정의당|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통일한국당|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한국국민당(2015년)|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한나라당(2014년)|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한류연합당|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홍익당|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
무소속 | ||
5~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
무소속 후보는 모든 정당 후보가 부여된 후 맨 마지막 기호를 받는다. 여러 명일 경우 추첨. |
6. 주요 이슈
- 헌법재판소가 2025년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인용하여 대통령 궐위로 인한 조기 대선에서 당선된 21대 대통령 취임 이후 약 1년 뒤에 치러지는 선거가 되면서 3연속으로 지방선거가 허니문 선거가 되었다.[6][7] 다음 제10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보면 4연속인 셈.[8]
6.1. 주요 변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주요 변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주요 변수#|]][[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주요 변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 지역별 상황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상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상황#|]][[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상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3. 정당별 상황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정당별 상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정당별 상황#|]][[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정당별 상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4. 세대별 상황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세대별 상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세대별 상황#|]][[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세대별 상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5. 선거구 획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선거구 획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선거구 획정#|]][[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선거구 획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선거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선거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선거구#|]][[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선거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진행 상황
8.1. 지역별 후보군
8.1.1. 광역자치단체장 후보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후보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후보군#|]][[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후보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1.2. 기초자치단체장 후보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후보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후보군#|]][[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후보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1.3. 교육감 후보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후보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후보군#|]][[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후보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2. 정당별 후보자
8.2.1. 지방자치단체장 후보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자치단체장/후보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자치단체장/후보자#|]][[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자치단체장/후보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2.2. 지방의회의원 후보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의회의원/후보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의회의원/후보자#|]][[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의회의원/후보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3. 출마 선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출마 선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출마 선언#|]][[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출마 선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선거 운동
9.1. 공약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공약#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공약#|]][[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공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2. TV 토론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TV 토론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TV 토론회#|]][[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TV 토론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3. 선거 연설
9.4. 선거 광고
10. 선거 방송
방송국별 선거 방송 | ||
방송국 | 타이틀 | 비고 |
11. 여론조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여론조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여론조사#|]][[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여론조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출구조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출구조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출구조사#|]][[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출구조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 결과
13.1. 부재자 투표율
투표별 부재자 투표율 | ||
선거인 수: | ||
<rowcolor=#373a3c> 투표 | 투표자 수 | 투표율 |
<colbgcolor=#f5f5f5,#2d2f34> 거소 투표율 | ||
선상 투표율 |
13.2. 사전 투표율
지역별 사전 투표율 | |||
<rowcolor=#000> 지역 | 선거인 수 | 사전투표자 수 | 투표율 |
<colbgcolor=#f5f5f5,#2d2f34> 서울 | |||
부산 | |||
대구 | |||
인천 | |||
광주 | |||
대전 | |||
울산 | |||
세종 | |||
경기 | |||
강원 | |||
충북 | |||
충남 | |||
전북 | |||
전남 | |||
경북 | |||
경남 | |||
제주 | |||
파란색: 투표율 최저 지역 / 빨간색: 투표율 최고 지역 |
이전 선거 사전투표율과 비교 | ||||
1일차 | ||||
시간 | <rowcolor=#373a3c,#c3c6c8> 2022 대선 | 2022 지선 | 2024 총선 | 2026 지선 |
<colbgcolor=#f5f5f5,#2d2f34> 7시 | 0.58% | 0.48% | 0.62% | |
8시 | 1.20% | 0.93% | 1.25% | |
9시 | 2.14% | 1.59% | 2.19% | |
10시 | 3.64% | 2.56% | 3.57% | |
11시 | 5.38% | 3.59% | 5.09% | |
12시 | 7.11% | 4.49% | 6.56% | |
13시 | 8.75% | 5.32% | 8.00% | |
14시 | 10.48% | 6.26% | 9.57% | |
15시 | 12.31% | 7.25% | 11.12% | |
16시 | 14.11% | 8.22% | 12.60% | |
17시 | 15.84% | 9.20% | 14.08% | |
18시 | 17.57% | 10.18% | 15.61% | |
2일차 | ||||
시간 | <rowcolor=#373a3c,#c3c6c8> 2022 대선 | 2022 지선 | 2024 총선 | 2026 지선 |
7시 | 18.29% | 10.66% | 16.17% | |
8시 | 19.11% | 11.16% | 16.86% | |
9시 | 20.17% | 11.81% | 17.78% | |
10시 | 21.62% | 12.67% | 19.04% | |
11시 | 23.36% | 13.65% | 20.51% | |
12시 | 25.19% | 14.61% | 22.01% | |
13시 | 26.89% | 15.44% | 23.41% | |
14시 | 28.74% | 16.37% | 24.93% | |
15시 | 30.74% | 17.38% | 26.53% | |
16시 | 32.76% | 18.39% | 28.10% | |
17시 | 34.69% | 19.44% | 29.67% | |
최종 | 36.93% | 20.62% | 31.28% |
일자·시간별 사전 투표율[9] | ||
선거인 수: 명 | ||
5월 29일 | ||
<rowcolor=#000> 시간 | 투표자 수 | 누적 투표율 |
<colbgcolor=#f5f5f5,#2d2f34> 7시 | ||
8시 | ||
9시 | ||
10시 | ||
11시 | ||
12시 | ||
13시 | ||
14시 | ||
15시 | ||
16시 | ||
17시 | ||
18시 | ||
5월 30일 | ||
<rowcolor=#000> 시간 | 투표자 수 | 누적 투표율 |
7시 | ||
8시 | ||
9시 | ||
10시 | ||
11시 | ||
12시 | ||
13시 | ||
14시 | ||
15시 | ||
16시 | ||
17시 | ||
18시 | ||
19시 | ||
20시 |
13.3. 투표율
시간별 투표율[10] | |||
선거인 수: 명 | |||
시간 | <rowcolor=#000> 시간별 투표자 수 | 누적 투표자 수 | 누적 투표율 |
<colbgcolor=#f5f5f5,#2d2f34> 7시 | |||
8시 | |||
9시 | |||
10시 | |||
11시 | |||
12시 | |||
13시[11] | |||
14시 | |||
15시 | |||
16시 | |||
17시 | |||
18시 | |||
19시 30분 | |||
지역별 최종 투표율 | |||
지역 | <rowcolor=#37313c,#000> 선거인 수 | 투표자 수 | 총 투표율 |
서울 | |||
부산 | |||
대구 | |||
인천 | |||
광주 | |||
대전 | |||
울산 | |||
세종 | |||
경기 | |||
강원 | |||
충북 | |||
충남 | |||
전북 | |||
전남 | |||
경북 | |||
경남 | |||
제주 | |||
파란색: 투표율 최저 지역 / 빨간색: 투표율 최고 지역 |
이전 선거 투표율과 비교 | ||||
<rowcolor=#000> 시간 | 2022 대선 | 2022 지선 | 2024 총선 | 2026 지선 |
<colbgcolor=#f5f5f5,#2d2f34> 7시 | 2.1% | 1.7% | 1.8% | |
8시 | 5.0% | 3.8% | 4.2% | |
9시 | 8.1% | 6.0% | 6.9% | |
10시 | 11.8% | 8.7% | 10.4% | |
11시 | 16.0% | 12.0% | 14.5% | |
12시 | 20.3% | 15.0% | 18.5% | |
13시[12] | 61.2% | 38.3% | 53.4% | |
14시 | 64.8% | 40.7% | 56.4% | |
15시 | 68.1% | 43.1% | 59.3% | |
16시 | 71.1% | 45.4% | 61.8% | |
17시 | 73.6% | 47.6% | 64.1% | |
18시 | 77.1% | 50.9% | 67.0% | |
최종 | 77.1%[B] | 50.9%[B] | 67.0% |
시·군·구별 투표율 순위 | |||||
최고 투표율 1 ~ 10위 | 최저 투표율 1 ~ 10위 | ||||
1위 | 1위 | ||||
2위 | 2위 | ||||
3위 | 3위 | ||||
4위 | 4위 | ||||
5위 | 5위 | ||||
6위 | 6위 | ||||
7위 | 7위 | ||||
8위 | 8위 | ||||
9위 | 9위 | ||||
10위 | 10위 |
성별 투표율 | |||
남성 | 여성 | ||
종합 연령별 | |||
18세 | 40대 | ||
19세 | 50대 | ||
20~24 | 60대 | ||
25~29 | 70대 | ||
30~34 | 80대 이상 | ||
35~39 | |||
남성 연령별 | |||
18세 | 40대 | ||
19세 | 50대 | ||
20~24 | 60대 | ||
25~29 | 70대 | ||
30~34 | 80대 이상 | ||
35~39 | |||
여성 연령별 | |||
18세 | 40대 | ||
19세 | 50대 | ||
20~24 | 60대 | ||
25~29 | 70대 | ||
30~34 | 80대 이상 | ||
35~39 | |||
선관위가 조사한 성별/연령별 투표율 |
13.4. 득표율
13.4.1. 정당별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득표율
정당별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득표율 | |||
정당 | 득표수 | 당선인 | 비고 |
득표율 | |||
| - | ||
| - | ||
| - | ||
| - | ||
| - | ||
[[기본소득당| | - | ||
[[사회민주당(2024년)| | - | ||
| - | ||
[[정의당| | - | ||
선거인 수 | 투표율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13.4.2. 광역의원 비례대표 합산 전국 득표율
정당별 광역의원 비례대표 합산 전국 득표율 | |||
정당 | 득표수 | 비고 | |
득표율 | |||
| |||
| |||
| |||
| |||
| |||
[[기본소득당| | |||
[[사회민주당(2024년)| | |||
| |||
[[정의당| | |||
선거인 수 | 투표율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13.5. 지역별 결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6. 정당별 결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정당별 결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정당별 결과#|]][[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정당별 결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7. 세대별 결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세대별 결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세대별 결과#|]][[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세대별 결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8. 격전지
13.8.1. 광역자치단체장
13.8.2. 기초자치단체장
13.8.3. 교육감
13.9. 총평
14. 이야깃거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이야깃거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이야깃거리#|]][[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이야깃거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5. 사건 사고
16. 둘러보기
[1] 지방선거 때 구축된 지역조직은 국회의원, 각 정당 지역위원장, 더 나아가 광역단체장과 대선후보의 손과 발 역할을 한다. 지역현안에 대해서는 이들만큼 빠삭하게 아는 사람이 없고, 지역관리를 앞장서서 도맡아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회의원, 지역위원장들은 이들과의 관계가 틀어지지 않기 위해 무진장 애를 쓴다.[2] 7기 재선 단체장 중 권영진 전 대구광역시장은 불출마했고, 송하진 전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컷오프, 이춘희 전 세종특별자치시장은 3선에 도전했으나 낙선했다. 또한 원희룡 전 제주특별자치도지사도 7기 재선이긴 하나, 대선 출마를 위해 사퇴했다. 이는 최초로 3선 연임 제한이 걸리는 선거인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로 처음인데,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이의근 전 경상북도지사가(김혁규 전 경상남도지사는 3선 임기 중 17대 총선 출마로 사퇴, 심대평 전 충청남도지사는 3선 임기 종료 3개월 전 사퇴),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김진선 전 강원특별자치도지사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허남식 전 부산광역시장, 박준영 전 전라남도지사가(박맹우 전 울산광역시장은 3선 임기 종료 3개월 전 사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김관용 전 경상북도지사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최문순 전 강원특별자치도지사, 이시종 전 충청북도지사가(박원순 전 서울특별시장은 임기 도중 사망) 3선 연임 제한에 걸렸지만 이 선거에서는 단 한 곳도 나오지 않았다. 사실 지난 선거에서 17곳 중 13곳이 단체장이 바뀌었고, 이마저도 나머지 4곳 중 2곳은 재보궐선거, 2곳은 지지난 선거에서 초선인 인물이 재선한 영향이 컸다.[3] 민선 8기 단체장 중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은 4선,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과거 경상남도지사까지 포함해 3선, 박형준 부산광역시장,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재선, 그리고 나머지는 모두 초선이다.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중간에 재선 실패 후 재탈환한 것이라서 4선까지 출마가 가능하다.[4] 전 강원특별자치도지사와는 동명이인이다.[5] 민선 1-3기의 이의근(민주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 민선 4-6기의 김관용(한나라당-새누리당-자유한국당) 전 지사 모두 보수 정당 소속으로 3선 연임에 성공하여 임기를 모두 마쳤기 때문에 이철우 지사도 민선 9기가 끝나는 2030년 6월 30일까지는 임기를 모두 마쳐야 완벽히 성공한다. 같은 보수 텃밭인 대구광역시는 3선 이상의 시장이 없었다는 것과는 대조적이다.[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대선 1년 1개월 후에 치러졌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한술 더떠서 대선 3개월 뒤에 치러졌다.[7] 다만 1년차인 만큼, 신임 정부가 전 정부인 윤석열 정부 처럼 임기 초부터 낮은 지지율로 어려움을 겪으면 무승부가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아울러 7회 지방선거 당시엔 남북정상회담이라는 주요 변수도 한몫 했기 때문이다.[8] 10회 지방선거는 22대 대선 2개월 뒤, 22대 대통령 취임 고작 8일만에 치러진다. 이미 8회 지방선거의 전례를 보면 알수 있듯이, 22대 대선에서 승리한 정당이 압승하게 된다.[9] 사전투표 상황은 18시를 제외한 해당 시각의 '10분 전'에 집계된 자료이다.[10] 투표 상황은 해당 시간의 정각에 즈음하여 집계된 자료이며, 각 시간별 투표자 수는 잠정 투표자 수이다.[11] 13시부터 사전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투표자 수 합산 시작. 누적 투표수에 포함되어 반영됨.[12] 사전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재외선거의 투표수 합산 시작. 누적 투표수에 포함됨.[B] 일반 투표 시간 종료 직후 이어지는 코로나19 확진자 투표가 포함된 수치.[B]